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124B1 -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24B1
KR102526124B1 KR1020220115888A KR20220115888A KR102526124B1 KR 102526124 B1 KR102526124 B1 KR 102526124B1 KR 1020220115888 A KR1020220115888 A KR 1020220115888A KR 20220115888 A KR20220115888 A KR 20220115888A KR 102526124 B1 KR102526124 B1 KR 10252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spection
unit
charge
inspec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11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방전 안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제품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여 분량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는, 제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이송 컨베이어에서 제품의 검사 위치에 구비되어 제품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리프터 및 제품이 고정된 위치에서 제품의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검사부는, 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충방전 유닛 및 충방전 유닛에 의해 제품이 충방전 될 때, 제품에서 발생되는 열화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Battery charging/ discharging stability test device using thermal image}
본 발명은 배터리 충방전 안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제품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여 분량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제조 시 안정성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안정성 검사는 정상적으로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는지, 충전과 방전 시 열이 발생되는 정도 등을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 과정을 통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제품의 경우 불량으로 선별하여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기존에는 충전 검사, 방전 검사, 발열 검사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실시되어 검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검사방식은 저항 값을 통한 열화의 발생만 확인하여 열화 발생 부위의 정확한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261756 배터리 검사장치)에서는 배터리 단자의 노출되어있는 모든 측면과 검사장치의 프로브가 접촉하고, 전류 및 전압 검출 장치를 배터리 단자와 가깝게 두어 노이즈와 간섭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 전류와 전압의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전류와 전압의 검출만으로 배터리를 검사하여 열화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고, 전류와 전압의 검출부만을 이용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의 검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261756 배터리 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충방전 검사를 동시에 진행함과 아울러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제품으로부터 발열 정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고, 발열 부분을 검사함에 있어서, 제품의 전체 면적에서 열화가 발생되는 부분을 빠르게 확인하여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는, 제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서 제품의 검사 위치에 구비되어 제품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리프터 및 제품이 고정된 위치에서 제품의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충방전 유닛 및 상기 충방전 유닛에 의해 제품이 충방전 될 때, 제품에서 발생되는 열화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유닛은 제품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에 구비된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어 제품으로부터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통전시키는 통전부 및 상기 통전부를 제품의 전원 인가부 측으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왕복 이송시키는 통전부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인가부는 제품의 외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이고, 상기 통전부는 한 쌍으로서 각각 상기 전원 인가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도록 V자 형태를 이루는 배터리 연결홈과, 배터리 연결홈의 중간지점에서 전원 인가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 단자를 포함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제품의 검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센서와, 제품이 이송될 때 제품의 양측을 지지하여 검사 위치로 안내하는 제품 이송 가이드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서 제품의 검사가 수행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부가 설치되는 검사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프터에는 제품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리프터의 하부에는 제품이 이송되는 동안은 하강하여 제품의 이송 경로를 개방하고, 제품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스토퍼를 승강시켜 제품을 검사위치에 고정하는 승하강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리프터에서 상기 스토퍼가 구비된 타측에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 스토퍼의 타측으로부터 제품을 스토퍼 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검사위치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는 충전과 방전 및 열화 발생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를 이용해 배터리를 이송시키면서 검사 위치에 고정하여 검사한 후 다시 이송시키는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 없이 연속적인 검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 및 방전 검사 시 발생되는 열화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검사함에 따라 발열 부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고정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충방전 유닛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제품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제품이 검사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열화상 카메라가 열화를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촬영 이미지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검사를 실시하면서 동시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충방전시 배터리에서의 열화 발생을 검사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배터리의 발열 상태를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벨트가 순환되며 상부에 올려진 제품(400)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를 통해 제품(400)이 이송되는 경로에서 제품(400)이 고정되어 검사되는 위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을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리프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리프터(200)는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으로, 제품(400)이 이송될 때에는 이송 경로를 개방하였다가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승강되어 제품(400)이 검사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정위치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리프터(200)가 구비되는 검사 위치에는 제품(400)이 검사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품(400)에 대한 충방전 검사 및 열화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검사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는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위치 설정 센서(110)가 검사부(300)가 설치된 검사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의 양측에는 제품(400)의 이송 경로를 따라 제품(400)이 이송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품 이송 가이드(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 리프터(200)가 구비된 검사 위치에는 이송 컨베이어(10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서로 이어지며 검사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검사부 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상기 검사부(300)는, 상기 검사부 프레임(1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400)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충방전 유닛(310) 및 상기 검사부 프레임(13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충방전 유닛(310)에 의해 제품(400)이 충방전 될 때, 제품(400)에서 발생되는 열화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품(400)을 제품(400)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충방전 검사 및 충방전 시 발생되는 열화상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화상 검사는 제품(400)의 충방전 시 발열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서 불량 발생의 원인 제거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고정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리프터(200)는, 제품(400)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210)와, 상기 스토퍼(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스토퍼(2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10)가 제품(400)의 일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스토퍼(210)가 제품을 고정하는 타측에 구비되어 제품(400) 측으로 왕복 이송하며 제품(400)이 스토퍼(210) 측으로 밀착되어 정확한 위치로 고정되도록 하는 검사위치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210)는 제품(400)이 이송되는 뒤쪽 방향에서 제품(4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제품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승하강 실린더(220)에 의해 하강되어 제품(400)의 이송 경로를 개방하였다가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의 뒤쪽으로 승강되어 제품의 뒤쪽을 고정한다.
이후 검사가 완료되면 다시 하강하여 제품(400)이 이송되는 경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검사위치 고정부(230)는 상기 스토퍼(210)와 함께 승하강 실린더(220)에 의해 승하강 된다.
이러한 검사위치 고정부(230)는, 스토퍼(210)가 제품(400)을 고정하는 타측에서 제품(400) 측으로 밀착되며 제품을 고정하는 제품 고정 블록(231) 및 상기 제품 고정 블록(231)을 제품(400) 측으로 이동시켜 제품(400)을 고정하였다가 검사가 완료되면 다시 복귀시키는 위치 설정 실린더(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사위치 고정부(230)는 스토퍼(210)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구비되어 제품(400)을 검사하는 동안은 스토퍼(210)와 함께 제품(400)을 고정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스토퍼(210)의 하강 시 함께 하강되며 제품(400)의 이송 경로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검사위치 고정부(230)는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400)의 규격에 따라 고정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다양한 규격의 제품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이송 컨베이어(100)를 통해 제품(400)을 이송하면서 검사 위치에서 제품(40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로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다시 제품(400)이 이송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충방전 유닛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방전 유닛(310)은 검사부 프레임(130)에서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의 뒤쪽에 구비된 전원 인가부(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품(400)에 구비된 전원 인가부(410)와 연결되어 제품(400)의 충전 및 방전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통전시키는 통전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부(311)는 상기 전원 인가부(4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도록 V자 형태를 이루는 배터리 연결홈(311a)이 형성되고, 배터리 연결홈(311a)의 중간지점에는 전원 인가부(4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 단자(311b)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부(311)는 검사부 프레임(130)에 고정 설치되는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에 의해 전원 인가부(410) 측으로 왕복 이송된다.
이때,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의 외측으로는 상기 통전부(311)와 일체로 결합되어 통전부(311)의 왕복 이동 시 함께 이동하며 통전부(311)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 슬라이더(313)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 슬라이더(313)는 상기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의 동작에 의해 통전부(311)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전원 인가부(410) 측으로 왕복 이송된다.
한편, 상기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에는 통전 슬라이더(31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통전부 제한 센서(3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 슬라이더(313)에는 상기 통전부 제한 센서(314)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통전 슬라이더(313)의 왕복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통전부 감지 블록(315)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통전부 제한 센서(314)는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 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전 슬라이더(313)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통전부 감지 블록(315)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통전 슬라이더(313)의 이동 범위에 다다른 것으로 판단하고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상기 통전부 감지 블록(315)은 상기 통전 슬라이더(313)에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400)의 규격에 따라 전원 인가부(41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통전 슬라이더(313)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여 통전부(311)가 전원 인가부(410)에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제품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컨베이어(100)에 제품(400)을 투입하면 이송 컨베이어(100)와 제품 이송 가이드(120)에 의해 검사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 컨베이어(100)는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품(400)을 이송할 수 있으며, 제품 이송 가이드(120)는 제품(400)의 이송 경로에서 제품(400)의 양측을 지지하여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사 위치에는 위치 설정 센서(110)가 구비되어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이송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중단한다.
이때, 고정 리프터(200)는 스토퍼(210)와 검사위치 고정부(230)가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어 제품(400)의 이송 경로를 개방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제품이 검사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된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의 하부에 위치되어있던 고정 리프터(200)가 구동되며 스토퍼(210)가 승강된다.
스토퍼(210)는 승하강 실린더(220)에 의해 승강되며 제품(4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으로 승강되어 제품(400)의 뒤쪽을 지지한다.
이때, 검사위치 고정부(230)도 함께 승강되어 검사위치 고정부(230)는 제품(400)의 앞쪽에서 동작되며 제품(400)의 앞쪽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충방전 유닛(310)은 제품(400)의 뒤쪽에 구비된 전원 인가부(410)를 향해 통전부(311)가 이동되며 배터리 연결홈(311a)과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통전부(311)는 제품(400)의 양측에서 동시에 이동하여 전원 인가부(410)와 연결되고, 양측으로 통전되면서 제품(400)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방전 유닛(310)에 의해 충방전 검사가 진행될 때, 제품(400)의 상부에서 열화상 카메라(320)가 제품(400)의 발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열화를 촬영한다.
이에 따라 충전과 방전 및 열화의 발생을 동시에 검사하여 빠른 검사 진행이 가능하고, 열화상 카메라(320)를 통해 발열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불량 발생 지점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에서 열화상 카메라가 열화를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촬영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320)에 의해 충방전 중인 제품(400)의 전체적인 발열 상태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발열 생태를 직관적으로 빠르게 확인하여 발열의 원인 지점을 교체하거나 불량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배터리의 완제품을 출고 전 검사함에 있어서, 충전 및 방전 상태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고, 충전과 방전 상태를 검사하는 동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제품의 발열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발열에 의한 불량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검시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사에 필요한 일련의 공정들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이송 컨베이어 110 : 위치 설정 센서
120 : 제품 이송 가이드 130 : 검사부 프레임
200 : 고정 리프터 210 : 스토퍼
220 : 승하강 실린더 230 : 검사위치 고정부
231 : 제품 고정 블록 232 : 위치 설정 실린더
300 : 검사부 310 : 충방전 유닛
311 : 통전부 311a : 배터리 연결홈
311b : 통전 단자 312 : 통전부 이송 실린더
313 : 통전 슬라이더 314 : 통전부 제한 센서
315 : 통전부 감지 블록 320 : 열화상 카메라
400 : 제품 410 : 전원 인가부

Claims (6)

  1. 제품(400)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00);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에서 제품(400)의 검사 위치에 구비되어 제품(400)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리프터(200); 및 제품(400)이 고정된 위치에서 제품(400)의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3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300)는, 제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품(400)의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실시하는 충방전 유닛(310); 및
    상기 충방전 유닛(310)에 의해 제품(400)이 충방전 될 때, 제품(400)에서 발생되는 열화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320); 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유닛(310)은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제품(400)에 구비된 전원 인가부(410)와 연결되어 제품(400)으로부터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통전시키는 통전부(311); 및 상기 통전부(311)를 제품(400)의 전원 인가부(410) 측으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왕복 이송시키는 통전부 이송 실린더(312)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인가부(410)는 제품(400)의 외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이고,
    상기 통전부(311)는 한 쌍으로서 각각 상기 전원 인가부(4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도록 V자 형태를 이루는 배터리 연결홈(311a)과, 배터리 연결홈(311a)의 중간지점에서 전원 인가부(4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 단자(311b); 를 포함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는, 제품(400)의 검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센서(110)와, 제품(400)이 이송될 때 제품(400)의 양측을 지지하여 검사 위치로 안내하는 제품 이송 가이드(120)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100)에서 제품(400)의 검사가 수행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부(300)가 설치되는 검사부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프터(200)에는 제품(400)을 검사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프터(200)의 하부에는 제품(400)이 이송되는 동안은 하강하여 제품(400)의 이송 경로를 개방하고, 제품(400)이 검사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스토퍼(210)를 승강시켜 제품을 검사위치에 고정하는 승하강 실린더(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프터(200)에서 상기 스토퍼(210)가 구비된 타측에는 스토퍼(210)의 타측으로부터 제품(400)을 스토퍼(210) 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검사위치 고정부(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6. 삭제
KR1020220115888A 2022-09-14 2022-09-14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KR10252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888A KR102526124B1 (ko) 2022-09-14 2022-09-14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888A KR102526124B1 (ko) 2022-09-14 2022-09-14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124B1 true KR102526124B1 (ko) 2023-04-27

Family

ID=8610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888A KR102526124B1 (ko) 2022-09-14 2022-09-14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1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756B1 (ko) 2011-07-15 2013-05-07 세방전지(주) 배터리 검사장치
KR101555322B1 (ko) * 2014-04-21 2015-09-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배터리 재자원화를 위한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18516B1 (ko) * 2017-02-08 2018-02-21 (주)케이엠씨에프에이 모니터용 내전압 자동 검사장치
KR20190064403A (ko) * 2017-11-30 2019-06-10 허민 배터리팩의 배터리셀 등급 판정장치
KR20210157625A (ko) * 2020-06-22 2021-12-29 (주)이건 주조제품용 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756B1 (ko) 2011-07-15 2013-05-07 세방전지(주) 배터리 검사장치
KR101555322B1 (ko) * 2014-04-21 2015-09-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배터리 재자원화를 위한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18516B1 (ko) * 2017-02-08 2018-02-21 (주)케이엠씨에프에이 모니터용 내전압 자동 검사장치
KR20190064403A (ko) * 2017-11-30 2019-06-10 허민 배터리팩의 배터리셀 등급 판정장치
KR20210157625A (ko) * 2020-06-22 2021-12-29 (주)이건 주조제품용 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259B1 (ko)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의 자동 검사장치
KR20060054028A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KR101219782B1 (ko) 모바일 카메라 렌즈 이물 검사시스템
KR20150074288A (ko) 열차단부재 자동용접장치
CN114643208B (zh) 一种光学镜片瑕疵自动检测设备
KR101859092B1 (ko) 부품 검사장치
KR101772849B1 (ko) 트레이 불량검사 장치 및 불량검사 방법
KR102526124B1 (ko) 열화상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안정성 검사 장치
CN114975195B (zh) 晶圆盒、晶圆搬运设备、晶圆搬运控制方法、电气设备及存储介质
CN108982519B (zh) 玻璃舌片焊接质量检测装置及方法
KR101150865B1 (ko) 엘이디 검사장치
KR102236670B1 (ko) Pcba 검사 장치
CN113351524A (zh) 一种自动指纹模组电测机
KR102453258B1 (ko) 웨이퍼 모서리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70004550A (ko) 글라스 검사장치
KR20110100403A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비전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56756A (zh) 检测装置
KR20110131016A (ko) 솔라셀 검사장치
KR102439345B1 (ko) 볼티지 센싱 어셈블리용 비전검사기
KR101469113B1 (ko) 차량의 선바이저의 제품 불량 검사장치
KR200332887Y1 (ko) 비접촉식 부품외관검사장치
KR101331193B1 (ko) 재활용 아이씨 트레이 불량검출 자동화 비젼시스템
CN109911583B (zh) 上料机构及其自动测试机
KR101475835B1 (ko) 차량의 선바이저 조명부의 조도 및 전류 검사장치
KR101469112B1 (ko) 차량의 선바이저 힌지 연결부의 토크력 및 이음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