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92B1 - 양개형 방화문 - Google Patents

양개형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92B1
KR102524892B1 KR1020210044508A KR20210044508A KR102524892B1 KR 102524892 B1 KR102524892 B1 KR 102524892B1 KR 1020210044508 A KR1020210044508 A KR 1020210044508A KR 20210044508 A KR20210044508 A KR 20210044508A KR 102524892 B1 KR102524892 B1 KR 10252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doors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621A (ko
Inventor
김중길
문홍정
Original Assignee
김중길
문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길, 문홍정 filed Critical 김중길
Priority to KR102021004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6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은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각각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2도어 및 상기 제1, 2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고정부를 갖는 고정문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1, 2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개형 방화문{Double open fire door}
본 발명은 양개형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를 구비한 고정문프레임을 통해 구조 강성을 강화함은 물론, 도어의 선택적 고정 구조를 갖는 양개형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더 이상 확산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층별, 면적별, 용도별로 구획화한 방화구획에 설치되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화재 확산 및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가 초 고층화되어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 질식이나 옮겨 붙는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방화문의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기 분리 형성하고 그 이격된 공간에 단열소재를 삽입하여 방화문의 중량은 가볍게 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방열 효과가 뛰어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화문은 일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편개형 방화문과, 양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양개형 방화문으로 분류되며, 최근 건축물에서는 출입문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양개형 방화문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양개형 방화문으로,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503호 '양개도아 방화문'은, 닫힐때 좌측 도아편이 우측 도아의 오목홈과 또한 우측 도아편이 좌측 도어 오목홈과 밀착되어 닫히거나, 방화문과 프레임이 맞닿는 상, 하 부분에서 도아의 상하 도아편이 후레임 상, 하 오목홈에 밀착되어 닫히는 양개도아 방화문이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119호 '양개 방화문의 구조'은, 하부면 소정의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제 1 삽입장공 및 제 2 삽입장공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마주보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면서 모서리부분에는 상부힌지 및 하부힌지가 용접고정되는 우측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용접고정되면서 중앙부분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수직하게 제 1 장착홈이 연장 형성된 좌측프레임을 갖는 문틀;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부에는 상기 제 1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됨과 아울러 전면 양측으로 제 2 장착홈 및 제 3 장착홈을 형성하는 제 1 바아와, 상기 제 1 바아를 감쌀 수 있도록 다단을 절곡되면서 상부에는 상기 제 2 삽입장공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제 2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용접고정되는 제 2 바아를 갖는 중간바아 및 일단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부힌지 및 상기 하부힌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장착홈에 밀착되며 타단 소정의 위치에는 렛치볼트가 돌출된 도어록이 장착된 우측도어와, 일단이 상기 제 1 바아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좌측도어를 갖는 도어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중간바아가 좌측도어와 우측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도어와 우측도어의 고정 또는 회전 개방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문틀의 중앙 프레임 역할을 하는데 그치게 되므로, 양개 방화문의 공간 활용도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양개형 방화문의 도어 중 어느 한 도어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도어를 회전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503호(2002. 07. 26. 공고) '양개도아 방화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119호(2003. 05. 09. 공고) '양개 방화문의 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고정부가 구비된 고정문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문프레임으로 도어프레임의 상,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 강성을 강화함은 물론, 상기 고정부와 제1, 2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통해 고정되는 도어 및 회전 개폐되는 도어를 필요에 따라 좌측문, 우측문을 자유롭게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양개형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각각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2도어 및 상기 제1, 2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고정부를 갖는 고정문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1, 2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2도어는 각각 제1, 2내측철판과 제1, 2외측철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내측철판과 제1, 2외측철판의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1, 2내측고리부와 제1, 2외측고리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내측고리부 또는 제1, 2외측고리부에는 열변형 방지 장공이 형성되어 화재 시 고온에 의한 구조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으로 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반대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어느 일면에는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어느 일면에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고정문프레임의 내부 빈공간에 삽입되는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와 연결되어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피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고정부가 구비된 고정문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와 제1, 2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통해 고정되는 도어 및 회전 개폐되는 도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문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고정문프레임에 의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양개형 방화문의 구조 강성을 보다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철판과 외부철판이 걸림 결합되는 부분에 열변형 방지 장공을 형성하여, 화재 발생 시 고온의 확산에 의한 내, 외부철판의 구조 변형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제1도어와 고정문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도어가 고정되고 제2도어가 회전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도어가 고정되고 제1도어가 회전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제1도어와 고정문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도어가 고정되고 제2도어가 회전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도어가 고정되고 제1도어가 회전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1)은 도어프레임(10), 제1도어(20), 제2도어(30), 고정문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개형 방화문(1)은 도어가 둘로 분리되어, 각 도어가 양측 상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방화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1)을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프레임(10)은 제1, 2도어(20, 30)와 고정문프레임(40)이 설치되는 틀로써, 주로 건물 벽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0)은 좌, 우측 양측의 세로프레임(12)과 위, 아래 양측의 가로프레임(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로프레임(12) 사이에 가로프레임(14)이 결합되는데, 상기 세로프레임(12)과 가로프레임(14)은 각각 소정 두께의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2)에는 축결합부(16)가 형성되어 제1, 2도어(20, 3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0)의 가로프레임(14) 내면에는 고정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고정문프레임(40)의 양측 단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2)에는 패킹삽입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삽입홈(12a)에는 패킹(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60)은 제1, 2도어(20, 30)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화재 발생 시 도어프레임(10)과 제1, 2도어(20, 30)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는 화염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패킹(60)은 용이하게 휘어지면서 제1, 2도어(20, 3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도어(20, 30)는 도어프레임(10)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2도어(20, 30)는 각각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은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될 수 있다. 상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은 판 형태로 넓게 펼쳐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형태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프레임(10)이 직사각형일 경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의 형태 역시 직사각형이 될 수 있으며,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경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은 상기 도어프레임(10)과 알맞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양개형 방화문(1)의 최외곽에서 화재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위치된 내장재(內裝材, 건축물의 내부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하는 데 쓰는 재료)가 직접적으로 외부 충격 또는 화염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은 내측에 고온단열재 및 복합반사단열재와 저온단열재를 수용하며, 그 소재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상기 내부철판(10)과 외부철판(20)의 소재가 금속일 경우 철(iron), 알루미늄(aluminium), 주석(tin), 코발트(cobalt), 니켈(nickel), 구리(copper), 아연(zin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의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1, 2내측고리부(22a, 32a)와 제1, 2외측고리부(24a, 34a)가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2내측고리부(22a, 32a)는 제1, 2내측철판(22, 32)의 단부를 구부려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2외측고리부(24a, 34a)는 제1, 2외측철판(24, 34)의 절곡된 단부를 구부려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2내측고리부(22a, 32a)와 제1, 2외측고리부(24a, 34a)는 서로 맞물리면서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내측고리부(22a, 32a) 또는 제1, 2외측고리부(24a, 34a)에는 열변형 방지 장공(50)이 형성되어 화재 시 고온에 의한 구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온(945℃ 이상)의 화재가 발생되면,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의 열팽창에 의한 구조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화염이 그 반대편으로 확산되므로, 이에 제1, 2내측철판(22, 32) 또는 제1, 2외측철판(24, 34)의 결합 부분에 열변형 방지 장공(50)을 형성하여, 철판의 구조 변형 및 화재 확산이 최소화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변형 방지 장공(50)은 제1, 2내측철판(22, 32) 또는 제1, 2외측철판(24, 34)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 변형 방지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상기 열변형 방지 장공(50)은 제1, 2내측철판(22, 32)의 제1, 2내측고리부(22a, 32a) 또는 제1, 2외측철판(24, 34)의 제1, 2외측고리부(24a, 34a)의 구부러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도면에서는 열변형 방지 장공(50)이 제1, 2외측철판(24, 34)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열변형 방지 장공(50)은 제1, 2내측철판(22, 32)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2내측철판(22, 32)과 제1, 2외측철판(24, 34)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은 제1, 2도어(20, 30)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은 도어프레임(10)의 가로프레임(14)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도어(20)와 제2도어(3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경우 그에 맞춰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은 내측프레임(42)과 외측프레임(44)으로 된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42)은 어느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 사각 프레임으로써, 도어프레임(10)의 가로프레임(1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을 지탱하는 뼈대가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프레임(42)의 개방된 면은 고정문프레임(40)과 제1, 2도어(20, 30) 간의 결합 구조를 위해 제1도어(20) 또는 제2도어(30)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외측프레임(44)은 내측프레임(42)의 외벽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구성으로써, 제1외측프레임(44a)과 제2외측프레임(44b)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프레임(44a)에는 내측프레임(42)의 외벽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내측프레임(42)의 개방된 일면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44a-1)가 형성되고, 내측프레임(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리 형상으로 접혀진 제1결합고리부(44a-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외측프레임(44b)에는 내측프레임(42)의 외벽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내측프레임(42)의 개방된 일면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44b-1)가 형성되고, 내측프레임(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결합연장부(44b-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외측프레임(44a)과 제2외측프레임(44b)은 내측프레임(42)의 외측 표면 대부분을 덮는 동시에, 제1결합고리부(44a-2)와 제2결합연장부(44b-2)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의 일측에는 회전제한부(4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제한부(43)는 제1, 2도어(20, 30) 중 어느 하나가 원래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회전제한부(43)는 제1도어(20) 또는 제2도어(30)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20) 또는 제2도어(3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으며, 제1외측프레임(44a)과 제2외측프레임(44b)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의 어느 일면에는 개방홀(4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개방홀(45)은 고정문프레임(40)과 제1, 2도어(20, 30)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46)의 적어도 일부분을 고정문프레임(4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개방홀(45)은 제1외측프레임(44a)의 제1연장부(44a-1)와 제2외측프레임(44b)의 제2연장부(44b-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제한부(43)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의 어느 일면에는 고정부(46)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46)는 제1도어(20)와 제2도어(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6)는 고정문프레임(40)의 내부 빈공간에 삽입되는 고정헤드(46a) 및 상기 고정헤드(46a)와 연결되어 제1, 2도어(20, 3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피스(4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46a)는 고정문프레임(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홀(4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헤드(46a)의 중앙에는 고정피스(46b)가 관통하는 관통공(46a-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6a-1)의 외측으로는 제1, 2도어(20, 3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46a-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6a-2)의 외측으로는 고정문프레임(40)의 내벽에 걸려 고정헤드(46a)가 고정문프레임(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판(46a-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헤드(46a)의 어느 일면 중 중앙 부분 즉, 돌출부(46a-2)는 제1, 2도어(20, 3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테두리 부분 즉, 이탈방지판(46a-3)은 고정문프레임(40)의 외측프레임(44)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 2도어(20, 30)와 고정문프레임(4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피스(46b)는 고정헤드(46a)의 관통공(46a-1)을 관통하여 제1도어(20) 또는 제2도어(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개형 방화문의 도면에서는 고정피스(46b)가 표면에 나사산을 갖는 금속 재질의 나사(screw)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2도어(20, 30)와 고정부(46)가 용이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은 도어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부(46)에 의해 제1, 2도어(20, 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1, 2도어(20, 3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문프레임(40)으로 도어프레임(10)의 상,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 강성을 강화함은 물론,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의 고정부(46)와 제1, 2도어(20, 30) 간의 결합 구조를 통해 고정되는 도어 및 회전 개폐되는 도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부(46)를 통해 고정문프레임(40)과 제1도어(20)를 고정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도어(20)는 고정문프레임(40)에 고정되는 반면, 제2도어(30)는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개폐되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부(46)를 통해 고정문프레임(40)과 제2도어(30)를 고정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2도어(30)는 고정문프레임(40)에 고정되는 반면, 제1도어(20)는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도어(20, 30) 중 회전 개방되는 도어의 단부에는 난연가스켓(7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난연가스켓(70)은 고정문프레임(4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화재 발생 시 고정문프레임(40)과 제1, 2도어(20, 30)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는 화염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난연가스켓(70)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고정문프레임(40)과 인접한 제1, 2도어(20, 3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부(48)가 형성되어 도어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을 교체하거나, 방향을 바꿔 고정되는 도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48)는 오르내리꽂이쇠(barrel bolt, 꽂이쇠를 아래위로 오르내리게 하여 문을 잠그는 철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48)의 체결을 해제하여 고정문프레임(40)을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와 같이 분리된 고정문프레임(40)을 180도 돌려 고정부(46)의 방향을 바꾸거나, 고정부(46)의 형성 위치가 반대편인 다른 고정문프레임(40)으로 교체한 후, 상기 고정문프레임(40)을 고정부(46)를 통해 제1, 2도어(20, 30) 중 어느 하나와 고정 결합하고, 결합부(48)를 통해 도어프레임(10)에 다시 고정 결합함으로써, 제1, 2도어(20, 30) 중 고정되는 도어와 회전 개폐되는 도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 양개형 방화문 10: 도어프레임
20: 제1도어 22: 제1내측철판
24: 제1외측철판 30: 제2도어
32: 제2내측철판 34: 제2외측철판
40: 고정문프레임 42: 내측프레임
44: 외측프레임 46: 고정부
50: 열변형 방지 장공

Claims (8)

  1.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각각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2도어 및
    상기 제1, 2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고정부를 갖는 고정문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1, 2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어느 일면에는 고정문프레임의 내부 빈공간에 삽입되는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와 연결되어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고정피스로 이루어진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헤드의 중앙에는 고정피스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제1, 2도어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고정문프레임의 내벽에 걸려 고정헤드가 고정문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도어는 각각 제1, 2내측철판과 제1, 2외측철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내측철판과 제1, 2외측철판의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제1, 2내측고리부와 제1, 2외측고리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내측고리부 또는 제1, 2외측고리부에는 열변형 방지 장공이 형성되어 화재 시 고온에 의한 구조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프레임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으로 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 2도어 중 어느 하나의 반대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프레임의 어느 일면에는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개형 방화문.
  8. 삭제
KR1020210044508A 2021-04-06 2021-04-06 양개형 방화문 KR10252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08A KR102524892B1 (ko) 2021-04-06 2021-04-06 양개형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08A KR102524892B1 (ko) 2021-04-06 2021-04-06 양개형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21A KR20220138621A (ko) 2022-10-13
KR102524892B1 true KR102524892B1 (ko) 2023-04-24

Family

ID=8359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08A KR102524892B1 (ko) 2021-04-06 2021-04-06 양개형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423A (ko) * 2000-10-17 2002-04-25 김찬근 편개문 또는 양개문으로 사용되는 입체화된 방음 방화문
KR200283503Y1 (ko) 2002-04-15 2002-07-26 노진복 양개도아 방화문
KR200312119Y1 (ko) 2003-01-17 2003-05-09 주식회사 신흥강판 양개 방화문의 구조
KR20090004416U (ko) * 2007-11-06 2009-05-11 변규병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574230B1 (ko) * 2014-05-12 2015-12-03 전희섭 양개 방화문의 작은 방화문 고정장치
KR20200012177A (ko) * 2018-07-26 2020-02-05 안영준 결로방지 기능이 개선된 문틀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21A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44877A (ja) 建具
JP2015086526A (ja) 防火引戸
JP7174104B2 (ja) 建具
KR102524892B1 (ko) 양개형 방화문
JP7038247B2 (ja) 防火建具
US20110308161A1 (en) Fire shutter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KR100838967B1 (ko) 단열성이 강화된 미서기 창호
JP5653896B2 (ja) 建具
JP6195756B2 (ja) 建具
CN108951049B (zh) 用于干衣机的门体组件及具有其的干衣机
JP6691100B2 (ja) 建具
JP7240964B2 (ja) 防火建具
JP2007082759A (ja) 防煙垂壁
JP2014227780A (ja) 上げ下げ窓
JP7407090B2 (ja) 防火サッシ
JP6664295B2 (ja) 防火サッシ
JP6902669B2 (ja) 防火建具
JP7033032B2 (ja) 建具
JP7075552B1 (ja) 防火建具
KR102531739B1 (ko) 구조보강프레임이 내장된 방화문
JP7316881B2 (ja) 障子及び建具
KR101218805B1 (ko) 단면 확장부를 갖는 방화문
JP7014641B2 (ja) 防火建具
JP704998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