KR102526155B1 - 이중필터구조체 - Google Patents

이중필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55B1
KR102526155B1 KR1020220084134A KR20220084134A KR102526155B1 KR 102526155 B1 KR102526155 B1 KR 102526155B1 KR 1020220084134 A KR1020220084134 A KR 1020220084134A KR 20220084134 A KR20220084134 A KR 20220084134A KR 102526155 B1 KR102526155 B1 KR 10252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fluid
un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김지영
김기동
배해진
문새로미
Original Assignee
국립생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생태원 filed Critical 국립생태원
Priority to KR102022008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55B1/ko
Priority to US18/334,543 priority patent/US2024000960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8Mad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e.g. metal and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필터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정화하고자 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어하여 필터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부를 사용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필터구조체{DOUBLE FILTER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중필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필터구조체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거나 분진과 같은 고체미립자가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 또는 정화법을 기초로 유체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유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필터구조체에는 유체를 정수시키기 위해 다양한 필터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소형화되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는 필터구조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며, 필터구조체에 포함되는 교환주기가 각각 다른 필터들의 필터 교환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소형화되고 컴팩트한 디자인의 슬림한 정수 시스템 또는 정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구조체에서 하우징의 길이를 줄이면서 신뢰성 있는 정수효율 또는 정화효율을 얻기 위한 필터구조체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173호(2015.1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1513호(2005.05.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정화하고자 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어하여 필터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중필터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부를 사용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중필터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유체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유입구부; 상기 유입경로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길이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한 유체를 폭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 필터부; 상기 배출된 유체를 폭 방향으로 흡입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를 연결하는 구획격벽;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유출경로를 제공하는 유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 필터부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제2 필터부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구획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제2 필터부로 유입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를 상기 구획격벽에 고정하는 필터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벽은, 복수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필터고정돌기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원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제1 필터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필터부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1 경로제공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로제공돌기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2 경로제공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경로제공돌기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관통구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멍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멍커버는, 상기 관통구멍의 크기보다 면적이 크게 마련되고, 상기 구획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개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헤파필터, 세라믹 필터, 나노 섬유 필터 또는 고분자 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필터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정화하고자 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어하여 필터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필터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부를 사용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필터구조체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중필터구조체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이중필터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획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멍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상하수도 처리에 있어서 송수관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구현되는 크기에 따라서 촉매 물질 등을 넣어 쓰레기매립장, 폐수처리장, 오염된 수로 및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송수관에 연결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필터구조체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고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필터구조체(10)는 하우징부(100), 유입구부(200), 제1 필터부(300), 제2 필터부(400), 유출구부(500) 및 구획격벽(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유입구부(200), 제1 필터부(300), 제2 필터부(400), 유출구부(500) 및 구획격벽(600)을 교체하기 위해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타원기둥 형상일 수도 있고,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하우징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상일 수도 있다. 하우징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는 형상 또는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고분자 화합물(예를 들어, 플라스틱, 아크릴 등) 또는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등 내부의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파손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을 통해 부식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부(20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유체의 유입경로(210)를 제공할 수 있다. 유입구부(200)의 폭은 하우징부(100)의 일측 내주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입구부(20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 내주면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유입경로(210)는 유입구부(20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화 대상인 유체는 유입구부(200)가 제공하는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이중필터구조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필터부(300)는 유입구부(200)가 제공하는 유입경로(210)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길이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한 유체를 폭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제1 필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흡입되고, 폭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1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00)는 제1 필터부(300)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폭 방향으로 흡입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의 길이와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는 세디멘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 carbon filter), UF 필터, RO 필터, ACF(활성탄 섬유) 필터, AC(활성탄) 필터, 멤브레인 필터, 헤파필터, 세라믹 필터, 나노 섬유 필터 또는 고분자 필터 등 미리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필터일 수 있다.
구획격벽(600)은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구획격벽(600)은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제1 필터부(300)가 위치하는 공간과 제2 필터부(40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구획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610)이 마련되어 제1 필터부(300)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제2 필터부(400)로 유입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획격벽(600)은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미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구획격벽(600)은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구획격벽(600)의 폭은 구획격벽(600)이 고정될 하우징부(100)의 중앙부 내주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관통구멍(610)은 구획격벽(60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구멍(610)은 제1 필터부(300)가 위치하는 공간과 제2 필터부(400)가 위치하는 공간 사이에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300)의 폭 방향으로 배출된 유체는 구획격벽(600)이 제공하는 관통구멍(610-1, 610-2)을 따라 제2 필터부(40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유체는 제2 필터부(400)의 폭 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00)의 폭 방향으로 흡입된 유체가 제2 필터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2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유출구부(500)는 하우징부(100)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2 필터부(400)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유출경로(510)를 제공할 수 있다. 유출구부(500)의 폭은 하우징부(100)의 타측 내주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출구부(500)는 하우징부(100)의 타측 내주면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유출경로(510)는 유출구부(50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유입구부(200), 유출구부(500) 및 구획격벽(600)은 고분자 화합물(예를 들어, 플라스틱, 아크릴 등) 또는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등 내부의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파손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을 통해 부식되거나 변성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필터부(400)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유출구부(500)가 제공하는 유출경로(510)를 통해 이중필터구조체(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바에 따라 유체의 이동경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유체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 즉, 정화대상 유체가 유출경로(51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유출되더라도 이중필터구조체(10)는 본 발명이 예정한 바에 따라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10)는 양방향으로 사용 가능한 필터구조체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모든 구성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이중필터구조체(10)와 연결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중필터구조체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이중필터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10-1)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고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필터부(30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0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격벽(600)은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의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를 구획격벽(600)에 고정하는 필터고정돌기(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고정돌기(620)는 구획격벽(600)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것일 수 있고, 제1 필터부(300)를 구획격벽(600)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획격벽(600)의 제1 필터부(300)를 향한 면에 부착된 것일 수 있고, 제2 필터부(400)를 구획격벽(600)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획격벽(600)의 제2 필터부(400)를 향한 면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유입구부(20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제1 필터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제1 필터부(300)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1 경로제공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로제공돌기(220)는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경로제공돌기(220)가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이중필터구조체(10-1)는 정화대상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 또는 호스와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제1 경로제공돌기(220)가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경로제공돌기(220)에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유입구부(200)를 분리하여 하우징부(100) 내부에 위치한 제1 필터부(300)를 교체할 수도 있다.
유출구부(50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제2 필터부(4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하우징부(100)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제2 필터부(400)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2 경로제공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로제공돌기(520)는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경로제공돌기(520)가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이중필터구조체(10-1)가 정화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 또는 호스와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제2 경로제공돌기(520)가 하우징부(100)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2 경로제공돌기(520)에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유출구부(500)를 분리하여 하우징부(100) 내부에 위치한 제2 필터부(400)를 교체할 수도 있다.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를 각각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이중필터구조체(10-1)는 필터의 교체 주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정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300)는 헤파필터가 적용될 수 있고, 제2 필터부(400)에는 세라믹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300)와 제2 필터부(400)는 폭 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관통구멍(610)을 적어도 일부 가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구획격벽(600)의 중심부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구획격벽(600)이 하우징부(100) 내부의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정화 대상인 유체는 유입구부(200)가 제공하는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이중필터구조체(1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제1 필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흡입되어, 제1 필터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동한 후, 폭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1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필터부(300)의 폭 방향으로 배출된 유체는 구획격벽(600)이 제공하는 관통구멍(610-1, 610-2)을 따라 제2 필터부(40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유체는 제2 필터부(400)의 폭 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00)의 폭 방향으로 흡입된 유체가 제2 필터부(4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동한 후, 제2 필터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2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필터부(400)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유출구부(500)가 제공하는 유출경로(510)를 통해 이중필터구조체(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바에 따라 유체의 이동경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유체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 즉, 정화대상 유체가 유출경로(51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경로(210)를 통하여 유출되더라도 이중필터구조체(10-1)는 본 발명이 예정한 바에 따라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필터구조체(10-1)는 양방향으로 사용 가능한 필터구조체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든 구성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이중필터구조체(10-1)와 연결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획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도 6의 (b)를 참조하면, 구획격벽(600)은 복수의 관통구멍(6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610)은 필터고정돌기(620)보다 직경이 크고, 하우징부(100)의 내주면보다는 직경이 작은 원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획격벽(600)은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빈공간없이 맞닿을 수 있지만, 하우징부(100)의 내주면과 함께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관통구멍(610)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복수의 관통구멍(610-1, 610-2, 610-3, 610-4)은 구획격벽(600)이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고정되었을 때, 구획격벽(600)과 하우징부(100)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구멍(610-1, 610-2, 610-3, 610-4)을 통과하는 유체로부터 구획격벽(600)이 받는 압력은 도 6의 (a)와 도 6의 (b)와 같이 관통구멍(610)이 구획격벽(600)의 폭 내부에만 위치한 경우보다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을 향해 분산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구획격벽(600), 제1 필터부(300) 및 제2 필터부(400)가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610) 각각의 폭은 유입경로(210) 및 유출경로(510)의 폭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구멍(610)의 면적들의 총 합은, 필터고정돌기(610)의 폭 방향 단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610)의 면적들의 총 합이 필터고정돌기(610)의 폭 방향 단면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관통구멍(610)을 지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필터고정돌기(610)를 고정하는 구획격벽(600)이 하우징부(100) 내부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제1 필터부(300) 및 제2 필터부(400)가 이탈하여, 이중필터구조체(10)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를 참조하면, 필터고정돌기(610)가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되고, 필터고정돌기(610)의 폭 방향 단면의 지름이 10mm이고, 복수의 관통구멍(610-1, 610-2, 610-3, 610-4)이 모두 같은 크기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관통구멍(610-1, 610-2, 610-3, 610-4)의 지름은 5mm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부(200)는 하우징부(100)가 내부 공간이 관통되도록 마련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부(500)는 유입구부(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경로제공돌기(220)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경로제공돌기(520)는 유출되는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멍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획격벽(600)는 관통구멍커버(630-1, 630-2, 630-3, 630-4) 및 유속감지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관통구멍(610)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일부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관통구멍(610)과 적어도 하나의 점을 공유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610)과 공유하는 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관통구멍(610)을 개폐할 수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관통구멍(6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통구멍커버(630)는 관통구멍(610)의 1 ~ 1.5 mm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구멍커버(630)는 직경이 관통구멍(610)보다 1 ~ 1.5 mm 이상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610)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이중필터구조체(10)의 외부에 위치한 조작부(미도시)에 의하여 조작되어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관통구멍커버(630)는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미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동력구동장치(예를 들어, 모터)를 추가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는 하우징부(100)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격벽(600)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부(10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구획격벽(600)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필터부(300)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멍커버(630)는 유속감지부(6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체의 속력에 대응하여 관통구멍(610)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체의 속력이 미리 결정된 제1 기준범위(예를 들어, 0~1mm/s)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관통구멍커버(630)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개수(예를 들어, 3개)의 관통구멍커버(630)가 관통구멍(610)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통구멍커버(630-1, 630-2 및 630-3)만이 관통구멍(610-1, 610-2 및 610-3)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체의 속력이 미리 결정된 제2 기준범위(예를 들어, 1~2mm/s)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관통구멍커버(630)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개수(예를 들어, 2개)의 관통구멍커버(630)가 관통구멍(610)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통구멍커버(630-1 및 630-2)만이 관통구멍(610-1 및 610-2)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체의 속력이 미리 결정된 제3 기준범위(예를 들어, 2~3mm/s)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관통구멍커버(630)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개수(예를 들어, 1개)의 관통구멍커버(630)가 관통구멍(610)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통구멍커버(630-1)만이 관통구멍(610-1)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유속감지부(6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체의 속력이 미리 결정된 제4 기준범위(예를 들어, 3~4mm/s)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관통구멍커버(630) 중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개수(예를 들어, 0개)의 관통구멍커버(630)가 관통구멍(610)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든 관통구멍커버(630-1, 630-2, 630-3 및 630-4)이 관통구멍(610-1, 610-2, 610-3 및 610-4)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중필터구조체
100: 하우징부
200: 유입구부
210: 제1 경로제공돌기
300: 제1 필터부
400: 제2 필터부
500: 유출구부
510: 제2 경로제공돌기
600: 구획격벽
610: 필터고정돌기

Claims (14)

  1. 이중필터구조체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마련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유체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유입구부;
    상기 유입경로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길이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한 유체를 폭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 필터부;
    상기 배출된 유체를 폭 방향으로 흡입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를 연결하는 구획격벽;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유출경로를 제공하는 유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 필터부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제2 필터부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구획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제2 필터부로 유입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관통구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를 상기 구획격벽에 고정하는 필터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은,
    복수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상기 필터고정돌기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원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제1 필터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필터부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1 경로제공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제공돌기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제2 필터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내부에 마련된 빈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제2 경로제공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제공돌기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커버는,
    상기 관통구멍의 크기보다 면적이 크게 마련되고, 상기 구획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개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헤파필터, 세라믹 필터, 나노 섬유 필터 또는 고분자 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필터구조체.
KR1020220084134A 2022-07-08 2022-07-08 이중필터구조체 KR10252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34A KR102526155B1 (ko) 2022-07-08 2022-07-08 이중필터구조체
US18/334,543 US20240009604A1 (en) 2022-07-08 2023-06-14 Double filt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34A KR102526155B1 (ko) 2022-07-08 2022-07-08 이중필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155B1 true KR102526155B1 (ko) 2023-04-25

Family

ID=8610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134A KR102526155B1 (ko) 2022-07-08 2022-07-08 이중필터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09604A1 (ko)
KR (1) KR102526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464A (ko) * 2002-08-28 2004-03-06 진길웅 정수용 필터장치
KR100491513B1 (ko)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130104645A (ko) * 2012-03-14 2013-09-25 지병욱 정수 샤워기구
KR101560173B1 (ko) 2015-01-19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내부에 멤브레인 필터가 포함되는 정수기용 이중 필터
KR200490277Y1 (ko) * 2018-05-04 2019-10-29 세비앙 주식회사 정수필터와 호수 꼬임방지구조를 가지는 샤워 어셈블리
KR102349534B1 (ko) * 2021-03-29 2022-01-10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3B1 (ko)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40019464A (ko) * 2002-08-28 2004-03-06 진길웅 정수용 필터장치
KR20130104645A (ko) * 2012-03-14 2013-09-25 지병욱 정수 샤워기구
KR101560173B1 (ko) 2015-01-19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내부에 멤브레인 필터가 포함되는 정수기용 이중 필터
KR200490277Y1 (ko) * 2018-05-04 2019-10-29 세비앙 주식회사 정수필터와 호수 꼬임방지구조를 가지는 샤워 어셈블리
KR102349534B1 (ko) * 2021-03-29 2022-01-10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9604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857B1 (ko) 무효 체적이 적은 1회용 박막 모듈
US7032760B2 (en) Backwash flushing filter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KR101940471B1 (ko) 액체 회수 필터
KR200428772Y1 (ko)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BR0208842A (pt) Filtros e materiais de filtragem para a remoção de microorganismos e processo para filtragem de microorganismos de fluido
KR102526155B1 (ko) 이중필터구조체
WO2004039474A3 (en) Biological fluid filter
CA2231002A1 (en) A filter arrangement
US7138054B2 (en) Cartridge filter system
KR102526156B1 (ko) 기체공급튜브를 포함하는 이중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4969071B2 (ja) 浄水装置
SE9501705L (sv) Filter för filtrering av vätskor och gaser
KR20180041517A (ko) 연속 자세식 스트레이너
KR102403521B1 (ko) 용수 여과기
JP2000288318A (ja) 加工油、洗浄液等流体の濾過装置と、この濾過装置の濾過筒
KR102560425B1 (ko) 공기정화기
KR100605731B1 (ko) 공기 청정기의 원심분리필터 구조
KR200161686Y1 (ko) 싸이클론식 다단계 필터
DE50006445D1 (de)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verunreinigter flüssigkeit, insbesondere von wasser
KR970009641B1 (ko) 정수시스템
KR20000056351A (ko) 고온 폐수 처리장치
KR101687511B1 (ko) 자동 여과장치의 역세척 배출관
ES2380084T3 (es) Aparato para la aspiración y depuración de volúmenes de aire
RU2189848C2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