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979B1 -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979B1
KR102522979B1 KR1020210156496A KR20210156496A KR102522979B1 KR 102522979 B1 KR102522979 B1 KR 102522979B1 KR 1020210156496 A KR1020210156496 A KR 1020210156496A KR 20210156496 A KR20210156496 A KR 20210156496A KR 102522979 B1 KR102522979 B1 KR 10252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box
control valve
pipe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미
Original Assignee
김승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미 filed Critical 김승미
Priority to KR102021015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18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폐차(1)의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추출제어밸브(11)가 설치되어 있는 추출관(10)과; 상기 추출관(10)이 상부에 연결되어 추출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류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제어벨브(21a)가 구비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는 액상류저장함(20)과; 일측 단부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진공펌프(31)가 연결되어 있어 진공펌프(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흡입압을 발생시켜 추출관(10)을 통해 폐차(1)의 액상류로 하여금 액상류저장함(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도출제어밸브(32) 및 3방제어밸브(33)가 설치되어 있는 흡입관(30)과; 일측이 상기 3방제어밸브(3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압축기(41)가 연결되어 있어 3방제어밸브(33)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저장함(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를 배출관(21)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압축공기공급관(40)과;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추출관(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의 튀어오르는 현상 및 기포 발생 현상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완충장치(51)가 설치되어 있는 인입파이프(5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액상류가 진공펌프(3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체거름장치(6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상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액체거름장치(6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상부레벨스위치(7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하부 수위를 감지하는 하부레벨스위치(80)와;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 상부레벨스위치(70), 하부레벨스위치(80), 진공펌프(31) 및 공기압축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레벨스위치(70) 및 하부레벨스위치(80)로부터 수득된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의 개폐, 진공펌프(31)와 공기압축기(41)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액상류저장함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류의 배출시 배출펌프를 활용하지 않고도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출펌프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유지, 보수, 교체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APPARATUS FOR LIQUID COLLECTING OF DISUSED CAR}
본 발명은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류 회수 시 액상류가 진공펌프로 흡입되어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 동절기 배출펌프의 가동시간 증가로 인해 펌프의 불량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자동차에서 회수되는 액상류는 엔진 오일, 미션 오일(자동, 수동), 파워스티어링오일, 냉각수, 워 셔액, 브레이크 오일, 연료 등이 있다.
최근 국내의 자동차 교환 주기가 짧아지면서 특별한 결함이 없는 자동차도 폐자동차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자동차에는 엔진, 변속기, 연료탱크, 냉각장치, 파워스티어링 장치, 브레이크 장치 등의 작동 및 유지에 필요한 각종 액상류가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또한, 정상적인 수명이 다한 폐자동차일지라도 상기 각종 액상류는 소진되지 않은 채 찌꺼기 상태로 상기 각종 장치 내에 잔존하여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폐자동차의 폐자동차시에 상기 액상류를 방치한 상태로 해체시키 게 되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므로 법률에 의거하여 폐자동차의 액상류를 제고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폐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083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액상류에 대한 회수 및 배출이 액상류별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각 유니트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수거된 액상류가 적재되는 진공함체와, 진공함체에 축적되는 액상류의 양을 측정하는 중량센서, 수거된 액상류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은 액상류 회수시 액상류가 휘발되거나 이송간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에 의해 기포 상태가 되면서 용기 내에서 진공펌프로 흡입되어 진공펌프의 불량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용기 하부에 별도의 차단 장치가 없어 수동 운전시 배출펌프의 계속 가능에 의한 배출펌프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액상류 점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출펌프의 가동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배출펌프의 불량 빈도수가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121083 (2012.02.21)
본 발명의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액상류저장함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류의 배출시 배출펌프를 활용하지 않고도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출펌프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유지, 보수, 교체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펌프와 액상류저장함을 연결하는 흡입관 중간에 3방제어밸브가 설치되는 한편, 3방제어밸브로부터 압축공기공급관을 배관 연결하고 그 단부에 공기압축기를 설치하여 3방제어밸브의 제어를 통해 액상류저장함 내부의 액상류를 배출할 때 배출펌프를 활용하지 않고 공기압축기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액상류저장함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액상류를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흡입관의 높이를 액상류의 최대 충진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액상류 충진시 흡입관 단부에 액상류가 묻지 않도록 하고,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류를 배출할 때 고압 에어의 공급에 의해 액상류가 튀어 흡입관에 액상류가 묻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인입관 단부에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액상류 회수 과정에서 기포 발생 및 액상류가 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이 폐차(1)의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추출제어밸브(11)가 설치되어 있는 추출관(10)과; 상기 추출관(10)이 상부에 연결되어 추출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류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제어벨브(21a)가 구비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는 액상류저장함(20)과; 일측 단부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진공펌프(31)가 연결되어 있어 진공펌프(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흡입압을 발생시켜 추출관(10)을 통해 폐차(1)의 액상류로 하여금 액상류저장함(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도출제어밸브(32) 및 3방제어밸브(33)가 설치되어 있는 흡입관(30)과; 일측이 상기 3방제어밸브(3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압축기(41)가 연결되어 있어 3방제어밸브(33)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저장함(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를 배출관(21)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압축공기공급관(40)과;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추출관(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의 튀어오르는 현상 및 기포 발생 현상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완충장치(51)가 설치되어 있는 인입파이프(5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액상류가 진공펌프(3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체거름장치(6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상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액체거름장치(6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상부레벨스위치(7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하부 수위를 감지하는 하부레벨스위치(80)와;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 상부레벨스위치(70), 하부레벨스위치(80), 진공펌프(31) 및 공기압축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레벨스위치(70) 및 하부레벨스위치(80)로부터 수득된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의 개폐, 진공펌프(31)와 공기압축기(41)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봉(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22)에는 부력체(2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봉(22)의 상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상향 이동을 억제하는 상부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22)의 하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하향 이동을 억제하는 하부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벨스위치(70)는 부력체(23)의 상부와 상부스토퍼(24)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레벨스위치(80)는 부력체(23)의 하부와 하부스토퍼(25)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입파이프(50)는 자바라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완충장치(51)는 액상류의 수위를 따라 뜨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되,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입파이프(50)를 통해 유입되는 액상류가 액상류저장함(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질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벽면에는 상기 인입파이프(50)를 감싸 인입파이프(50)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가이드부재(26)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30)은 하단이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면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는 내부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하향 돌출된 두 개의 플레이트(27)가 상기 흡입관(3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두 플레이트(27)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작동축체결공(27a)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플레이트(28)가 두 플레이트(27)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8)에는 중앙에 볼트체결공(29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29a)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29b)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조절부재(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거름장치(60)는, 상기 두 플레이트(27)의 작동축체결공(27a)에 양측이 끼움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되어 있는 개폐프레임(62)과;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프레임(6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30)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되,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져 흡입관(3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공기가 흡입관(3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개폐판(63)과;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61)을 감싸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29b)에 끼워져 상기 볼트체결공(29a)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64a)가 구비된어 있으며, 상기 개폐프레임(62)으로 하여금 흡입관(30)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64)과; 상기 볼트체결공(29a)에 볼트결합되고 삽입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부(64a)를 밀어내 상기 스프링(64)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개폐프레임(62)을 회전시키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진 조절볼트(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액상류저장함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류의 배출시 배출펌프를 활용하지 않고도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출펌프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유지, 보수, 교체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펌프와 액상류저장함을 연결하는 흡입관 중간에 3방제어밸브가 설치되는 한편, 3방제어밸브로부터 압축공기공급관을 배관 연결하고 그 단부에 공기압축기를 설치하여 3방제어밸브의 제어를 통해 액상류저장함 내부의 액상류를 배출할 때 배출펌프를 활용하지 않고 공기압축기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액상류저장함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액상류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흡입관의 높이를 액상류의 최대 충진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액상류 충진시 흡입관 단부에 액상류가 묻지 않도록 하고,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류를 배출할 때 고압 에어의 공급에 의해 액상류가 튀어 흡입관에 액상류가 묻지 않게 된다.
또한, 인입관 단부에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액상류 회수 과정에서 기포 발생 및 액상류가 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류 회수 장치가 차량의 각 회수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액상류저장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액상류저장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액체거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추출관(10), 액상류저장함(20), 흡입관(30), 압축공기공급관(40), 인입파이프(50), 액체거름장치(60), 상부레벨스위치(70), 하부레벨스위치(80) 및 컨트롤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추출관(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폐차(1)의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추출제어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액상류로는 냉각수, 워셔액, 엔진 오일, 기어 오일, 파워 오일, 브레이크 오일 등이 있으며, 이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로는 상기 액상류가 저장되는 탱크, 또는 상기 액상류가 순환하는 배관 등이 있다.
더하여, 상기 추출제어밸브(11)는 수동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컨트롤장치(9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전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전자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액상류저장함(20)은 도 1, 3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관(10)이 상부에 연결되어 추출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류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제어벨브(21a)가 구비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다.
배출관(21)은 저장탱크(21b)와 연결되어 추출된 액상류는 저장탱크(21b)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흡입관(3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진공펌프(3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공펌프(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흡입압을 발생시켜 추출관(10)을 통해 폐차(1)의 액상류로 하여금 액상류저장함(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때, 흡입관(30)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도출제어밸브(32) 및 3방제어밸브(33)가 서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다.
도출제어밸브(32)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 압력이나 유량이 필요 이상 되었을 때 그 압력이나 유량을 해소하는 vent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도출제어밸브(32)에는 배관이 연결되고, 배관에는 필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출제어밸브(32)는 액상류저장함(20) 내부 압력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컨트롤장치(9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전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전자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출제어밸브(32)나 액상류저장함(20)에는 미도시된 압력계가 설치되고, 이 압력계는 컨트롤장치(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3방제어밸브(33)는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진공펌프(31)에 의한 흡입압만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고압을 발생시켜 내부의 액상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관로 일측은 별도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다.
이러한 3방제어밸브(33) 역시 컨트롤장치(9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전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전자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3방제어밸브(33) 다음에는 보조제어밸브(31a)가 설치되어 진공펌프(31) 내외측으로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보조제어밸브(31a) 역시 컨트롤장치(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압축공기공급관(4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3방제어밸브(3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압축기(4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3방제어밸브(33)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저장함(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를 배출관(21)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인입파이프(50)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추출관(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의 튀어오르는 현상 및 기포 발생 현상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완충장치(51)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장치(5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4에는 인입파이프(50)가 자바라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완충장치(51)는 액상류의 수위를 따라 뜨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완충장치(51)는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입파이프(50)를 통해 유입되는 액상류가 액상류저장함(20) 내부로 원할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벽면에는 상기 인입파이프(50)를 감싸 인입파이프(50)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가이드부재(26)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액상류 수위에 따라 부력체로 이루어진 구 형상의 완충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자바라관으로 이루어진 인입파이프(50)가 원할히 접혀 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만일 가이드부재(26)가 없는 경우 자바라관이 잘 접히지 않고 액상류저장함(20)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액체거름장치(60)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0)과 연결되어 있고,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액상류가 진공펌프(3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액체거름장치(60)의 일예로는 판상의 다공성 필터부재가 제시될 수 있다.
필터부재가 다공성을 취할 경우 흡입관(30)을 통한 고압 공기의 공급, 진공펌프 작동에 따른 공기의 흡입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는 고압 공기의 공급에 의한 액상류가 흡입관(3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압 작용시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가 진공펌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해주게 된다.
도 5 및 6에는 또다른 형태의 액체거름장치(60)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흡입관(30)은 하단이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면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는 내부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하향 돌출된 두 개의 플레이트(27)가 상기 흡입관(3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때, 두 플레이트(27)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작동축체결공(27a)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플레이트(28)가 두 플레이트(27)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플레이트(28)에는 중앙에 볼트체결공(29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29a)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29b)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조절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끼움공(29b)은 하기 끼움부(64a)가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때의 액체거름장치(60)는 회전축(61), 개폐프레임(62), 개폐판(63), 스프링(64) 및 조절볼트(65)로 구성된다.
회전축(61)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 플레이트(27)의 작동축체결공(27a)에 양측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개폐프레임(62)은 일측이 상기 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흡입관(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서 개폐프레임(62)의 타측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개폐판(63)은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프레임(6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30)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개폐판(63)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져 흡입관(3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공기가 흡입관(3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액상류의 회수를 위해 진공펌프(31)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개폐프레임(62)은 개폐판(63)으로 하여금 흡입관(30) 단부를 막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개폐판(63)이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작동은 원할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스프링(64)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61)을 감싸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29b)에 끼워져 상기 볼트체결공(29a)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64a)가 구비된어 있으며, 상기 개폐프레임(62)으로 하여금 흡입관(30)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조절볼트(65)는 상기 볼트체결공(29a)에 볼트결합되고 삽입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부(64a)를 밀어내 상기 스프링(64)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개폐프레임(62)을 회전시키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조절볼트(65)가 구비된 구성은 조절볼트(65)의 수동 조작에 의해 스프링(64)의 탄성을 조절하도록 한 것으로 공기압축기(41)를 통한 고압 공기의 공급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과도한 고압 공급에 의해 내부 액상류가 튀기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원할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부레벨스위치(70)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상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액체거름장치(6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하부레벨스위치(80)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하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부레벨스위치(70)와 하부레벨스위치(80)의 설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봉(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22)에는 부력체(2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봉(22)의 상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상향 이동을 억제하는 상부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22)의 하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하향 이동을 억제하는 하부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벨스위치(70)는 부력체(23)의 상부와 상부스토퍼(24)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레벨스위치(80)는 부력체(23)의 하부와 하부스토퍼(25)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컨트롤장치(90)는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 상부레벨스위치(70), 하부레벨스위치(80), 진공펌프(31) 및 공기압축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레벨스위치(70) 및 하부레벨스위치(80)로부터 수득된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의 개폐, 진공펌프(31)와 공기압축기(41)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작동 일 예로 액상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컨트롤장치(90)는 3방제어밸브(33)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공기공급관(40)의 유로를 차단하고 흡입관(30) 내의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고, 배출제어밸브(21a) 및 도출제어밸브(32)는 닫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 상태에서 진공펌프(31)에 작동 신호를 보내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흡입압이 작동하도록 하여 폐차의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로부터 추출관(10)을 통해 액상류가 액상류저장함(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수위가 일정한 레벨이 되어 상부레벨스위치(70)로부터 신호를 수득하게 되면, 진공펌프(31)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한편, 3방제어밸브(33)의 방향을 전환하고, 추출제어밸브(11)를 닫도록 하는 한편, 배출제어밸브(21a)에 개방 신호를 보내고 공기압축기(41)에 작동 신호를 보낸다.
이렇게 되면 공기압축기(41)가 작동하여 압축공기공급관(40) 및 이에 연결된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서 배출관(21)을 통한 액상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완충장치(51) 및 액체거름장치(60)가 각각 추출관(10) 및 흡입관(30)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저장함(20) 내부로 공급되는 액상류가 튀기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흡입관(30) 연결 부위를 통한 공기의 흡입 및 고압 분사 과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액상류가 튀겨 흡입관(30)을 통해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현상을 억제해줄 수 있게 된다.
특히, 공압을 이용한 배출은 기존 펌프 이용한 배출에 비해 배출 속도가 1.5배 정도 빠를 뿐만 아니라 배출 펌프, 진공 펌프 고장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 손실을 억제하여 경제성을 높여주게 된다.
1 : 폐차 10 : 추출관
11 : 추출제어밸브 20 : 액상류저장함
21 : 배출관 21a : 배출제어밸브
22 : 가이드봉 23 : 부력체
24 : 상부스토퍼 25 : 하부스토퍼
26 : 가이드부재 27 : 플레이트
27a : 작동축체결공 28 : 연결플레이트
29 : 스프링조절부재 29a : 볼트체결공
29b : 스프링끼움공 30 : 흡입관
31 : 진공펌프 31a : 보조제어밸브
32 : 도출제어밸브 33 : 3방제어밸브
40 : 압축공기공급관 41 : 공기압축기
50 : 인입파이프 51 : 완충장치
60 : 액체거름장치 61 : 회전축
62 : 개폐프레임 63 : 개폐판
64 : 스프링 64a : 끼움부
65 : 조절볼트 70 : 상부레벨스위치
80 : 하부레벨스위치 90 : 컨트롤장치

Claims (5)

  1.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폐차(1)의 액상류가 저장된 대상물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추출제어밸브(11)가 설치되어 있는 추출관(10)과;
    상기 추출관(10)이 상부에 연결되어 추출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류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액상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제어벨브(21a)가 구비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는 액상류저장함(20)과;
    일측 단부는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진공펌프(31)가 연결되어 있어 진공펌프(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흡입압을 발생시켜 추출관(10)을 통해 폐차(1)의 액상류로 하여금 액상류저장함(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도출제어밸브(32) 및 3방제어밸브(33)가 설치되어 있는 흡입관(30)과;
    일측이 상기 3방제어밸브(3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압축기(41)가 연결되어 있어 3방제어밸브(33)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30)을 통해 액상류저장함(2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를 배출관(21)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압축공기공급관(40)과;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추출관(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의 액상류의 튀어오르는 현상 및 기포 발생 현상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완충장치(51)가 설치되어 있는 인입파이프(5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액상류가 진공펌프(3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체거름장치(6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상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액체거름장치(6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상부레벨스위치(70)와;
    상기 액상류저장함(20)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액상류의 하부 수위를 감지하는 하부레벨스위치(80)와;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 상부레벨스위치(70), 하부레벨스위치(80), 진공펌프(31) 및 공기압축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레벨스위치(70) 및 하부레벨스위치(80)로부터 수득된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제어밸브(11), 배출제어밸브(21a), 도출제어밸브(32), 3방제어밸브(33)의 개폐, 진공펌프(31)와 공기압축기(41)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저장함(20)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봉(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22)에는 부력체(2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봉(22)의 상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상향 이동을 억제하는 상부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22)의 하부에는 상기 부력체(23)의 하향 이동을 억제하는 하부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벨스위치(70)는 부력체(23)의 상부와 상부스토퍼(24)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레벨스위치(80)는 부력체(23)의 하부와 하부스토퍼(25)에 설치된 한 쌍의 접촉단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파이프(50)는 자바라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완충장치(51)는 액상류의 수위를 따라 뜨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되,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입파이프(50)를 통해 유입되는 액상류가 액상류저장함(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질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벽면에는 상기 인입파이프(50)를 감싸 인입파이프(50)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가이드부재(26)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30)은 하단이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면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액상류저장함(20)의 상부에는 내부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나란히 하향 돌출된 두 개의 플레이트(27)가 상기 흡입관(3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두 플레이트(27)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작동축체결공(27a)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플레이트(28)가 두 플레이트(27)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8)에는 중앙에 볼트체결공(29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29a)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29b)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조절부재(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거름장치(60)는,
    상기 두 플레이트(27)의 작동축체결공(27a)에 양측이 끼움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되어 있는 개폐프레임(62)과;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프레임(6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30)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되,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져 흡입관(3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액상류저장함(20) 내부의 공기가 흡입관(3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개폐판(63)과;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61)을 감싸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29b)에 끼워져 상기 볼트체결공(29a)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64a)가 구비된어 있으며, 상기 개폐프레임(62)으로 하여금 흡입관(30)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64)과;
    상기 볼트체결공(29a)에 볼트결합되고 삽입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움부(64a)를 밀어내 상기 스프링(64)의 일측 단부가 상기 개폐프레임(62)을 회전시키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진 조절볼트(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KR1020210156496A 2021-11-15 2021-11-15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KR10252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96A KR102522979B1 (ko) 2021-11-15 2021-11-15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96A KR102522979B1 (ko) 2021-11-15 2021-11-15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979B1 true KR102522979B1 (ko) 2023-04-18

Family

ID=8610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496A KR102522979B1 (ko) 2021-11-15 2021-11-15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9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16Y1 (ko) * 2006-06-30 2006-10-09 디에이치엠(주) 오일 회수기
KR20110090022A (ko) * 2010-02-02 2011-08-10 이유성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16Y1 (ko) * 2006-06-30 2006-10-09 디에이치엠(주) 오일 회수기
KR20110090022A (ko) * 2010-02-02 2011-08-10 이유성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KR101121083B1 (ko) 2010-02-02 2012-03-20 안명희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295B2 (en) Chamber drainage device
CN103443437B (zh) 燃料罐系统
US4948010A (en) Waste liquid collection and disposal apparatus
JPH08510821A (ja) 流体作動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90069A (ko) 연료 필터
KR101121083B1 (ko)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US6964268B2 (en) Fuel tank having a venting system
KR102522979B1 (ko) 폐차 액상류 회수 장치
CN109251795A (zh) 一种多工位废旧汽车油液回收装置及其自动回收方法
US20150060468A1 (en) Utility vehicle tank
KR101080778B1 (ko) 폐차의 액상류 분리 회수 장치
CN208965135U (zh) 一种纺织用锭子清洗加油系统
JP2013029041A (ja) ドレン処理装置及びドレン処理方法
CN112324979B (zh) 立式截油排水阀
CN1383410A (zh) 带有废水临时存放箱的真空处理系统
CN101769216B (zh) 自动排除空气柴油滤清器
CN101876377B (zh) 一种溢油切断阀
CN114962098B (zh) 一种燃油滤清器的放水装置和汽车
CN219539497U (zh) 一种润滑油除水装置
CN218454127U (zh) 一种舱底水分离器过滤组件
CN219176440U (zh) 一种带集污功能的发电机组底盘结构
CN216805106U (zh) 一种汽车燃油箱
CN219497500U (zh) 一种变压器检验用注油机构
CN212383317U (zh) 一种用于真空抽滤装置的出液管组件
CN216812063U (zh) 工业清洗机系统真空维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