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89B1 -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89B1
KR102524289B1 KR1020170133283A KR20170133283A KR102524289B1 KR 102524289 B1 KR102524289 B1 KR 102524289B1 KR 1020170133283 A KR1020170133283 A KR 1020170133283A KR 20170133283 A KR20170133283 A KR 20170133283A KR 102524289 B1 KR102524289 B1 KR 10252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valuation
driving
server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721A (ko
Inventor
이지아
한지민
박정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2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은, 주행 중인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인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Nearby vehicles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주변 차량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차량에 대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무선통신 기술인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이 확대되고 있다.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무선통신 기술과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 등의 기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주로 차량 보안이나 상태 등에 대한 경고, 외부 신호등 시스템, 장애물과의 거리 및 충돌을 경고하는 등 차량 경고음을 알리는 장치에 적용된다. 또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차량 추적 등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차량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도 포함한다.
한편, 주행 중에 주변 차량에 대한 주행 정보,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운행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주변 차량의 예상할 수 없는 이상 행동은 교통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차량이 비상등을 켜지 않고 급 브레이크를 밟는 성향이 강한 경우, 옆 차선의 차량이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고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하는 성향이 강한 경우 등의 상황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차량으로 주변 차량에 대한 주행 정보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차량에 대한 정보를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아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선행하여 주변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를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 받음으로써 잠재적인 위험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를 수행하고, 주행 평가를 수행한 자차량를 포함한 주행 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타차량도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평가 결과에 따라 잠재적인 위험 차량으로 판단된 차량이 자차의 주행 경로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하여 위험을 피하도록 할 수 있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은, 주행 중인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인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차량이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 평가 결과는,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해 상기 개별 주행 평가 및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이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상기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차대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음성 인식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메모리에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상기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가 포함된 개별 주행 평가를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별 주행 평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평가 서버의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 기록 또는 상기 범칙금 기록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점수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곱하여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차량으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증가시키거나,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 성향 점수는, 상기 제2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가속 패턴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차량에 부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모듈;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상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 평가 결과는,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해 상기 개별 주행 평가 및 상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이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 인식 센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 인식 센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상기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차대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입력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인식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전송하기 이전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상기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가 포함된 개별 주행 평가를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별 주행 평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평가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하고,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기록 또는 상기 범칙금 기록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점수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곱하여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제3 차량으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증가시키거나,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며,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행 성향 점수는, 상기 제2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가속 패턴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차량에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타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방법, 주행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 검증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보상 방법를 포함하여 신뢰성이 인정되는 체계적인 지속적으로 차량 평가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타차량 주변의 주행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 타차량의 운전 성향, 타차량의 운전 습관에 대해 미리 인지할 수 있어, 타차량에 대한 사전 방어 운전 또는 회피 운전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타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를 타차량 자신도 확인할 수 있어 주행 습관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켜 운전자 스스로 안전 운전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타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를 주행 중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주행 평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자차량 및 차량 평가 서버 및 평가 대상 차량인 타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이 포함하는 평가 과정, 검증 과정 및 활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차량에서 수행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중 평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평가 서버에서 수행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중 검증 과정 및 활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자차량, 차량 평가 서버 및 평가 대상 차량인 타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차량(110)은 자차량(110)의 전후좌우에 위치하거나 또는 자차량(110)으로부터 제1 거리(120)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주변 차량(121 내지 124 및 140) 중 선택된 타차량(123)에 대해서 주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자차량(110)은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차량 평가 서버(130)는 평가 대상인 타차량(123)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주행 평가 결과는 평가 대상이 되는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정보일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는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된 타차량(123)이 자차량(110)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자 차량(110)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는 주행 평가 결과와 함께 주행 성향 점수도 고려하여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행 성향 점수는 타차량(123)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타차량(123)이 타차량(123)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타차량(123)의 가속 패턴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타차량(123)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타차량(123)에 부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평가 서버(13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타차량(123)의 사고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평가 결과 또는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평가 서버(130)는 타차량(123)에 탑승한 운전자의 현재 상황 정보도 고려하여 주행 평가 결과 또는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현재 상황 정보는 타차량(123)의 운전자가 실제 위험하게 운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차량(123)의 운전자가 주행 중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타차량(123)의 운전자가 급가감속하는 횟수가 일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등의 급가감속 경향을 보이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130)는 현재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주행 평가 결과 또는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평가 서버(130)는 타차량(123)에 대한 복수의 주행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누적된 주행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대표값을 지시하는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타차량(123)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행한 자차량(110) 뿐만 아니라, 개별 주행 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제3 차량(140) 역시 차량 평가 서버(130)로 주행 평가 결과에 대한 요청을 통해 타차량(123)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는 주행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여 산출할 수 있고, 자차량(110) 또는 제3 차량(140)은 차량 평가 서버(130)로 타차량(123)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요청하여, 주행 평가 결과에 따라 타차량(123)을 회피하거나 타차량(123)과의 차간 거리를 멀리하는 등의 방어 운전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차량(110)이 타차량(123)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차량 평가 서버(130)으로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타차량(123)에 대한 점수화된 주행 평가 결과가 최고 점수 대비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자차량(110)은 타차량(123)을 잠재적으로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타차량(123)을 회피하여 운전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는 타차량(123)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차량(123)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에 따라 잠재적인 위험성을 내포한 차량으로 평가한 차량의 주변 차량에 대해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는 텔레매틱스 서버일 수 있으며, 자차량(110) 및 타차량(123)을 포함하는 주변 차량(121 내지 124, 140)은 텔레매틱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포함되는 텔레매틱스 모듈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텔레매틱스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평가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과 차량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텔레매틱스 모듈은 네비게이션 모듈(도면 미도시)로부터 목적지에 관련된 정보 및 주행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기 각각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상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모듈은 AVN 시스템을 중간 매체로 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주행 상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시간 정보, 차량의 주행 이동 거리 정보,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 차량에 장착된 기울기 센서의 정보 등)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제공 받은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가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는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차량의 고유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주행 전/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평가 서버(130)가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는 운전자(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장치/기능의 조작을 도울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130)가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는 차량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이면 족하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으로부터의 특정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에 따라 차량으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서버는 운전자가 차량 탑승 시 소지하는 휴대 단말과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휴대 단말은 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휴대 단말은 무선 통신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차량 또는 텔레매틱스 서버와 연동할 수 있으며, 텔레매틱스 서버는 휴대 단말과의 직접 적인 무선 통신 연결 또는 차량과 휴대 단말 사이 연결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차량 내에서 운전자의 휴대 단말 사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평가 서버(130)은 차량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내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 평가 서버와 차량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이 포함하는 평가 과정, 검증 과정 및 활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은 크게, 차량에 의해 수행되는 평가 과정(S210), 차량 평가 서버에서 수행되는 검증 과정(S220) 및 활용 과정(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이하, "제1 차량"이라 칭함)은 평가 대상인 차량(이하, "제2 차량"이라 칭함)에 대해 주행 평가를 수행하기 이전에 먼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고(S211), 인식된 주변 차량 중에서 주행 평가 대상이 되는 제2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S212).
제1 차량은 전면, 후면, 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자신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위치하여 카메라에 의해 영상 인식되는 주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차량은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각각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주변 차량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차량 번호를 매칭시킬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제1 차량은 주행 평가를 수행할 평가 대상인 제2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차량은 인식된 주변 차량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차량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리스트 중 하나의 차량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차량은 시선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및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 신호는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 음성 인식 장치 및 터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제1 차량은 평가 대상으로 선택된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S213). 개별 주행 평가는 제1 차량에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평가 보기는 운전자가 주행 중 특정 상황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지시하는 용어 또는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보기는 "고마워요", "좋아요", "싫어요", "위험해요" 등과 같이 운전자의 감정을 직관적으로 지시하는 언어일 수 있다.
제1 차량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입력되는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로서 평가 보기 중 선택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14).
제1 차량은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기 이전에, 개별 주행 평가를 제1 차량에 장착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제2 차량의 차량 번호 또는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식별 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의 총칭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차량은 암호돠된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제1 차량으로부터 전송 받은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의 내부 또는 외부의 개별 주행 평가 DB(database)에 저장할 수 있다(S221).
차량 평가 서버는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치화하여 평가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S222). 적어도 하나의 평가 보기 각각에 대해서는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마워요"에 대해서는 최고점인 10점이 부여될 수 있고, "좋아요"에 대해서는 7점, "싫어요"에 대해서는 4점, "위험해요"에 대해서는 1점이 부여될 수 있다. 제1 차량이 제2 차량에 대해서 평가 보기 중 "좋아요"를 선택하여 개별 주행 평가를 수행한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제2 차량에 대해서 평가 점수를 7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제1 차량에 의해 수행된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S213).
신뢰성 검증을 위해, 차량 평가 서버는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는 차량 평가 서버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외부의 보험사 또는 경찰서 서버일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제1 차량에 의한 주행 평가와 실제 위험한 운전 행태를 기록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비교하여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평가 서버는 개별 주행 평가가 "위험해요"이며, 평가 점수가 1점으로 산출된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이 기 설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싫어요"로 개별 주행 평가를 받은 제2 차량에 대해 신호 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범칙금 기록이 기 설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위험해요"로 개별 주행 평가를 받은 제2 차량에 대해 신호 위반으로 범칙금 기록 또는 사고 기록이 전혀 없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위험해요"인 개별 주행 평가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점수에 대해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만큼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 점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점수에 대해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만큼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부여할 수 있고,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개별 주행 평가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만큼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부여되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신뢰도가 높은 주행 평가를 수행한 제1 차량에 대해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S225).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한 보상은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반대로, 개별 주행 평가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만큼 낮은 가중치가 부여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부여되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신뢰도가 낮은 주행 평가를 수행한 제1 차량에 대해 벌칙(penalty)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한 벌칙은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점수 및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S224).
활용 과정(S230)에서, 차량 평가 서버는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231). 주행 성향 점수는 평가 대상인 제2 차량의 실시간 주행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성향 점수는 현재 제2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현재 제2 차량이 제2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현재 제2 차량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현재 제2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차량에 대해 부여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주행 평가 결과만으로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주행 평가 결과 및 주행 성향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S232).
실시예로, 차량 평가 서버는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예를 들어, 6점) 이하이면,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 평가 서버는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잠재 위험 차량이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S233의 "예"경로), 차량 평가 서버는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거나 안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34).
차량 평가 서버는 잠재위험 차량이 주행경로에 위치하는지 판단함에 있어 제2 차량의 현재위치, 즉 주행경로의 상황을 고려하여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차량이 교차로 또는 고속도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일반도로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때 보다 낮은 점수를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량이 고속도로에 있을 경우, 잠재 위험 차량으로 평가 받을 경향이 높을 수 있다.경로 신호를 수신한 제1 차량은 잠재 위험 차량을 회피하여 운행하는 등의 방어 운전을 미리 수행하여 안전 운전을 의도할 수 있다.
한편, 평가를 직접 수행한 제1 차량, 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제3 차량뿐만 아니라, 평가 대상인 제2 차량도 개별 주행 평가 또는 주행 평가 결과를 조회하기 위한 요청을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S235),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차량 평가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개별 주행 평가 또는 주행 평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차량에서 수행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중 평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변 차량 평가를 직접 수행하는 자차량은 자신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주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S310).
자차량은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 인식 센서는 카메라, 레이더, 적외선 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차량은 자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자차량은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고, 차량 번호를 인식된 차량과 대응시켜 주변 차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차량은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자차량은 주변 차량으로부터 각각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대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전송 받을 수 있고, 차대 번호를 차량 번호와 매칭시켜 주변 차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차량과 주변 차량은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상태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차량과 주변 차량은 V2V(Vehicle to Vehicle)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자차량은 V2V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속도 정보 또는 교통 상황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차량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는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의 다양한 전장품 시스템들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한 자차량은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S320).
자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인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 인식 장치는 운전자의 시선을 인식할 수 있고, 운전자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시선이 향하는 영역을 인식하여 주변 차량 중 어느 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전면 유리(wind shield glass)일 수 있고, 시선 인식 장치를 통해 운전자는 전면 유리의 특정 영역을 바라봄으로써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운전자가 개별 주행 평가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자차량은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S330).
개별 주행 평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평가 보기는 주행 시 운전자의 직관적인 감정을 지시하는 언어일 수 있으며, 자차량은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평가 보기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의해 평가 보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 주행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자차량은 입력 받은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40).
자차량은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개별 주행 평가를 전송하기 이전에 입력 받은 개별 주행 평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평가 대상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텔레매틱스 모듈은 암호화된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가 포함된 개별 주행 평가를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평가 서버에서 수행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중 검증 과정 및 활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차량으로부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개별 주행 평가를 저장할 수 있다(S410).
차량 평가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차량으로부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는 복수일 수 있으며, 차량 평가 서버는 복수의 개별 주행 평가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개별 주행 평가의 대표값을 산출하여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420).
실시예에 따라,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는 차량 평가 서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차량 평가 서버 외부의 보험사 서버 또는 경찰서 서버일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개별 주행 평가, 사고 기록, 범칙금 기록을 이용하여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S430).
차량 평가 서버는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개별 주행 평가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사고 기록 또는 상기 범칙금 기록을 고려하여 신뢰도를 검증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차량에 의한 주행 평가와 실제 위험한 운전 행태를 기록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비교하여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평가 서버는 개별 주행 평가가 "위험해요"이며, 평가 점수가 1점으로 산출된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이 기 설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위험해요"로 개별 주행 평가를 받은 제2 차량에 대해 신호 위반으로 범칙금 기록 또는 사고 기록이 전혀 없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위험해요"인 개별 주행 평가의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부여할 수 있고,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하는 개별 차량 평가에 대해서 차량 평가 서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부여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점수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곱하여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은 평가 차량의 평가와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440). 주행 성향 점수는 평가 대상 차량의 실시간 주행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성향 점수는 현재 평가 대상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현재 평가 대상 차량이 평가 대상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현재 평가 대상 차량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현재 평가 대상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주행 성향 점수가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해 부여될 수 있다.
차량 평가 서버는 주행 평가 결과만으로 평가 대상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주행 평가 결과 및 주행 성향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S450).
차량 평가 서버는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 이하이면, 평가 대상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 평가 서버는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잠재 위험 차량이 평가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차량 평가 서버는 평가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거나 안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50).
경고 신호를 수신한 제1 차량은 잠재 위험 차량을 회피하여 운행하는 등의 방어 운전을 미리 수행하여 안전 운전을 의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1)

  1. 주행 중인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인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 차량 판단을 위해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하는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평가 서버가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서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서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서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 차량이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평가 결과는,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해 상기 개별 주행 평가 및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이 고려되어 산출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상기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차대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음성 인식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 상기 제1 차량에 장착된 메모리에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상기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가 포함된 개별 주행 평가를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주행 평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평가 서버가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서 상기 사고 기록 또는 상기 범칙금 기록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점수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곱하여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3 차량으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증가시키거나,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 성향 점수는,
    상기 제2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가속 패턴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차량에 부여되는,
    주변 차량 평가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주행 중인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평가 대상 차량을 제2 차량으로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 차량 판단을 위해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하는 개별 주행 평가를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모듈;
    을 포함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개별 주행 평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평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상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요청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평가 결과는,
    상기 차량 평가 서버에 의해 상기 개별 주행 평가 및 상기 평가 대상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이 고려되어 산출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센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센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상기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차대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입력 장치;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시선 인식(eye-tracking) 장치;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중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인식 장치;
    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전송하기 이전 상기 개별 주행 평가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상기 개별 주행 평가에 포함된 상기 제2 차량의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차량 번호판 또는 차대 번호가 포함된 개별 주행 평가를 상기 차량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주행 평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평가 보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사고범칙금 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사고 기록 또는 범칙금 기록을 더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기록 또는 상기 범칙금 기록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점수에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을 곱하여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제3 차량으로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증가시키거나,
    상기 평가 신뢰 가중치 비율이 기 설정 기준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전자 화폐 정보를 기 설정량만큼 감소시키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30. 삭제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상기 주행 평가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점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주행 성향 점수가 제2 점수 이상이면, 상기 제2 차량을 잠재 위험 차량으로 판단하며,
    상기 잠재 위험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 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행 성향 점수는,
    상기 제2 차량이 신호 위반 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제2 차량의 선행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가속 패턴이 급가속 패턴 또는 급제동 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2 차량에 부여되는,
    주변 차량 평가 장치.
KR1020170133283A 2017-10-13 2017-10-13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52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83A KR102524289B1 (ko) 2017-10-13 2017-10-13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83A KR102524289B1 (ko) 2017-10-13 2017-10-13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21A KR20190041721A (ko) 2019-04-23
KR102524289B1 true KR102524289B1 (ko) 2023-04-21

Family

ID=6628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83A KR102524289B1 (ko) 2017-10-13 2017-10-13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9926A (zh) 2020-12-02 2023-09-05 花王株式会社 水包油型乳化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4763A (ja) * 2006-06-16 2007-12-27 Honda Motor Co Ltd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車両、車両周辺監視プログラム、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の構成方法、およびサーバ
JP2016179164A (ja) * 2015-03-23 2016-10-13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ディスプレイ装置、車両及びディスプレ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13B1 (ko) * 2006-07-10 2008-12-05 (주)컨피테크 운전자의 운전지수를 이용하는 운전 유형 분석 시스템 및그 운전 유형 분석 방법
KR101054447B1 (ko) * 2009-12-21 2011-08-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통신 장치 및 차량 간 통신 시스템
KR20160029156A (ko) * 2014-09-03 2016-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의 이동 경로 추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4763A (ja) * 2006-06-16 2007-12-27 Honda Motor Co Ltd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車両、車両周辺監視プログラム、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の構成方法、およびサーバ
JP2016179164A (ja) * 2015-03-23 2016-10-13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ディスプレイ装置、車両及びディスプレ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21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01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ular-related communications
US11756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ehicle pedestrian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US110237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route determination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EP3786018B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5231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collisions
US10776735B2 (en) Ris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device
CN111361552B (zh) 自动驾驶系统
US10640111B1 (en) Speed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CN111547043A (zh) 通过自主车辆自动响应紧急服务车辆
JP6984312B2 (ja) 車載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3074867A2 (en) Insurance tracking
KR102492637B1 (ko) 주행 성향 분석 방법, 주행 성향 분석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US20190370862A1 (en) Apparatus for setting advertisement time slot and method thereof
KR20180126219A (ko) 운전 가이드 방법 및 그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20521978A (ja) 安全ルート決定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CN112542052A (zh) 用于警告未受保护的交通参与者的方法
CN114103983A (zh) 用于对车辆中的驾驶员警告进行优先级排序的系统和方法
KR102524289B1 (ko) 주변 차량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92320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route determination
KR20230016163A (ko) 자율주행 차량에서 사용자 경고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558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4348014A (zh) 车道偏离预警方法、装置、车辆和介质
JP2019096137A (ja) 信号機認識装置
McCormick et al. The changing car: New vehicle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