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304B1 -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304B1
KR102524304B1 KR1020160012284A KR20160012284A KR102524304B1 KR 102524304 B1 KR102524304 B1 KR 102524304B1 KR 1020160012284 A KR1020160012284 A KR 1020160012284A KR 20160012284 A KR20160012284 A KR 20160012284A KR 102524304 B1 KR102524304 B1 KR 10252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6025A (en
Inventor
히토시 다나카
가즈아키 하기와라
유지 구리야마
요시노리 도미도코로
준 호소다
가즈야 나라
도시야 기소
다쿠야 야마다
다이스케 오타니
히로유키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S)은,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킨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exchanges data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to execute predetermined functions.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if the data transmission is interrupted during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is performed to establis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resumed.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device, a data processing system, a data processing method, and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which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撮像) 장치에 의해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촬상 장치에 대하여 촬영에 관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하는 경우에, Wi―Fi 통신이나 bluetooth(등록상표) 통신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when image data captured by an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is transmitt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instruction information related to photography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maging device, Wi- A technique using Fi communication or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communication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또한, 최근에는, 보다 저소비 전력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도록 되었다. In recent years, it has also become possible to use the technology of BLE (Bluetooth Low Energy) (trademark), which enables communication with lower power consumption.

각각의 통신 기술에 있어서는, 통신 속도, 소비 전력, 이용할 때의 편리성 등의 특성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각각의 특성에 따른 규약(제약)에 따라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Each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speed, power consumption, and ease of use,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rules (restriction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또한, 휴대 단말기는, OS(Operating System)의 관리 하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activate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under the management of an OS (Operating System).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OS에 있어서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 시킨 경우라도, CPU나 메모리를 적절히 이용시키기 위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는, OS의 규약(제약)에 따라 동작할 필요가 있다. In the OS of such a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tart up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simultaneously, and eve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s start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use the CPU and memory appropriately, each application software follows the rules of the O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ccording to (constraints).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는,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고(또는 규약을 만족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킬 수 없었다. 카메라와 스마트 폰 이외의 기기(機器)의 연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However, in the foregoing technique, it has not been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the imaging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tandem. The same applies to linkage between a camera and a device other than a smartphone.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23002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 활용하고(또는 규약을 만족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under each constraint, effectively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the function of the OS (or satisfies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s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comprising: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data transmission with the other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execut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nd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the and a control unit that executes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fter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apparatus are brought in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pparatus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b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A data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different roles cooperate to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omprising: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When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executed by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fter the device and another device are brought in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In a data processing system for exchang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and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uring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f the data transmission is interrupted, control to establis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resume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중, 자동 화상 수신 처리 및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3의 휴대 단말기 및 서버의 기능적 구성 중,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5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 및 서버가 실행하는 화상 공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에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앨범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앨범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자동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카메라 측에서의 앨범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화상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중, 페어링(pairing)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9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도 29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다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Wi―Fi 설정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Menu 오픈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hardware configurations of a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n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and a mode operation proces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of FIG. 3 .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mode opera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display of communication status in a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8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mode opera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display of communication status in a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FIG. 1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image sharing processing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erver of FIG. 3 .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image sharing processing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server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15;
Fig.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in an imag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in th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lbum selection screen in the application.
17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flow of album registration processing.
18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flow of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ing.
Fig. 19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flow of album selection processing on the camera side.
20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flow of image registration processing.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imaging device.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imaging device.
FIG. 2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 pairing connection proces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of FIG. 3 .
FIG. 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29 and the portable terminal.
Fig. 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flow of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executed by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29;
2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background process process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2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background process process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2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ing.
2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Wi-Fi setting control processing.
3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Menu open processing.
Fig. 3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de determination process for starting a camera by BLE commun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시스템(S)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촬상/통신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1)와, 적어도 화상 표시/통신 기능을 가지는 정보 단말기인 휴대 단말기(2)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communication system S includes an imaging device 1 having at least an imaging/communication fun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t least an image display/communication function.

통신 시스템(S)에서는,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쪽의 조작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에 대하여, 화상 파일 레벨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 접속의 요구를 행하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 조작 기기의 조작에 따라, 다른 쪽의 기기와의 화상 파일의 송수신이나 다른 쪽의 기기가 유지하는 화상 데이터의 열람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는 것은, 서로 통신하는 상대를 지정하여 소정의 수속(negotiation)을 행함으로써, 서로 통신하는 상대를 인식하고, 그 이후는, 통신을 행할 때마다 소정의 수속을 행하지 않고, 언제라도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 상태는, 통신 접속을 해제하는 수속을 행할 때까지 유지된다. 또한, 통신 접속이 「확립」된 상태는, 전파 상태가 악화되어 일시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었거나,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한 경우라도 유지된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when the user operates either device of the imaging device 1 or portable terminal 2, the image file level is transferred from the operating device operated by the user to the other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n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is made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established. It has a function of sending and receiving image files and viewing image data held by the other device.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that a mutually communicating partner is designated and a predetermined procedure is performed to recognize the mutually communicating partner, and thereafter,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It is to set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at any time without carrying out a predetermined procedure every time. This state is maintained until a procedure for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is maintained even when the radio wave condition deteriorates and communication becomes temporarily impossible, or when the power of the device is turned off.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2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시 접속에 적절한 무선 통신 방식(이하, 「제1 통신 방식」이라고 함)과, 고속이며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무선 통신 방식(이하, 「제2 통신 방식」이라고 함)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통신 방식은, bluetooth low energy/bluetooth LE(상표)(이하, 「BLE」라고 함)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중 Wi―Fi(Wireless Fidelity)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n a state where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using two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a low-speed but power-sav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always-on conn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mmunication method") 2 communication method”) i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1st communication method uses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bluetooth low energy/bluetooth LE (tradema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E").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es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Wi-Fi (Wireless Fidelity) amo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는,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가 크기 때문에, 다음에,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때마다 통신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저감시킨다. 또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대측의 기기의 전원을 온하거나, 어플리를 기동시키거나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상시 접속하여 두고, 상황에 따라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onsumes large amounts of power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waiting time until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next becomes long. If there is,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each time.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it is not possible to automatically turn on the power of the other party's device or activate an appl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BLE, which is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is always connected,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Wi-Fi, which is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establish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한 상시 접속은, 외부 연계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의 각각이 통신 접속 가능한 거리 범위 내에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기기 중에서 실제로 외부 연계 기능을 이용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조합을 임의로 선택하고, 그 선택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조합을 외부 연계 기능이 해제될 때까지의 사이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lways-on connec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an imaging device that actually uses an external linkage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when a plurality of image capture devices having an external linkage fun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are each present within a communication-connectable distance range.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elect a combination of (1) and portable terminal 2, and maintain the selected combination of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until the external linkage function is released.

복수의 기기 중에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조합을 선택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한 상시 접속을 개시하는 방법(페어링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method of selecting a combin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from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and starting an always-on connec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pai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해 상시 접속된 상태에 있는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화상 파일을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 an example of transmitting an image file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a constantly connected state to the portab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2는, 통신 시스템(S)에 의해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S.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한쪽의 기기로서 촬상 장치(1)를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을 발휘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지시(접속 지시)를 송신한다. Specifically, in the example of FIG. 2 , the user operates the imaging device 1 as one of the devices to exert an external cooperation function on the side of the imaging device 1, and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portable terminal For (2), an instruction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 files (connection instruction) is transmitted.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접속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지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In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connection instruction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function of the camera-linked application is exhibited, processing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performed, and the imaging device 1 ) and the mobile terminal 2,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established.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한 접속 지시에 의해,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과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의 확립이 행해진다. In detail, in response to a connection instruction from the imaging device 1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 program for exercising the function of the camera-linked applic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started, and the imaging device 1 Communica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by the external linkage function on the side and the function of the camera linkage applic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제1 통신 방식은,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주전원이 끊어져 있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상시 접속되어 있고, 주전원이 끊어져 있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에 있는) 쪽의 기기는, 다른 쪽으로부터의 제1 통신 방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적어도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주전원을 넣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과, 제1 통신 방식을 통하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enables power saving, and is always connected even when either or both of the main power sources of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re disconnected (or in a low power consumption state), and the main power source The device on the side that is disconnected (or in a low power consumption state)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ource so that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other side is in a state where at least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execution of application programs are possible. It has a function of entering (or canceling the low power consumption state) and a function of activating (executing) a designated application program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그러므로,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의 확립을, 휴대 단말기(2)를 조작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Therefor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data communication when an event such as transmission of an image taken by the imaging device 1 occurs, for example, without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2. can be done without

이로써,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화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Thus,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nd image data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o the portable terminal 2.

그리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발휘에 의해, 일시적으로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보존된다. Then, the received image data is temporarily saved in the stor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 by displaying the function of the camera-linked applica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과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송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활용으로서, 촬상 장치(1)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 등으로부터 열람 가능한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는, 자동적으로 화상 공유를 행하는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영이 행해지면,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휴대 단말기로의 화상의 공유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시한다. 공유의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 촬상 장치(1)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일시적으로 보존한 후,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 기능에 의한 지시에 의해 화상 관리 및 네트 액세스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상기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일시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자기(自己)(화상 관리 및 네트 액세스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있어서 관리하는 동시에, 화상 데이터를 화상 공유를 목적으로 하여, 미리 연계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미리 연계되어 있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함으로써,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되어 휴대 단말기(2)에 의해 수신한 화상의 공유를 행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is utilized as image data automatic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external linkage function on the side of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function of the camera linkage application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2. Data is automatically made viewable from portable terminals owned by other users by using an image sharing service on the Internet. Specifically, when shoot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linked operation mode for automatically sharing images is set, the imaging device 1 transmits an image capture to the portable terminal 2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t instructs that sharing of images from the device 1 to other portable terminals can b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receiving the sharing instruction, the function of the camera-linked application is exhibited, image data taken by the imaging device 1 is received, and after temporarily storing it in the stor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 the camera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for image management and network access is exercised by the instruction by the coordinated application function (a program for the above function is started), and the imag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transferred to the self ( It is managed in the functions of self-image management and network access (application for image management and net access), and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linked in advance for the purpose of image sharing. In the cloud server, the image data taken by the imaging device 1 and received by the portable terminal 2 is shared by making the image data available to other portable terminals linked in advance.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는,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는, 서로의 장치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로 데이터의 교환(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2)에 화상을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2)에 화상을 취득시키는 처리나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전송시키는 처리 등의 연계한 처리(이하, 「연계 처리」라고 함)를 실행한다.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re configured as devices that realize predetermined functions in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exchange data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devices using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o that, for example, the imaging device 1 Processing of transferring an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to acquire an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2 or transferring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to the portable terminal 2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 A linked process such as a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nked process") is executed.

또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 접속이 유지(상시 접속)되는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통하여, 조작을 행하는 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장치의 제2 통신 방식인 Wi―Fi를 온(ON)하여 통신 접속이 확립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통신 방식인 BLE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 등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상시 접속)된다. 여기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란, 다른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여기서 말하는 전원이 오프 상태란,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지만,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나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저소비 전력 상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는, 다른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통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In addition,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link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because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not established, to a state in which link processing can be executed In order to do this, through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connection is maintained (always connected), the device performing the operation turns on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other device,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do. That is,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cannot be executed/a state in which preparation for execution of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cannot be performed due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not being established, etc.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is maintained (always-on). Here, “a state in which preparations for execution of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cannot be made” means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other device is off, or a state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not running, or W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Fi has not been established (power is off in this case,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possible, but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re executed) including impossible low power consumption states). Therefore,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the power of the other devices is off, or a program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not running, or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Even in a state in which no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non-functioning state) and in which preparations for execution of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cannot be made, preparations for execution of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can be made via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ulfill the status quo

여기서, 페어링(pairing)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 pairing processing is explained.

페어링 처리란, 2대의 BLE 디바이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접속 설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접속 설정 후에,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가 접속된다. 또한, 페어링 처리에 의해, 접속에 필요한 상대측의 페어링 정보가 각각의 기기[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 기억된다. The pairing process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wo BLE devices (in this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fter setting the connection, based on the setting,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re connected in a communicable state. In addition, pairing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required for connection is stored in the respective devices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by the pairing process.

본 실시형태의 BLE 방식의 통신에서는, 역할이 상이한 퍼리퍼럴(peripheral)과 센츄럴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퍼리퍼럴은 촬상 장치(1)이며, 센츄럴은 휴대 단말기(2)이다. In the communication of the BL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peripheral having a different role and a central. In this embodiment, the peripheral is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central is the portable terminal 2.

이에 대하여, 퍼리퍼럴은, 자체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전파를 사용하여 주위에 어드버타이즈(advertise) 신호를 내고(어드버타이즈 신호를 동보 송신하고), 센츄럴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form the existence of itself, the peripheral uses radio waves to issue an advertisement signal to the surroundings (broadcasting the advertisement signal), and responds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entral.

센츄럴은,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는 퍼리퍼럴이 없는지 주사(走査)하고, 해당하는 퍼리퍼럴을 검출하면, 접속을 요구하고, 데이터의 교환을 시작한다. 그리고, 센츄럴은, 퍼리퍼럴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사용하여 어떠한 태스크(task)를 실행한다. The central scans to see if there is a peripheral that provides necessary data, and upon detecting a corresponding peripheral, requests connection and starts exchanging data. Then, the central executes a certain task using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from the peripheral.

어드버타이즈 신호에는, 퍼리퍼럴의 이름[디바이스명: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LAN(Wi―Fi)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명인 SSID]나 제공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dvertisement signal, the name of the peripheral [device name: in this embodiment, SSID that is the identification name of the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Wi-Fi)] and information indicating information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페어링 처리에 의해 접속 설정이 완료된 후의 BLE의 접속 시(통신 시)에는, 전세계에서 유니크(unique)(유일)의 BD 어드레스[bluetooth(등록상표) Device Address]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송신한다. 이로써, 뜻하지 않은 다른 기기와 접속되는 경우가 없다. Upon connection (at the time of communication) of BLE after connection setting is completed by pairing processing, a communication packet including a unique (unique) BD addres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Device Address) in the world is transmitted. In this way, there is no case of being connected to another device unexpected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hardware configurations of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된다. The imaging device 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촬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撮像部)(16)와, 입력부(17)와, 출력부(18)와, 기억부(19)와, 제1 통신부(20)와, 제2 통신부(21)와, 드라이브(22)와, 전원부(23)를 구비하고 있다. An imaging device 1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 a read only memory (ROM) 12, a random access memory (RAM) 13, a bus 14,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15. ), an imaging unit 16, an input unit 17, an output unit 18, a storage unit 19,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A drive 22 and a power supply unit 23 are provided.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The CPU 11 executes various processes according to programs recorded in the ROM 12 or programs loaded into the RAM 13 from the storage unit 19 .

이 CPU(11), RAM(13), ROM(12)[또는, 기억부(19)]는, 제어부를 구성한다. This CPU 11, RAM 13, ROM 12 (or storage unit 19) constitutes a control unit.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The RAM 13 also appropriately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CPU 11 to execute various processes.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제1 통신부(20), 제2 통신부(21), 드라이브(22) 및 전원부(23)가 접속되어 있다. The CPU 11 , ROM 12 and RAM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14 . An input/output interface 15 is also connected to this bus 14. The input/output interface 15 includes an imaging unit 16, an input unit 17, an output unit 18, a storage unit 19,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a drive 22, and a power supply unit. (23) is connected.

촬상부(16)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imaging unit 16 includes an optical lens unit and an image sensor.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The optical lens unit is composed of a lens that condenses light in order to photograph a subject, for example, a focus lens or a zoom lens.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結像)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A focus lens is a lens that forms an image of a subject on a light receiving surface of an image sensor. A zoom lens is a lens that freely changes its focal length within a certain range.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A peripheral circuit for adjusting setting parameters such as focus, exposure, and white balance is also installed in the optical lens unit, if necessary.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The image sensor is composed of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 AFE (Analog Front End), or the like.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yp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or the like. An object image is incident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rom the optical lens unit. Therefor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photoelectrically converts (imaging) the subject image, accumulates image signal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sequentially supplies the accumulated image signals to the AFE as an analog signal.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The AFE performs various signal processing such as A/D (Analog/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on this analog image signal. A digita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various signal processing and is output as an output signal of the imaging unit 16 .

이와 같은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를, 이하, 「촬영 화상의 데이터」라고도 한다. 촬영 화상의 데이터는, CPU(11)나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부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Such an output signal of the imaging unit 16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hotographed image data". Data of the captured image is appropriately supplied to the CPU 11 or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입력부(17)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The input unit 17 is composed of various buttons and the like, and in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al operation.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18 is composed of a display, a speaker, or the like, and outputs an image or sound.

기억부(19)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The storage unit 19 is constituted by a hard disk or a flash memory, and stores data of various images.

제1 통신부(20)는,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시 접속에 적절한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통신 방식은, BLE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control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portable terminal 2 in this embodiment)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low-speed but capable of saving power and suitable for always-on conn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es a communication method conforming to the BLE communication standard.

제2 통신부(21)는, 고속이며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LAN 중 Wi―Fi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controls communication performed with an external device (portable terminal 2 in this embodiment)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files at high spe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es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Wi-Fi communication standard among wireless LANs.

드라이브(22)에는, 자기(磁氣)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 매체(removable medium)(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2)에 의해 착탈 가능 매체(3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한, 착탈 가능 매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A removable medium 31 made of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disk, or a semiconductor memory is appropriately mounted on the drive 22 . Programs read from the removable medium 31 by the drive 22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9 as needed. In addition, the removable medium 31 can also stor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 in the same way as the storage unit 19 .

전원부(23)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며, 전원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촬상 장치(1)에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이며, 촬상 장치(1)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류를 촬상 장치(1)의 각각의 구성에 공급한다. 전원부(23)는, CPU(11)에 의해 제어되고,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 출력부(18) 등으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여 표시 출력을 오프하여, 제1 통신부(20)나 제2 통신부(21) 등의 통신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유지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도 화상 송신을 가능하게 제어된다. The power supply unit 23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s a pow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imaging device 1 via a power supply circuit (not shown), and the imaging device ( Current as a driving source of 1)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imaging device 1. The power supply unit 23 is controlled by the CPU 11 and, for example, in a power-off state, stops the supply of power to the output unit 18 and the like to turn off the display outpu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etc., maintaining the supply of power for communication, so that image transmission is possible even in a power-off state.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으로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 is configured as, for example, a smart phone.

그리고,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1)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하드웨어를 설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1)에는, 부호의 말미에 「―1」을 부가하는 것으로 하고, 휴대 단말기(2)에는 부호의 말미에 「―2」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즉, 촬상 장치(1)는, CPU(11―1)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1)로 표기하는 것으로 하고, 휴대 단말기(2)는, CPU(11―2)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2)로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Incident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hardware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imaging device 1. Hereinafter, when the hardware i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s used as an explanation, "-1" is added to the end of the code for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2" is added to the end of the code. That is, the imaging device 1 is referred to as the CPU 11 - 1 to the removable medium 31 - 1 ,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ncludes the CPU 11 - 2 to the removable medium 31 - 2) shall be indicat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의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BLE로 통신 접속이 확립된 상태(상시 접속 상태)에서 행해진다. 즉,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BLE로 접속이 되어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촬영 화상의 자동 송신 기능이 발휘된다. When the function of data communication is exhibited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mmunica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s performed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is is done in a state where a connection is established (always-on state). That is, the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of captured images is exhibited on the premise that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접속 지시)를 발하여,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에서는, Wi―Fi에 있어서 메인 장치(親機)로 되도록 액세스 포인트(AP) 모드로 하고, 휴대 단말기(2)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있어서 서브 장치(子機)로 되도록 스테이션(ST) 모드로 하여,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1 대 1의 직접 통신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Specifically, an instruction (connection instruction) is given to the portable terminal 2 from the imaging device 1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by Wi-Fi a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is set to an access point (AP) mode so as to be a main device in Wi-Fi, and the portable terminal 2 uses W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y one-to-on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n the station (ST) mode so as to become a sub device in Fi.

그리고, 1번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페어링한 경우, 상기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각 기기에 의해 유지한다. 근거리 통신을 행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의 도달하는 범위에 있는 기기를 탐색하고, 그 중에서 유지하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페어링 조작에 관하여는, 먼저, 주위에 있는 접속 가능한 장치(BLE/Wi―Fi가 기동 상태의 장치)가 모두 기기명 등으로 표시되고, 그 중에서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행한다. The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pairing is perform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iring is held by each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 process of searching for devices within the reach of radio waves and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out inputting a password or the like based on pairing information held therein is performed. do. Regarding the pairing operation, first, all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nearby (devices with BLE/Wi-Fi in an active state) are displayed by device name, etc., and the user designates a device that executes linkage processing among them. .

도 4는, 이와 같은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기능적 구성 중, 자동 화상 수신 처리 및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and mode operation processing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먼저, 자동 화상 수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자동 화상 수신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촬상부(16)로부터 촬영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촬영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는 자동으로 화상을 수신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means that when a captured image is acquired from the image capture unit 16 in the image capture device 1,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o obtain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utomatically receives an image.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as shown in FIG. 4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function in the CPU 11 - 1 .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1, an image storage unit 71 is set.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data of a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imaging unit 16 is stored.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execute shooting processing.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The output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1)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to the mobile terminal 2. The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trolled.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as shown in Fig. 4, in the CPU 11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function. .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n image storage unit 111 is set.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11 stores captured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manages the startup and termination of applications (programs).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하, 단지 「어플리케이션」라고 함)을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나 장치에 있어서의 「기동」이란, 새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외에, 휴지중(烋止中)(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재개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한 전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이행을 수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nd activates an applica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ppl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When an instruction to do so is received, the specified application is sta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to exert a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ncidentally, "activation" in an application or device includes a case of resum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that is dormant (running in the background) other than a case of newly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lso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It also includes cases involving a transition from the state to the on state.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의 수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 20-2)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is controlled.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by, for example, performing communication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

그리고,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start state, pairing of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complet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y are always connected. In addition, although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in an off state,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Wi-Fi settings (profiles) are mutually acquired, and Wi-Fi At startup, a one-to-on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스텝 S1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In Step S111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execute shooting processing.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The output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

촬영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자동 화상 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 스텝 S1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어플리가 기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When the shooting process is executed, if the automatic image transfer mode has been set, in step S112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transmit an instruction to activate the app. As a result, in the mobi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instruction to launch the app, the app is launched. In this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is start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s exhibited.

스텝 S1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이하, 「카메라 AP 정보」라고 함)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In Step S113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mera AP information"). ”)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As a result, in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camera AP information, Wi-Fi is turned on in the ST (station) mod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 serves as a sub device.

스텝 S1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14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n Wi-Fi in AP (Access Point) mode serving as the main device.

스텝 S1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5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responds to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2 to carry out the mobile device. Whether or not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2 has been established is determined.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115―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8―1로 진행한다. 스텝 S118―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f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15-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8-1. The process of step S118-1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5―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6―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has not been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15 - 1 ,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116 - 1 .

스텝 S1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timed out)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6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determines whether or not timed out has elaps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6―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5―1로 돌아온다.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16 - 1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5 - 1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6―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7―1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16-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7-1.

스텝 S1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1―1로 돌아온다. In Step S117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ff Wi-Fi.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1-1.

스텝 S1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영한 촬상 화상을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결과, Wi―Fi로 촬영한 촬상 화상이 송신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8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1) is controlled.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taken by Wi-Fi is transmitted. After that,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스텝 S1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In step S111-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performs communica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launch an app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2, activates the specified application. . In this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is start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s exhibited.

스텝 S1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12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urns on Wi-Fi in the ST mod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BLE a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스텝 S1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13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earch for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스텝 S1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has been found.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4―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7―2로 진행한다. 스텝 S117―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If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foun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14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7 - 2 . Processing after step S117-2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14―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5―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not foun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14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5 - 2 .

스텝 S1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5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time break has occur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4―2로 돌아온다.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15 - 2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4 - 2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6―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6 - 2 .

스텝 S116―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1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1―2로 돌아온다. In step S116-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terminates the application activated in step S111-2. By ending the application, the Wi-Fi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1-2.

스텝 S1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접속 요구)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17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s to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and connects (connection reques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to notify the imaging device 1 of .

스텝 S1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수신한 화상은,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송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8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The receiv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After that, the automatic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다음에, 모드 동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mode opera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또한, 「모드 동작 처리」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REC 모드/PLAY 모드의 각종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촬상 장치(1)에 실행시키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Further, "mode operation processing" means that the portable terminal 2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imaging device 1 based on various modes of the REC mode/PLAY mode, This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that cause the imaging device 1 to perform corresponding operations.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When mode operation processing is executed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as shown in FIG. 4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function in the CPU 11 - 1 .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1, an image storage unit 71 is set.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data of a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imaging unit 16 is stored.

촬영 제어부(51)는, REC 모드용으로,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스루 화상이 출력된다.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take a through image for the REC mode. As a result, a through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1)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mmunicates the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unit 16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REC mode, for example, and the mobile terminal 2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is controlled to transmit to . Further, in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transmit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to the portable terminal 2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trolled.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as shown in Fig. 4, in the CPU 11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function. .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n image storage unit 111 is set.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11 stores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manages the startup and termination of applications.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for example, performs communica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launch an app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activat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to exert a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2)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mmunicates the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unit 16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REC mode, for example, and transfers the through image to the imaging device 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from Further, in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receive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from the imaging device 1 through communication using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mode opera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

그리고, 모드 동작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start state of the mode operation process, pairing of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complet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y are always connected. In addition, although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in an off state,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Wi-Fi settings (profiles) are mutually acquired, and Wi-Fi At startup, a one-to-on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Processing Mode Operation on Imaging Device 1 Side>

스텝 S211―1에 있어서, CPU(11)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기동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를 기동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2)로부터 기동 시의 모드 지정이 있었을 경우에는, 그 지정된 모드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된다. In Step S211 - 1 , the CPU 11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ctivates the imaging device 1 in response to an activa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 At the same time as activation, if there is a mode designation at the time of activ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 the specified mode is se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des include a REC mode in which shooting is performed while checking a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a REC mode stored in the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y one of the PLAY modes for viewing a list of images is set.

스텝 S2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카메라 AP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수신한 카메라 AP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In Step S212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camera AP information do. As a result, in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camera AP information, Wi-Fi is turned on in the ST (station) mod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 serves as a sub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camera AP information.

스텝 S2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21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n Wi-Fi in AP (Access Point) mode serving as the main device.

스텝 S2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214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2,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carries out mobile communication. Whether or not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2 has been established is determined.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214―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217―1로 진행한다. 스텝 S217―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f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214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7 - 1 . The process of step S217 - 1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4―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215―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has not been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214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5 - 1 .

스텝 S2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215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interruption has occur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5―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4―1로 돌아온다. If it is not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215 - 1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14 - 1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5―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6―1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215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6 - 1 .

스텝 S2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11―1로 돌아온다. In Step S216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ff Wi-Fi.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11 - 1.

스텝 S217―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 및 통신 제어부(52)는, 스텝 S211―1에서 지정된 모드, 또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새롭게 지정된 모드로 동작한다. 즉, 지정된 모드가 REC 모드로서, 스루 화상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촬영 제어부(51)는,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하여,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취득한 스루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순차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지정된 모드가 PLAY 모드로서, 화상의 일람[썸네일(thumbnail) 화상]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217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operate in the mode designated in Step S211 - 1 or in the mode newly design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 . That is, when the designated mode is the REC mode and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through image,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capture a through image to acquire the through image. T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perform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sequentially transmit the acquired through images to the portable terminal 2 . Further, when the designated mode is the PLAY mode and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list of images (thumbnail image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es image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is controlled to transmit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unit 111 to the portable terminal 2 .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Processing Mode Operation on the Mobile Terminal 2 Side>

스텝 S2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에 대한 조작 등으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드를 지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모드의 지정 기능이 발휘된다. In Step S211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the application by a user's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7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exhibits a function of specifying a mode is started, and the function of specifying a mode is exhibited.

스텝 S2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대하여,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촬상 장치(1)의 기동 시의 모드를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드를 지정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through image)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In Step S212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perform communica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start up the imaging device 1 .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mode at the time of startup of the imaging device 1, information designating the mode is trans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des include a REC mode in which shooting is performed while checking a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an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 any one of the PLAY modes for viewing a list of images stored in ) can be specified.

스텝 S2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213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urns on Wi-Fi in the ST mod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스텝 S2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2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earch for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스텝 S2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215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has been found.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8―2로 진행한다. 스텝 S218―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If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foun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2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8 - 2 . Processing after step S218-2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2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6―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not foun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2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6 - 2 .

스텝 S2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216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time break has occur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5―2로 돌아온다.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216 - 2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15 - 2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7―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216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7 - 2 .

스텝 S217―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2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11―2로 돌아온다. In step S217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terminates the application activated in step S211 - 2 . By ending the application, the Wi-Fi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11-2.

스텝 S2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접속 요구)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218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nnects to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so as to notify the imaging device 1 of the connection (connection request).

스텝 S219―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사용자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모드를 확인한다. In step S219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firms the mode specified by user operation or the like.

지정된 모드가 REC인 경우에는, 스텝 S219―2에 있어서 [REC]로 되고, 처리는 스텝 S220―2로 진행한다. If the designated mode is REC, it becomes [REC] in step S2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0 - 2 .

스텝 S2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REC 모드로의 전환, 및 스루 화상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이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순차 송신되어 오는 스루 화상을 순차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순차 취득한 스루 화상을 순차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가 촬영하고 있는 스루 화상을 열람하면서 촬영 지시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220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in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with respect to the imaging device 1, switches to the REC mode, and requests transmission of a through image, , through image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according to this request are sequentially acquired. Then, sequentially acquired through imag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output unit 18 - 2 .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a shooting instruction while browsing through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이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모드가 PLAY인 경우에는, 스텝 S219―2에 있어서 [PLAY]로 되고, 처리는 스텝 S221―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mode designated by user operation or the like is PLAY, it becomes [PLAY] in step S2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1 - 2 .

스텝 S2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PLAY 모드로의 전환, 및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이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의 일람(썸네일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열람하면서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하는 화상의 선택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22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witches to the PLAY mode, and returns to the image storage unit 71 A transmission request for a list of stored images is made, and a list of images (thumbnail images)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response to the request is acquired. Then, a list of acquired images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8 - 2 . The user performs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an image to be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1 while browsing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ing device 1 .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처리의 실행과 함께 순차 변화하는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 상태의 천이(遷移)를 나타내는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display of communication status indicating transitions in communication states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which sequentially change with the execution of various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에서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의 스테이터스 표시는, 도 7의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마다 표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 the status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display for each status.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도 되어 있지 않고, 접속도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무><접속: 무>)에는, 스테이터스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In the communication status, when neither pairing nor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pairing: no> <connection: no>), the status display is configured not to be performed.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지만,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무>)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파선(破線) 또는 반투과 상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ommunication status, when pairing is established but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pairing: complete> <connection: no>), the icons represen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re displayed in a broken line or semi-transparent state.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s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고, 접속도 되어 있는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유>)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ase of pairing and connection in the communication status (<pairing: complete> <connection: yes>), icons indic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re display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는, 제2 통신부(21―1)와, 통신 제어부(52)와, 제1 통신부(20―1)와, 통신 제어부(52)를 구비한다. The imaging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executes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transmitt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anoth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

제1 통신부(20―1)는,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main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an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makes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executed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이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여,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가 실행된다. In this way,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maintained, and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By doing so, a transition is made from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executed, and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is executed.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imaging device 1 can receive predetermined data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convenience of linkage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nhanced.

제1 통신부(20―1)는, 제2 통신부(21―1)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is slow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but is power saving.

제1 통신부(20―1)는, 제2 통신부(21―1)에 의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cannot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has not been established,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maintained.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21―1)밤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so that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another device. from to an established state.

이로써, 보다 저소비 전력 상태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유지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transfer to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can be maintained in a lower power consumption state and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can be executed.

제1 통신부(20―1)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can execute a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either the portable terminal 2 or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nother device, is not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 Even in an absent stat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maintained.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causes either the mobile terminal 2 or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nother device, to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ransition from not ready to ready.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기기 중, 어느 한쪽의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one of the devices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to the other device is not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to a ready state.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부(21―1)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 is not ready to be executed means that either the portable terminal 2 or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nother device, is turned off, or a program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 is started. It is a state in which it is not, or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is not functioning.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의 일부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각종 상태로부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있었던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ition from various states in which a part of the function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is not operating to a state in which preparations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can be made.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쪽이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양쪽을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repares for either the portable terminal 2 or the imaging device 1 to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Even when in a state in which the process is not performed, both the portable terminal 2 or the imaging device 1, which are other devices, are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ready to be executed.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양쪽의 기기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for any one of the devices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to make both devices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transition to a state in which they are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20―1)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when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in a state where it is not ready to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transmits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moved to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ready to be executed.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상기 촬상 장치(1)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20―1)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1)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when the imaging device 1 is not ready to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ransmits the mobi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from , the imaging device 1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ready to be executed.

이로써, 제2 무선 통신에 의한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양쪽의 기기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is wa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make both devices executing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ransition to a ready-to-execute state.

소정의 연계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어하는 제1 연계 처리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1)를 제어하는 제2 연계 처리를 포함한다.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ncludes a first linkage proces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by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and a first linkage proces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to control the imaging device 1. ) and a second linkage process for controlling .

통신 제어부(52)는, 제1 연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제2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1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irst linkage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so that the other devic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operative process is ready to be executed.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2 연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따라 제2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1)를 제2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Further, when the second linkage processing is performe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so that the imaging device 1 ) to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ordinate processing is ready to be executed.

이로써,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어하여 제1 연계 처리를 행하거나,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촬상 장치(1)를 제어하여 제2 연계 처리를 행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a result, either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controll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o perform the first coordinated processing, or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controls the imaging device 1 to perform the second coordinated processing. It becomes possible to do or do.

통신 제어부(52)는, 입력부(17) 등에 의한 사용자 조작을 통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arbitrarily designates the mobi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that allows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o be performed, as the designation device through a user operation by the input unit 17 or the like.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이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한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initiat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and maintain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s disconnected.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21―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한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use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to initiat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signated device is specifi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

이로써, 특정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지정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designate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specific device, and execu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상기 촬상 장치(1)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한쪽은, 촬상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1)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2)이다.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device different from the imaging device 1, is an imaging device 1 with an imaging function, and the other is a portable terminal 2 equipped with an image display function.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21―1)에 의해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한다.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includes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to a display terminal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for display.

이로써,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연계시켜,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link the image capturing device 1 and the mobile terminal 2, transmit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1 to the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using functions of the display terminal.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연계 처리와,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연계 처리를 포함한다.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includes a first coordinated process for starting an image transfer process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and a second coordinated process for starting an image transfer process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display terminal.

이로써,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표시 단말기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mit image data to the display terminal in response to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or to transmit image data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of the display terminal.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서로 연계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imaging device 1 and a portable terminal 2 that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realize predetermined functions.

촬상 장치(1)는, 제2 통신부(21―1)와, 통신 제어부(52)와, 제1 통신부(20―1)와, 통신 제어부(52)를 구비한다. The imaging device 1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executes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transmitt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anoth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

제1 통신부(20―1)는,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main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an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makes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executed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이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여,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가 실행된다. In this way,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nother device, is maintained, and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By doing so, a transition is made from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annot be executed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executed, and the predetermined coordinated processing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is executed.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imaging device 1 can receive predetermined data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convenience of linkage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mproved.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한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transmit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통신 제어부(52)는,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broken) 상태에서, 제1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유지하고, 제1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을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 상태로부터 접속한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s brok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an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control data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is shifted from a disconnected state to a connected state.

이로써,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접속을 행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connection can be made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convenience of linkage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mprov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는, 상호의 통신 상대로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는 관련 짓기 정보(association information)를 서로 기억하는 관련 짓기 수단으로 되는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is associated with association information for associating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as mutual communication partners.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serving as an association means for mutually storing (association information).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으로 되는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에 의해 기억된 관련 짓기 정보에 따라,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 상태로부터 접속한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information stor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serving as association means,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transition is made from a disconnected state to a connected stat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관련 짓기 정보인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which are association means,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pairing, which is associ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imaging device 1 as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associate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관련 짓기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상호의 통신 상대로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which are association means, transmits and receives association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n imaging device as the first device as a mutual communication partner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s the second device can be configured to be associat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기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짓기의 후보로 되는 상대편의 기기명을 출력부(18)에 표시하여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which is the association means, displays the device name of the other party as a candidate for associ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on the output unit 18,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selection.

종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스마트 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connect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by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used.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무선 통신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경우, 처음에, 이들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그 후에 소정의 원격 조작이 행해진다. In such a technique, when remotely operating an imaging device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first established between these devices, and then a predetermined remote oper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는, 이와 같은 기술의 일례로서, 카메라 조작 단말기에 의해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촬상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 참조). In the prior art, as 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there is an imaging system that remotely operates a camera using a camera operating terminal (for example, se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230024).

그러나, 촬상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경우, 원격 조작을 행할 때마다, 이들 장치의 전원을 온으로 한 후,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도록 각각의 장치의 역할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데 더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된 기능을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므로, 원격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로서는, 편리성이 높은 것이 아니었다. However, when the imaging device is remotely opera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se devices each time the remote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role of each device is set in advance to remotely operate the imaging device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e preset function can only be limitedly used for the function of remotely operating the imaging device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it was not highly convenient for users who performed remote operations.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ims at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linkage in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8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system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시스템(S)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고, 적어도 촬상/통신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1)와, 적어도 화상 표시/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2)와, 서버(3)를 구비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서버(3)에 전송하여, 공유용으로 화상을 보존하고, 상기 보존된 화상의 어드레스 등의 공유 정보를 공유 설정된 다른 휴대 단말기(100, 100, 100 …)에 송신한다. 다른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한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에 액세스하여 화상을 열람 등한다. As shown in FIG. 8, the communication system S is based on the system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t least an imaging device 1 having an imaging/communication fun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t least an image display/communication function. (2) and a server (3).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 via the mobile terminal 2, the image is saved for sharing, and the address of the saved image is stored. The shar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other portable terminals (100, 100, 100...) set for sharing. The other portable terminal 100 accesses the server 3 based on the received sharing information to view the image or the like.

통신 시스템(S)에서는,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쪽의 조작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에 대하여, 화상 파일 레벨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 접속의 요구를 행하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 조작 기기의 조작에 따라, 다른 쪽의 기기와의 화상 파일의 송수신이나 다른 쪽의 기기가 유지하는 화상 데이터의 열람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when the user operates either device of the imaging device 1 or portable terminal 2, the image file level is transferred from the operating device operated by the user to the other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mad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the other device is connected. It has a function of sending and receiving image files of the other device and browsing image data held by the other device.

서버(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와 화상의 데이터를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상에 화상을 공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1)와 촬상부(16) 및 제1 통신부(20)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erver 3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via a network N such as the Internet so that image data can be exchanged, and the image can be published on the network. there is. Incident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hardware is the same except for the imaging device 1, the imaging unit 16,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so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 서버(3)에서의 하드웨어를 설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호의 말미에 「―3」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즉, 서버(3)는, CPU(11―3)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3)라고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Hereinafter, when using the hardware in the server 3 as an explanation, “-3” is added to the end of the code. In other words, the server 3 is described as the CPU 11 - 3 or the removable medium 31 - 3 .

여기서,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 linkage preparation processing (pairing processing) is explained.

복수의 촬상 장치와 복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자동 화상 전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고, 이 지정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페어링하는 처리를 행한다. A user arbitrarily designates an imaging device 1 and a portable terminal 2 to be subjected to 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ing among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nd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nd the specified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re selected. Pairing processing is performed.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한 촬상 장치(1)나 휴대 단말기(2)의 모드 설정 조작이나,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쪽을 조작하는지에 따라서, 연계 동작을 행할 것인지의 가부나, 자동 화상 전송 처리와 원격 조작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할 것인지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After the linkage preparation process (pai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mode setting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or portable terminal 2 by the user, or whether the user operates either the imaging device 1 or the portable terminal 2 According to this, 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whether to perform the linked operation or whether to execute the 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 or the remote operation process.

촬상 장치(1)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영이 지시되었을 때,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촬영 기록을 행하지만,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자동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한다. When shooting is instructed by user operation, the imaging device 1 performs normal shooting recording unless the coordinated operation mode is set, but automatically performs 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ing when the coordinated operation mode is set. Initiate.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계 동작이 지시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원격 조작 처리를 개시한다. Further, the portable terminal 2 automatically starts a remote operation process when a coordinated operation is instructed by a user operation.

다음에, 자동 화상 전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 will be explained.

「자동 화상 전송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촬상부(16)로부터 촬영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촬영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는 자동으로 화상을 수신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Automatic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means that, in the imaging device 1, when a captured image is acquired from the imaging unit 16,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ing of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and automatically receiving the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2 .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as shown in FIG. 4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function in the CPU 11 - 1 .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1, an image storage unit 71 is set.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data of a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imaging unit 16 is stored.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execute shooting processing.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The output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in 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1)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to the mobile terminal 2. The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trolled.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as shown in Fig. 4, in the CPU 11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function. do.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n image storage unit 111 is set.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11 stores captured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manages startup and termination of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단지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라고 함)을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그리고, 어플리나 장치에 있어서의 「기동」이란, 새롭게 어플리를 실행하는 경우 외에, 휴지중(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의 어플리의 실행을 재개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한 전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이행을 수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performs communication in 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hereinafter simply “application” or “appl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 is received, the specified application is launch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to exert a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ncidentally, "activation" in an application or device includes a case of resum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during a pause (running in the background) other than a case of newly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lso a case where the power is turned on from an off state. It also includes cases involving the implementation of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의 수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in LE (Wi-Fi), which is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 20-2)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is controlled.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by, for example, performing communication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

도 9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

그리고,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용이하게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starting state, pairing of 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complet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y are always connected. In addition, although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in an OFF state,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Wi-Fi settings (profiles) are mutually acquired, and Wi-Fi At startup, a one-to-on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easily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전송 처리><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ing on imaging device 1 side>

스텝 S3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In Step S311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to execute shooting processing.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The output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

스텝 S3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어플리가 기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In Step S312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in 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with respect to the mobile terminal 2, and transmits an instruction to activate the applic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control As a result, in the mobi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instruction to launch the app, the app is launched. In this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is start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s exhibited.

스텝 S3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이하, 「카메라 AP 정보」라고 함)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In Step S31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 in 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obtains access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mera AP information"). ”)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As a result, in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camera AP information, Wi-Fi is turned on in the ST (station) mod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 serves as a sub device.

스텝 S3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314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n Wi-Fi in AP (Access Point) mode serving as the main device.

스텝 S3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기다려 접속을 확립한다]. In step S315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has established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determined (if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has not been established, wait for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to establish the connection).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315―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318―1로 진행한다. 스텝 S318―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f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315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8 - 1 . The process of step S318-1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5―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316―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has not been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315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6 - 1 .

스텝 S3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316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lapsed due to the lapse of a preset time.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6―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5―1로 돌아온다. If there is no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316 - 1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15 - 1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16―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7―1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316-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7-1.

스텝 S317―1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이 때, 바로 Wi―Fi를 오프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반복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11―1로 돌아온다. In Step S317 - 1, an error message or the like is display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ff Wi-Fi (at this time, Wi-Fi is not turned off immediately). , Reconnection may be attempted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or repeated reconnection may be attempted automatic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11 - 1.

스텝 S3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영한 촬상 화상을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결과, Wi―Fi로 촬영한 촬상 화상이 송신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318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sends the captured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1) is controlled. As a result, a captured image taken by Wi-Fi is transmitted. After that,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Automatic image recep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스텝 S3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In step S311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performs communica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launch an app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activat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 In this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is start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is exhibited.

스텝 S3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312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urns on Wi-Fi in the ST mod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스텝 S3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수신한 카메라 AP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313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earch for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amera AP information.

스텝 S3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314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has been found.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또는 이미 촬상 장치(1)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14―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7―2로 진행한다. 스텝 S317―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If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found (or if a conne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314-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7-2. . Processing after step S317-2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314―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5―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not foun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314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5 - 2 .

스텝 S3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315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lapsed due to the lapse of a preset time.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4―2로 돌아온다. If it is not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315 - 2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14 - 2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6―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3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6 - 2 .

스텝 S316―2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3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이 때, 바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Wi―Fi를 오프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반복 재접속을 시도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11―2로 돌아온다. In step S316 - 2 , an error message or the like is displayed, an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terminates the application started in step S311 - 2 . By terminating the application, the Wi-Fi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turned off (at this time, Wi-Fi that has just ended the application is not turned off, and reconnection is attempted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or During this time, you may automatically attempt repeated reconnection).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11-2.

스텝 S3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In Step S317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s to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and transmits the fact of the connection to the imaging device (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to notify (establish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스텝 S3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수신한 화상은,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송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318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The received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After that, the automatic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다음에, 원격 조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remote operation process is explained.

또한, 「원격 조작 처리」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계 동작이 지시받아 REC 모드/PLAY 모드 등의 각종 연계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선택된 연계 동작 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촬상 장치(1)에 실행시키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Further, "remote operation processing" means that when a coordinated operation is instructed by a user ope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various coordinated operation modes such as the REC mode/PLAY mode are selected, the intera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is controlled. This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ing that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a two-communication system and causes the imaging device 1 to execut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ordinated operation mode.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When mode operation processing is executed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as shown in FIG. 4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function in the CPU 11 - 1 .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1, an image storage unit 71 is set.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1)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data of a captured image acquired from the imaging unit 16-1 is stored.

촬영 제어부(51)는, REC 모드용으로,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1)로부터 스루 화상이 출력된다.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 1 to shoot a through image for the REC mode. As a result, a through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ing unit 16 - 1 .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1)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1)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in the REC mod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mmunicates the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unit 16 -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fers the mobile terminal ( 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ransmit. Further, in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transmit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to the portable terminal 2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trolled.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image receiv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as shown in Fig. 4, in the CPU 11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function. do.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n image storage unit 111 is set.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11 stores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manages the startup and termination of applications.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for example, performs communication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launch an app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activat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trol in Wi-Fi to exert a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in BLE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2)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1)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9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in the REC mod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mmunicates the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unit 16 - 1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through image to the imaging device (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from 1). Further, in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receive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from the imaging device 1 through communication using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원격 조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remote opera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4 .

그리고, 모드 동작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start state of the mode operation process, pairing of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complet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y are always connected. In addition, although Wi-Fi,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in an off state,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Wi-Fi settings (profiles) are mutually acquired, and Wi-Fi At startup, a one-to-on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촬상 장치(1) 측의 원격 조작 처리><Remote operation processing on imaging device 1 side>

스텝 S411―1에 있어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통한 요구에 따라 기동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2)로부터 지정된 연계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계 동작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된다. In Step S411 - 1, the imaging device 1 is activat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via communication in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sets a designated coordinated operation mode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rdinated operation mode includes a REC mode in which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ile checking a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a Any one of the PLAY modes for viewing a list of stored images is set.

스텝 S4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카메라 AP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In step S412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camera AP information do. As a result, in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has received the camera AP information, Wi-Fi is turned on in the ST (station) mod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 serves as a sub device.

스텝 S4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41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n Wi-Fi in AP (Access Point) mode serving as the main device.

스텝 S4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414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has established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to judge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414―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417―1로 진행한다. 스텝 S417―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f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414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7 - 1 . The processing of step S417 - 1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4―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415―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has not been establish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414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5 - 1 .

스텝 S4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415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lapsed due to the lapse of a preset time.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5―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4―1로 돌아온다. If there is no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415 - 1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4 - 1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5―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6―1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415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6 - 1 .

스텝 S4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11―1로 돌아온다. In Step S416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urn off Wi-Fi.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1 - 1.

스텝 S417―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 및 통신 제어부(52)는, 스텝 S411―1에서 지정된 모드로 동작한다. 즉, 지정된 모드가 REC 모드의 경우에는, 촬영 제어부(51)는,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하여,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취득한 스루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지정된 모드가 PLAY 모드의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417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operate in the mode designated in Step S411 - 1 . That is, when the designated mode is the REC mode,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 1 to capture a through image to obtain a through image. T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perform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o transmit the acquired through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 Further, when the designated mode is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communication by Wi-Fi, which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to the portable terminal 2.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is controlled to transmit to .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2) 측의 원격 조작 처리><Remote ope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스텝 S4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에 대한 조작 등으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드를 지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모드의 지정 기능이 발휘된다. In step S411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activates the application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7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pplication that exhibits a function of specifying a mode is started, and the function of specifying a mode is exhibited.

스텝 S412―2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부(17)를 조작하여 REC 모드와 PLAY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연계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하여, 기동 및 선택된 연계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지시를 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계 동작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In Step S412 - 2,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17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linked operation modes including the REC mode and the PLAY mod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to transmit instruction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imaging device 1 to activate and set the selected linked operation mode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rdinated operation mode includes a REC mode in which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ile checking a through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a Any one of the linked operation modes in the PLAY mode for viewing a list of stored images is set.

스텝 S4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413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urns on Wi-Fi in the ST mod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BL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스텝 S4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4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earch for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스텝 S4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415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has been found.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8―2로 진행한다. 스텝 S418―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If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foun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4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8 - 2 . Processing after step S418-2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4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6―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is not foun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415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6 - 2 .

스텝 S4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416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lapsed due to the lapse of a preset time.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5―2로 돌아온다. If it is not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416 - 2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5 - 2 .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7―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a time interrupti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416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7 - 2 .

스텝 S417―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4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11―2로 돌아온다. In step S417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terminates the application activated in step S411 - 2 . By ending the application, the Wi-Fi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1-2.

스텝 S4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418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nnects to the imaging device 1 of the access point (AP).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so as to notify the imaging device 1 of the connection.

스텝 S419―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지정한 연계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 In Step S419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firms the designated linked operation mode.

지정한 연계 동작 모드가 REC인 경우에는, 스텝 S419―2에 있어서 [REC]로 되고, 처리는 스텝 S420―2로 진행한다. If the designated coordinated operation mode is REC, it becomes [REC] in step S4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20 - 2 .

스텝 S4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스루 화상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가 촬영하고 있는 스루 화상을 열람하면서 촬영 지시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420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acquires a through image. Then, the acquired through image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8 - 2 .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a shooting instruction while browsing through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이에 대하여, 지정한 모드가 PLAY인 경우에는, 스텝 S419―2에 있어서 [PLAY]로 되고, 처리는 스텝 S421―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designated mode is PLAY, it becomes [PLAY] in step S4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21 - 2 .

스텝 S4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열람하면서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하는 화상의 선택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421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acquires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do. Then, a list of acquired images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8 - 2 . The user performs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an image to be acquired from the imaging device 1 while browsing a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imaging device 1 . After that, the mode ope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다음에, 전파 상태나 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 또는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 자동 화상 전송 처리 및 원격 조작 처리의 실행의 전후에서 변화하는 통신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display operation showing the communication status tha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n the radio wave state or the power supply state of devices, or the execution of linkage preparation processing (pairing processing), automatic image transfer processing, and remote opera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도 11은,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display of communication status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As shown in FIG.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에서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의 스테이터스 표시는, 도 11의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마다 표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status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display for each status.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도 되어 있지 않고, 접속도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무><접속: 무>)에는, 스테이터스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In the communication status, when neither pairing nor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pairing: no> <connection: no>), the status display is configured not to be performed.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지만,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무>)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파선(波線) 또는 반투과 상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ommunication status, when pairing is established but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Pairing: complete> <Connection: None>), the icons represen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re displayed in a broken line or semi-transparent state.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s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고, 접속도 되어 있는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유>)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ase of pairing and connection in the communication status (<pairing: complete> <connection: yes>), icons indica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re displayed.

도 12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 및 서버(3)의 기능적 구성 중,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FIG. 1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image sharing processing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2 and server 3 in FIG. 3 .

「화상 공유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서버(3)에 송신하고,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화상을 열람 가능한 상태로 하여 화상을 공유하는 처리이다. "Image sharing processing" means that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1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 via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image is made viewable by other portable terminals 100. This is processing to share images.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가 기능한다. When the image sharing process is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as shown in Fig. 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an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function in the CPU 11-2.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n image storage unit 111 is set.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11 stores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부(21―2)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대하여, 화상이나 클라우드 앨범 작성이나 공유처 설정을 행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transmit instructions to the server 3 to create images or cloud albums or to set sharing destinations.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관리 제어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11)에 설치한 어플리 앨범에 기억시키거나 한다. The application manager 91 manages and controls various application operations, and stores images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1 in an app album install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

이에 대하여, 서버(3) 측에 있어서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와, 통신 제어부(132)가 기능한다. In contrast, when image sharing processing is executed on the server 3 side,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function in the CPU 11 - 3 as shown in FIG. 12 . .

또한, 기억부19―3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51)가 설정된다.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3, an image storage unit 151 is set.

화상 기억부(151)에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The image storage unit 151 stores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관리 제어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을 작성하거나, 예를 들면, 공유처으로 되는 다른 휴대 단말기(100)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공유 설정을 행하거나, 휴대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작성한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키거나 한다.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manages and controls various application operations, creates a cloud album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and, for example, other portable terminals serving as sharing destinations. A sharing setting is performed to register the mail address of (100), or an im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is stored in a cloud album of the created image storage unit 151.

통신 제어부(132)는, 제2 통신부(21―3)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공유 설정에 기초하여, 등록한 메일 어드레스에 공유하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공유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3)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 통지에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URL이 기재된다. 공유 통지를 받은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통지에 기재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을 열람 등이 가능해진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3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ransmits,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100, a sharing notification describing the location of the image to be shared to the registered mail address based on the sharing setting,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 to control. In this embodiment, a URL describing the location of the image is described in the sharing notification. In the other portable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of sharing, it is possible to view the image or the like by accessing the URL described in the notification.

다음에, 서버(3)를 통한 다른 휴대 단말기(100)와의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한 후에, 서버(3)를 통한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도 16의 플로우를 실행한다. Next, in step S318 - 2 of the automatic transfer processing of Fig. 9 in the case where image sharing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100 via the server 3 is set, after receiving the image, via the server 3 When image sharing is set, the flow of FIG. 16 is executed.

도 13은, 도 12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 및 서버(3)가 실행하는 화상 공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본 플로우차트는, 서버(3)를 통한 다른 휴대 단말기(100)와의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되고,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한 후에, 휴대 단말기(2)와 서버(3)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image sharing processing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 and server 3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12. As shown in FIG. Then, this flowchart is executed when image sharing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100 via the server 3 is set, and after receiving an image in step S318 - 2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in Fig. 9 ,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 and the server 3.

<휴대 단말기(2) 측의 화상 공유 처리><Image sharing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스텝 S5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대하여, 클라우드 앨범 작성의 지시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이 작성된다. In step S511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ransmits a cloud album creation instruction to the server 3 . Upon receiving this, the server 3 creates a cloud album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스텝 S5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공유처 설정[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처의 다른 휴대 단말기(100)의 메일 어드레스의 등록]의 지시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공유처 설정이 행해진다. In Step S512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ransmits an instruction for setting a sharing destination (registration of mail addresses of other mobile terminals 100 as sharing destinations in this embodiment). Upon receipt of this, the server 3 performs the sharing destination setting.

스텝 S513―1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2)는, Wi―fi 통신으로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한다. In Step S513 - 1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receives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by Wi-fi communication.

스텝 S514―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함으로써, 화상 기억부(111)의 어플리케이션 앨범에 서버(3)에 대한 송신용의 화상을 기억시킨다. 그리고, 촬상 장치(1)에서는, 「송신시 리사이즈(resize when sending)」설정에 기초한 사이즈의 화상이 송신된다. In Step S514 - 1,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receives the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and stores the image for transmission to the server 3 in the application album of the image storage unit 111. Then, in the imaging device 1, an image having a size based on the "resize when sending" setting is transmitted.

스텝 S5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화상을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킨다. In Step S515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transmits the image to the server 3. Upon receiving this, the server 3 stores the received image in the cloud album of the image storage unit 151.

<서버(3) 측의 화상 공유 처리><Image sharing processing on the server 3 side>

스텝 S511―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클라우드 앨범 작성의 지시를 수신한다. In Step S511 - 2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3 receives an instruction to create a cloud album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

스텝 S5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을 작성한다. In Step S512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creates a cloud album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

스텝 S513―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공유 설정의 지시를 수신한다. In step S513 - 2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3 receives an instruction for setting sharing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

스텝 S514―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공유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유처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In Step S514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performs sharing settings. Specifically, the mail address of the sharing destination is registered.

스텝 S515―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공유용의 화상을 수신한다. In step S515 - 2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3 receives an image for sharing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

스텝 S516―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킨다. In Step S516 - 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stores the received image in the cloud album of the image storage unit 151.

스텝 S5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공유 설정에 기초하여, 등록한 메일 어드레스에 공유하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공유 통지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 통지에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URL이 기재된다. 공유 통지를 받은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통지에 기재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을 열람 등 할 수 있다. In Step S517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transmits a sharing notification describing the location of the image to be shared to the registered mail address based on the sharing settings. In this embodiment, a URL describing the location of the image is described in the sharing notification. In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notification of sharing, the image can be viewed or the like by accessing the URL described in the notifica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통신 스텝 T에 있어서는, 카메라[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스마트 폰[휴대 단말기(2)]에 화상이 전송되고, 또한 클라우드 앨범에 화상이 보내져 자동으로 공유 상대에게 통지가 가는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tep T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smartphone (portable terminal 2) just by shooting with the camera (imaging device 1), and the image is also sent to the cloud album and automatically It has the function of sending a notification to the sharing partner.

종래부터,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촬영 화상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스마트 폰에 보존되는 것만으로, 그 앞의 공유까지 행하는 기술은 없었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captured images from a camera to a smartphone, but there has been no technique for sharing images from just storing them in a smartphone.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스텝 T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tep 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수순에 따라 BLE로 페어링한다. ○ Pair the camera and smart phone with BLE according to the procedure.

○ 페어링을 행할 때,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는 스마트 폰의 OS를 판별하여, 카메라에 그 정보를 보낸다. ○ When performing pair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determines the OS of the smartphone and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camera.

○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스마트 폰에 기억시켜 두고, 스마트 폰으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자동으로 Wi―Fi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둔다. ○ Store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of the camera in the smartphone, and enable automatic Wi-Fi connection from the smartphone to the camera.

○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하는 앨범을 작성하여 둔다. ○ Create an album to share in the cloud album.

○ 공유하는 앨범에 공유 상대를 설정하여 둔다. ○ Set the sharing partner in the shared album.

○ 스마트 폰 어플리로, 카메라로부터 화상을 수신하였으면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하도록 설정하여 둔다. ○ When an image is received from a camera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set to share it in a cloud album.

○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여, 스마트 폰에 대하여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BLE로 지시를 내린다. 이 때,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강제적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가부의 판단을 한다. ○ When shooting with a camera, the access point of the camera is activated, and a BLE instruction is given to the smartphone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of the camera. At this tim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o forcibly switch to the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S of the smart phone.

○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BLE로 지시를 내려 클라우드 앨범의 어플리케이션도 기동한다. ○ Depending on the smartphone OS determination result, an instruction is given to the BLE and the cloud album application is also started.

○ 카메라가, 스마트 폰으로부터 Wi―Fi의 접속이 확인되었으면 촬영 화상을 스마트 폰에 전송한다. 이 때의 사이즈는 카메라의 「송신시 리사이즈」설정에 따른다. ○ When the camera confirms Wi-Fi connection from the smartphone, the captured image is transferred to the smartphone. The size at this time depends on the "Resize when sending" setting of the camera.

○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는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수신하면, 스마트 폰의 지정된 장소에 화상을 보존하여, 클라우드 앨범에 화상을 전송한다.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카메라 화상 수신 어플리케이션와 클라우드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화상의 교환 방법을 바꾼다. ○ When the smartphone application receives an image from the camera, it saves the image in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cloud album. The image exchange method between the camera image receiving application and the cloud album applic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S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martphone.

○ 클라우드 앨범측은 화상이 도달하면 앨범에 화상이 등록된 것을 공유자에게 통지를 낸다. ○ When the image arrives, the cloud album side notifies the sharer that the image has been registered in the album.

○ 통지를 받은 공유자는 그 통지를 조작함으로써, 클라우드 앨범에 액세스하여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 The sharer who received the notification can access the cloud album and check the image by manipulating the notification.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통신 스텝 T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As a result, in the communication step T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자동으로 촬영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 ○ Captured images can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from the camera to a smartphone.

○ 스마트 폰이 자동으로 수신한 화상을, 스마트 폰을 조작하지 않고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할 수 있다. ○ Images automatically received by the smartphone can be shared to cloud albums without operating the smartphone.

○ 스마트 폰의 OS의 차이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다. ○ Users are not conscious of differences in OS of smart phones.

<BLE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연계 처리><Application-linked processing by BLE>

BLE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연계 처리는, 도 9 및 도 13에 언급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며, 도 9나 도 13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전제로 되는 OS의 제약이나, 그 제약에 관한 처리이다. Application linkage processing by BLE is a part not mentioned in FIGS. 9 and 13 , and is a constraint of the OS that is a premise for executing the processing in FIG. 9 or FIG.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통지 기능을 사용하고, 복수의 어플리 사이에서 연계 동작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a function of linking operation betwe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ing the notification function of BLE.

종래부터, 특정한 OS(예를 들면, iOS)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어플리에서의 연계 동작의 구성인 「URL 스킴(scheme)」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맨 앞면)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로부터만 사용할 수 있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URL 스킴」을 사용하여 다른 어플리와 연계할 수 없다. 한편, BLE의 기능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 "URL sche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coordinated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running on a specific OS (e.g., iOS), can only be used by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foreground. However, there is a restriction that it cannot be used while it is running in the background, and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cannot use a "URL scheme" to link with other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BLE functions can be used even in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시킨다. The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it operates as follows.

· 카메라에 어플리 기동의 요구와 통지를 행하는 BLE 프로파일을 설치한다. - A BLE profile for requesting and notifying the activation of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camera.

· 주도권을 가지는 어플리(어플리 A)가 카메라와 BLE를 접속(페어링)하고, BLE의 접속 정보를 별도인 어플리(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A와 어플리 B에 의해 BLE의 접속을 공용한다. · The app that has the initiative (app A) connects (pairs) the camera and BLE, notifies the BLE connection information to a separate app (app B), and the app A and B share the BLE connection.

· 어플리 B는 BLE 접속 정보로부터 어플리 기동 통지를 취득 가능하도록 준비하여 대기한다. · App B prepares and waits so that it can obtain application start notification from the BLE connection information.

· 어플리 A는 어플리 기동 요구를 실행하고, 카메라는 그것을 받아 어플리 B의 어플리 기동을 통지하고, 그것을 받은 어플리 B가 동작을 개시한다. · App A executes the application activation request, the camera receives it and notifies application B of application activation, and application B which receives it starts operation.

· 어플리 A가 카메라와의 페어링을 해제했을 때 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B는 BLE 통지의 대기를 종료한다. When app A cancels pairing with the camera, app B is notified, and app B ends waiting for BLE notification.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iOS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어플리에 있어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이라도 연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페어링을 해제한 후에 불필요하게 BLE의 통지를 대기하지 않는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operate on iOS, cooperative operation is possible even during operation in the background. Also, after canceling pairing, it does not unnecessarily wait for notification of BLE.

다음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도이다. Next, the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어플리 A는, 카메라로부터 자동 송신된 화상을 보존한다. Application A stores an image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camera.

어플리 B는, 어플리 A가 보존한 화상을 어플리 B 관리의 앨범에 등록한다는 연계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The application B realizes a linkage function of registering an image stored by the application A in an album managed by the application B.

촬상 장치(1)는, BLE에서의 퍼리퍼럴이며, 어플리케이션 연계용의 BLE 프로파일을 탑재한다. The imaging device 1 is a peripheral in BLE, and is equipped with a BLE profile for application linkage.

특정한 OS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2)는, BLE에서의 센츄럴이며, 어플리 A와 어플리 B와 BLE 접속을 공용한다. The portable terminal 2 operating in a specific OS is central in BLE and shares a BLE connection with the app A and the app B.

촬상 장치(1)와 iOS 디바이스는 BLE로 접속되고, BLE 프로파일의 정보가 전달된다.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iOS device are connected by BLE, and information of a BLE profile is transferred.

다음에,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Next, the operation sequence is shown.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in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어플리 A가 카메라와 페어링하고, 어플리 B에 BLE 접속 정보를 URL 스킴으로 통지한다. 어플리 A는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URL 스킴을 사용할 수 있다. App A performs pairing with the camera, and notifies BLE connection information to app B using a URL scheme. Since application A is running in the foreground, it can use the URL scheme.

어플리 B는 BLE 접속 정보로부터 어플리 기동 통지[어플리 B 기동 통지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의 통지]를 취득 가능하도록 준비해 BLE 통지의 대기를 개시한다. The app B starts waiting for the BLE notification by making preparations so that it can obtain the app startup notification (notification of the application B startup notification characteristic) from the BLE connection information.

OS를 슬립시키면, 어플리 A는 백그라운드 동작이 된다. When the OS is put to sleep, application A becomes a background operation.

어플리 A가 백그라운드 동작인 채 카메라로부터 자동 송신 화상을 수신하여 보존하고, 카메라에 대하여 어플리 B의 기동 요구를 행하여(어플리 B 기동 요구 캐릭터리스틱에 데이터를 기입함), 카메라는 그것을 접수 어플리 B 기동 통지 캐릭터리스틱에 의한 통지를 행하고, 그것을 대기하고 있는 어플리 B가 기동하고, 화상을 어플리 B 관리의 앨범에 등록한다. App A receives and saves an automatically transmitted image from the camera whi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requests application B to start up to the camera (writes data into the application B start request characteristic), and the camera accepts it and starts up application B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characteristic is performed, and the application B waiting for it is activated and the image is registered in the album managed by the application B.

어플리 A가 카메라와의 페어링을 해제하면 URL 스킴으로 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B는 BLE 통지의 대기를 종료한다. When app A cancels the pairing with the camera, it notifies app B using the URL scheme, and app B ends waiting for BLE notification.

<촬상 장치측 처리><Imaging device side processing>

촬상 장치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촬상 장치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 개시 후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어플리 A와)의 사이에서는, BLE 통신 및 Wi―Fi 통신의 페어링(접속)이 확립되도록 동작한다. The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side to the input unit 17 - 1 . Then, after the processing starts,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mobile terminal 2 (with the application A), it operates so that pairing (connection) of BLE communication and Wi-Fi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스텝 S6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을 행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하고, 통신 제어부(52)는, 촬상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611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 1 to take a picture,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performs a second step so as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2 . The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trolled.

그 후,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A로부터 어플리 B의 기동 요구가 BLE 경유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B에 대하여, 기동 통지를 BLE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B가 기동하고, 송신한 화상이 앨범에 등록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와의 페어링(접속)이 해제되어, 촬상 장치측 처리는, 종료한다. Then, when the activation request of the app B from the application A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via BL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transmits an activation notification to the application B of the portable terminal 2 via B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is controlled to do so. As a result, the application B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started, and the transmitted image is registered in the album. After that, pairing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is released, and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side ends.

<어플리 A 측 처리><App A side processing>

어플리 A 및 어플리 B에서의 휴대 단말기(2) 측의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 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 개시 후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A에 의해 BLE 통신 및 Wi―Fi 통신의 페어링(접속)이 확립되도록 동작한다. 페어링이 확립된 경우에는, 어플리 A는, 어플리 B에 대하여, BLE의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The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n the apps A and B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ide processing start to the input unit 17 - 2 . Then, after the processing starts,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the application A of the portable terminal 2 operates so that pairing (connection) of BLE communication and Wi-Fi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hen pairing is established, app A provides BLE connection information to app B.

스텝 S6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OS 슬립에 의해 어플리 A는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611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controls the application A to be in the background operation due to the OS sleep.

스텝 S6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한 경우에, 어플리 A에 의해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통신 제어부(92)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 하에서 어플리 A에 의해, 어플리 B에 대하여, 기동 요구를 BLE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In Step S612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controls to store the image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by the application A when receiving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 After tha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transmit an activation request from the application A to the application B via the BLE, under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

스텝 S613―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어플리 A를 동작시켜, 페어링 해제 조작을 한다. 그 결과, 촬상 장치(1)와의 페어링(접속)이 해제되고, 페어링 해제 통지를 어플리 B에 제공하여, 어플리 A 측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613 - 2 , the application manager 131 operates the app A in the foreground to perform a pairing release operation. As a result, pairing (conne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is released, a pairing release notification is provided to app B, and processing on the app A side ends.

<어플리 B 측 처리><Application B side processing>

스텝 S61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어플리 A로부터 제공된 BLE 접속 정보를 받아, 어플리 B에 있어서 BLE 통지 대기를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611 - 3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receives the BLE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pp A, and controls the app B to start waiting for BLE notification.

스텝 S612―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OS 슬립에 의해 어플리 B는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612 - 3,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controls the application B to enter the background operation due to the OS sleep.

스텝 S613―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어플리 기동 요구에 의해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제어부(132)는, 화상 기억부(151)에 기억된 화상을,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클라우드 서버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화상을 기억시켜 앨범 등록을 행한다. In Step S613 - 3 , the application manager 131 performs control to operate in the foregroun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launching the application from the imaging device 1 ,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cloud server, the image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of the cloud server, and album registration is performed.

스텝 S614―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어플리 A로부터의 페어링 해제 통지를 받아, 어플리 B에 있어서, BLE 통지 대기를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어플리 B 측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614 - 3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receives the pairing release notification from the app A, and controls the app B to end the waiting for BLE notification. After that, processing on the application B side ends.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본 예는,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하고 나서, 도 13의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이다. This example i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executing the image sharing processing of FIG. 13 after receiving an image in step S318 - 2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ing of FIG. 9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계하는 어플리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inked apps are not limited to two.

또한, 촬상 장치(1)는 아니고 별도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연계용의 BLE 프로파일을 실장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BLE profile for application linkage may be implemented in a device other than the imaging device 1 .

<자동 화상 송신 카메라에서의 앨범 등록 처리><Processing album registration in the automatic image transmission camera>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자동 화상 송신 카메라에서의 앨범 등록 기능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자동 송신 대응 카메라에 있어서, 사전에 앨범 설정을 하여 둠으로써, 자동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동시에, 네트 상의 앨범에 등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has an album registration function in an automatic image transmission camera. That i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matic transmission compatible camera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images and registering them in an album on the net by setting the album in advance.

종래부터, 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종래, 무선 접속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에 화상을 송신한 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SNS에 등록하거나, 네트 상의 앨범 서비스에 등록하거나 해야 했다. 많은 화상을 앨범 공유하는 것은, 매우 수고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어, 특히, 이번 자동 송신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에 있어서는 많은 화상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맞춘 기능이 요구되고 있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aptured image to a terminal side afte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is installed between a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onventionally, after transmitting an imag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the user had to manually register the image in an SNS or register in an album service on the net. Album sharing of many images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sin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many images especially in this camera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is has been demanded.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So,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1. 사전에 어플리로 앨범을 선택1. I choose an album by application beforehand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어플리로 앨범을 선택하고, 카메라에 대응한 모바일 단말기 측의 전송 어플리에 있어서, 카메라로 자동 송신한 화상을, 앨범에 등록하는지의 가부의 선택과 어느 앨범에 등록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 16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앨범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efore starting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16, whether an album is selected in the app in advance and the imag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amera is registered in the album in the transfer app on the mobile terminal sid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s checked. Select and choose which album to register to.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lbum selection screen in the application.

처리의 동작으로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앨범을 쉐어한다」를 ON으로 하여 둔 다음,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동 송신하면, 이 설정에 따라 앨범에 등록된다. 그리고, 도 17은, 앨범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며, 도 18은, 자동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As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as shown in Figs. 17 and 18, if "Share album" is turned ON in advance and then automatically transmitted using the camera, it is registered in the album according to this setting. Fig.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n album registration process, and Fig.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앨범 설정 처리><Processing Album Settings>

앨범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앨범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lbum setting process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lbum setting process to the input unit 17 - 2 .

스텝 S7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에 앨범 서비스 인증을 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7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perform album service authentication to the server 3 .

스텝 S7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와의 인증 제어의 결과, 인증을 OK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712,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control with the server 3,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determines whether authentication is OK.

인증 OK한 경우에는, 스텝 S71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714로 진행한다. If authentication is OK,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7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14.

이에 대하여, 인증 OK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71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713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authentication is not OK,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7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13.

스텝 S713에 있어서, CPU(11―2)는, 인증 NG이므로, 에러 표시하도록 출력부(18―1)를 제어한다. In step S713, since it is authentication NG, the CPU 11 - 2 controls the output unit 18 - 1 to display an error.

스텝 S7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714,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obtain a list of albums from the server 3 .

스텝 S715에 있어서, CPU(11―2)는,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표시하도록 출력부(18―2)를 제어한다. In step S715, the CPU 11 - 2 controls the output unit 18 - 2 to display a list of albums acquired from the server 3 .

스텝 S716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부(17―2)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에 있어서 앨범을 선택하는 조작이 되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쉐어하는 앨범을 선택한다. 그 후, 앨범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716, an operation to select an album in the album sharing setting is performed on the input unit 17 - 2 by a user operation, an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selects an album to be shared. After that, the album setting process ends.

<자동 송신 처리><Auto Send Processing>

그리고, 본 자동 송신 처리는,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다른 예이다. Incidentally, this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is another exampl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in FIG. 9 .

자동 송신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자동 송신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to the input unit 17-1.

스텝 S8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8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8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다. In step S812,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stores the received image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스텝 S8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앨범 쉐어 설정 ON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813,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1 determines whether the album share setting is ON.

앨범 쉐어 설정을 ON한 경우에는, 스텝 S813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814로 진행한다. If the album share setting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813,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14.

이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 ON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813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종료한다. In contrast, when the album share setting is not turned ON,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813, and the process ends.

스텝 S8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 화상을 서버(3)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앨범 등록을 행한다. 그 후, 자동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814,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tore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of the server 3, and registers the album. do After that,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ends.

2. 사전에 카메라로 앨범을 선택2. Select an album with the camera in advance

1의 동작에서는, 어플리 측에서 앨범을 선택하는 내용이었지만, 어플리 측에서 취득한 앨범 정보를, 카메라에 통지하고, 카메라 측에서 앨범을 선택할 수도 있다. In the operation of 1, the album is selected on the app side, but the album information acquired on the app side is notified to the camera, and the camera side can also select an album.

카메라는 촬영 전에 사전에 앨범 설정을 행한다. 통신(BLE라도 Wi―Fi라도 됨)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에 의해 앨범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카메라에 통지함으로써, 그 앨범 정보를 카메라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카메라의 화면을 볼 때, 앨범을 선택하여 두고, 또한 앨범으로 쉐어할 것인지의 가부를 설정한다. The camera performs album setting in advance before shooting. Album information is acquired by an application on a mobile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either BLE or Wi-Fi), and by notifying the camera of this, the album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amera. When viewing the screen of the camera, the user selects an album and sets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lbum.

자동 송신에 있어서는, 촬영 화상에 선택한 앨범 ID를 부가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 측에 있어서는, 수취한 화상의 앨범 ID에 따라, 앨범에 등록을 행한다. In automatic transmission, a selected album ID is added to a captured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n the terminal side, registration is performed in the album according to the album ID of the received image.

그리고, 도 19는, 카메라 측에서의 앨범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며, 도 20은, 화상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n album selection process on the camera side, and Fig.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an image registration process.

<촬상 장치측 앨범 설정 처리><Processing album settings on the imaging device side>

촬상 장치(1) 측의 앨범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앨범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lbum setting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lbum setting process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9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를 제어한다. In Step S911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obtain a list of albums from the server 3 .

스텝 S912―1에 있어서, CPU(11―1)는,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표시하도록 출력부(18―1)를 제어한다. In step S912 - 1 , the CPU 11 - 1 controls the output unit 18 - 1 to display a list of albums obtained from the server 3 .

스텝 S913―1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부(17―1)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에 있어서 앨범을 선택하는 조작이 되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쉐어하는 앨범을 선택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앨범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913 - 1 , the input unit 17 - 1 is subjected to an operation to select an album in album share setting by user operation, an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selects an album to be shared. After that, the album setting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 측 앨범 일람 취득 처리><Acquisition process of album list on mobile terminal>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lbum list acquisition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lbum list acquisition process to the input unit 17 - 2 .

스텝 S9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에 앨범 서비스 인증을 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91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perform album service authentication to the server 3 .

스텝 S9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와의 인증 제어의 결과, 인증을 OK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912 - 2 ,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control with the server 3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determines whether authentication is OK.

인증 OK한 경우에는, 스텝 S912―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913―2로 진행한다. If authentication is OK,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912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13 - 2 .

이에 대하여, 인증 OK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912―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종료한다. In contrast, when authentication is not OK,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912 - 2 , and the album list acquisition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스텝 S9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913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obtain a list of albums from the server 3 .

스텝 S9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통지하는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9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hat notifies the imaging device 1 of the list of albums acquired from the server 3 . After that, the album list acquisition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촬상 장치측 자동 송신 처리><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side>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송신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자동 송신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0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을 행하도록 촬상부(16―1―1)을 제어한다. In step S1011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imaging unit 16 - 1 - 1 to perform shooting.

스텝 S1012―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화상 기억부(71)에 촬영한 화상을 보존한다. In step S1012 - 1 , the shooting control unit 51 stores the captured image in the image storage unit 71 .

스텝 S10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앨범 쉐어 설정이 ON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013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determines whether the album share setting is ON.

앨범 쉐어 설정이 ON인 경우에는, 스텝 S1013―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4―1로 진행한다. If the album share setting is ON,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013-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14-1.

이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이 ON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013―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5―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f the album share setting is not ON,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013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15 - 1 .

스텝 S10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쉐어용으로 송신 대상이 되는 화상에 앨범 ID를 부가한다. In step S1014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adds an album ID to an image to be transmitted for sharing.

스텝 S10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앨범 ID를 부가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015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transmit the image to which the album ID has been add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 After that,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 측 앨범 등록 처리><Processing album registration on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 측 앨범 등록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album registration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album registration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side to the input unit 17 - 2 .

스텝 S10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01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0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화상 기억부(111)에 수신한 화상을 보존한다. In step S1012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stores the received image in the image storage unit 111 .

스텝 S1013―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앨범 ID가 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013 - 2 ,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91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lbum ID exists.

앨범 ID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4―2로 진행한다. If there is an album I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013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14 - 2 .

이에 대하여, 앨범 ID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0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종료한다. In contrast, when there is no album I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013 - 2 , and the album regist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스텝 S10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 화상을 서버(3)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앨범 등록을 행한다. In step S1014 - 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92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store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51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of the server 3, Album registration is performed.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종료한다. After that, the album registra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3. 카메라와 어플리로 복수의 앨범을 선택3. We choose plural albums by camera and application

1의 동작에 있어서 복수의 앨범을 구별짓는(different purposes) 경우에 대해서는, 카메라에서는, 앨범 A, 앨범 B, 앨범 C의 3 종류와 앨범 등록하지 않은 (N/A)를 앨범 설정 화면에서 선택한다. 촬영 중(REC)에는, 선택되어 있는 앨범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istinguishing multiple albums in operation 1 (for different purposes), the camera selects three types of album A, album B, and album C, and no album registration (N/A) on the album setting screen. . During recording (REC), the type of the selected album can be confirmed.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앨범 A, 앨범 B, 앨범 C가 각각 구체적으로 어느 앨범에 설정되는 것인지를 사전에 선택한다. Further, in the application, it is selected in advance which album is specifically set for Album A, Album B, and Album C, respectively.

그리고, 도 21은, 촬상 장치(1)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2는, 촬상 장치(1)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in the imaging device 1, and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in the imaging device 1.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많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동 송신 카메라에 있어서, 사전에 앨범 설정을 하여 둠으로써, 화상을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뿐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앨범에도 자동적으로 송신하고,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늘 1일 전시회의 사진을 찍어, 동 료에 보고할 때 등, 편리하다. 또한, 앨범의 정보를 카메라에 통지함으로써, 카메라 본체에 의해 앨범명을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측에서 간단하게 앨범을 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테마로 앨범을 공유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앨범 공유를 행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camera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many images to the mobile terminal, by setting the album in advance, not only the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the It can also be automatically sent to albums and shared. For example, it is convenient when taking a picture of today's exhibition and reporting it to a colleague. In addition, by notifying the camera of album information, the album name can be confirmed and selected by the camera body. In addition, album sharing can be performed easily when sharing albums with a plurality of themes by simply switching albums and shooting on the camera side.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전술한 1∼3의 동작에 있어서, 앨범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하나였지만, 사업체의 상이한 복수의 서비스로부터, 전송 어플리케이션 측에서 선택하고,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변형예에 의하면, 복수의 서비스로부터 앨범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카메라 측에 있어서는 복수의 서비스를 의식하지 않고, 어플리 측에서 서비스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상이한 서비스에 의한 앨범 공유를 행할 수 있다. In the operations 1 to 3 described above, although there was only one service providing albums, the delivery application side may select and set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services of the business entity. By configuring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register an album from a plurality of services. On the camera side, since differences in services can be absorbed on the app side without being aware of a plurality of services,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albums by different service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연계 기능을 실현한다. In the data processing system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data and the second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data cooperate to realize a predetermined linked function.

제1 기기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2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The first device includes dat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second device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제2 기기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과,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제2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1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The second device is configured to execute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reception processing for receiving data from the first device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ption process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a second program for processing;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first program and the second program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and control means for switching the second program from a suspended state to an active state when data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processing, designating the received data as a management target, and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이로써,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관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data processing system, the convenience of data management can be improved.

제1 기기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제2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제2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하는 기동 통지 송신 수단과, 제2 기기의 제어 수단은, 제1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에 대하여 제2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이 기동 요구에 따라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When the first device receives a request for starting the second program from the first device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first device sends an activation notification of the second program to the second device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notification transmissi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for the second device transmit a start request for the second program to the first device via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second program cannot be started directly from the first program; , The second program is switched from the suspended state to the active state by the activation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quest.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제어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서는 제2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제2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2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하다.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slower tha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but it can save power, and the control means cannot start the second program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ctivates the second program. program can be started.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다. The data management process is a process of dividing designated data into one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managing it.

제어 수단은,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The control means designates the received data as a group management target and executes data management processing.

제2 기기는,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제1 기기에 송신하는 그룹 정보 송신 수단과, 제2 기기의 제어 수단은,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The second device includes group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group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groups manageable by data management processing to the first device, and control means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first device. 1 Divide into groups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and manage them.

제1 기기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이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하는 선택 정보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The first device further includes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group from among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가 기억하고,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The second device stores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and whenever new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t is divided into groups specified by the stored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d.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이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The second device divides the data received together with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into groups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s them.

제1 기기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first device displays a list of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m, and transmit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operation to the second device.

제2 기기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The second device includes third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providing a data sharing service on a network.

데이터 관리 처리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3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In the data management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s designated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a third communication means.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다. The data sharing service is a service for classifying and sharing a plurality of data into a plurality of groups.

제2 기기는,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한다. When the second device designates the received data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server to be shared, the second device designates a group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제1 기기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first device causes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s sharing permiss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together with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제1 기기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first device causes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s sharing permiss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together with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제2 기기는,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한다. The second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server when sharing is possible.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한다. A service on a plurality of different networks providing a data sharing service is selected, and the received data is transmitted to a server providing the selected service.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The first device is an imag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image data by shooting.

제1 기기인 촬상 장치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한다. When new image data is ob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transmission mode is set, the imaging device as the first device transmits the image data by the data transmission means.

제1 기기인 촬상 장치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한다. Th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device, stores and update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urrently selected group on the live view screen.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어, 제어 수단은, 종류에 따라, 기동의 제어를 바꾼다. The second device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and the control means changes control of activation according to the type.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시 접속된 상태이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접속을 확립하고, 종류에 따라, 접속의 확립 제어를 바꾼다.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is always connected, and the second radio communication means establishes a connec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connection via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means, and changes connection establish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BACKGROUND 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connect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y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used.

이와 같은 기술의 일례로서, 카메라 조작 단말기에 의해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촬상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 참조). As an example of such technology, there is an imaging system that remotely operates a camera using a camera operating terminal (eg, se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230024).

또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의 화상 공유 서비스에 액세스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을 공유하는 화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bile terminal, various application software such as image sharing application software for accessing an image sharing service on a network and sharing images with other users can be used, for example.

이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격 조작에 의해 카메라에 촬영을 행하게 하고, 카메라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보존하고, 그 후,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는 동시에 각종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Using such a technique, the user operates the portable terminal, causes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by remote operation, stor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amera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activates the necessary application software and various By performing operations, it is possible to manage image data or use an image sharing service.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OS(오퍼레이팅 소프트웨어)의 종류(예를 들면, iOS나 Android 등)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조작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user activates and operates different application software depending on the type of OS (operating software)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OS or Androi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조작을 행하거나, 기동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양에 따라 각종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었다.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를 연계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기를 연계시킴으로써 취득한 데이터의 각종 관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example, in order to use the image sharing service using a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the user either performs an operation to activate the necessary application software or conforms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activated application softwa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or it took a lot of time. The same problem exists when various management of acquired data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linking a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but by linking a device providing data with a device managing data.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기를 연계시킴으로써 취득한 데이터의 각종 관리를 행하는 경우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ims to enhance convenience in the case of performing various management of acquired data by linking a device that provides data with a device that manages data.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페어링 접속 동작><Pairing connection operation>

전술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상세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및 2의 처리에 있어서 전제로 되어 있는 BLE 통신 규격의 제약에 관련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도 9나 도 10 등의 처리의 개시 시에 실행되거나, 도 9나 도 10 등의 처리와 평행하게 실행되거나 한다. Although details were not explain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 and 2, in this embodiment,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constraints of the BLE communication standard, which is premised in the processing of Embodiments 1 and 2,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ing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executed at the start of the processing of FIG. 9 or FIG. 10 or the like, or executed in parallel with the processing of FIG. 9 or FIG. 10 or the like.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를 BLE로 접속할 때, 촬상 장치로부터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발하여 휴대 단말기가 그 신호를 검출하여 접속 처리를 행함으로써 bluetooth(등록상표)의 접속이 확립되지만,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내용이 모든 상태에 있어서 같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문제1 ·2·3)가 일어난다. 또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싣는 정보를 증가시키면,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가 커져, 전력적으로는 불리하게 된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connecting an imag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BLE, an advertising signal is e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signal and performs connection processing, thereby obtaining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 is established, but if the content of the advertising signal is the same in all states, the following problems (problems 1, 2, and 3) occur. In addition, increasing the information loaded on the advertising signal increases the data size of the signal,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문제1 ][Problem 1]

페어링 설정된 휴대 단말기와 별개의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시큐리티 상의 문제가 있다[강탈(强奪) 문제]. Since the pairing settings can be changed with a portable terminal separa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pairing has been set,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security (extortion problem).

페어링 설정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있고, 2개의 거리가 먼 등에 의해 BLE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상황이고, 촬상 장치는 어드버타이즈 신호를 내고,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려고 한다. 이 때 별개의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조작을 행하면,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어 일부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n imag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hat have been paired, and a BLE connection can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tc., the imaging device issues an advertisement signal and attempts to connect to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if a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a separate portable terminal, the imaging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connected and some operations are possible.

또한, 촬상 장치의 전원이 들어간 상태라면 BLE 신호의 내용(Wi―Fi의 SSID, 패스워드)이 휴대 단말기(C)에 보내진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imaging device is turned on, the contents of the BLE signal (SSID and password of Wi-Fi) are sent to the portable terminal C.

[문제2 ][Problem 2]

이전에 페어링 설정한 휴대 단말기가 있으면, 촬상 장치에서 페어링 조작을했을 때 그 휴대 단말기가 페어링 처리를 자동으로 실행하므로, 다른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처리를 행할 수 없다(휴대 단말기 변경 문제). If there is a portable terminal that has been paired previously, pairing processing cannot be performed with another portable terminal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pairing processing when a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maging device (mobile terminal change problem).

페어링 설정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있고, 촬상 장치의 조작에 의해 페어링 해제한다. 별개의 휴대 단말기와 촬상 장치를 페어링하려고, 촬상 장치를 조작하면, 휴대 단말기(B)는 자동으로 촬상 장치와 접속되어 버린다. 이 때 휴대 단말기는 페어링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된다. There is an imag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hat have been paired, and pairing is canceled by operating the imaging device. When the imaging device is operated to pair a separate portable terminal and the imaging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B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continue the pairing process.

[문제3 ][Problem 3]

휴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페어링 처리에 의해 리스트 업(list up)되는 촬상 장치에, 페어링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혼재하고 있다(리스트 정리). Imaging devices that are listed up by the pair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are mixed with those that can be paired and those that cannot be paired (listing).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채용된다. To such a problem,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countermeasure is adopted.

휴대 단말기(2)와 접속하는 촬상 장치(1)의 접속 상태(페어링의 유무)에 의해, 디바이스명을 변화시켜, 그 변화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으로 처리를 행한다. 즉, 촬상 장치(1)의 페어링 정보인 BLE 접속 정보(페어링의 유무)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 문자를 부가하여 차이를 부여하여, 그 상위에 따라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접속 제어를 변경한다.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presence or absence of pairing) of the imaging device 1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 the device name is changed, and the change is used to perform processing on the smart phone. That is, according to BLE connection information (whether or not pairing is present), which is pairing information of the imaging device 1, a space character is added to the device name of the advertising signal to give a difference, and the portable terminal 2 Change the access control in the application of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S)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데이터에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명을 촬상 장치(1)의 페어링의 상태에 따라 변화시켜, 디바이스명에 의해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페어링할 수 있는 것이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 의해 1 대 1로 되는 것이 전제로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접속 확립 후에는, 페어링 상대인 촬상 장치(1)를 디바이스명은 아니고 BD 어드레스로 식별한다. Specifically,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the device name contained in the data of the advertising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airing state of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determined by the device name. diverge processing. And it is premised that pairing is possible on a one-to-one basis by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 identifies the imaging device 1 as a pairing partner by its BD address, not by its device name, after connection establishment.

<촬상 장치(1)가 페어링하고 있지 않는 상태><Status where imaging device 1 is not paired>

디바이스명은 Wi―Fi의 SSID에 의해 말미에 스페이스가 없는 것으로 한다. The device name is the SSID of Wi-Fi without a space at the end.

예: "ZR1600―01ACDC"(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Example: "ZR1600-01ACDC" (device name + no space)

· 페어링하고 있어도 자동으로 재접속하지 않음 ([문제2 ]를 회피). ・Do not automatically reconnect even when paired (avoid [problem 2]).

(그러므로, 페어링 조작을 거치지 않으면 접속되지 않음)(Therefore, connection cannot be made without going through the pairing operation.)

<촬상 장치(1)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State that the pairing of the imaging device 1 has been completed>

디바이스명의 마지막에 스페이스를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A space is added at the end of the device name.

예: "ZR1600―01ACDC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음)Example: "ZR1600-01ACDC " (with device name + space)

· 페어링하고 있지 않은 스마트과는 접속하지 않음([문제1 ]을 회피). ・Do not connect to a smart phone that is not paired (avoid [problem 1]).

[페어링한 휴대 단말기(2)와만 접속함][Connect only with the paired mobile terminal (2)]

· 페어링할 수 있는 후보의 리스트에 표시하지 않음([문제3 ]을 회피). · Not displayed in the list of candidates that can be paired with (avoiding [Problem 3]).

(페어링하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만 표시함)(Only devices that are not paired are displayed)

도 23은,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기능적 구성 중,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FIG. 2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 pairing connection proces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in FIG. 3 .

페어링 접속 처리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BLE 통신 규격에 있어서, 페어링을 행하여 접속을 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for performing connection between the imag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2 by performing pairing in the BLE communication standard.

촬상 장치(1)와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와,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와, 통신 제어부(173)가 기능한다. When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is executed with the imaging device 1, as shown in FIG.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functions.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가 설정된다. Further,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1, a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1 is set.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는, 페어링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페어링 정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LAN(Wi―Fi)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명인 SSID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나 접속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접속 정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BD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페어링 정보는, 페어링 처리 등에 사용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서의 디바이스명과 페어링 처리 종료 후의 접속 시에 사용하는 BD 어드레스이다.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1, pairing information obtained as a result of pairing processing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SID that is an identification name of an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Wi-Fi)) and connection processing result The obtained connection information (BD address in this embodiment) is stored. The pairing information is a device name in an advertising signal used for pairing processing or the like, and a BD address used at the time of connection after completion of the pairing processing.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 기억되는 페어링 정보를 참조(페어링 정보의 유무를 참조)하여, 페어링의 상황을 판정한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페어링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상황(이하, 「미페어링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하고, 페어링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상황(이하, 「페어링 완료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한다. The pair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171 refers to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1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r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pairing status. The pairing situation judging unit 171 judges a situation in which pairing is not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pairing situation") when there is no pairing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pairing information, a situation in which pairing is being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pairing situation"). , referred to as "pairing completion status").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generates an advertising signal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pair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71 .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생성 시에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의 판정 결과가 미페어링 상태인가, 페어링 완료 상황인지의 가부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부가하는 정보(이하, 「어드버타이징 정보」라고 함)를 변경한다. When the advertising signal is generated,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determines whether the pairing status determining unit 171 determines whether the pairing status is unpaired status or pairing status. Information added to th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vertising information") is changed.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미페어링 상황인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정보를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디바이스명만)」이라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하고, 페어링 완료 상황인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정보를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음」으로 하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In the case of a non-pairing situation,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converts the advertising information to "advertising signal of non-pairing specifications" such as "device name + no space (device name only)" and in the case of a pairing completion situation, a "pairing completion specification advertising signal" that sets the advertising information as "device name + space present" is generated.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173)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거나,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를 실행하거나 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리고,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의 결과, 취득한 페어링 정보나 BD 어드레스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 기억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so as to transmit an advertising signal or execute a pairing process or a connection process. The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BD addres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pairing process or the connection process ar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1.

휴대 단말기(2)와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와,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와,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가 기능한다. When performing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as shown in FIG. The go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functions.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통신 정보 기억부(231)가 설정된다. Further,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9 - 2, a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1 is set.

통신 정보 기억부(231)에는, 페어링했을 때 얻어지는 페어링 정보가 기억된다. 페어링 정보는, 페어링 처리 등에 사용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서의 디바이스명과, 페어링 처리 종료 후의 접속 시에 사용하는 BD 어드레스이다.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1, pairing information obtained when pairing is performed is stored. The pairing information is a device name in an advertising signal used for pairing processing or the like, and a BD address used at the time of connection after pairing processing is finished.

통신 제어부(211)는,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거나,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를 실행하거나 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so as to detect an advertising signal or execute a pairing process or a connection process.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통신 정보 기억부(231)에 기억되는 페어링 정보를 참조(페어링 정보의 유무를 참조)하여, 페어링의 상황을 판정한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페어링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상황(이하, 「미페어링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하고, 페어링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상황(이하, 「페어링 완료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한다. The pair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12 refers to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31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r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airing status. When there is no pairing information, the pairing situation judging unit 212 determines as a situation in which pairing is not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pairing situation"), and in the case where there is pairing information, a situation in which pairing is being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pairing situation"). , referred to as "pairing completion status").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검출한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나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디바이스명만)의 경우에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 것으로 판정하고,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는 경우에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 것으로 판정한다.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determines whether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dvertising signal is an advertising signal of an unpaired specification or an advertising signal of a paired specification. Specifically,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determines that the advertising information is an advertising signal of an unpaired specification when the advertising information is a device name + no space (only a device name); If the advertising information includes device name + spac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advertising signal of an unpaired specification.

도 24는, 도 23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imaging device 1 and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23 .

<[촬상 장치측]페어링 접속 처리><[Imaging Device Sid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촬상 장치(1)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111―1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미페어링의 상황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11 - 1 , the pairing status determining unit 17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iring status is unpaired.

미페어링의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1―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2―1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non-pairing,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111-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2-1.

스텝 S1112―1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가 없는 정보를 부가한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In step S1112 - 1,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generates an advertising signal of the unpaired specification. Specifically,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generates an advertising signal of an unpaired specification in which information without a space is added to the device name.

스텝 S11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생성한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11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transmit the advertising signal of the generated unpaired specification.

스텝 S11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114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execute pairing process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

스텝 S11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후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15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connection setting performed by the pairing processing. After that, the post-processing ends.

이에 대하여, 미페어링의 상황이 아닌,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페어링이 완료된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1―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6―1로 진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a non-pairing situation but a pairing situation where pairing is being perform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111-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6-1.

스텝 S1116―1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가 있는 정보를 부가한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In Step S1116 - 1,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generates an advertising signal of pairing completion specifications. Specifically, the advertising signal generation unit 172 generates an advertising signal of a pairing complete specification in which information with a space is added to the device name.

스텝 S11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생성한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117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transmit an advertising signal of the generated pairing completion specification.

스텝 S1118―1에 있어서,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후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18 - 1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is controlled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connection setting performed by the pairing processing. After that, the post-processing ends.

<[휴대 단말기 측]페어링 접속 처리><[Mobile terminal sid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star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to the input unit 17 - 2 .

스텝 S11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제1 통신부(20―1)에서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다. In step S111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detect an advertising signal. As a resul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detects the adverti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112―2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미페어링의 상황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12 - 2 , the pairing status determining unit 2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iring status is unpaired.

미페어링의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2―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3―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non-pairing,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112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3 - 2 .

스텝 S1113―2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13 - 2 ,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ing unit 2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dvertising signal is an unpaired specification.

미페어링 사양은 아니고 페어링이 완료된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the case of an advertising signal that is not a non-pairing specification and has been pair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113-2, and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 ends.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4―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an advertising signal of unpaired specifications,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113-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4-2.

스텝 S11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In step S11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execute pairing processing with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1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 후,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15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connection setting performed by the pairing processing. After that,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 ends.

이에 대하여, 미페어링은 아니고 페어링이 완료된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2―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6―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ituation where pairing has been completed rather than unpair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112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6 - 2 .

스텝 S1116―2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16 - 2 ,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dvertising signal is a pairing complete specification.

페어링 완료 사양은 아니고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the case of an advertising signal of an unpaired specification rather than a pairing completed specification,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116 - 2 , and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 ends.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7―2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an advertising signal of a pairing complete specification,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116-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17-2.

스텝 S11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 후,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117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connection setting performed by the pairing processing. After that,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 ends.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문제1 」의 회피를 강화하기 위해 소정의 OS(Operating System)의 사양(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OS 전용)으로 특화하여, 디바이스명의 캐릭터리스틱을 설치하고, BLE를 일단 접속하여 취득하고, 상기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의 디바이스명에 의한 접속 여부 판단와 마찬가지로 판단하고, 접속을 유지할 것인지, 단절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avoidance of "Problem 1", it is specialized in the specification of a predetermined OS (Operating System) (in this embodiment, only for iOS), installs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ice name, connects BLE once and acquires it,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or disconnect the connection in the same way as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vice name of the advertising data described above.

또한, 전술한 플로우차트에 본 변형예의 기능을 부가하면, 도 25와 같이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5는, 도 23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다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In addition, if the function of this modified example is added to the flowchart described above, it can be grasped as shown in FIG. 25 . 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flow of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2 of FIG. 3 hav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FIG. 23 .

<휴대 단말기 측 페어링 접속 처리><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mobile terminal side>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제로서 처리 개시 시에는, 휴대 단말기(2)의 BLE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star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to the input unit 17 - 2 . And, as a premise, at the time of a process start, the BLE of the portable terminal 2 is not connected.

스텝 S12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결과, 제1 통신부(20―2)에서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다. In step S12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detect an advertising signal. As a resul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detects the adverti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접속 처리를 개시하고,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BLE 접속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In step S12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starts a BLE connection process an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establish a BLE conne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213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페어링 처리를 행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213, the pair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212 determines whether pairing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페어링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스텝 S1213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4로 진행한다. When pairing processing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213,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14.

이에 대하여, 페어링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213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9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pairing processing is not being perform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213,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19.

스텝 S1214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214,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dvertising device name has been determined.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4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When the advertising device name is judg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214, and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이에 대하여,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214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5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advertising device name is not judg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214,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15.

스텝 S12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In step S1215,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스텝 S1216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216,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ation unit 2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acteristic device name has been determined.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6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8로 진행한다. When the characteristic device name is judg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216,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18.

이에 대하여,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16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7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f the characteristic device name has not been determin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216,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17.

스텝 S1217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217,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execute pairing processing. After that,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스텝 S1218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단절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218,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execute BLE disconnection processing. After that,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스텝 S1219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219, the advertising signal determining unit 2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dvertising device name has been determined.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9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20으로 진행한다. When the advertising device name is judg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219,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20.

이에 대하여,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19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contrast, if the advertising device name has not been determin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219, and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스텝 S1220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22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execute connection processing. After that, the pairing connection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Background process processing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백그라운드 동작에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어, 시간 내에 화상 송신을 보내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 (smart phone) has a time limit for background operation, and has a function for sending an image transmission within a time limit.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In a conventional imaging devic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aptured image to the terminal after shooting with the camera is install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스마트 폰의 조작 없이 카메라의 조작만으로 송신하기 위해, 어플리를 bluetooth를 사용한 기동 통지를 보냄으로써,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기동하고, 스마트 폰이 슬립 상태라도 화상을 수신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In order to transmit only by camera operation without smartphone operatio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by a background process by sending an activation notification using bluetooth,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images are received even when the smartphone is in a sleep state is realized.

iOS에서는 백그라운드 동작에 시간 제한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모든 데이터를 보낼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In iOS, there is a time limit for background operation, so in this case, all data may not be sent.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시킨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7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So,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26 and FIG. 27 is made. 26 and 2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background process process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1.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1. Notification of process activation by BLE is performed from the camera to the smartphone.

2. 스마트 폰으로 화상 수신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상승한다. 2. The application for image reception is launched in the background on the smartphone.

3.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를 상승, 스마트 폰과 Wi―Fi로 접속한다. 3. Raise the camera's Wi-Fi access point and connect to the smartphone via Wi-Fi.

4. 카메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파일의 리스트를 보낸다. 4. Send a list of files to b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to the application.

5. 어플리는 파일 리스트의 파일을 카메라로부터 취득한다. 5. The application acquires the files in the file list from the camera.

6A―1.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이 끝났을 경우, 카메라에 성공을 전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스마트 폰을 슬립 상태로 되돌린다. 6A-1. When the data transfer is completed within the time, success is reported to the camera, the background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smartphone is returned to sleep.

6A―2. 카메라는 다음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6A-2. The camera performs process activation notification by BLE again to send the next file list.

6B―1.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이 종료가 되지 않을 경우, 카메라에 실패를 전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스마트 폰을 슬립 상태로 되돌린다. 6B-1. If data transfer is not completed within the time limit, a failure is reported to the camera, the background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smartphone returns to sleep.

6B―2. 카메라는 보낼 수 없었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6B-2. The camera performs process activation notification by BLE again to send the file list that could not be sent.

6C―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예고 없이 종료한 경우, 어플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6C-1. If the background process terminates without notice, the application cannot do anything.

6C―2. 카메라는 통신의 단절을 검출하고, 보낼 수 없었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6C-2. The camera detects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again performs process activation notification by BLE to send the file list that could not be sent.

그리고, 송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의 입도(粒度)를 변경하여 리트라이한다. Then, if the transmission fails, the granularity of the transmission data is changed and retried.

<[촬상 장치측]파일 전송 처리><[Imaging Device Side] File Transfer Processing>

촬상 장치(1)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에의 [촬상 장치측] 파일 전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file transfer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is started by the user's [imaging device side] file transfer process start operation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3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311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transmit a notification.

스텝 S13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의 ON/OFF를 판정한다. In step S1312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determines Wi-Fi ON/OFF.

Wi―Fi가 ON의 경우에는, 스텝 S1312―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4―1로 진행한다. If Wi-Fi is O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12-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4-1.

이에 대하여, Wi―Fi가 OFF의 경우에는, 스텝 S1312―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3―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Wi-Fi is OFF,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312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3 - 1 .

스텝 S13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1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activate the Wi-Fi access point.

스텝 S13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HTTP 통신을 확립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14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establish HTTP communication.

스텝 S13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 리스트를 작성한다. In step S1315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reates a file list.

스텝 S13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 리스트를 송신한다. In step S1316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transmits the file list.

스텝 S13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을 송신한다. In step S1317 -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transmits the file.

스텝 S13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18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determine whether time-out has been detect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318―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1로 진행한다. When time-out is detect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18-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1-1.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18―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9―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timeout is not detected in the portable terminal 2,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318-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9-1.

스텝 S1319―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통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19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receive a communication completion notification.

스텝 S1320―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송신이 성공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320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determines whether or not transmission has succeeded.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1320―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2―1로 진행한다. If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20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2 - 1 .

이에 대하여, 송신이 성공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20―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1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ransmission is not successful,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320 - 1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1 - 1 .

스텝 S132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송신 데이터량을 재설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21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reset the transmission data amount.

스텝 S132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다음 송신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22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set the next transmission data.

스텝 S132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다음 데이터가 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323 - 1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next data.

다음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23―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21로 돌아온다. If there is the next data,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23 - 1,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221.

이에 대하여, 다음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323―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촬상 장치(1)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next data,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323 - 1, and the file transfer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휴대 단말기 측]파일 전송 처리><[Mobile terminal side] file transfer processing>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file transfer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file transfer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to the input unit 17 - 2 .

스텝 S13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통지를 수신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In step S131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2 to receive the BLE notification.

스텝 S1312―2에 있어서, CPU(11)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G)에서 기동한다. In step S1312 - 2, the CPU 11 activates the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BG).

스텝 S13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Wi―Fi와 미접속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313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not connected to Wi-Fi.

Wi―Fi와 미접속인 경우에는, 스텝 S13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4―2로 진행한다. If not connected to Wi-Fi,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13-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4-2.

이에 대하여, Wi―Fi와 미접속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3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5―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not connected to Wi-Fi,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313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5 - 2 .

스텝 S13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촬상 장치(1)의 AP에 접속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314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connect to the AP of the imaging device 1 .

스텝 S13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HTTP 통신을 확립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315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establish HTTP communication.

스텝 S13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316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the file list.

스텝 S13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In step S1317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receive the file.

스텝 S1318―2에 있어서, CPU(11)는,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318 - 2 , the CPU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cess by the OS has ended.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 S1318―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If the process by the OS has end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318 - 2 , and the file transfer processing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이에 대하여,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18―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9―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f the process by the OS has not end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318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19 - 2 .

스텝 S1319―2에 있어서, CPU(11)는,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 예고를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319 - 2, the CPU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nd notice of the process has been given by the OS.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 예고한 경우에는, 스텝 S1319―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2로 진행한다. When the end of the process is notified by the OS,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3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1 - 2 .

이에 대하여,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를 예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19―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0―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end of the process is not notified by the OS,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319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0 - 2 .

스텝 S13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320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determines whether or not reception of the file has been completed.

파일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S1320―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2로 진행한다. If reception of the file has been complet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320 - 2 ,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21 - 2 .

이에 대하여,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20―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7―2로 돌아온다. On the other hand, if reception of the file has not been complet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320 - 2 ,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17 - 2 .

스텝 S13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통신 완료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321 - 2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1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2 to transmit a communication completion notification. After that, the file transfer process on the portable terminal 2 side ends.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복수회로 분할한 송신 프로세스 모두에서 bluetooth의 통지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시간 제한이 있는 통신 기능으로, 많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료 타이밍이 불명한 프로세스로, 송신할 수 없었던 데이터로부터 다시 송신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ll of the transmission processes divided into multiple times start from notification of bluetooth, it is possible to send a lot of data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time limit. Further, in a process whose ending timing is unknown, it becomes easy to transmit again from data that could not be transmitted.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ation setting processing>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접속 파라미터를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에 적응적으로 설정하고, 접속 안정성과 전력 절약화를 양립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adaptively setting the connection parameters of BLE at the time of camera power supply ON and OFF to achieve both connection stability and power saving.

종래에는, BLE의 접속 파라미터의 접속 인터벌의 시간이 짧을수록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높아지지만, 소비 전류가 커진다.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이 짧을수록 BLE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해 재접속 처리를 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실제로 통신할 수 없는 시간이 짧아지지만, 사용자로부터는 단절되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 Conventionally, the shorter the connection interval time of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the higher the data transfer rate, but the higher the current consumption. The shorter the connection monitoring timeout time is, the shorter the time until the BLE is judged to be disconnected and reconn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shortening the actual communication time, but it seems to be easy to disconnect from the user.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28은,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So,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28 is performed. 2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

·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에 적응적으로 BLE의 접속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BLE connection parameters are adaptively changed when camera power is ON and OFF.

· 카메라 전원 ON시는, 접속 인터벌과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을 짧게 한다. ・When the camera power is ON, shorten the connection interval and connection monitoring timeout.

· 카메라 전원 OFF시는, 접속 인터벌과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을 길게 한다. 즉,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로 분기하고, BLE의 접속 파라미터 설정을 변경한다. ・When the camera power is OFF, lengthen the connection interval and connection monitoring timeout. That is, it branches when the camera power is ON and OFF, and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setting is changed.

즉,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at is,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 start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411에 있어서, CPU(11)는, 카메라 전원을 OFF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411, the CPU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mera power supply has been turned off.

카메라 전원을 OFF 한 경우에는, 스텝 S141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413으로 진행한다. If the power supply of the camera is turned OF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41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13.

이에 대하여, 카메라 전원을 OFF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41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412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camera power supply is not turned OFF,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41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12.

스텝 S14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접속 인터벌←40 ms」, 「접속 감시 타임 아웃←3.01 s」로 설정을 변경한다. 그 후,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4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hanges the settings to "connection interval ← 40 ms" and "connection monitoring timeout ← 3.01 s". After that,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 ends.

스텝 S141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접속 인터벌←1000 ms」, 「접속 감시 타임 아웃← 5s」로 설정을 변경한다. 그 후,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413,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hanges the settings to "connection interval ← 1000 ms" and "connection monitoring timeout ← 5 s". After that, the BLE connection parameter adaptive setting process ends.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 카메라 전원 ON시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높아, 통신할 수 없는 시간이 짧아진다. ・When the camera power is ON,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high, and the time during which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is shortened.

· 카메라 전원 OFF시는, 전력 절약으로 동작하고, 다소 통신이 끊어져도 단절이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When the camera power is OFF, it operates to save power, and even if communication is cut off to some extent, it is not recognized as disconnected.

(카메라 전원 OFF시는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레이트가 낮아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Since data transfer does not occur when the camera power is OFF,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transfer rate is low.)

<촬상 장치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Wi-Fi setting control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side>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bluetooth에 의해 페어로 하면, Wi―Fi 접속이 용이해지고, 이 상태로부터 Wi―Fi 설정을 변경하여 버리면 접속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카메라 측에서 페어가 있는지의 가부에 의해, Wi―Fi 설정의 변경 기능에 제한을 거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페어가 있는지의 가부에 의해 동작이 상이한 것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Fi connection becomes easy when the camera and the smartphone are paired by bluetooth, and if the Wi-Fi setting is changed from this state, the connection becomes impossible. It has a function to limit the Wi-Fi setting change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pair on the side. In addition, it has a function of adjusting so that the operation become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pair.

종래에는, 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한다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Conventionally,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aptured image to the terminal side afte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is installed between a camera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자동으로 송신하기 위해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BLE로 페어링하고, BT를 통하여 카메라의 Wi―Fi 설정을 스마트 폰에 보내고 있다. 스마트 폰은 이 때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 For automatic transmission, the camera and smart phone are paired via BLE, and the camera's Wi-Fi settings are sent to the smart phone via BT. The smartphone connects to the Wi-Fi access point of the camera based on the information at this time.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의 SSID나 패스워드는 설정의 값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되면 카메라와 스마트 폰이 Wi―Fi로 접속할 수 없게 된다. However,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access point can be easily changed because they are only set values, and if they are changed, the camera and smartphone cannot connect via Wi-Fi.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29는,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So,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29 is performed. 2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Wi-Fi setting control processing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 카메라는 BLE 페어링시에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를 BT의 통신에 실어 스마트 폰에 송신한다. ・The camera transmits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Wi-Fi access point of the camera to the smartphone at the time of BLE pairing through BT communication.

· 스마트 폰은 수신한 SSID, 패스워드를 자체의 Wi―Fi 설정에 추가한다. · The smartphone adds the received SSID and password to its own Wi-Fi settings.

· 카메라는 페어 성립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후 Wi―Fi 패스워드의 변경 메뉴를 마스크하여, 사용자에게 실행할 수 없게 한다. · The camera records pair establishment information, and then masks the Wi-Fi password change menu so that the user cannot execute it.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페어링의 유무에 따라 Wi―Fi 패스워드 변경의 가능/불가를 전환하고 있다. That i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enabling/disabling of Wi-Fi password chang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ring.

즉,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Wi―Fi 설정 제어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In other words, the Wi-Fi setting control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tarting the Wi-Fi setting control process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5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5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execute the BLE pairing process.

스텝 S15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SS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WiFi AP를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5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sets the SSID and password,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activate the WiFi AP.

스텝 S151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로 SSID와 패스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513,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transmit the SSID and the pass by BLE.

스텝 S15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접속을 검출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514,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measure whether a WiFi connection has been detected.

WiFi 접속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515로 진행한다. When WiFi connec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514,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15.

이에 대하여, WiFi 접속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대기 상태로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WiFi connection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514, and the process enters a standby state in step S1514.

스텝 S15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정보를 보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515,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stores the pairing information. After that, the Wi-Fi setting control process on the imaging device 1 side ends.

도 30은, Menu 오픈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3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Menu open processing.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Menu 오픈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e Menu open process start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Menu open process start to the input unit 17-1.

스텝 S16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정보를 취득한다. In step S16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acquires pairing information.

스텝 S16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6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determines whether pair setting has been completed.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161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613으로 진행한다. In the case where pair setting has been complete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6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13.

이에 대하여,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61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종료한다.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the pair setting has not been completed,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612, and the Menu open process start ends.

스텝 S1613에 있어서, CPU(11)는, 메뉴를 마스크한다. 그 후,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종료한다. In step S1613, the CPU 11 masks the menu. After that, the start of the Menu open process ends.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 측의 설정 변경에 의해 자동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또 다른 통신 기능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other communication function from becoming unavailable due to a setting change on the camera side for which automatic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그리고, Wi―Fi 패스워드 이외에도 페어의 유무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고 있는 기능은 이하와 같이 된다. In addition to the Wi-Fi password, the function that switch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ir is as follows.

· 자동 화상 송신· Automatic image transmission

페어 있음: 실행 가능With Pair: Executable

페어 없음: 실행 불가(ON으로 설정하는 것도 불가)No Pair: Not Executable (Cannot Be Set to ON)

· 수동 화상 송신· Manual image transmission

페어 있음: 모두 실행 가능With Pairs: Any Executable

페어 없음: 어플리가 백그라운드에서의 송신 불가No pairing: Applications cannot transmit in the background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Processing to judge the mode of starting the camera by BLE communication>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요인에 의해 카메라가 기동한 경우에는, 바로 통상 기동하지 않고 카메라의 BLE 통신 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동하는 모드를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전원 OFF를 행함으로써 카메라의 불필요한 처리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으로부터의 카메라 기동을 행한 경우 등 의도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카메라가 정상(正常) 동작으로 이행하고, 불필요한 기동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amera starts up due to the BLE factor, it does not start right away normally, but determines the starting mode while checking the BL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amera, and turns off the power if necessary. By doing so, it has a function of suppressing unnecessary processing of the camera. That i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amera shifts to a normal operation only by an intentional operation, such as when the camera is activated from a smartphone, and unnecessary activation processing is not performed. have

종래부터, HW의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전원 OFF로 한 상태라도 BLE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BLE를 살린 채로 카메라의 전원 OFF 상태에 어떤 때는, BLE의 다양한 이벤트를 BLE의 HW로 검지하고, 그것을 요인으로 카메라의 전원 ON를 행하는 것이 가능했었다. 단, BLE로 기동하는 경우의 요인으로서, BLE의 단절, 접속, 스마트로부터의 BLE Read/Write 요구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기동할 수 있으므로, 단순하게 모든 요인으로 카메라의 전원을 통상에 착수해 해버리면 불필요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전력적이게도 불리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가 BLE 기동했을 때, 어느 BLE 이벤트로 기동되었는지의 정보를 남기는 것이 어렵다(카메라는 전원 OFF이기 때문에, BLE 접속의 내용이 RAM 등에 남길 수 없다).Conven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HW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BLE connection even when the power of the camera is turned off.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detect various BLE events with the HW of BLE at some time while the camera was in power-off state while utilizing BLE, and to turn the camera power-on based on this. However, as a factor in the case of starting with BLE, it can be star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BLE disconnection, connection, and BLE Read/Write request from Smart. By performing the processing, power becomes disadvantageous as well. Also, when the camera activates BLE, it is difficult to store information on which BLE event triggered the camera (because the camera is powered off, the contents of the BLE connection cannot be stored in RAM or the like).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31은,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전제 조건]으로서, 카메라의 BLE가 어드버타이즈인가 접속중인 상태의 경우에는, BLE 모듈을 Sleep으로 설정하여, 카메라의 전원을 떨어뜨려, BLE의 출력을 유지한 채 전원을 떨어뜨리는 처리가 필요로 한다. So,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31 is performed. 3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de judgment process for starting a camera by BLE communication. And, as a [prerequisite], if the BLE of the camera is advertised or connected, the BLE module is set to Sleep, the camera's power is dropp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while maintaining the BLE output is needed

1) 어느 BLE 이벤트에 의해, 카메라가 기동된다. 1) A camera is activated by a certain BLE event.

이 때 BLE의 요인으로 카메라가 일으켜졌다는 것만은 기동 요인으로서 파악되어 있다. At this time, only that the camera was raised as a factor of BLE was grasped as an activation factor.

2) 카메라는 BLE 기동 대기 상태로서 전용(專用)의 기동을 행한다(LED만 점등). 2) The camera performs a dedicated activation in a BLE activation standby state (only the LED is lit).

BLE를 재기동하여 어드버타이즈의 상태로 하여 타이머를 기동한다(5초). BLE is restarted, put in an advertised state, and a timer is started (5 seconds).

그리고, 타이머(5초) 이내의 사이에 BLE 접속이 없는 경우에는 BLE 단절 이벤트라고 판단한다. And, if there is no BLE connection within the timer (5 seconds), it is determined as a BLE disconnection event.

그대로 BLE의 Sleep을 설정하여, 카메라를 파워 오프로 한다. Set BLE Sleep as it is, and power off the camera.

→PowerOff[1]→PowerOff[1]

3) 타이머의 시간 내에 BLE의 접속이 있었던 경우에는, 타이머를 삭제하여 다음의 처리에. 3) If there is a BLE connection within the timer's time, delete the timer and proceed to the next process.

BLE 접속 처리 완료 후에 고쳐서 타이머를 기동한다(5초). After the BLE connection processing is completed, the timer is activated (5 seconds).

그리고, 타이머(5초) 이내의 사이에, BLE 신호에 의한 Wi―Fi 접속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이 상태인 채 Sleep을 설정하여, 카메라를 파워 오프로 한다. Then, if there is no Wi-Fi connection request by BLE signal within the timer (5 seconds), Sleep is set in this state, and the camera is turned off.

4) 타이머 시간 내에 BLE 신호가 통지된 경우에는 스마트로부터 의도적으로 기동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메라를 Wi―Fi 모드에 의해 기동한다. 4) If the BLE signal is notified within the timer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camera was started intentionally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camera is started in the Wi-Fi mode.

즉, 모드 판단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모드 판단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That is, the mode judgment process is initia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mode judgment process start to the input unit 17 - 1 .

스텝 S17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의 Sleep중(어드버다이즈 또는 접속 중)으로 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7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so that the BLE is in Sleep (advertising or connecting).

스텝 S17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이벤트(접속·단절· WiFi 모드 기동)를 발생시키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7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so as to generate a BLE event (connection/disconnection/WiFi mode activation).

스텝 S1713에 있어서, CPU(11)는, 카메라 기동 처리(필요 최저한의 처리)를 한다. In step S1713, the CPU 11 performs camera startup processing (minimum necessary processing).

스텝 S17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오픈 처리(BLE 접속 대기 타이머 설정)를 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In step S1714,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 - 1 to perform BLE open processing (BLE connection standby timer setting).

스텝 S17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타이머 대기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715,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r waits.

타이머 대기인 경우에는, 스텝 S1715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6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waiting for the timer,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715,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6.

이에 대하여, 타이머 대기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715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8로 진행한다. In contrast, if the timer is not waiting,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715,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8.

스텝 S1716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접속 처리[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요구 대기 타이머]를 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1716,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o perform BLE connection processing (awaiting timer for request from portable terminal 2).

스텝 S1717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타이머 대기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717,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r waits.

타이머 대기인 경우에는, 스텝 S1717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9로 진행한다. In the case of waiting for the timer,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717,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9.

이에 대하여, 타이머 대기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717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8로 진행한다. In contrast, when the timer is not waiting, it is determined NO in step S1717,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8.

스텝 S1718에 있어서, CPU(11)는, BLE Sleep 처리를 행하여 카메라 파워를 오프한다. 그 후, 모드 판단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718, the CPU 11 performs a BLE Sleep process to turn off the camera power. After that, the mode judgment process ends.

스텝 S1719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기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719,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execute the WiFi activation process.

스텝 S1720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와의 WiFi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In step S172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73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 - 1 to execute WiFi connection process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2 .

스텝 S1721에 있어서, CPU(11)는, 휴대 단말기 지정 모드로 의한 NET 모드를 기동(리모트 촬영·사진을 보는 등)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 후, 모드 판단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1721, the CPU 11 performs control to activate the NET mode as the mobile terminal designation mode (remote shooting, viewing photos, etc.). After that, the mode judgment process ends.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가 BLE의 이벤트로 일으켜졌을 경우에 필요 최저한의 처리만을 행함으로써, BLE 이벤트에 의한 카메라 처리의 전지 소모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f this embodiment, when a camera is aroused by a BLE event,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camera process by a BLE event as much as possible by performing only the minimum required process.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BLE의 단절에 의한 기동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어드버타이징의 간격을 길게 하는 등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전력 절약으로 되도록 한 처리를 넣어도 된다. When it is judged that activation is caused by disconnection of BLE, processing for more power saving may be incorporated by changing settings such as increasing the advertising interval.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configured as above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연계 처리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기기의 조합을,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지정하고, 그 조합을 나타내는 페어링 정보를 서로의 기기에 기억시키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는 페어링 수단을 포함한다.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different roles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o perform predetermined cooperative processing, where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apparatuses to be subjected to predetermined cooperative processing is specified based on a user operation, and the combination is displayed. and pairing means for executing a pairing process of storing pairing information in each other's devices.

제1 기기는, 자체의 존재 및 자체의 제공하는 기능을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기기에 알리는 신호인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과, 페어링 수단에 의해 기억한 페어링 정보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자체의 식별명을 변화시키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The first device transmits an advertising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informing other devices of its existence and the functions provided by itself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pairing information stored by the pairing means. and an advertising signal control means for changing its identification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according to the above.

제2 기기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에 의해 송출되고 있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고, 소정의 연계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로부터의 송출 였던 경우에, 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수단과, 페어링 수단에 의해 기억한 페어링 정보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의 변화 상태에 기초하여,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지의 가부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The second device detects the advertising signal being sent out by the advertising signal sending means, and if it is sent from a device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the second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Wheth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nnection mean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the device that detected the advertising signal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by the pairing means and the change status of the identification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It includes connec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vailability of.

이로써,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뜻하지 않은 기기끼리가 오접속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히 통신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expected devices from being erroneously connected, and to properl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제1 기기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이며, 제2 기기는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정보 단말기이다. The first device is an imaging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the second device is an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function.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정보 단말기에 송신하여 표시하는 처리이다.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an imaging device to an information terminal.

무선 통신은, BLE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다. Wireless communication is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E standard.

제1 기기는 BLE 규격의 퍼리퍼럴이며, 제2 기기는 BLE 규격의 센츄럴이다. The first device is a peripheral of the BLE standard, and the second device is a central device of the BLE standard.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은, 어느 하나의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어느 기기와도 통신 접속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다. The advertising signal transmission means does not transmit an advertising signal when connected to any one device, and transmits an advertising signal when no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any device.

어드버타이징 신호 제어 수단은, 어느 기기와도 페어링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말미에 스페이스를 부가하고 있지 않은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고, 어느 하나의 기기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말미에 스페이스를 부가한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도록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을 제어한다. The advertising signal control means transmits a first advertising signal without appending a space at the end of the device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in a state where it is not paired with any device, In a state in which pairing with one device is completed, the advertising signal transmitting means is controlled to transmit a second advertising signal in which a space is added to the end of the device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접속 제어 수단은,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이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 카메라와 페어링이 끝난 상태라도 재접속하지 않고,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이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 카메라와 페어링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재접속하고, 페어링이 끝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재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When the connection control means detects the first advertising signal, it does not reconnect even if pairing is completed with the camera that sent the first advertising signal, and detects the second advertising signal. In this case, control is performed to reconnect when pairing with the camera that sent the second advertising signal is completed, and not to reconnect when pairing is not completed.

정보 단말기의 접속 제어 수단은, 페어링 조작시에 페어링을 행하는 동시에 접속을 개시하고, 그 후, 페어링한 채로 접속을 종료한 경우에는, 다시 접속 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접속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The connection control means of the information terminal performs pairing and starts connection at the time of pairing operation. After that, if the connection is terminated while pairing,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is not made even if the connection becomes possible again.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통신 수단과,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제2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I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eans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어드버타이징 신호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된다. The advertising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에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The identification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에 포함되는 기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시키는 제2 접속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다. It further includes second connection control mean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ame included in the advertising signal.

제1 통신 방식은,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다.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E (bluetooth Low Energy) (trademark) standard.

제2 통신 방식은, Wi―Fi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며, 식별 정보는 SSID이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Wi-Fi standar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SSID.

종래부터, 스마트 폰 등의 정보 단말기가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속(페어링)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 한 번 접속(페어링)한 상대측 기기의 정보를 기억해 두고, 다시 같은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를 접속(페어링)하는 경우에는, 기억하고 있는 상대측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조건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5―5889호 공보 참조). Conventionally, when an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remotely operates an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connected (pair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information on the other device once connected (paired) is stored, and when the same imag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are connected (paired) again, a technique is known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et shooting conditions and the like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device (e.g., Japan See Publication No. 2015-5889).

또한,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접속을 확립한 채의 상태에서는 전지가 소모되므로, 통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접속을 단절하도록 한 제어가 행해지고 있고, 최근에는,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 등의 저소비 전력의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In general, since the battery is consumed in the state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hen there is no need to communicate, control is performed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as much as possible, and recently, BLE (bluetooth Low Energy) ( Trademarks) and the like are increasingly being used for communication means of low power consumption.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는, 과거에 접속한 같은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를 재차 접속한 후의 촬영 조건 등의 설정은 용이하게 되지만, 한 번 접속한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와의 접속을 단절한 후에, 다시 같은 촬상 장치와 스마트를 재접속하려는 경우나, 페어링을 변경하여 재접속하려는 경우 등에, 접속 가능한 촬상 장치나 정보 단말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상대에게 오접속 해 버리거나 시큐리티 상의 문제가 생겨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 이외의 기기의 조합으로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foregoing technique, although it is easy to set shooting conditions and the like after connecting the same image captur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connected in the past again, after disconnecting the once connected image captur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When trying to reconnect the same imaging device and smart again, or when trying to reconnect after changing the pairing, etc., when there are multiple connectable imaging devices or information terminals, you may accidentally misconnect to the other party or security problems may occur. There are cases. The same problem exists in the case of making a connec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mbination of an imaging device and a device other than an information terminal.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뜻하지 않은 기기끼리가 오접속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히 통신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was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prevent unexpected devices from being erroneously connected, and to properly perform communication connection. It aims to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The data process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제1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제2 통신부는,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it i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제어부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executes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by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ith other devices, and when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a first linkage process is performed. By carrying out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by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other devices are brought into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a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 is execut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1 통신부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은, 제2 통신부에 의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lower than communi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ut is power saving.

제1 통신부는, 제2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in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the fact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has not been establish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makes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not established to a state in which it has been establish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통신부는,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in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the fact that either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not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causes either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to transition from a state not ready to execut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to a ready stat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ata process is not ready to be executed is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any one of the other devices or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off, or a program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data process is not running, or a state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data process is not started The communication unit is not functioning.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쪽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양쪽을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performs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so that even when either of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a state wher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not ready,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Transition both sides to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ready to be execut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어부는, 다른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other device is not ready to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thereby making the other device ready to execut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fulfill with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a state where it is not ready to execut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from an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ready to execut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fulfill the stat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다른 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한다.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cludes first data processing for controlling another device by operating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second data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data processing device by operating the other device.

제어부는, 제1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따라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를 제1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켜, 제2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의 조작에 따라 제1 통신부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2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When performing the first data processing,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reby shifting the other device to a state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ready to execute the first data processing. to perform second data process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moved to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ata processing is read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operation of another device. .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어부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하고, 제1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이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하고, 제1 통신부에 의해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한다. The control unit arbitrarily designates another device for perform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s a designated device, initiat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the design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is releas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signated device is designated, so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star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 중 한쪽은, 촬상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표시 단말기이다. One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other devices is an imaging device with an imaging function, and the other is a display terminal with an image display function.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에 의해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한다. The predetermined association processing includes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display terminal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display.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촬상 장치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한다.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cludes a first data processing for starting image transfer processing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n imaging device, and a second data processing for starting an image transfer processing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display terminal.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은,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S is a data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different roles cooperate to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제1 통신부는, 복수의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제2 통신부는,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on the condition that it i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제어부는,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1.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executed after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other device are brought into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by a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복수의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s a firs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data and a second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data.

제1 기기는,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first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acquired data to the second device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second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first program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il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n transmits the acquired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 to the second device.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il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the first program is moved from the stopped state to the running state. After that,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designated as a management target, and data management processing is executed by the first program.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의 기억부는,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더 기억한다. The storage unit of the second device further stores a second program for executing data receiving processing for receiving data from the first device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switches the first program and the second program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 second program is running, and then obtains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 second program is running,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performs a data reception process executed by the second program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ignal of is received, the first program is switched from a stopped state to an active state, and thereaft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designated as a management object, and data management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first program. run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로부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제1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a start notification of the first program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starting the first program from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에 대하여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이 기동 요구에 따라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When the first program cannot be started directly from the second program,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a start-up request for the first program to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in response to the start-up request, the first program The first program is switched from a suspended state to an active state according to an activation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통신부는, 제2 통신부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low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ut power saving.

제어부는, 제2 통신부의 통신에서는 제1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제1 통신부의 통신에 의해 제1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cannot activate the first program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can activate the first program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다. The data management process is a process of dividing designated data into one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managing it.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designates the data received by execution of the first program as a group management target and executes data management processing.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group information regarding a plurality of groups manageable by data management processing to the first device, and designates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Divide into groups to manage.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이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selects a predetermined group from among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s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가 기억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store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in the second device.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Each time new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t is divided into groups designated by stored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이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divid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ogether with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into groups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s them.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displays a list of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m, and transmit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operation to the second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부를 구비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providing a data sharing service on a network.

데이터 관리 처리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In the data management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s designated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다. The data sharing service is a service for classifying and sharing a plurality of data into a plurality of groups.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designates a group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when designating the received data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server to be shar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ler of the first device causes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s sharing availability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together with group selection information.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causes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cquired imag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sharing availability information together with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제2 기기의 제어부는,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server when sharing is possibl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selects a service on a plurality of different networks providing data sharing service.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a server providing the selected ser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The first device is an imag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image data by shooting.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에 의해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device, transmits the image dat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new image data is acquired in a state where the automatic transmission mode is set.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imaging device as the first device stores and updates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urrently selected group on the live view screen.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다. The second device has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제어부는, 종류에 따라, 기동의 제어를 바꾼다.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ontrol of activation depending on the typ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제1 통신부는 상시 접속된 상태이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lways connected.

제2 통신부는, 제1 통신부를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종류에 따라, 통신 접속의 확립 제어를 바꾼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changes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The communication system 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xchanges data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f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킨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if the data transmission is interrupted during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is performed to establis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resum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전송 가능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the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background so that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OS(Operating System)의 제어에 의해 중단될 때마다, 상기 한쪽의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다른 쪽의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었던 어플리를 기동하여, 중단된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during data transfer from one device to the other device, the background data transfer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other device is interrupted by OS (Operating System) control. Whenever this occurs, the app that has been transferring data from the one device to the other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started, and the interrupted data transfer is resum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연계시킴으로써,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를, 상대측의 장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어를 행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by link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predetermined control is performed between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by operations from the counterpart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신 요구를 교환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 송신을 행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image transmission requests are exchanged using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ne device has a photographing f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는,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 별로, 상이한 동작을 행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by executing shooting processing in one device,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device, an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server in the other device, and the server In the case where the device is configured to perform automatic registration to , the other device performs a different operation for each installed OS (Operating System).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ne device has a photographing f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조건 하에서, 상기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by executing shooting processing in one device,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device, an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server in the other device, and the server In the case wher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utomatic registration to the server, automatic registration to the server is performed under conditions previously set in the other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할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장치를 통하여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에 의해 상기 다른 어플리를 기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when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has a specification that cannot be linked with other applications, the other application can be started by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nother device. make up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one device has a photographing f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전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의 기억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버의 기억처를 상기 한쪽의 장치에서 기억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by executing shooting processing in one device,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device, an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in the server in the other device, and the server In the case of automatic registration to the server, a storage location in the server is selected in advance in the other device, and the storage location in the selected server is stored in the one device.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다른 쪽의 장치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여,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변화 상태에 따라 접속의 유무를 제어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when one device detects an advertising signal of the other device and performs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pairing state and advertising signal between devic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state of the device name included in .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를 소정 타이밍에서 감시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the connection state of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monitored at a predetermined timing.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감시를 행하는 장치의 전원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따라서,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의 감시의 인터벌 시간을 변화시킨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the interval time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state of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 supply of the monitoring device is ON or OFF.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설정 변경을 금지한다.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pairing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established, changing communication settings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prohibited.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쪽의 장치로부터의 의도적인 요구였던 것을 조건으로, 상기 한쪽의 장치의 전원을 ON한다. 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pairing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established, when a communication event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ccurs in one device, intentional intentional communication from the other device occurs. On the condition that the authentication request was made, the power supply of the one device is turned on.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S, under each restri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r functions of the OS (or satisfy the rules), and more effectively operate a plurality of devices in conjunction.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의 전제 조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In addi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are the following.

· Wi―Fi 통신은, 1개의 기기로 동시에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대는 복수 대 가능하며, 복수의 어플리가 쉐어하면서 Wi―Fi 통신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AP에 PC나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8대 접속하여 동시에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화상을 참조할 수 있다. ・With Wi-Fi communication, a single device can connect to a plurality of partners at the same time, and multiple applications use Wi-Fi communication while sharing. For example, by connecting eight portable terminals 2, such as PCs or smart phones, to the AP of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images of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can be view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AP[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1대만으로 구성된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AP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which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is comprised only by one unit.

· Wi―Fi 통신에 있어서,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는 보증은 없다. • In Wi-Fi communication, there is no guarantee that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will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each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background.

· 이에 대하여, BLE 통신은, 1개의 기기로 동시에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대는 복수 대가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센츄럴은 복수의 퍼리퍼럴을 접속 가능하지만, 퍼리퍼럴은 1개의 센츄럴 밖에 접속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BLE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counterparts capable of simultaneou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one device are possible. In detail, the central is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peripherals, but the peripheral is configured so that only one central can be connected.

또한, BLE 통신은, 각 어플리케이션는 자기(自己) 전용의 통신 접속을 독점할 수 있다. 즉, BLE의 물리적인 접속은 1개며, 그 물리적인 접속을 쉐어하여 독자적인 논리적인 접속을 독점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BLE communication, each application can monopolize its own dedicated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s, there is only one physical connection of BLE, and it is possible to monopolize an independent logical connection by sharing the physical connection.

· 또한, BLE 통신에 있어서,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소정 조건으로 통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BLE communication, even when each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background,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 소정 조건이란, 통신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인터벌 간격마다 행해지는 단속적(斷續的) 통신이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that intermittent communication per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 interval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ntinuing.

·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등에 의해 전파 상황이 악화되었을 경우나, iOS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CPU 파워나 메모리 영역을 내주기(free up) 위해 강제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BLE 통신을 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단하는 경우 등이 있다. 즉, 거리가 이격된 경우에는 물리적인 접속이 단절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에는, 물리적인 접속은 유지되고, 논리적인 접속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된다. ・ In cases where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radio wave situation deteriorates due to distance between devices, etc., or when iOS is forced to free up CPU power or memory area to other applications. There is a case where the operation of an application performing BLE communication in the background is stopped. That is, when the distance is separated, the physical connection is disconnected, but when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is stopped, the physical connection is maintained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logical connection is stopped.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하다. · The portable terminal 2 that is a smart phone can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ncluding application software no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가 백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실행 중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개시하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의 Wi―Fi 통신은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데이터 통신)을 실행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개시한 경우, 백그라운드의 어플리의 Wi―Fi 통신이 반드시 중단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iOS의 경우에는, 제한 시간 내이면,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phone, starts Wi-Fi communication in the foreground whil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cuting Wi-Fi communication in the background,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starts Wi-Fi communication in the foreground. Wi-Fi communication of applications related to the form may be interrupted. Also, if another application starts Wi-Fi communication in the foreground while an application is executing Wi-Fi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in the background, the Wi-Fi communica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does not necessarily stop. For example, in the case of iOS, data communication can be continued in the backgrou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time limit.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페어링되고 있는 상대와의 BLE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다른 상대와 BLE 통신을 개시하는 것은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계없는 어플리케이션이 BLE 통신을 하는 것은 가능하게 구성된다. In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when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ing BLE communication with a partner being paired in the background, another application no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foreground with another partner. It can also be configured not to initiate BLE communication. And, it is configured to enable unrelated applications to perform BLE communication.

·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Wi―Fi 통신과 비교한 경우의 BLE 통신의 상시 접속성이란, 2개의 의미가 있다. • Always-on connectivity of BLE communication compared to Wi-Fi communication in this embodiment has two meanings.

· 하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동안은, 저소비 전력 상태라도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는 의미이다. One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even in a low power consumption state as long as predetermined conditions are satisfied.

· 또 하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통신 접속이 차단된 경우라도, 접속 상대(페어링과는 조금 다른 개념 )를 변경하지 않는 한계는, 같은 상대와 용이하게 재접속할 수 있는 의미이다. ・The other is that even i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ut off due to the failure to satisfy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limit of not changing the connection partner (a slightly different concept from pairing)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nnect with the same partner. .

그리고, 일반적인 BLE의 페어링은 BLE 접속의 확립을 가리키지만,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페어링은 BLE 접속의 확립에 더하여,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의 BD 어드레스를 기록하는 것과 Wi―Fi 접속을 한 번은 확립하는(iOS의 경우에는 Wi―Fi 프로파일의 등록) 것을 포함한다.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이 BD 어드레스를 기억함으로써, BLE 단절 후의 재접속 시에 전에 접속하고 있었던 카메라와 접속 가능하게 된다. And, general BLE pairing refers to establishment of BLE connection, but pairing of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in addition to establishment of BLE connection,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records the BD address of the camera and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once (registering a Wi-Fi profile in the case of iOS). When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stores the BD address, it becomes possible to connect to the previously connected camera at the time of reconnection after BLE disconnection.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OS는, 전술한 제약 하에서 운용하는, 예를 들면, iOS의 버전(8)을 탑재하고 있다. · The OS of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for example, version 8 of iOS, which operates under the above-mentioned constraints.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제로 하므로, Wi―Fi 통신에서는 미리 통신 상대를 고정적으로 등록(페어링)해 둘 수 없게 구성할 수 있고, BLE 통신에 있어서는, 미리 통신 상대를 고정적으로 등록(페어링)해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 전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Wi―Fi를 상시 접속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으로 Wi―Fi 접속하는 상대를 기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emise, Wi-Fi communication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communication partner cannot be registered (paired) fixedly in advance, and in BL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partner can be fixed in advance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gistered (paired). In the case where power consumption is not taken into account, Wi-Fi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at all times, and Wi-Fi connection parties can be stored in an application.

BLE 사용의 장점은, Wi―Fi 접속 시의 사용자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것이며, SSID와 PW의 입력을 불필요하게 하고, 카메라인 촬상 장치(1)와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쪽인가 한쪽의 조작에 의해 Wi―Fi 접속을 할 수 있는 것에 있다. The advantage of using BLE is that the user's operation during Wi-Fi connection can be simplified, SSID and PW input is unnecessary, and either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or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connect Wi-Fi with one opera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BLE 통신은, 저소비 전력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으로서, 퍼리퍼럴[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센츄럴[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가 검출하여 접속을 개시하고, 접속을 개시한 후에는,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용의 전원의 ON와 OFF를 반복하면서 단속적 통신을 행한다. In the embodiment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BLE communication is an operation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advertising signal of the peripheral (image capture device 1 as a camera)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mobile phone as a smart phone). The terminal 2] detects and initiates connection, and after connection is initiated, intermittent communication is performed while repeating turning ON and OFF of the power supply for communi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 time intervals.

이와 같은 BLE 통신의 규약(제약)으로서,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은, 통신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지만, 어떠한 요인으로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통신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통신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 경우, 재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시 퍼리퍼럴[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과 센츄럴[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스캔으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As such a rule (restriction) of BLE communication, while the communication continues at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time, the connection state of communication is maintained, but if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time for some reason,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is released.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communication is released, in order to reconnect, it is necessary to start again from advertising of the peripheral (image capture device 1 as a camera) and scanning of the central (portable terminal 2 as a smart phone).

여기서 말하는 어떠한 요인이란, 예를 들면, 기기 사이의 거리가 이격됨으로써 전파가 약해지거나 기기의 OS(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약에 의한 것이었거나 등이 있다. Some of the factors mentioned here include, for example, radio wave weakening due to distance between devices or limitations of the OS (operating system) of devices.

OS의 제약에는, 예를 들면, iOS의 경우,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BLE 디바이스와의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CPU 파워나 메모리를 공유시키기 때문에, 연속하여 동작 가능한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BLE 통신의 실행 중이라도 접속이 중단된다. OS restrictions inclu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OS, each applica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BLE device in background execution, but since CPU power and memory are shared with other applications, the time that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is limited ,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even during BLE communication.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iOS를 전제로 하는 것의 경우에는,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iOS as a premise, when a plurality of apparatuse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a plur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is us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more effective cooperative operation. are doing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BLE를 전제로 하는 것 경우에는,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 저소비 전력의 통신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BLE as a premise,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using communica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linked operation more effectively are doing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BLE와 Wi―Fi를 연계시킴으로써,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한쪽의 조작만으로 다른 쪽의 기동이나 제어를 행한다. 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linking BLE and Wi-Fi, an image capture device 1 as a camera is transferred to a portable terminal 2 as a smart phone, and an image capture device 1 as a camera is transferr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as a smartphone. ), the activation or control of the other is performed only with the operation of one sid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신 요구를 교환하여,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실제의 화상 송신을 행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mage transmission requests are exchanged using BLE communication, and actual image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Wi-Fi communication.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OS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변화시킨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captured image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a cloud album via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just by taking a picture with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the mobi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Depending on the OS type,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is chang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미리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 측에 설정하여 둔 조건 하에서 클라우드 앨범으로의 자동 등록을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captured image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a cloud album via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just by taking a picture with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in advance Automatic registration to the cloud album can be performed under conditions set on the sid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는 다른 어플리와 연계할 수 없기 때문에, 카메라인 촬상 장치(1)를 통하여 BLE에 의해 다른 어플리를 기동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 that is a smart phone activates another app by BLE via the imaging device 1 that is a camera because the app running in the background cannot be linked with other apps.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사전에 등록해야 할 앨범을 카메라인 촬상 장치(1) 측에서 선택하고, 이 선택 정보를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기억시켜 둔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captured image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a cloud album via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just by taking a picture with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the album to be registered in advance is set to the camera. Selection is made on the side of the image capture device 1, and this sele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여 BLE 접속(재접속)을 행하는 경우에, 페어링 상태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변화 상태에 따라 접속의 유무를 제어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detects an advertising signal of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and performs a BLE connection (reconnection), the pairing state and adverti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state of the device name included in the signal.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대한 데이터 전송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동작이 iOS의 제어에 의해 중단될 때마다,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BLE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재차 기동하여, 중단된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uring data transmission from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to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 phone, whenever the background operation of an application is interrupted by the control of iOS,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 the application is started again by BLE, and the interrupted data transmission is resum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자체의 전원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따라서, BLE의 접속 감시의 인터벌 시간을 변화시킨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changes the BLE connection monitoring interval time according to whether its own power supply is in an ON state or an OFF stat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BLE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서는, Wi―Fi의 설정 변경을 금지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serving as a camera prohibits changing Wi-Fi settings in a state in which BLE pairing has been established.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BLE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서, BLE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의도적인 요구였던 것을 조건으로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전원을 ON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when a BLE event occurs in a state in which BLE pairing is established, on the condition that there is an intentional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2, which is a smartphone The power supply of the imaging device 1 which is a camera is turned on.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Incident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ations, improvements, and the like within a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기기는,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2)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태블릿(tablet) 단말기, PC(Personal Computer), 다른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 또는 서버라도 된다. 또한, 통신 방식은 근거리형 통신의 NFC(Near Field Co㎜unication), 공중 회선 등 다른 무선 통신이라도, 또한 유선이라도 되고, 송신처는 복수라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the portable terminal 2 composed of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for example, a tablet terminal, a PC (Personal Computer), and other digital cameras. I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or a serve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ublic line,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may be plural or may be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 단말기(2)는 스마트 폰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mage capturing device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described as a digital camera and the mobile terminal 2 is a smart phone, but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전술한 처리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lly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having the processing function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to notebook-type personal computers, printers, television receivers, video cameras, portable navigation device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ortable game machines, and the like.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When a series of processes are executed by software, a program constituting the software is installed from a network or a recording medium to a computer or the like.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The computer may be a computer incorporated in dedicated hardware. Further, the computer may be a computer capable of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y installing various programs,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personal computer.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3의 착탈 가능 매체(31)에 의해 구성될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착탈 가능 매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Blu―ray(등록상표) disc(블루 레이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3의 ROM(12)이나, 도 3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uch a program is constituted by the removable medium 31 of FIG. 3 that is distribut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device to provide the program to the user, and is pre-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program. It is composed of provided recording media and the like. The removable medium 3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magnetic disk (including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disk, or the like. Optical discs are composed of, for example, CD-ROM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registered trademark) disc (Blu-ray Disc), and the like. The magneto-optical disk is constituted by MD (Mini-Disk)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provided to the user in a pre-embedded state in the device body is, for example, the ROM 12 of FIG. 3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hard disk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19 of FIG. 3, etc. It consists of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記述)하는 스텝은,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Incident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step of describing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is executed in parallel or individually, not necessarily in chronological order, as well as processing perform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order. It also includes processing.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ystem" means an overall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evices or a plurality of means.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other various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such as omission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gis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like, and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 입력부, 출력부, 기억부,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등을 전자 회로로 구성하고, 촬상 제어부, 통신 제어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페어링 상황 판정부,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 등을 소프트 웨어(RAM 또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실행시키는)로 실현하고 있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ing unit, the input unit, the output unit, the storage un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are constituted by electronic circuits, and the imaging control unit, communication control unit, application management unit, pair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ad The butting signal generation unit and the like are realized with software (a program stored in RAM or ROM is executed by the CPU).

그러나,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소프트 웨어로 실현하거나, 소프트 웨어로 실현되고 있는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전자 회로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However, some or all of the various functions constituted by electronic circuits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some or all of the various functions realized by software may be constituted by electronic circuits.

Claims (46)

다른 기기(機器)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 및
상기 다른 기기에서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제2 기기에 대해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에,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When data transmission with the other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execut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nd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the a control unit which executes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fter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apparatus are shifted 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pparatus by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data;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a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n the other device is in a stopped state; After that,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acquired data to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Data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은,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muni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lower than communi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ut power saving is possib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intain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the fact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control unit causes a transition from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not established to an established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 data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devic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the fact that either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not ready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The control unit,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oves either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from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not ready to a state in which it is ready.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at makes the tran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 또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tate of not being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means that the power supply of any one of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off, or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not running. or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not functio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쪽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양쪽을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performs predetermined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so that even when either of the other device or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a state wher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not ready, the other device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causes both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s to transition to a state in which they are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other device is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not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ther device to make the other device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 fulfill the status quo,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a state where it is not ready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set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shifts to a ready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다른 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cludes first data processing for controlling another device by operating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second data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data processing device by operating the other device;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irst data process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ready to execute the first data processing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ther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to fulfill,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econd data processing,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operation of the other devic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ata processing is ready to be executed.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at makes the tran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하고,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상기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rbitrarily designating another device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s a designated device;
Initi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establishing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released;
The data processing device cause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initiat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devic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pecifying the designated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 중 한쪽은, 촬상(撮像)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표시 단말기이며,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상기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7,
One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is an imaging device having an image pickup function, and the other is a display terminal having an image display functio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includes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o the display terminal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displ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상기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 includes a first data process for starting the image transfer process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imaging device and a second data process for starting the image transfer process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display terminal. processing unit.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대해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에,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 data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different roles cooperate to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and
When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executed by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a control unit which executes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fter th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brought in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pparatus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 a firs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data and a second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data;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the acquired data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switching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 predetermin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reafter, acqui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send to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il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the first program is switched from a stopped state to an active state, and and then designa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s a management target and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by the first program.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switch a second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receiving data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 second program is running, a predetermin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n the acquired data is stored. transmitting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In a state wher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 second program is running, data receiving processing executed by the second program send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ignal of is received, the first program is switched from a stopped state to an active state, and thereaft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designated as a management target and stored in the first program. A data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data management processing by means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기동 요구에 따라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when a request for starting the first program is received from a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notification for starting the first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When the first program cannot be started directly from the second program, an activation request for the first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device is sent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quest. and switches the first program from a suspended state to an active state by an activation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의 통신에서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 통신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low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ut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The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cannot activate the first program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can activate the first program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data management process is a process of dividing designated data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managing it;
The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designates data received by execution of the first program as a group management target and executes data management proces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시키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Group information regarding a plurality of groups manageable by the data management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and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s divided into groups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manage,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and selecting a predetermined group from among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의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7,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storing group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in a storage unit of the second device;
A data processing system that divides into groups designated by stored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s them whenever new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그룹 선택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7,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A data processing system configured to divid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ogether with group selection information into groups designated by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nd manage the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표시부에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7,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and displaying a list of a plurality of groups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on a display unit so that a user can select them, and transmitting group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 user operation to the second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second device,
A thir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server providing a data sharing service on a network;
wherein the data management process includes a process of designat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erver via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1,
The data sharing service is a service for classifying and sharing a plurality of data into a plurality of groups,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ates a group specified by group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when designating received data as a sharing target and transmitting to the server for shar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상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A data processing system which causes a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an acquired image, and transmits sharing availability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together with the group selection informa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1,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causing a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hare the acquired image, and a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sharing availability information to a second device together with group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When sharing is possible, the data processing system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ser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select a service on a plurality of different networks providing a data sharing service;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A data processing system that transmits received data to a server providing a selected ser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device,
A data processing system, which is an imag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image data by shooting.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5,
The control unit of th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new image data is acquired in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 transmission mode is se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5,
The control unit of the imaging device, which is the first device,
remembers and updates group selection information;
A data processing system that displays a currently selected group on a live view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종류에 따라, 상기 기동의 제어를 변경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second device i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The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changes control of the startup according to the typ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시 접속된 상태이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통신부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종류에 따라, 상기 통신 접속의 확립 제어를 변경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9,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lways connecte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lso,
and changing control of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the ki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처리;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처리; 및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처리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
를 실행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처리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대해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에,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처리를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2 통신 처리를 통해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방법.
A data processing method executed by a data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different roles cooperate to perform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omprising:
first communication processing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second communication proces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and
When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s executed by performing data transfer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0014] [0012] In this, after th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transition 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control step that executes
including,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 a firs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cquiring data and a second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data;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transmits the acquired data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cessing;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switching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between a stopped state and an active state;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evice also,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 predetermin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thereafter, acqui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cessing. 2 Send to the device,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also,
switching the first program from a stopped state to an active state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rocessing while the first program of the second device is stopped; and then designa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cessing as a management target and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by the first program.
삭제delete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기능;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기능;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 기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기능; 및
상기 다른 기기에서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상기 제1 통신 기능을 통해 제2 기기에 대해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에,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제어 기능
을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Causes a computer that controls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a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re no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capable of executing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a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maintained on condition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is present;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with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to execut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nd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cannot be executed due to not being i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a control function that executes the predetermined linkage processing after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other device transition 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state by performing predetermin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an acquisition function to acquire data;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when a first program for executing data management processing for managing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in the other device is in a stopped state; , thereafter, 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acquired data to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executes.
삭제delete
KR1020160012284A 2015-02-04 2016-02-01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KR1025243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0704 2015-02-04
JP2015020704 2015-02-04
JP2015056243 2015-03-19
JPJP-P-2015-056242 2015-03-19
JPJP-P-2015-056243 2015-03-19
JP2015056242 2015-03-19
JPJP-P-2015-216559 2015-11-04
JP2015216558A JP6217731B2 (en) 2015-02-04 2015-11-04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JP-P-2015-216558 2015-11-04
JP2015216559A JP6278031B2 (en) 2015-02-04 2015-11-04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25A KR20160096025A (en) 2016-08-12
KR102524304B1 true KR102524304B1 (en) 2023-04-20

Family

ID=570083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91A KR102538118B1 (en) 2015-02-04 2016-02-01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KR1020160012284A KR102524304B1 (en) 2015-02-04 2016-02-01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91A KR102538118B1 (en) 2015-02-04 2016-02-01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6217731B2 (en)
KR (2) KR102538118B1 (en)
CN (1) CN11108368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3397B2 (en) * 2016-08-12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CN106652115B (en) * 2016-09-30 2018-04-06 广东京奥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ideo Gate-ban Monitoring System based on server platform
JP6737126B2 (en) * 2016-10-21 2020-08-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Cooper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operation method, and cooperation program
WO2018105422A1 (en) * 2016-12-06 2018-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hereupon program is stored
JP6971733B2 (en) * 2017-09-13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407241B2 (en) * 2016-12-06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932781B2 (en) * 2016-12-09 2021-09-0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Methods and terminal devices for establishing hotspot connections
JP6976689B2 (en) * 2017-01-26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US10754540B2 (en) * 2017-04-24 2020-08-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Imag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210020B1 (en) * 2017-06-29 2021-02-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891072B2 (en) * 2017-08-09 2021-06-1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7024281B2 (en) * 2017-09-25 2022-02-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Controlled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92825B2 (en) * 2017-12-19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140538B2 (en) * 2018-04-26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JP7059120B2 (en) * 2018-06-25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22190B2 (en) * 2018-07-12 2023-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rograms
JP7135578B2 (en) * 2018-08-20 2022-09-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client device and host device
JP7052641B2 (en) * 2018-08-27 2022-04-12 村田機械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323656B1 (en) * 2019-06-04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home appliance
KR20240045640A (en) * 2022-09-30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traveling in a specific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516A (en) * 2002-02-19 2003-08-29 Sony Corp Imaging system, imaging device, and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maging
JP2007306201A (en) * 2006-05-10 2007-1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771B2 (en) *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409451B1 (en) * 2003-05-30 2008-08-05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Switching between connectivity types to maintain connectivity
EP1736010B1 (en) * 2004-03-30 2013-09-11 Kinoma, Inc Interface negotiation
JP4275027B2 (en) * 2004-06-30 2009-06-1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Headset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1813063A4 (en) * 2004-11-19 2009-08-12 Stevens Inst Technology Multi-access terminal wiht capability for simult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JP4612865B2 (en) * 2005-05-2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20037A (en) * 2005-07-11 2007-01-25 Nikon Corp Electronic camera
US8559350B2 (en) * 2005-12-20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sm to convey discovery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862933B1 (en) * 2007-02-09 2008-10-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ontents processing device, contents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ontents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in
JP5334184B2 (en) * 2009-05-22 2013-11-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9912568B2 (en) * 2009-06-24 2018-03-06 Provenance Asset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roken path in peer-to-peer network
JP2011211391A (en) * 2010-03-29 2011-10-20 Nikon Corp Photography request terminal, imag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of photography request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of imaging apparatus
CN102404093A (en) * 2010-09-10 2012-04-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Management method of data transmission modes and data transmission equipment
US20120240062A1 (en) * 2011-03-14 2012-09-20 Celly, Inc. Text-based messaging application cloud
US9548869B2 (en) * 2011-04-08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asting using personal area network “pan” wireless technology
WO2013118487A1 (en) * 2012-02-08 2013-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TW201243604A (en) * 2012-07-11 2012-11-0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Data transfer method
CN108173574B9 (en) * 2012-10-19 2021-11-12 华为终端有限公司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file transmission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CN102984393B (en) * 2012-12-12 2015-06-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file transmiss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
JP5796789B2 (en) * 2012-12-20 2015-10-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ireless terminal i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by wireless terminal
JP6062239B2 (en) * 2012-12-27 2017-01-18 株式会社ザクティ Electronics
JP5792753B2 (en) * 2013-01-18 2015-10-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operation state transition method
US9204353B2 (en) * 2013-03-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only tune-away
US9408149B2 (en) * 2013-03-18 2016-08-02 Mediatek Inc.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traffic for multip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JP2014207650A (en) * 2013-03-21 2014-10-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JP6335437B2 (en) * 2013-04-26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245843B2 (en) 2013-05-21 2017-12-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Camera operation terminal,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program
GB2514816A (en) * 2013-06-05 2014-12-10 Nordic Semiconductor Asa Digital radio communication
JP6330265B2 (en) * 2013-06-24 2018-05-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5755347B2 (en) * 2014-02-20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IT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3916975A (en) * 2014-04-11 2014-07-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516A (en) * 2002-02-19 2003-08-29 Sony Corp Imaging system, imaging device, and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maging
JP2007306201A (en) * 2006-05-10 2007-1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118B1 (en) 2023-05-26
JP2016174347A (en) 2016-09-29
JP2018038081A (en) 2018-03-08
JP6278031B2 (en) 2018-02-14
CN111083685A (en) 2020-04-28
JP6669151B2 (en) 2020-03-18
KR20160096026A (en) 2016-08-12
JP2016174348A (en) 2016-09-29
JP6217731B2 (en) 2017-10-25
CN111083685B (en) 2023-12-05
KR20160096025A (en)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304B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US1105089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lurality of apparatuses linking
KR101993616B1 (en) Using bluetooth low energy lan access point detection notification
US982602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8948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in a selected procedur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ocedures to establish wireless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6015537A (en) Communication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RU2635282C2 (en)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JP641523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US1014282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b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512212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0512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604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6178638A (en) Imaging devic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877999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JP63868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JP7097694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JP7490352B2 (en) COMMUNICATION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ITS PROGRAM
US1150365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7085518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JP2023125841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1078002A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hereof
JP2019193069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19106651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