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654B1 -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654B1
KR102522654B1 KR1020207020359A KR20207020359A KR102522654B1 KR 102522654 B1 KR102522654 B1 KR 102522654B1 KR 1020207020359 A KR1020207020359 A KR 1020207020359A KR 20207020359 A KR20207020359 A KR 20207020359A KR 102522654 B1 KR102522654 B1 KR 10252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leuprolide
polymer
mesyl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542A (ko
Inventor
유후아 리
앤드류 구아리노
Original Assignee
포시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시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시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제에 대한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으로서 유용한 안정화된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강산 염 및 약산; b) 공중합체 중의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의 비가 50:50 내지 약 100:0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생분해성 중합체; 및 c)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강산 이외에 과량의 강산을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주사되면 최대 6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의 조절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2016년 7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2/364,701호 및 2016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2/406,06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의 분야는 맞춤제작된 전달 기간을 갖는 펩타이드의 지속적이고 조절 방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시스템, 및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펩타이드제(peptide agent)는 효소에 의해 생체내에서 쉽게 가수분해 또는 분해되어 매우 짧은 혈행 반감기를 초래하므로 안정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펩타이드 약제는 주사에 의해, 전형적으로 매일 수회 투여되었다. 하지만, 주사 투여는 고통스럽고, 매우 고가이며, 불편하다. 종종, 환자의 순응이 큰 문제이기도 하다. 많은 펩타이드제, 특히 호르몬의 경우, 상기 약물은 장기간 동안 조절된 속도로 연속적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고,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상기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중합체 매트릭스에 혼입시켜 제공할 수 있다.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중합체는 약물 전달 운반체로서 생물활성 물질의 지속적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달 시스템은 액체 형태, 현탁액, 고체 이식체, 미립구, 마이크로캡슐 및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주사용 저장소(depot) 형태에 이용가능하다.
한가지 접근법으로서, 상기 중합체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후, 펩타이드제와 혼합되고,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과립 또는 이식가능한 막대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펩타이드제는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포획된다. 마이크로입자 및 고체 막대 이식체 형태의 생분해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Lupron, Zoladex, Triptorelin 등과 같은 여러 제품들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제품들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마이크로입자에 대한 대용량의 현탁 유체, 또는 고체 이식체의 외과적 삽입과 같은 단점 및 제약들이 있다. 이 제품들은 매우 환자 친화적이지 않다. 또한, 멸균 및 재현가능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공정들은 복잡하여 고가의 제조 비용을 초래한다. 이에, 쉽게 제조 및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된다.
다른 접근법으로서,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 및 펩타이드제는 생체적합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액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액체 조성물이 체내에 주입될 때, 용매는 주위 수성 환경으로 소산되고, 중합체는 고체 또는 겔 저장소를 형성하며, 이로부터 생물활성제는 장기간 동안 방출된다. 이하의 참조문헌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미국 특허 제6,565,874; 6,528,080호; 제RE37,950호; 제6,461,631호; 제6,395,293호; 제6,355,657; 6,261,583호; 제6,143,314호; 제5,990,194호; 제5,945,115호; 제5,792,469호; 제5,780,044호; 제5,759,563호; 제5,744,153호; 제5,739,176호; 제5,736,152호; 제5,733,950호; 제5,702,716호; 제5,681,873호; 제5,599,552호; 제5,487,897호; 제5,340,849호; 제5,324,519호; 제5,278,202호; 제5,278,201호; 및 제4,938,763호. 약간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상기 방법들은 상기 접근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다수의 펩타이드제에 대해 전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폴리에스터는 지금까지 생분해성 지속 약물 전달 시스템에 사용된 가장 대중적인 중합체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또는 폴리락타이드는 최신 전립선 암 치료를 위한 Lupron Depot 및 Eligard® 제품에 사용된 중합체 물질이다. 이 폴리에스터는 생체적합성이고 가수분해 및 효소분해와 같은 전형적인 생화학적 경로에 의해 분해되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대사 생성물을 생성한다.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Eligard는 별도로 포장되고 주사 직전에 혼합되어야 하는 생물활성 물질과 운반체를 필요로 한다. 재구성 및 투여 경로의 오류는 상기 제품의 임상 효능을 훼손할 수 있다고 Eligard에 의해 보고되었다[Canada Health Product InfoWatch - January 2017].
본 기술분야에는 염기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생물활성제가 생분해성 중합체와 상호작용하여 중합체의 분해를 촉매(또는 촉진)하고 상기 중합체 및/또는 이의 분해 생성물과 접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염기성 생물활성제와 중합체 운반체 간의 상호작용/반응은 다음과 같이 일어날 수 있다: 1) 상기 염기성 생물활성제가 중합체 운반체에 혼입되는 제형화, 예컨대 마이크로캡슐화, 사출성형, 압출성형, 유기 용매에서 중합체 용액과 혼합 등의 과정 동안; 2) 저장 동안 및 3) 생분해 과정 및 생체내 생물활성제의 방출 동안.
미국 특허 제8,343,513호는 미립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불순물을 발생시키는 친핵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생물활성제와 생분해성 중합체 간의 반응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개시하였다. 이 문헌은 "하기의 일반적인 고려사항은 미립구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모든 노력들에서 유의해야 한다: (i) PLGA 미립구 중의 락타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관련 물질의 양은 더 낮을 것이고 100% PLA로부터 제조된 미립구에는 관련 물질이 최소량일 것이며; (ii) PLGA 분자량이 높을수록, 관련 물질도 더 높을 것이고; (iii) PLGA 중의 추출성 올리고머의 수준이 낮을수록, 관련 물질의 수준은 더 높아질 것이며; 소수성 PLGA(말단 차단된 PLGA)는 친수성 PLGA(유리산 말단기)에 비해 더 많은 관련 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미국 특허 8,343,513, 칼럼 11, 두번째 문단 참조]. 전체 교시는 낮은 pKa 산 첨가제 또는 올리고머의 유의적인 추가량이 첨가된, 산 말단기를 갖는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산 첨가제의 예는 PLGA를 위한 단량체 빌딩 블록인 락트산 및 글리콜산을 포함한다. 과량의 산 첨가제는 다이클로로메탄 및 메탄올과 같은 비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에서 단기간(24 시간) 내에 불순물의 생성을 감소시키는데 약간 제한적인 성공을 이루고 있다. 또한, 산 첨가제는 분산상에 낮은 pH를 유발한다. 낮은 pH는 조직의 자극을 유발할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 상은 미립구의 제조에는 사용될 수 있으나, 직접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유기 용액에서 상기 중합체와 상기 펩타이드제 간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 준비된(ready to use) 제품 형태로 만족스러운 저장 수명을 갖는 안정성이 있고 바람직한 시간에 걸쳐 약물을 조절 방출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도 필요하다.
강산(예컨대, 염산 또는 메탄설폰산)에 의해 형성된 염 형태의 펩타이드제를 포함하는 주사용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은 약산(예컨대, 아세트산)에 의해 형성된 염 형태 또는 유리 염기 형태보다 훨씬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이미 발견되었다. 이러한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은 상기 펩타이드제의 임의의 염기성 기를 강산으로 중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강산에 의해 형성된 상기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이 주사용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로 조제되었을 때, 상기 펩타이드제와 중합체 간에 상호작용/반응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강산에 의해 형성된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의 사용은 만족할 만한 저장 안정성을 갖는 사용 준비된(ready-to-use) 형태의 단회 주사기에 사전충전된 안정화된 주사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중합체는 약산에 의해 형성된 염을 사용하는 조성물의 중합체보다 수성 환경에 주입되는 즉시 더 빠르게 분해된다는 것이 예기치 않게 발견되었다. 이것은 강산으로부터 형성된 염 형태의 펩타이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펩타이드 순도 및 중합체 분자량 안정성 모두, 약산에 의해 형성된 염을 사용하여 형성된 조성물보다 훨씬 높은 저장 안정성 및 저장 수명을 가지므로 놀라운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맞춤제작된 방출 기간을 갖는 제형의 조성물을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품 패키지 삽입지에 따르면,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제품인 ELIGARD®는 피하 주사를 위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멸균 중합체 매트릭스 제형이다. 이것은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 치료 기간 동안 조절된 속도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ELIGARD®는 2개의 분리된 멸균 주사기에 예비충전되어 공급된다. 하나의 주사기는 ATRIGEL® Deliver System을 함유하고, 다른 주사기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함유한다. ATRIGEL®은 생체적합성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용해된 생분해성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H 또는 PLGA) 중합체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성(젤라틴 무함유) 전달 시스템이다.
2개의 분리된 주사기의 내용물은 투여 직전에 혼합된다. 2개의 주사기는 결합되어 단회 용량의 생성물이 균일할 때까지 혼합된다. 이 혼합물은 불안정하여 즉시 사용해야 하거나, 30 분 이내에 사용되지 않으면 폐기해야 한다. ELIGARD®는 피하 투여되며, 여기서 고체 약물 전달 저장소(depot)를 형성한다.
PLGAH 중합체는 1개월 제품에 사용되는 반면, PLGA 중합체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 제품에 사용된다. PLGH 공중합체(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 = 50:50)는 상기 중합체의 분해를 촉진하는 카복실 말단기를 함유한다. 3개월 및 4개월 제품을 위한 PLGA 공중합체는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75:25인 반면, 6개월 제품을 위한 PLGA 공중합체는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85:15이다. PLGA 공중합체는 개시제로서 헥산다이올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양 말단에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는 PLGA 공중합체를 생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대신에 강산에 의해 형성된 류프롤라이드 염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형의 안정성이 유의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안정화된 최종 제형은 적합한 저장 수명을 가지면서 단회 주사기에 사전충전될 수 있다.
하지만,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또는 다른 강산 염을 함유하는 제형이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또는 다른 약산 염을 함유하는 제형보다 저장 중에 더욱 안정할지라도,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제형 중의 PLGA 중합체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 방출 동안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제형에서보다 더 빠르게 분해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성질은 꽤 반직관적이며 예기치 않은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더 우수하고 개량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제형을 맞춤제작하고 미세조정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위한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안정화된 주사용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사용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물 전달 시스템은 쉽게 생성되고 포유동물 또는 인간과 같은 대상체에게 편리하게 전달된다. 상기 조성물은 강산으로부터 형성된 펩타이드의 염을 갖는 조성물에 사용된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의 특정 조성물을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한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펩타이드의 치료량을 전달한다. 상기 조성물은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며, 펩타이드의 용량을 전달한 후 무해하게 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유기 용액에서 상기 중합체와 상기 펩타이드 사이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함께 조제된 경우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 기간 동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제의 최적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처럼 이동하는 점성 또는 비점성 액체, 겔 또는 반고체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사용 준비된 형태의 제품을 형성하도록 단회 주사기에 사전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 및 약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의 혼합물로서, 강산 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몰비가 1:1 내지 2:1이고, 상기 조성물에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강산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산 이외에 과도한 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혼합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함께 조제된 경우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 기간 동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제의 최적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처럼 이동하는 점성 또는 비점성 액체, 겔 또는 반고체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사용 준비된 형태의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주사기에 사전충전될 수 있다.
류프롤라이드, 트리프토렐린, 및 고세렐린과 같은 LHRH는 적합한 반대 이온과 이온쌍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염기성 작용기, 즉,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을 함유한다.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은 2:1과 같은 강산 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화학량론적 표준 비(normal ratio)를 달성할 수 있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은 또한 강산 및 약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지만, (강산+약산) 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비는 2:1 이하이다. 염 혼합물의 경우에, 강산 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몰비는 1:1 내지 2:1이다. 염 혼합물 조성 또는 비를 변경함으로써, 수성 환경 또는 인체 내에서 LHRH의 방출 프로파일을 맞춤제작하여 바람직한 저장 안정성 및 약물 전달 기간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은 USP<791> 방법에 의해 측정 시, 3 초과, 바람직하게는 4 초과의 pH (물에 50㎎/㎖)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는 페길화, 아실화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친수성 모이어티 및/또는 친지성 모이어티에 의해 공유 변형된 N-말단 1차 아민 또는 측쇄 1차 아민기를 보유한다. 또한, 펩타이드제의 N-말단 1차 아민기 및 측쇄 1차 아민기는 모두 페길화, 아실화 등을 통해 친수성 모이어티 및/또는 친지성 모이어티에 의해 동시에 공유 변형될 수도 있다.
깅산은 물에서 pKa가 3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미만인 임의의 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산은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 유기 황산, 탄소가 1 내지 40개인 알킬 황산, 질산, 크롬산, 메탄설폰산, 트라이플루오로메탄 설폰산, 유기 설폰산,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브로모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사이아노아세트산, 2-클로로프로판산, 2-옥소부탄산, 2-클로로부탄산, 4-사이아노부탄산, 과염소산, 인산, 요오드화수소, 및 이의 유사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강산은 염산 또는 메탄설폰산이다.
생분해성 중합체는 임의의 생체적합성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가열 시에 용융되고 냉각 시에 고형화되는 열가소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중합체는 수성 유체 또는 체액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지만, 수혼화성 유기 용매에는 실질적으로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어 용액 또는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수성 유체와 접촉 시에, 상기 수혼화성 유기 용매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확산/소산되어 중합체의 응결을 유발하여 상기 펩타이드제를 캡슐화하는 겔 또는 고체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 또는 분지형 중합체, 또는 이 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는 락트산염계 중합체이다. 상기 락트산염계 중합체는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 단량체(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락타이드, PLA)의 단독중합체, 및 락트산(또는 락타이드)과 다른 단량체(예컨대,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PLG 또는 PLGA) 및 이의 유사물)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아마이드,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아세탈, 폴리케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아세탈, 폴리케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포스파젠,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알킬렌 석시네이트, 폴리(말산), 폴리(말레산 무수물), 및 이의 공중합체, 삼원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락트산계 중합체, 및 락트산과 글리콜산(PLGA)의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및 폴리(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PLGA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000 내지 약 100,000 사이이고, 락트산 대 글리콜산의 단량체 비율이 약 50:50 내지 약 100: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중합체는 분자량이 11,000 내지 약 18,000 사이이고 6개월 동안 조절 전달하기 위한 PLA, 및 분자량이 10,000 내지 25,000 달톤(dalton)이고 락타이드 함량이 80 내지 90%이며 3개월 또는 4개월 전달하기 위한 PLGA이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콕시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터, 글리코푸롤, 글리세롤 포말,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카프로락탐, 데실메틸설폭사이드, 벤질 벤조에이트, 에틸 벤조에이트, 트라이아세틴, 다이아세틴, 트라이부티린,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글리세라이드,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다이에틸 타르트레이트, 에틸 락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티로락톤, 및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 및 이들의 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펩타이드제의 최적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가 혼입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방출 속도 조절제, 과방출 효과 감소 물질, 완충 물질, 산화방지제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방출 속도 조절제는 양친매성 화합물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알케인카복실산, 올레산, 알킬 알코올, 극성 지질,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 폴록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소르베이트, 및 이의 유사물; 모노카복시산, 다이카복시산 및 트라이카복시산의 에스터, 예컨대,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 다이(n-부틸) 세베케이트, 및 이의 유사물; 폴리하이드록시 알코올,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이의 유사물; 지방산; 글리세롤의 트라이에스터, 예컨대,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중쇄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예컨대 MIGLYOL 810, 812, 818, 829, 840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시스템에는 속도 조절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완충제는 무기 염 및 유기 염, 예컨대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미리스트산칼슘; 올레산칼슘,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인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올레산마그네슘, 팔미트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수산화아연, 미리스트산아연, 올레산아연,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인산아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d-알파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돌,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퀴논, 하이드록시쿠마린,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에틸 갈레이트,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라우릴 갈레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트라이하이드록시부틸로페논, 비타민 E, 페길화된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E-TPGS,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펩타이드제의 염기성 아민기를 중화시켜 상기 중합체와 상기 염기성 아민기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유익한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익한 염을 다른 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이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 유기 용매에 용해된 중합체와 조합된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마이크로입자 형성 또는 다른 이식가능한 매트릭스 형성과 같은 조절 전달 시스템의 제작 과정 전 및 과정 중에 이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사성 조성물은 제조, 저장 및 이어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동안 이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조직 부위에 투여 시 일정한 조절 방출 이식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의 방출 기간이 최대 6개월의 기간 동안 조절되도록 생분해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정한 조절 방출 저장소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주사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하며, 상기 키트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에 용해된 생분해성 중합체; 상기 중합체 매개체에 용해 또는 분산된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한다. 모든 성분들의 균일한 혼합물은 하나의 용기에 포장된다. 상기 용기는 주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주사기에 충전하여 사용 준비된 형태의 안정한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의 기간 동안 대상체에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이식체를 동일계내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는 동일계내 형성된 이식체에 바람직하게 혼입되고, 이어서 주위의 조직 유체 내 그리고 중합체가 분해되면 영구적인 체조직 또는 기관으로 방출된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주사성 조성물을 이식 부위에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컨대 주사기, 바늘, 캐뉼라, 카테터, 압력 적용기 및 이의 유사물에 의해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Eligard® 45㎎ 방출과 비교된 여러 중합체로부터의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시험관내 방출
도 2. 단회 피하 투여 후, 수컷 래트에서의 류프롤라이드의 평균 혈청 농도-시간 프로파일
도 3. PLA/NMP 용액으로부터 LAMS 및 LAAc의 시험관내 방출
도 4. Eligard® 45㎎ 방출과 비교한 Eligard® 45㎎ 중합체 용액으로부터의 LAMS 방출
도 5. PLA 중합체로부터의 방출과 비교한 여러 PLGA 중합체로부터의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시험관내 방출
도 6. 8515PLGA 중합체로부터의 LAMS의 시험관내 방출
도 7. PLGA/NMP 제형에서 LAMS의 주입 후 수컷 SD 래트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
도 8. 37℃, pH 7.4의 PBS에서 다양한 PLA 제형으로부터의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
도 9. 37℃, pH 7.4의 PBS에서 PLGA5050 제형으로부터의 1.6:1 및 2:1의 몰비를 갖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시험관내 방출
본 발명은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를 조절 방출하기 위해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방출 전달 시스템을 형성시키기 위한 안정화된 주사용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유기 용액에서 중합체와 펩타이드제 사이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학적 조성물은 펩타이드제의 최적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처럼 이동하는 점성 또는 비점성 액체, 겔 또는 반고체일 수 있다.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사용 준비된 형태의 제품 키트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주사기에 사전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 및 약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의 혼합물로서, 강산 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몰비가 1:1 내지 2:1이고, 조성물에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강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산 이외에 과량의 산이 함유되지 않는 혼합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함께 조제된 경우 상기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1개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 기간 동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제의 최적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처럼 이동하는 점성 또는 비점성 액체, 겔 또는 반고체일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의 주사기에 사전충전되어 사용 준비된 형태의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은 시험관내에서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겔 또는 고체 이식체의 형태로 동일계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대상체에게 투여된 경우, 펩타이드의 조절 방출은 이식체의 조성에 따라 원하는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생분해성 중합체 및 다른 성분의 선택에 의하여, 펩타이드제의 지속 방출 기간은 1개월 내지 6개월의 시간 기간 동안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수적 용어 및 "하나"는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로서 해석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안정화된"은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에서 성분들의 안정성의 유의적인 향상을 의미하며, 이것은 실행가능한 제품의 개발에 필요한 안정한 상태를 달성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안정화된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조성물의 성분들, 예를 들어, 중합체 및 펩타이드제가 제조 동안 및 적당한 조건 하에서 장기간, 예를 들어 수개월 내지 수 년, 바람직하게는 12개월간 이상 저장 후에 초기 분자량, 구조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용어 "조절 방출 전달"은 투여 후 원하는 장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개월 내지 6개월 동안 펩타이드제의 생체내 전달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제"는 일반적인 의미로서 본 명세서에서 호환 사용되는 "펩타이드", "올리고펩타이드", 및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서 보통 통칭되는 폴리(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 용어는 펩타이드제 유사체, 유도체, 아실화된 유도체, 글리코실화된 유도체, 페길화된 유도체,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유사물도 포함한다. "염기성 펩타이드제"는 아르기닌 또는 리신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의 존재로부터 발생하거나 또는 펩타이드제의 N-말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본질이 염기성인 펩타이드, 또는 단순히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기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산성 아미노산 기의 존재 하에, 함유하는 펩타이드제이다. 또한, 이 용어는 펩타이드의 합성 유사체, 염기성 작용기를 갖는 비천연 아미노산, 또는 도입된 염기도의 임의의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펩타이드제"는 진단 및/또는 치료적 성질, 예컨대 항대사, 항진균, 소염, 항종양, 항감염, 항생제, 영양소, 작용제 및 길항제 성질을 갖는 임의의 펩타이드제를 포함하려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제는 강산과 유익한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펩타이드, 특히 전자 공여 염기기, 예컨대 염기성 질소 원자, 예컨대 아민, 이민 또는 고리 질소를 함유하는 펩타이드제일 수 있다. 펩타이드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노출된 양성자성 아민 작용기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펩타이드제는 비제한적으로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아드레노코르티코트로피 호르몬(ACTH), 표피 성장 인자(EGF), 혈소판 유래의 성장 인자(PDGF), 프로락틴, 황체형성 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LHRH 작용제, LHRH 길항제, 성장 호르몬(인간, 돼지 및 소 포함), 성장 호르몬 방출 인자, 에리스로포이에틴(예컨대, 적혈구생성 활성을 갖는 모든 단백질), 소마토스타틴, 글루카곤, 인터루킨(예컨대, IL-2, IL-11, IL-12 등을 포함), 인터페론-알파, 인터페론-베타, 인터페론-감마, 가스트린, 테트라가스트린, 펜타가스트린, 유로가스트론, 세크레틴, 칼시토닌, 엔케팔린, 엔돌핀, 안지오텐신, 티로트로핀 방출 호르몬(TRH), 종양괴사인자(TNF), 부갑상선 호르몬(PTH), 신경 성장 인자(NGF), 과립구-콜로니 자극 인자(G-CSF),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GM-CSF),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M-CSF), 헤파리나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골 형성 단백질(BMP), hANP,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GLP-1), 엑세나타이드, 펩타이드 YY(PYY), 레닌, 브래디키닌, 바시트라신, 폴리믹신, 콜리스틴, 티로시딘, 그라미시딘, 사이클로스포린(합성 유사체 및 이의 약리학적 활성 단편 포함), 효소, 사이토킨, 항체, 백신, 항생제, 항체, 당단백질, 여포자극호르몬, 키오토르핀, 타프트신, 티모포이에틴, 티모신, 티모스티뮬린, 흉선 체액 인자, 혈청 흉선 인자, 콜로니자극인자, 모틸린, 봄베신, 디노르핀, 뉴로텐신, 세룰레인, 유로키나제, 칼리크레인, 물질 P 유사체 및 길항제, 안지오텐신 II, 혈액 응고 인자 VII 및 IX, 그라미시딘,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방출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판크레오지민, 콜레시스토키닌, 인간 태반 락토겐, 인간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단백질 합성 자극 펩타이드, 위 억제 펩타이드, 혈관작용성 장 펩타이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및 이의 합성 유사체 및 변형 및 약리학적 활성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람직한 펩타이드제는 N-말단이 1차 아민이 아닌 펩타이드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펩타이드제의 N-말단은 파이로글루탐산, 예를 들어 LHRH, 및 LHRH 작용제, 예컨대 류프로렐닌, 부세렐린, 고나도렐린, 데스로렐린, 퍼티렐린, 히스트렐린, 루트렐린, 고세렐린, 나파렐린, 트리프토렐린 및 이의 유사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N-말단 아민기는 캡핑 또는 아실화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트로렐릭스, 엔푸비르타이드, 티모신 α1, 아바렐릭스 및 이의 유사물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람직한 펩타이드제는 또한 N-말단 1차 아민이 친수성 및/친지성 모이어티에 의해, 예컨대 페길화, 아실화 등을 통해 공유 변형된 펩타이드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펩타이드제는 또한 측쇄 1차 아민(들)이 친수성 및/또는 친지성 모이어티, 예컨대 페길화, 아실화 등을 통해 공유 변형된 펩타이드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람직한 펩타이드제는 또한 N-말단 1차 아민 및 측쇄 1차 아민기가 친수성 및/또는 친지성 모이어티에 의해, 예컨대 페길화, 아실화 등을 통해 동시에 공유 변형된 펩타이드제를 포함한다.
용어 "친수성 모이어티"는 임의의 수용성 선형 또는 분지형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유사한 선형 및 분지형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500 달톤(dalton) 내지 약 50,000 달톤 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친수성 중합체는 당해의 펩타이드제에 아민기,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티올기를 통해 부착시키기 위해 혼입된 반응성 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페길화"(pegylation)는 펩타이드제에 대한 용해성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공유 접합을 의미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하나의 말단을 메톡시기에 의해서와 같이 캡핑시키고 다른 말단을 펩타이드제 상의 활성 기에 용이한 접합을 위해 활성화시키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 및 이들 방법의 페길화 용도는 본 기술분야에 게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Roberts MJ, Bentley MD, Harris JM, Chemistry for peptide and protein PEGylation. Adv Drug Deliv Rev. 2002 Jun 17; 54(4): 459-76. Veronese FM. Peptide and protein PEGylation: a review of problems and solutions. Biomaterials. 2001 Mar; 22(5): 405-17] 및 미국 특허 제6,113,906호; 제5,446,090호; 제5,880,255호], 이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용어 "친지성 모이어티"는 20℃에서 수용해도가 5㎎/㎖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인 임의의 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친지성 모이어티는 C2-39-알킬, C2-39-알켄일, C2-39-알카다이엔일 및 스테로이드성 잔기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용어 "C2-39-알킬, C2-39-알켄일, C2-39-알카다이엔일"은 탄소 원자가 2 내지 39개인 직쇄 및 분지쇄, 바람직하게는 직쇄인 포화, 일불포화 및 이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펩타이드제에 친지성 모이어티의 공유적인 도입은 천연 분자에 비해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친지성 변형된 펩타이드를 초래한다. 이는 친지성 분자 중의 산 또는 다른 반응성 기와 펩타이드제 중의 아민기를 반응시켜 전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펩타이드제와 친지성 분자 간의 접합은 분해성 또는 비-분해성일 수 있는 가교, 스페이서 또는 결합 모이어티와 같은 추가 모이어티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예는 선행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Hashimoto, M., et al., Pharmaceutical Research, 6:171-176 (1989), 및 Lindsay, D. G., et al., Biochemical J. 121:737-745 (1971), 미국 특허 제5,693,609호, WO95/07931, 미국 특허 제5,750,497호, 및 WO96/29342, WO98/08871, WO98/08872, 및 WO99/43708]. 이 명세서들은 친지성 변형된 펩타이드를 설명하고 이들을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분명하게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강산"은 pKa가 3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미만인 임의의 산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강산은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질산, 크롬산, 황산, 메탄설폰산, 트라이플루오로메탄 설폰산, 톨루엔설폰산(p),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브로모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사이아노아세트산, 2-클로로프로판산, 2-옥소부탄산, 2-클로로부탄산, 4-사이아노부탄산, 팜산, 과염소산, 인산, 요오드화수소, 및 이의 유사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산"은 임의의 유기 황산, 예컨대 탄소 원자가 1 내지 40 개, 바람직하게는 탄소 18 개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6 개 미만인 알킬 황산, 아릴 황산 또는 알킬아릴 황산, 및 탄소가 1 내지 40 개, 바람직하게는 탄소 18 개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6 개 미만의 알케인 설폰산, 아릴알케인 설폰산, 아렌 설폰산 또는 알켄 설폰산과 같은 유기 설폰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약산"은 pKa가 3 초과인 임의의 산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약산은 1-하이드록시-2-나프토산, 2-옥소글루타르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4-아미노살리실산, 아세트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L), 아스파르트산(L), 벤조산, 캄포산(+), 카프르산(데칸산), 카프로산(헥산산), 카프릴산(옥탄산), 카본산, 신남산, 구연산, 폼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젠티스산, 글루코헵톤산(D), 글루콘산(D), 글루쿠론산(D),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리콜산, 히퓨르산(hippuric acid), 이소부티르산, 락트산(DL),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L), 말론산, 만델산(DL), 올레산, 옥살산, 팔미트산, 프로프리온산, 피로글루탐산(-L), 살리실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석신산, 타르타르산(+L), 티오시안산, 운데실렌산, 및 이의 유사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은 강산에 의해 형성된 펩타이드제의 임의의 염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은 단순 산 및 염기 적정 또는 중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은 이의 합성 및 정제 과정 동안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유리 염기 형태의 펩타이드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유리 염기는 적합한 액체 매질에 용해된다. 펩타이드제의 용액은 강산 용액과 혼합되어, 침전, 여과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적합한 수단을 통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유익한 염을 형성한다. 펩타이드제가 아세트산과 같은 약산(즉, pKa>3)에 의해 형성된 염의 일반적인 시판 형태인 경우, 약산은 동결건조, 침전 또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과 같은 일반적인 이온 교환 방법을 통해 강산으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는 적합한 액체 매질, 예컨대 물에 용해된다. 이러한 펩타이드제 용액은 메탄설폰산과 같은 강산 수용액과 혼합된다. 펩타이드 아세테이트 및 메탄설폰산과 같은 강산이 물에 용해되는 경우, 더 강한 메탄설폰산이 더 약한 카복실 아세트산을 대신하므로 펩타이드는 메실레이트 이온과 결합되는 경향이 있다. 용매 및 해리된 아세트산(또는 다른 약하지만 휘발성인 카복실산)은 진공 또는 동결건조 하에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혼합물 용액은 물 및 더 약한 산을 제거하도록 동결건조하여 유익한 염을 형성한다. 펩타이드제가 낮은 pH 하에 안정하지 않다면, 펩타이드제의 유익한 염은 매우 낮은 농도의 강산에 대하여 광범위한 투석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펩타이드제를 0.01 내지 40 중량%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약물 로딩은 원하는 방출 기간 및 펩타이드제의 효능에 따라 달라진다. 분명하게도, 펩타이드제의 효능이 낮고 방출 기간이 더 긴 경우에는 더 높은 혼입 수준이 필요할 수 있다.
용어 "생분해성"은 점차적으로 분해, 용해, 가수분해 및/또는 동일계에서 침식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생분해성 중합체"는 동일계에서 주로 가수분해 및/또는 효소분해를 통해 가수분해할 수 있고(또는) 생물침식하는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생분해성 중합체"는 중합체가 수성 매질 또는 체액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라면, 생체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생체적합성 및/또는 생분해성의 합성 중합체 및 천연 중합체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 불용성"은 중합체의 불용성이 수성 매질 또는 체액에서 중합체를 침전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용해도는 1 중량%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수 혼화성 또는 분산성 유기 용매 중의 중합체 용액은 수용액과 혼합되는 경우, 중합체는 침전하여 유기 용매가 소산하면 고체 또는 겔화된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적합한 생분해성 중합체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4,938,763호; 제5,278,201호; 제5,278,2012호; 제5,324,519호; 제5,702,716호; 제5,744,153호; 제5,990,194호; 및 제6,773,7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몇몇 비제한적인 중합체의 예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에스터아마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탈,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포스파젠,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알킬렌 석시네이트, 폴리(말산), 및 폴리오르토에스터, 및 이의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분지형 공중합체, 삼원중합체 및 조합 및 혼합물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A-B-A 블록 공중합체, B-A-B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A-B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분지형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블록 공중합체는 A 블록이 소수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B 블록이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블록 공중합체 중 하나를 사용할 때, 가장 바람직한 중합체 매트릭스는 A 블록이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에터에스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스터아마이드,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이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분해성 중합체이고, B 블록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일작용기성 유도체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많은 이러한 조합들은 허용성 열적 가역성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중합체에 적합한 분자량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분자량을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는 요인은 원하는 중합체 분해 속도, 기계적 강도, 및 유기 용매 중의 중합체의 용해 속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중합체의 적합한 중량평균분자량 범위는 약 2,000 달톤 내지 약 100,000 달톤이고 다분산도는 1.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8이며, 이것은 다른 요인들보다도,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중합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생분해성 중합체를 10 내지 7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성 조성물의 점도는 사용된 중합체 및 유기 용매의 분자량에 따라 달라진다. 전형적으로, 동일한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 분자량과 중합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점도는 더 높아진다. 조성물 내 중합체의 농도는 70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내 중합체의 농도는 30 내지 60 중량%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 및 락트산과 글리콜산(PLGA)의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및 폴리(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체(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락트산 대 글리콜산의 단량체 비가 약 50:50 내지 약 100:0 사이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000 내지 약 100,000 사이인 것이다.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들, 예컨대 중축합 및 고리 개환 중합(예컨대, 본원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 미국 특허 제4,443,340호; 제5,242,910호; 제5,310,865호)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말단기는 중합 방법에 따라 하이드록시, 카복실, 또는 에스터일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는 일작용기성 알코올 또는 폴리올 잔기를 포함할 수 있고, 카복실산 말단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작용기성 알코올의 예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1-도데칸올이다. 폴리올은 다이올, 트라이올, 테트라올, 펜타올 및 헥사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6-헥산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당류, 환원 당류, 예컨대 소비톨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한다.
락트산과 글리콜산 또는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는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및 폴리(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락트산 대 글리콜산의 단량체 몰비가 약 50:50 내지 약 100:0 사이인 것이다. 85:15의 몰비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공중합체가 80 내지 90%의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 및 10 내지 20%의 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라이드를 함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75:25의 몰비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공중합체가 70 내지 80%의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와 20 내지 30%의 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라이드를 함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65:35의 몰비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공중합체가 60 내지 70%의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와 30 내지 40%의 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라이드를 함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50:50의 몰비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공중합체가 45 내지 55%의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와 45 내지 55%의 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라이드를 함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많은 적합한 PLGA들은 시중에서 입수 가능하고, 특정 조성물의 PLGA는 선행 기술에 따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단량체 비 및 분자량의 PLGA는 Boehringer-Ingelheim(미국 버지니아주 페테스부르크 소재), Evonik(미국 앨라배마주 버밍엄 소재), DURECT Corporation(앨라배마주 펠험 소재)에서 입수 가능하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생분해성 중합체의 종류, 분자량 및 양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가 조절 방출 이식체로부터 방출되는 시간 길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절 방출 이식체의 원하는 성질을 달성하기 위해 본 조성물에 존재하는 생분해성 중합체의 종류, 분자량 및 양의 선택은 간단한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면 강산(예컨대, 메실레이트)으로부터 형성된 펩타이드의 염은 저장 동안 제형의 안정성이 증가할지라도, 약산으로부터 형성된 염(예컨대, 아세테이트)의 펩타이드보다 수성 환경에 주사된 즉시 더 빠르게 생분해성 중합체의 분해를 유발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는 수성 또는 체액에 혼화성 또는 분산성인 임의의 생체적합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분산성"은 용매가 물에 부분적으로 용해성 또는 혼화성인 것을 의미한다. 단일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0.1 중량% 초과의 수용해도 또는 혼화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수용해도 또는 혼화도가 3 중량% 초과인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수 용해도 또는 혼화도가 7 중량% 초과인 것이다. 적합한 유기 용매는 액체 조성물이 응결 또는 고형화되도록 체액 내로 확산될 수 있어야 한다. 단독 용매 및/또는 용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용매의 적합성은 간단한 실험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의 예는 N-메틸-2-피롤리돈,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알콕시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터, 글리코푸롤, 글리세롤 포말,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카프로락탐, 데실메틸설폭사이드, 벤질 벤조에이트, 에틸 벤조에이트, 트라이아세틴, 다이아세틴, 트라이부티린,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글리세라이드,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다이에틸 타르트레이트, 에틸 락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티로락톤, 및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에서 생분해성 중합체의 용해도는 중합체의 특성 및 이들의 다양한 용매와의 적합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중합체는 다른 용매에서는 동일한 정도로 용해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PLGA는 트라이아세틴에서보다 N-메틸-2-피롤리돈(NMP)에서 용해도가 훨씬 높다. 하지만, NMP 중의 PLGA 용액이 수용액과 접촉할 때, NMP는 이의 높은 수혼화성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소산하여 고체 중합체 매트릭스를 형성할 것이다. 용매의 빠른 확산 속도는 빠르게 고체 이식체를 초래할 수 있지만, 높은 초기 과다 방출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트라이아세틴에서 PLGA 용액이 수용액과 접촉하는 경우, 트라이아세틴은 이의 낮은 수혼화성으로 인하여 매우 느리게 소산할 것이다. 용매의 느린 확산 속도는 점성 액체로부터 고체 매트릭스로 변형하는데 장시간이 걸릴 수 있다. 용매의 확산과 펩타이드제를 캡슐화하는 중합체의 응결 간에는 최적의 균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용매를 조합하여 바람직한 전달 시스템을 수득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중합체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고, 확산 속도를 최적화하고 초기 과다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낮은 수혼화성 및 높은 수혼화성의 용매를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유기 용매를 3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주사성 조성물의 점도는 사용된 유기 용매 및 중합체의 분자량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에 중합체의 농도는 70 중량% 미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에 중합체의 농도는 30 내지 60 중량% 사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 조성물은 류프롤라이드 염산염 또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에 대한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말단기 및 라우릴 에스터 말단을 함유하는 85/15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일 수 있고;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60%로 존재할 수 있으며; 평균분자량이 약 8,000 내지 약 5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액체 조성물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에 대한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함유하는 85/15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일 수 있고; 중량 기준으로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60%로 존재할 수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약 8,000 내지 약 50,000,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25,000 달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액체 조성물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에 대한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산 말단기를 함유하는 85/15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일 수 있고; 중량 기준으로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60%로 존재할 수 있으며; 평균분자량이 약 8,000 내지 약 50,000,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25,000 달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에 대한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시산 말단기가 있거나 없는 100/0 폴리(DL-락타이드)일 수 있고; 중량 기준으로 조성물의 약 40% 내지 약 60%로 존재할 수 있으며; 평균분자량이 약 8,000 내지 약 50,000,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25,000 달톤일 수 있다. NMP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로 조제되는 경우, 제형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가지며, 류프롤라이드를 6개월의 기간 동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산 말단기가 있거나 없는 85/15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일 수 있고, 중량 기준으로 조성물의 약 40% 내지 약 60%로 존재할 수 있으며; 평균분자량이 약 8,000 내지 약 50,000,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25,000 달톤일 수 있다. NMP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로 조제될 때, 제형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갖고, 3개월 또는 4개월 동안 류프롤라이드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부형제"는 조성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펩타이드제 또는 생분해성 중합체 외에도 조성물에 유용한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합한 부형제는 방출 속도 조절제, 과다 방출 효과 감소 물질, 완충 물질, 산화방지제,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조절 방출 속도 조절제는 양친매성 화합물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알칸카복실산, 올레산, 알킬 알코올, 극성 지질,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벤질 벤조에이트, 폴록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소르베이트, 및 이의 유사물; 모노-, 다이- 및 트라이카복실산의 에스터, 예컨대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 다이(n-부틸)세바케이트, 및 이의 유사물; 다가 알코올,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이의 유사물; 지방산; 글리세롤의 트라이에스터, 예컨대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중간 사슬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예컨대 MIGLYOL 810, 812, 818, 829, 840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속도 조절제의 혼합물도 본 발명의 중합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방출 속도 조절제는 이식 후 첫 24 시간 동안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방출된 펩타이드제의 초기 과다방출을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 중량%의 방출 속도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완충제는 무기 염 및 유기 염, 예컨대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미리스트산칼슘; 올레산칼슘,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인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올레산마그네슘, 팔미트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수산화아연, 미리스트산아연, 올레산아연,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인산아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제는 분해 과정 동안 이식체 내의 pH를 안정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약 1 wt% 내지 약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wt% 내지 약 15 wt%의 완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d-알파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돌,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퀴논, 하이드록시쿠마린,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에틸 갈레이트,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라우릴 갈레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트라이하이드록시부틸로페논, 비타민 E, 페길화된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E-TPGS, 및 이의 유사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방지제는 이식체 내에서 발생된 임의의 라디칼 또는 과산화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약 1 wt% 내지 약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wt% 내지 약 15 wt%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안정화된 주사성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a) 유기 용액에서 펩타이드와 중합체 간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 및 d) 선택적으로, 펩타이드제의 최적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사성 조성물은 사용 준비된 형태로 주사기에 조성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트로 포장된다. 키트에서 조성물은 적당한 시간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년 동안 안정하여, 조절된 저장 조건 하에서 적합한 저장 수명을 갖는다. 조성물은 동일계에서 이식체를 형성하도록 대상체에게 바람직하게 주사되고, 이로부터 펩타이드제는 원하는 연장 기간 동안 치료 유효량으로 방출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안정화된 주사성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a)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과 약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의 혼합물; b) 생분해성 중합체; c) 펩타이드제의 최적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원하는 방출 기간은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과 약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의 혼합물을 적당한 비율로 선택하여 달성할 수 있다.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과 약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의 혼합물의 비율은 1:0 내지 0:1 범위이다. 바람직한 비율은 1:0, 1:1, 3:2, 7:3, 4:1, 17:3, 9:1, 10:1, 11:1, 12:1, 14:1, 16:1, 18:1, 19:1, 20:1, 30:1, 40:1 및 50: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방출 기간은 1개월 내지 9개월, 바람직하게는 3개월, 4개월 또는 6개월일 수 있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는 강산 또는 약산과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염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산 이외에 과량의 산을 함유하지 않는다. 약염기 및 약산이 이온쌍을 완전하게 형성하지 않을 수 있음으로 인해, 이에 따라 일부 약염기기는 유리 염기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경우에, 산은 화학량론적으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산보다 적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주사성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은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생분해성 중합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 및 선택적인 부형제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투여 단위 형태로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약학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1가지 바람직한 방법은 생분해성 중합체 및/또는 부형제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먼저 균일한 중합체 용액/현탁액을 수득하는 것이다. 그 다음, 이 용액/현탁액에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을 첨가한다. 이 성분들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혼합하여 균일한 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용액 또는 현탁액의 적당한 양을 주사기에 전달하여 사용 준비된 제품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익한 염 및 중합체의 혼입 수준은 당연히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 성분의 효능, 제제의 전달이 필요한 시간 기간, 용매 중에 중합체의 용해도, 및 투여하고자 하는 주사성 조성물의 부피 및 점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에 대한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형성시키기 위한 주사성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은 약 0.01% 내지 40%의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및 약 10% 내지 70%의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중합체를 함유한다. 조성물은 추가로 약 30% 내지 70%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추가로 약 1% 내지 40%의 적합한 부형제, 예컨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출 속도 조절제, 과다방출 효과 감소 물질, 완충 물질, 산화방지제, 조직 수송 제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성 조성물은 주사기와 같은 주사 투여에 적합한 멸균 용기로 전달된다. 용기는 저장을 위해 포장되며, 조성물의 성분들은 제조 및 저장 과정 동안 또는 동물이나 인간과 같은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전에 초기 분자량, 구조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90%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화된 조성물은 펩타이드제의 조절 방출 전달이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온혈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상체에게 투여된"은 조성물(예컨대, 약제학적 제형)을 대상체의 바람직한 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경로로 대상체에게 분배, 전달 또는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펩타이드제를 가지고 다양한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공지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한 투약량을 제공하도록 피하, 근육내, 복강내 또는 피부내로 주사 및/또는 이식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용어 "조절된 방출 전달"은 투여 후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생체내에서 펩타이드제를 지속 전달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 주 내지 1 년 동안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려는 것이다. 제제의 지속된 조절 방출 전달은 예컨대 경시적으로 제제의 연속적인 치료 효과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예컨대, LHRH 유사체인 경우, 유사체의 지속적인 전달은 경시적으로 테스토스테론 합성의 연속적인 억제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펩타이드제의 지속적인 전달은 생체 내에서 제제의 존재를 경시적으로 검출하여 입증할 수 있다.
투여된 주사성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조절 방출 이식체의 바람직한 성질에 따라 의존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주사성 조성물의 양은 펩타이드제가 조절 방출 이식체로부터 방출되는 시간의 길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대상체에게 주사되는 본 발명의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의 부피는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범위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유기 용액에서 펩타이드제와 중합체 사이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 및 d) 선택적으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최적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주사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액체 조성물을 상 분리에 의해 저장소(depot)로 변형시키기 위해 용매를 주위 수성 환경으로 소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체를 대상체의 동일계 내에서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저장소는 점성 겔, 반고체 또는 고체 매트릭스일 수 있다. 또한, 저장소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일 수 있다. 저장소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가 원하는 장기적인 기간에 걸쳐 방출되는 전달 시스템으로서 작용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주사성 조성물은 저장소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체강에 맞게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체강에는 수술 후 생긴 체강 또는 질, 항문 등과 같은 자연 체강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유기 용액에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와 중합체 사이의 상호작용/반응을 최소화하거나 방해하는 강산에 의해 형성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 b) 생분해성 중합체; c) 유기 용매; 및 d) 선택적으로 펩타이드제의 최적의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조절 방출 전달 시스템을 형성시키기 위한 안정화된 액체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액체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은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은 제작 공정 전 및 공정 중에 중합체의 초기 분자량, 구조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95%를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는 입자, 필름, 펠릿, 실린더, 디스크,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스피어, 나노스피어, 마이크로입자, 웨이퍼, 및 약물 전달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중합체 형태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중합체 운반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다양한 방법 및 물질은 미국 특허 제6,410,044호; 제5,698,213호; 제6,312,679호; 제5,410,016호; 제5,529,914호; 제5,501,863호; 및 PCT 공개번호 WO 93/16687; 제4,938,763호; 제5,278,201호; 제5,278,202호; EP 제0,058,48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피어 형태의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을 중합체 내에 캡슐화함으로써 생성된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은 다른 생물학적 환경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특이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적합한 고유의 특성을 갖는 다양한 생체적합성 및/또는 생분해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캡슐화할 수 있다. 용해 속도 및 이에 따른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전달은 특별한 캡슐화 기술, 중합체 조성, 중합체 가교, 중합체 두께, 중합체 용해도, 크기 및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다음이온 착물의 용해도에 의해 결정된다.
캡슐화되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은 유기 용매 중의 중합체 용액에 용해되거나 현탁된다. 중합체 용액은 이 용액에 유익한 염이 첨가된 후 유익한 염을 완전하게 코팅하기에 충분하게 농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양은 유익한 염 대 중합체가 약 0.0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 사이의 중량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은 중합체와 접촉하여 코팅될 때 현탁된 상태를 유지하고 응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의 중합체 용액은 분무 건조, 분무 응결, 에멀젼 및 용매 증발 에멀젼을 포함하는 다양한 마이크로캡슐화 기술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은 유기 용매 중의 중합체 용액에 용해되거나 현탁된다. 용액 또는 현탁액은 유화제를 함유하는 보다 많은 부피의 수성 용액으로 전달된다. 수용액에서, 유기 상은 유화되고, 여기서 유기 용매는 증발하거나 중합체로부터 소산된다. 고형화된 중합체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을 캡슐화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유화제는 공정의 경화 단계 동안 시스템에서 다양한 물질 상들 간에 계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대안적으로, 캡슐화 중합체가 약간의 고유 표면 활성을 갖고 있다면, 별도의 표면활성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캡슐화된 본 발명에 따른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유화제로는 본 명세서에 예시되는 폴록사머 및 폴리비닐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중합체 캡슐화된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익한 염과 용액 사이에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른 표면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유기 용매는, 위에서 개시된 것 외에도, 아세트산, 아세톤, 염화메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폼 및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 다른 비독성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비독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지속적인 조절 방출 전달이 필요로 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식성 중합체 매트릭스는 LHRH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 공지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한 투약량을 제공하기 위해 피하, 근육내, 복강내 또는 피부내로 주사 및/또는 이식함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고된 모든 서적, 문헌 및 특허는 전부 참조에 의해 편입된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은 제한으로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유용한 조절 방출 약물 전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단순히 교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주사성 중합체 조성물 중의 펩타이드제와 생분해성 중합체의 안정성
라우릴 에스터 말단기를 갖는,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 85/15 비율(DLPLG85/15, IV:0.28)의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를 N-메틸-2-피롤리돈(NMP)에 용해하여 50 중량% 용액을 제공하였다. 류프롤라이드 염을 NMP 중의 PLGA 용액과 혼합하여, 표 1에 제시된 비율의 균일한 주사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주사성 조성물을 루어록 팁(luer-lock tip)을 갖는 1.2㎖ 폴리프로필렌 주사기에 충전하였다. 그 다음, 사전충전된 주사기를 루어록 캡을 사용하여 밀봉하였다. 캡핑된 주사기를 용기에 포장하고 진공 하에 플라스틱 백에 밀봉한 뒤, 4℃ 및 실온(약 22℃)에서 최대 18개월 동안 저장하였다. 주사성 조성물은 24h,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및 18개월 시점들에 샘플링하였다. 샘플 중의 류프롤라이드의 순도는 HPLC로 결정하였다. 중합체의 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가지고 공지된 분자량의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1
놀랍게도, 아세테이트 대신에 류프롤라이드의 염산염 및 메실레이트 염의 사용은 4℃ 및 실온에서 NMP 중의 PLGA 용액에 존재하는 류프롤라이드와 중합체의 분해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및 3은 각각 4℃ 및 실온에서 NMP 중의 PLGA 용액에 존재하는 류프롤라이드의 분해를 경시적으로 나타내었다. 4℃에서 류프롤라이드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에서 23%까지 분해된 반면, 류프롤라이드 염산염 및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제형에서는 18개월 후에도 2% 미만의 류프롤라이드가 분해되었다. 실온에서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형의 경우 류프롤라이드의 35%가 넘게 분해가 관찰된 반면, 류프롤라이드 염산염 및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제형의 경우에는 12개월 후 약 11% 만이 분해되었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2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3
표 4 및 표 5는 상이한 제형에서 중합체의 분자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블랭크 대조군과 비교 시,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제형에 있는 PLGA의 분자량은 6개월 후 4℃에서 10% 넘게, 실온에서는 90% 넘게 감소하였다. 류프롤라이드 염산염 및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제형에 있는 PLGA의 분자량은 12개월 후에도 4℃ 및 RT 모두에서 블랭크 대조군의 분자량과 동일하였다. 하지만, 12개월 후에는 블랭크 대조군 및 류프롤라이드 염산염과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제형 둘 모두에서 중합체의 90% 초과가 분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HCl 및 메탄설폰산과 같은 강산에 의해 형성된 류프롤라이드의 염들은 용액에서 펩타이드와 PLGA 간에 상호작용/반응을 완전하게 방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아세트산과 같은 약산은 용액에서 펩타이드와 PLGA 간의 유해한 상호작용/반응을 방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산에 의해 형성된 펩타이드의 염을 사용함에 의한 제형의 안정성의 향상은 적어도 1년의 만족스러운 저장 안정성을 갖는 사용 준비된 주사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4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5
실시예 2: 6개월에 걸친 류프롤라이드의 전달
Eligard® 45㎎은 6개월 동안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제품은 하나의 주사기에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다른 주사기에는 중합체 용액을 가진 2개의 분리된 주사기로 공급된다. 이 2개의 주사기는 주사 직전에 혼합된다. 중합체 용액은 NMP 중의 50% 8515PLGA 중합체 용액을 함유한다.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20k 달톤이다. 유사한 8515PLGA 중합체와 1.55:1(LAMS(1.55))의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를 갖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사용하여 비슷한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도 역시 약 20k 달톤의 분자량을 가졌고 다분산도 지수(PD)는 1.7이었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로부터 이온교환 동결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고 소량의 아세테이트를 함유한다. 이 제형을 혼합하였고 하나의 주사기에 저장하였다. PLA 중합체를 사용한 LAMS를 가지고 분자량이 15k 달톤(PLA-1)이고 다분산도 지수(PDI)가 1.8인 다른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 제형도 혼합하여 단회 주사기에 저장하였다. 이어서, 제형을 Eligard® 45㎎(Lot#3385)와 함께 pH 7.4의 PBS에서 37℃ 하에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방출 샘플은 소정의 시점들에서 채취하였고 HPLC로 분석하였다. 도 1은 경시적인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을 나타낸다.
8515PLGA-3 중합체 제형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112일 정도에 종결되었다. 또한, 펠릿들은 이 시기에 방출 매질로부터 완전히 분해되었다. PLA-1 및 Eligard® 45㎎ 펠릿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약 180일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방출 기간의 차이는 Eligard® 45㎎ 제형에서와 같은 8515PLGA 중합체를 사용하여 이식체가 제형 중의 LAMS와 함께 오래 지속되지 않으므로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즉, Eligard® 45㎎ 제형과 비슷한 방출을 나타내고 6개월 동안 지속하기 위해서는 PLA 중합체가 필요하다. 놀랍게도, LAMS을 이용한 제형이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갖는 제형보다 저장 동안 더욱 안정할지라도, 중합체 분자량은 방출 매질에서 더 빠르게 분해된다. 다른 놀라운 결과는 Eligard® 45㎎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에 비해 PLA-1로부터 LAMS의 더 낮은 초기 방출이었다.
실시예 3: 6개월에 걸친 생체내 류프롤라이드의 전달
본 연구의 목적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저장소 제형의 약동학을 수컷 래트에게 단회 피하 투여 후 7개월의 기간 동안 특성화하고 래트에 SC 투여 후 상이한 중합체의 효과 및 제형의 활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Eligard® 45㎎은 참조 약물로서 제공하였다. 류프롤라이드(LA)의 방출은 SC 투여 후 시간의 함수로서 LA의 혈청 농도를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수컷 래트는 그룹(6 마리/그룹)으로 나누고 이하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1.55) 제형을 투여받았다. 55.2% 8515PLGA-3/44.8% NMP(방사선조사 선량 25 kGy), 57.6% PLA-1/42.4% NMP(방사선조사 선량 25 kGy), 또는 참조 약물, Eligard® 45㎎. 8515PLGA-3 중합체는 분자량이 Eligard® 45㎎(20k)과 유사하였고, PLA-1 중합체는 분자량이 15k였다. 196일까지 용량 투여 전 및 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도 2는 류프롤라이드 농도를 경시적으로 나타낸다. 모든 제형에 대한 류프롤라이드 농도는 약 140일까지 유사하다. 그 뒤, 류프롤라이드 농도는 8515PLGA-3 제형에서는 급감하기 시작하여 196일에는 검출되지 않는다.
본 연구의 이식체는 회수하여 류프롤라이드 함량 및 중합체 분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표 6은 남은 류프롤라이드의 양 및 분자량 감소 퍼센트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6
8515PLGA-3 제형을 이용하여 LAMS를 투여받은 동물에서는 이식체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혈청 류프롤라이드 농도와 일치하여, 후반에 류프롤라이드 농도는 급감하였고, 196일째에는 검출가능한 한계 이하였다.
분자량 분해는 LAMS-PLA-1 제형 및 Eligard® 45㎎ 제형에서 유사하였고, 중합체 분자량이 약 73% 감소하였다. 여전히 약간의 류프롤라이드가 남아 있었지만, LAMS-PLA-1 제형에서는 약 2%가 남고 Eligard® 45㎎ 제형에서는 1% 미만으로 남아 있어, 거의 완전하게 방출되었다. 따라서, Eligard® 45㎎ 방출과 유사한 6개월 생체내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LAMS로 조제할 때에는 약 15k의 분자량을 갖는 PLA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예상치 못한 것이다. 이 제형이 저장 중에 더욱 안정함에도 불구하고, 주사되는 즉시, Eligard® 45㎎과 유사한 중합체 용액을 갖는 LAMS는 더 빠르게 분해되어, 제형 중에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Eligard® 45㎎처럼 6개월 동안 방출을 지속할 수 없다.
실시예 4: 수컷 래트에서 피하 투여된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제형의 PK/PD 프로파일의 평가
본 연구의 목적은 수컷 Sprague Dawley 래트에게 N-메틸피롤리돈(NMP) 중의 폴리락타이드(PLA) 용액에 담긴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여러 용량을 단회 피하 주사한 후, 류프롤라이드의 약동학(PK)을 특성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류프롤라이드 폼에이트(leuprolide formate)로부터 칼럼 이온 교환에 의해 제조하였다. 수득되는 생성물은 메탄설폰산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1.5:1 내지 1.8:1의 범위였다. 이 제형 중의 PLA는 THF 중의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GPC에 의해 결정했을 때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 내지 18,000 달톤 범위였고, 다분산도는 1.8이었다. 사용된 PLA 중합체는 개시제로서 도데칸올(또는 라우릴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결과적으로 한쪽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와 다른 쪽 말단에 하나의 도데실 에스터기를 갖는 PLA 중합체가 수득되었다. 시험 물질은 6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를 전달하도록 설계하였다.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6개월 지속 방출 제형인 참조 물질 Eligard® 45㎎을 참조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SC 투여 후 시간의 함수로서 류프롤라이드의 혈청 농도를 분석하여 결정하였고, 다양한 제형에서 류프롤라이드의 활성은 경시적으로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의 억제에 의해 평가하였다.
연구 설계
PK 연구를 위해, 메탄설폰산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율이 1.5:1 내지 1.8:1 범위인 시험 물질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의 3가지 다른 용량 수준 및 Eligard® 45㎎을, 시험 물질의 3가지 용량 그룹(그룹 3, 4 및 5) 및 참조 물질-처리된 그룹(그룹 6)의 총 80 마리의 수컷 래트에게 각각 6.8㎎, 20.3㎎, 33.8㎎ 및 30㎎의 단회 용량 수준으로 투여하였다. PK 연구를 위한 위조 대조군 및 부형제 대조군(그룹 1, 2)은 총 40마리의 수컷 래트를 함유하였다. 류프롤라이드 및 테스토스테론 결정을 위한 혈액 샘플은 모든 그룹으로부터 용량 전 및 용량 후 4시간 및 24시간째, 3일, 5일, 8일, 15일, 22 일, 29 일, 43일, 57일, 71일, 85일, 99일, 113일, 127일, 141일, 155일, 169일 및 183일째에 수득하였다. 혈청 샘플은 류프롤라이드 및 테스토스테론 모두에 대해 정량 하한치(LLOQ)가 0.100 ng/㎖인 검증된 LC-MS/MS 방법을 사용하여 류프롤라이드 및 테스토스테론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류프롤라이드의 PK 파라미터의 계산에는 Phoenix® WinNonlin® 6.3을 사용하여 복합 혈청 농도-시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결과
류프롤라이드의 평균 Cmax 값은 모든 류프롤라이드-처리된 그룹에서 용량투여 후 첫 샘플 시간인 4.0시간째에 도달하였다.
6.8㎎으로부터 20.3㎎ 및 33.8㎎으로의 용량의 3배 및 5배 증가는 수컷 래트에서 Cmax 값을 각각 3.2배 및 6.3배 증가시켰다. 용량의 동일한 3배 및 5배 증가는 수컷 래트의 AUC0-182일을 각각 3.0배 및 4.2배 증가시켰고, 이는 시험 물질의 용량 비례성이 본 연구의 용량 증가에 의해 달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시험 물질 처리된 그룹(저용량, 중간 용량 및 고용량) 대 참조 물질-처리된 그룹에서 용량 정규화된 AUC0-182일의 비율은 각각 1.1, 1.1 및 0.9였고, 이것은 6개월 동안 모든 시험 물질-처리된 그룹에서 류프롤라이드의 용량 정규화된 약물 노출이 참조 물질 그룹의 약물 노출과 비슷하였음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시험 물질의 모든 용량 그룹은 용량 정규화 시, 참조 그룹 Eligard® 45㎎과 매우 유사한 노출을 나타내었다.
PK 결과는 이하 표 7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7
모든 시험 물질 및 참조 물질의 피하 투여 후, 평균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15 내지 22일까지는 0.500 ng/㎖ 이하로 감소하였고, 본 연구 종결까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수준을 거의 유지하였다.
결론
수컷 Sprague-Dawley 래트는 6.8㎎, 20.3㎎ 및 33.8㎎의 시험 물질, 또는 30㎎의 참조 물질 Eligard® 45㎎의 단회 피하 주사를 통해 류프롤라이드에 노출시켰고, 182일 동안 모니터하였다. AUC의 상대적 용량 비례적 증가는 저용량에 비해 시험 물질의 중간 용량 및 고용량에서 달성되었다. 용량 정규화 후, 시험 물질의 모든 용량은 참조 물질 Eligard® 45㎎과 유사한 류프롤라이드의 노출을 나타내었다.
종합하면, LMIS 50㎎은 수컷 래트에서 6개월 동안 약물 노출 및 혈청 테스토스테론의 억제 모두 참조 물질 Eligard® 45㎎과 유사하게 작용하였다.
실시예 5: 제형 전달 기간에 미치는 류프롤라이드 염 형태의 효과
분자량이 16,000 달톤인 동일한 폴리(D,L-락타이드)(PLA)를 사용하여 2가지 제형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PLA 중합체는 개시제로서 도데칸올(또는 라우릴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결과적으로 한쪽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와 다른 쪽 말단에 하나의 도데실 에스터기를 갖는 PLA 중합체를 생성하였다. PLA 중합체는 NMP에 60 중량%의 농도로 용해되었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약 12%의 류프롤라이드(중량 기준)를 함유하는 제형을 제조하였다. 류프롤라이드는 하나의 제형에서는 메탄설폰산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율이 1.4:1(LAMS1.4)인 메실레이트 염 및 다른 제형에서(LAAc)는 메탄설폰산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율이 0:1인 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존재하였다. 수득되는 제형을 이어서 25 kGy의 선량으로 감마 조사하였다.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은 상기 2가지 제형으로부터 시험하였다. 시험관내 방출 시험은 pH 7.4의 PBS에서 37℃ 하에 수행하였고, 경시적인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HPLC로 측정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제형의 분취량(약 100㎎)을 0.1% 아지화나트륨을 갖는 pH 7.4의 인산염 완충액 식염수 용액 3㎖ 내로 37℃에서 주입하였다. 수용 유체는 소정의 시점에서 새로운 완충 용액으로 교체하였고, 제거된 완충 용액은 pH 7.4의 인산염 완충액으로 2배 희석하여 HPLC로 약물 농도를 분석하였다. 각 시점에 방출된 양을 계산하였다. 도 3은 여러 제형의 류프롤라이드의 누적 방출을 경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갖는 제형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약 180일)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갖는 제형(약 240일)보다 더 빠르게 종결되었다. 이것은 제형 중의 중합체 분자량이 동일한 저장 조건 하에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보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에 의해 더욱 안정하므로 예상치 못한 것이다. 시험관내 방출은 제형에서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에 대비하여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60일 넘게 지속된다. 전립선암에 대한 표준 치료 기간은 1, 3, 4 및 6개월이다.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대신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향상된 제형 안정성 및 6개월 전달 기간은 6개월마다 전립선암을 치료하는데 우수한 제품, 즉 단회 사용 준비된 사전충전된 주사기가 개발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6: 제형 전달 기간에 미치는 류프롤라이드의 염 형태의 효과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은 Eligard® 45㎎의 여러 키트로부터 시험하였다. 이 키트들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LAAc)를 갖는 하나의 주사기와 중합체 용액(NMP 중의 PLGA8515)을 갖는 1개의 주사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된 PLGA8515는 개시제로서 헥산다이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율은 85:15였다. PLGA8515 중합체는 중합체 사슬의 양쪽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는다. 두 주사기를 연결하였고 내용물을 주사 직전에 혼합하였다. Eligard® 45㎎에 대한 시험관내 방출 시험은 pH 7.4의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에서 37℃ 하에 수행하였고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HPLC에 의해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Eligard® 45㎎은 LAAc 대신에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1.4)가 사용된 경우의 방출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도 4는 Eligard® 45㎎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을 도시한 것으로서, Eligard® 45㎎ 키트로부터의 중합체 용액과 LAAc 대신에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를 사용한 제형으로부터의 류프롤라이드의 방출과 비교한다. Eligard® 키트 유래의 중합체 주사기를 사용한 LAMS에 의한 방출은 >99 방출되었고, 중합체는 112일에 거의 완전 분해되었다. Eligard® 45㎎ 키트를 사용한 이식체는 160일 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고 여전히 방출 중이었다. 이것은 꽤 놀라운 것으로, PLGA 중합체가 저장 동안 LAAc로 조제된 제형보다 LAMS로 조제된 제형에서 더욱 안정한 것으로 종래 밝혀져 있었기 때문에 반직관적인 것이다.
실시예 7: 3개월 동안 류프롤라이드의 전달
Eligard® 22.5㎎은 3개월 동안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기 위하여 류프롤라이드를 전달할 수 있다. Eligard® 22.5㎎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를 갖는 하나의 주사기와 중합체 용액을 갖는 다른 주사기, 2개의 주사기로 이루어진다. 두 주사기는 주사 직전에 혼합된다. 중합체 용액은 NMP 중에 45% PLGA7525 중합체 용액을 함유한다. 더 낮은 폴리락타이드 함량은 더 높은 락타이드 함량을 갖는 중합체보다 더 빠른 분해를 초래한다.
제형은 3개월 동안 류프롤라이드의 전달을 달성하도록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1.6))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류프롤라이드 폼에이트로부터 염 교환 동결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고, 소량의 폼산을 함유한다. 제형은 단회 주사기로서 안정하며 직접 주사될 수 있다. 방출은 37℃ 및 pH 7.4에서 3㎖ PBS 완충액 내로의 주사로 이루어졌다. 각 시점마다 2.5㎖의 방출 매질을 제거하였고 새로운 완충액으로 대체하였다. 제거한 방출 매질은 류프롤라이드 함량에 대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도 5는 시험관내에서 시험된 여러 제형으로부터의 방출을 나타낸다.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8515PLGA 제형에서 약 3개월까지 완료되는 것으로 관찰된다(PLGA-1: MW 12.6k, PDI 1.8; PLGA-2: MW 15.5k, PDI 1.5; PLGA-3 MW 20k, PDI 2.5). 분자량이 더 작은 8515PLGA의 사용은 분해 기간을 3개월보다 훨씬 짧게 만들 수 있다. PLA 중합체는 6개월 동안 지속된다(PLA-1: MW 15k, PDI 2.5). Eligard® 45㎎은 또한 PLGA 8515 중합체를 사용하지만, 방출은 6개월 동안 지속된다. 놀랍게도, LAMS를 갖는 PLGA8515 중합체의 사용은 방출을 단 3개월 동안 지속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8515PLGA 중합체는 3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의 전달을 유지하기 위해 LAMS로 조제했을 때 필요로 된다. 따라서, LAMS를 사용하고 적당한 MW와 다분산도를 갖는 PLGA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저장 안정성, 방출 프로파일 및 기간을 갖는 제형이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8 : 래트 생체내에서 3개월 후 SC 투여된 제형에서 회수된 이식체의 분석
여러 8515PLGA 중합체를 갖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1.6)의 여러 제형을 수컷 SD 래트에게 주사하여 방출 기간을 시험하고 PLA를 갖는 제형으로부터의 LAMS의 방출과 비교하였다. 91일 후, 이식체를 제거하고 분석하여 나머지 류프롤라이드 함량 및 중합체 분자량 분해량을 결정하였다. 표 8은 회수된 이식체로부터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8
8515PLGA 중합체의 분자량은 91일 후 약 85%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PLA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45%까지만 감소하였다. 8515PLGA 중합체는 거의 완전하게 완료되었고, 이것은 이식체에 남아 있는 류프롤라이드의 양에 의해서도 반영된다. 초기 류프롤라이드의 약 5 내지 10%가 91일 후 남아 있다. PLA 제형에는 여전히 약 50%가 남아 있었고, 이것은 제형이 6개월 전달용이라면 거의 정확한 것이다. 따라서, LAMS를 갖는 제형으로부터 3개월 동안 류프롤라이드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Eligard® 22.5㎎에 사용된 7525PLGA 중합체와 달리, 8515PLGA 중합체가 필요하다. 이것은 LAMS가 저장 동안 제형을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보다 더욱 안정하게 만들므로 놀라운 것이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성질은 적합한 전달 기간을 갖는 장기간 저장 동안 더욱 안정한 제형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9 : 제형 전달 기간에 대한 류프롤라이드 함량의 효과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중합체를 사용하여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1.65))를 함유하는 2가지 제형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PLGA 중합체는 개시제로서 도데칸올(또는 라우릴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여 하나의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고 다른 쪽 말단에 하나의 도데실 에스터기를 갖는 PLGA 공중합체를 생성하였고,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율은 85:15였다. PGLA 중합체(MW 20k, PDI 1.7)는 NMP에 5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LAMS 1.65, 중량 기준) 7.5% 및 3.75%를 함유하는 제형을 제조하였다. 수득되는 제형은 그 다음 E-빔을 사용하여 25 kGy 초과의 선량으로 방사선조사하였다.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은 상기 두 제형으로부터 시험하였다. 시험관내 방출 시험은 pH 7.4의 PBS에서 37℃ 하에 수행하였고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HPLC에 의해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6은 상기 두 제형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을 도시한 것이다. 류프롤라이드의 방출 및 상기 PLGA 중합체의 분해는 약 90일 후 종결되었다. 제형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적어도 3개월의 기간 동안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두 제형은 또한 수컷 Sprague-Dawley 래트에게 단회 피하 투여하여 평가하여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을 경시적으로 억제함에 의한 제형으로부터 방출된 류프롤라이드의 활성을 특성규명하였다. 혈청 샘플은 정량 하한치(LLOQ)가 0.100 ng/㎖인 검증된 LC-MS/MS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토스테론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 7은 시간 대비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을 나타낸다.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은 래트 대부분에서 투여 21일 후에 인간 거세 수준(≤0.5 ng/㎖) 이하로 억제되었다. 55%PLGA/NMP 용액 중의 7.5%LAMS인 경우에는 평균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28일째 0.5 ng/㎖보다 높았다. 이러한 급변은 한 래트에서의 테스토스테론 수준으로 인한 것이었고, 이것은 나머지보다 훨씬 높았다. 이것은 아마도 분석 오류이거나 개별 동물의 변동성 때문일 것이다. 종합하면, 한쪽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고 다른 쪽 말단에 하나의 도데실 에스터기를 갖는,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율이 85:15인 PLGA 공중합체를 초래하는, 개시제로서 도데칸올(또는 라우릴 알코올)을 가지고 만든 PLGA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제형은 최소 3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의 치료적 수준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꽤 예상치 못한 것이다. 유사한 제형인,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DL-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 = 85:15의 몰비율을 갖는 PLGA, 및 NMP로 이루어진 시판 제품 Eligard® 45㎎은 류프롤라이드의 6개월 전달용으로 승인된 것이다. Eligard®에 사용된 중합체는 분해되는데 6개월이 걸린다. 상기 결과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에 비해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가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시험관내 및 생체내 방출 동안 중합체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이러한 특성들은 상기 제형을 맞춤제작하고 미세조정하여 우수한 제품, 즉 단회 사용 준비된 사전충전된 주사기를 제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량된 제품들은 사용자 친화성이며, 복잡한 혼합 절차를 없애고 투여 전에 부적절한 혼합에 의해 유발되는 임의의 용량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실시예 10: 맞춤제작된 방출 프로파일 또는 전달 기간을 갖는 제형
폴리(D,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중합체를 사용하여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3가지 제형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PLGA 중합체는 개시제로서 도데칸올(또는 라우릴 알코올)을 가지고 제조하여, 한쪽 말단에 하나의 하이드록실 말단기와 다른 쪽 말단에 하나의 도데실 에스터기를 갖고 LD-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율이 85:15인 PLGA 공중합체를 생성하였다. PLGA 중합체는 NMP에 5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7.5%의 류프롤라이드(유리 염기, 중량 기준)를 함유하는 제형을 제조하였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비율은 1:0, 4:1 및 0:1이거나,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율이 2:1, 1.6:1 및 0:1이다. 최종 제형은 이어서 25 kGy 초과 선량의 E-빔으로 방사선조사되었다.
류프롤라이드의 시험관내 방출은 이들 2가지 제형으로부터 시험하였다. 시험관내 방출 시험은 pH 7.4의 PBS에서 37℃ 하에 수행하였고, 류프롤라이드의 방출은 HPLC로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류프롤라이드의 방출 및 PLGA 중합체의 분해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비가 약 1:0인 제형에서는 약 90일 후에 종결되었고, 약 4:1의 비를 갖는 제형에서는 약 114일 후에, 0:1의 비율을 갖는 제형에서는 약 180일 후에 종결되었다. 이러한 제형은 약산 및 강산에 의해 형성된 류프롤라이드 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적어도 3개월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전달하도록 맞춤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 11: 맞춤제작된 방출 프로파일 또는 전달 기간을 갖는 제형
다양한 방출 프로파일 또는 전달 기간은 LHRH의 강산 염 및 약산 염의 상이한 조합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LHRH의 다양한 염들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염의 혼합물은 하나의 약산 LHRH 염과 하나의 강산 염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LHRH 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약산 LHRH 염의 수용액에 강산을 첨가하는 것이다. 강산 이온은 염 이온 쌍으로부터 약산을 유리 또는 해리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냉동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액체 매질과 임의의 해리된 약산을 제거하여 원하는 염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약산의 예는 폼산, 아세트산을 포함하고, 강산은 메탄설폰산, HCl, 황산, 브로민화수소를 포함한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및 류프롤라이드 폼에이트의 혼합물은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 폼에이트의 비율이 1:0, 9:1, 4:1, 7:3, 및 0:1이거나, 또는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비율이 2:1, 1.8:1, 1.6:1, 1.4:1 및 0:1 이도록 제조하였다. 염은 NMP 용액 중의 PLGA를 이용하여 조제하여 상이한 전달 기간을 갖는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또한 이온 교환 칼럼과 같은 칼럼 위에 약산의 류프롤라이드 염을 로딩하고, 칼럼으로부터 약산을 세척해내고, 메탄 설폰산 용액을 이용하여 칼럼으로부터 류프롤라이드를 용출시켜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용액을 수득하고, 액체 매질을 증발 및 동결건조에 의해 제거하여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건조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염 교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2: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 비가 1.4 내지 1.8인 LAMS를 갖는 제형
NMP 중의 PLA 중합체(MW 16k PDI 1.8) 및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제형을 제조하였고 이를 약 25 kGy의 감마 조사를 이용하여 살균시켰다. 이 제형의 시험관내 방출은 37℃, pH7.4의 인산염 완충액에서 시험하였다. 도 8은 메실레이트: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1.4 내지 1.8 사이인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제형의 시험관내 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로부터 염 교환 및 동결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수득되는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는 소량의 아세테이트 반대이온을 함유한다. (메실레이트+아세테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는 ≤2:1이다. 제형은 제조한 뒤, 여러 시간 기간 동안 시험하였다. 중합체 농도는 NMP에서 57.5%였다. 종합해 보면, 제형의 시험관내 방출 프로파일은 비슷하며, 모든 제형이 6개월 또는 약간 더 긴 방출 기간을 입증해 보였다. 이러한 제형의 과방출(burst) 방출은 6개월 또는 약간 더 긴 기간 동안 10 내지 25% 범위이다. 이러한 방출 프로파일은 참조군인 Eligard® 45㎎ 제형에서 관찰되는 시험관내 방출과 유사하다.
실시예 13: 1개월 제형의 안정성 및 방출
1개월의 방출 기간으로 설계된 제형은 메탄 설폰산 대 류프롤라이드 비가 1.6:1 및 2.0:1인 LAMS를 사용하여 NMP 중의 50:50 PLGA 중합체(MW 50k, PDI 4.0)를 가지고 제조하였다. 제형은 25℃에서 보관하였고, 펩타이드 순도 및 중합체 분자량은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표 9 및 표 10은 제형에 대한 펩타이드 순도 및 분자량 안정성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20073075794-pct00009
Figure 112020073075794-pct00010
표 9 및 표 10은 메실레이트의 높은 몰비율이 낮은 비율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순도 및 중합체 분자량을 둘 다 갖는 더욱 안정한 제형을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LAMS(2.0)의 중합체 분자량 분해는 중합체 용액 자체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제형의 방출은 도 9에 제시된다. 방출은 LAMS(2.0)가 LAMS(1.6)보다 초기 방출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율은 원하는 저장 안정성 및 약물 방출 기간을 갖는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Claims (23)

  1.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a) LHRH 작용제의 강산 염과 약산 염의 조합물로서, (강산 음이온 + 약산 음이온) 대 LHRH 작용제의 몰비가 ≤2:1이고, 강산 음이온 대 LHRH 작용제의 몰비가 1.4:1 내지 1.9:1이고, LHRH 작용제의 강산 염 대 약산 염의 몰비가 1:1 내지 50:1인, 조합물;
    b) 단독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트산, 및 공중합체인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또는 락트산:글리콜산의 비가 50:50 내지 100:0인, 생분해성 중합체; 및
    c)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하되,
    1개월 내지 6개월 범위의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LHRH 작용제의 강산 염 및 약산 염의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LHRH 작용제는 류프롤라이드(leuprolide), 트립토렐린(triptorelin) 및 고세렐린(goserel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강산은 메탄설폰산 또는 염산이고, 상기 약산은 아세트산 또는 폼산이고,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10 내지 70 중량%이고,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 달톤인,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HRH 작용제는 류프롤라이드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은 메탄설폰산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은 폼산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a)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및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의 조합물로서, (메실레이트 + 아세테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2:1이고, 메실레이트 음이온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1.4:1 내지 1.9:1이고, 메실레이트 대 아세테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50:1인, 조합물;
    b) 단독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트산, 및 공중합체인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또는 락트산:글리콜산의 비가 50:50 내지 100:0인, 생분해성 중합체; 및
    c)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하되,
    1개월 내지 6개월 범위의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10 내지 70 중량%이고,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 달톤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a) 류프롤라이드 메실레이트 및 류프롤라이드 폼에이트의 조합물로서, (메실레이트 + 폼에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2:1이고, 메실레이트 음이온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가 1.4:1 내지 1.9:1이고, 메실레이트 대 폼에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50:1인, 조합물;
    b) 단독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트산, 및 공중합체인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또는 락트산:글리콜산의 비가 50:50 내지 100:0인, 생분해성 중합체; 및
    c)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하되,
    1개월 내지 6개월 범위의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메실레이트 대 류프롤라이드의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10 내지 70 중량%이고,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 달톤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실레이트 음이온 대 류프롤라이드의 몰비는 1.5:1 내지 1.8:1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30 내지 60 중량%이고, 평균 분자량이 8,000 내지 50,000 달톤이며, 다분산도가 2.5 이하인, 약제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07020359A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52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2539A KR102567885B1 (ko)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66968 WO2019125358A1 (en) 2017-12-18 2017-12-18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a selected release du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539A Division KR102567885B1 (ko)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542A KR20210005542A (ko) 2021-01-14
KR102522654B1 true KR102522654B1 (ko) 2023-04-17

Family

ID=66993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539A KR102567885B1 (ko)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07020359A KR102522654B1 (ko)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539A KR102567885B1 (ko) 2017-12-18 2017-12-18 선택된 방출 기간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717555B2 (ko)
EP (1) EP3727421A4 (ko)
JP (1) JP7223021B2 (ko)
KR (2) KR102567885B1 (ko)
CN (1) CN111511385B (ko)
AU (1) AU2017443632A1 (ko)
BR (1) BR112020011774A2 (ko)
CA (1) CA3084339A1 (ko)
IL (1) IL275448A (ko)
MX (1) MX2020006188A (ko)
RU (1) RU2756514C1 (ko)
SG (1) SG11202004525TA (ko)
WO (1) WO2019125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09693A (en) * 2021-07-02 2024-02-01 Foresee Pharmaceuticals Co Ltd Methods for producing sustained release injectable formulations
WO2023023026A1 (en) * 2021-08-16 2023-02-23 Foresee Pharmaceuticals Co., Ltd. Polymer depot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delivery of vmat2 inhibi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403A (ja) 1998-10-28 2002-09-03 アトリックス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低い初期薬物噴出性を有する制御放出性液状デリバリー組成物
US20160106804A1 (en) 2014-10-15 2016-04-21 Yuhua Li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716A (en) 1988-10-03 1997-12-30 Atrix Laboratories, Inc. Polymeric compositions useful as controlled release implants
US4938763B1 (en) 1988-10-03 1995-07-04 Atrix Lab Inc Biodegradable in-situ forming implan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487897A (en) 1989-07-24 1996-01-30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implant precursor
US5324519A (en) 1989-07-24 1994-06-28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USRE37950E1 (en) 1990-04-24 2002-12-31 Atrix Laboratories Biogradable in-situ forming implant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AU2605592A (en) 1991-10-15 1993-04-22 Atrix Laboratories, Inc. Polymeric compositions useful as controlled release implants
EP0560014A1 (en) 1992-03-12 1993-09-15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film dressing and method for its formation
US5681873A (en) 1993-10-14 1997-10-28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WO1995027481A1 (en) 1994-04-08 1995-10-19 Atrix Laboratories, Inc. Liquid delivery compositions
US5736152A (en) 1995-10-27 1998-04-07 Atrix Laboratories, Inc. Non-polymeric sustained release delivery system
US6261583B1 (en) 1998-07-28 2001-07-17 Atrix Laboratories, Inc. Moldable solid delivery system
US6565874B1 (en) 1998-10-28 2003-05-20 Atrix Laboratories Polymeric delivery formulations of leuprolide with improved efficacy
US6355657B1 (en) 1998-12-30 2002-03-12 Atrix Laboratories, Inc. System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opioid analgesics
US6461631B1 (en) 1999-11-16 2002-10-08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EP1248596B1 (de) 2000-01-11 2007-03-07 Roland Bodmeier Kit zur implantation enthaltend eine trägerphase und ein lösungsmittel
DK1660039T3 (en) 2003-07-18 2017-01-16 Oakwood Laboratories L L C PREVENTION OF REDUCTION OF THE POLYMER MOLECULE WEIGHT, THE PREPARATION OF PURPOSES AND GELING IN POLYMER COMPOSITIONS
US8852638B2 (en) * 2005-09-30 2014-10-07 Durect Corporation Sustained release small molecule drug formulation
WO2007084460A2 (en) 2006-01-18 2007-07-26 Qps,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enhanced stability
EP2585092A1 (en) 2010-06-24 2013-05-01 Torrent Pharmaceutical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goserelin for in-situ im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403A (ja) 1998-10-28 2002-09-03 アトリックス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低い初期薬物噴出性を有する制御放出性液状デリバリー組成物
US20160106804A1 (en) 2014-10-15 2016-04-21 Yuhua Li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5358A1 (en) 2019-06-27
KR20210005542A (ko) 2021-01-14
NZ766167A (en) 2023-10-27
CA3084339A1 (en) 2019-06-27
CN111511385A (zh) 2020-08-07
CN111511385B (zh) 2024-05-03
IL275448A (en) 2020-08-31
US11717555B2 (en) 2023-08-08
KR102567885B1 (ko) 2023-08-17
JP2021516253A (ja) 2021-07-01
BR112020011774A2 (pt) 2020-11-17
US20200390849A1 (en) 2020-12-17
SG11202004525TA (en) 2020-06-29
MX2020006188A (es) 2020-09-17
EP3727421A4 (en) 2021-07-28
US20230346877A1 (en) 2023-11-02
EP3727421A1 (en) 2020-10-28
RU2756514C1 (ru) 2021-10-01
KR20230054755A (ko) 2023-04-25
JP7223021B2 (ja) 2023-02-15
AU2017443632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57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enhanced stability
US20120177697A1 (en) Excipients In Drug Delivery Vehicles
US2023034687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a Selected Release Duration
MXPA04004663A (es) Composiciones de deposito inyectables y uso de los mismos.
KR20110042309A (ko) 제약 조성물
NZ76616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a selected release duration
EP217218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WI376241B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enhanced stability
BRPI0706558B1 (pt) Composição polimérica injetável, métodos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injetável e métodos para preparar um sal de um análogo de hormônio de liberação de hormônio luteínico (lhr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