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641B1 -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641B1
KR102522641B1 KR1020210046327A KR20210046327A KR102522641B1 KR 102522641 B1 KR102522641 B1 KR 102522641B1 KR 1020210046327 A KR1020210046327 A KR 1020210046327A KR 20210046327 A KR20210046327 A KR 20210046327A KR 102522641 B1 KR102522641 B1 KR 102522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roove
window
piece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166A (ko
Inventor
변춘권
Original Assignee
변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춘권 filed Critical 변춘권
Priority to KR102021004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6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을 이동시킴으로써 창문 개폐용 구동부를 창문과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Detachable structure of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창문 자동 개폐장치와 창문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또는 아파트의 거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회전형 또는 슬라이드형의 창문이 설치됐다. 이러한 창문은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는 방식에 의하여 개폐되므로, 반드시 사람이 창문까지 가서 직접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했거나 내부공기가 탁해서 환기를 해야 한다거나 여름철에 실내로 바람을 들이기 위해 창문을 열거나,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거나 비바람이나 강풍이 심할 경우 내지는 미세먼지나 황사가 있을 때에 창문을 개폐시키는 것을 사람이 직접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6214호(특허문헌 1)와 같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나아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851호(특허문헌 2)처럼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IoT 시스템과 연계시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집 밖에서도 창문을 개폐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자동 개폐장치로써 건물의 창틀과 창문에 설치되어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작동스위치의 스위칭신호 또는 원격제어단말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회전 구동하는 모터, 창틀에 설치된 지지대에 양단이 회전 지지되며 상기 모터의 정
Figure 112021041687676-pat00001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수나사, 상기 수나사와 체결되어 창문이 개방되는 제 1 방향 또는 창문이 폐쇄되는 제 2 방향으로 이송되는 암나사블럭 및 상기 창문의 내벽면에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암나사블럭에 연결되고 내측창문에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어 상기 암나사블럭의 이송방향에 따라 내측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창문은 구동연결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장이 나거나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과 같은 이유로 구동부가 작동될 수 없다면, 사람의 힘으로 창문을 개폐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시,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연결부를 고정한 체결부재를 창문에서 분해시켜야 한다. 그러나, 체결부재를 분해시킬 도구가 없거나 전부 분해시킬 시간이 없다면 창문을 개폐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6214호(2018.08.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851호(2019.06.0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창문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상시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용이한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부와 창문을 연결하는 브라켓이 구동부에 대해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한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틀 또는 상기 창틀이 설치된 벽에 지지된 채 구동되어 창문을 좌우 양측으로 개폐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이동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일측의 폭이 타측의 폭보다 크며, 상기 브라켓은 제1위치일 때 상기 홈의 일측에 끼워진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의 브라켓이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홈의 타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브라켓과 분리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창문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관이 미려한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창틀(510)과 창문(500a, 500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브라켓(100)이 제2위치에 위치되고, 지지수단이 제2홈(123)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브라켓(100)이 제3위치에 위치되어 지지수단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400)을 상측, 전측, 후측방향에서 바라본 모습과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창문 개폐장치란, 구동부, 창문에 설치된 지지수단, 구동부와 지지수단을 연결하는 브라켓(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창틀(510)과 창문(500a, 500b)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틀(510)에는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우측 창문(500a)과, 우측 창문(500a)의 좌측에 위치된 좌측 창문(500b)이 조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창문은 유리(503)와, 유리(503)를 둘러싼 창문틀(501)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510)에는 하우징(521)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21)은 창틀(5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21)에는 제어부(529)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21)에는 우측 창문(500a)을 좌우로 개폐시키는 구동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521)에는 스위치(5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550)는 좌측 창틀(51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21)에는 센서(561a, 561b, 5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561a, 561b)가 상측 창틀(510)과 하측 창틀(510)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창문(500a)이 폐쇄되는 도중에 상측 물체감지센서(561a)와 하측 물체감지센서(561b)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부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하우징(521)의 우측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570)가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570)는 제어부(529)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29)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리모컨(580, remote control)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561a, 561b, 570)이나 스위치(550)나 리모컨(580)으로부터 우측 창문(500a)의 개폐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29)는 구동부를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우측 창문(500a)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는 하우징(521)에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구동부는 창틀(510)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창틀(510)이 설치된 건물의 벽에 직접 지지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모터(527), 상기 모터(527)와 연동된 수나사 가이드(523), 상기 수나사 가이드(523)와 맞물려 우측 창문(500a)을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암나사 블록(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 가이드(523)는 상기 창문의 개폐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7)가 작동되어 수나사 가이드(523)가 회전되면 암나사 블록(525)은 상기 수나사 가이드(523)를 중심으로 창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00)은 암나사 블록(525)과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암나사 블록(525)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암나사 블록(525)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창문에는 지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수단은 브라켓(100)과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에는 홈(121, 1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결합편(120)에는 홈(121, 123)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1, 123)은 일측(121)의 폭이 타측(12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홈의 일측을 제1홈(121)이라 할 수 있다. 홈의 타측은 제2홈(123)이라 할 수 있다. 제1홈(121)과 제2홈(12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00)이 제1위치일 때, 제2결합편(120)은 제1결합편(110)보다 우측 창문(500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결합편(120)은 창문틀(501)에 접촉될 수 있다. 제2결합편(12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123)은 상기 제1홈(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1 개의 제2결합편(120)에 4 개의 제1홈(121)과 4 개의 제2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21)과 제2홈(123)은 제2결합편(12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위치에 위치된 브라켓(100)은 지지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수단은 제1홈(121)에 끼워진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121)에 위치된 지지수단은 브라켓(100)과 억지 끼워맞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창문(500a)은 지지수단이 브라켓(100)과 연결되고, 브라켓(100)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부가 구동되지 않을 때, 우측 창문(500a)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상기 암나사 블록(525)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편(110)이 암나사 블록(525)의 연결부(540)에 삽입될 때, 제1결합편(110)은 연결부(540)의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100)이 제1위치일 때, 제1결합편(110)은 수나사 가이드(52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결합편(1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상기 제1결합편(110)에 연결된 제2결합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편(120)은 상기 암나사 블록(525)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편(120)의 상측은 제1결합편(110) 중 후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결합편(120)은 제1결합편(110)과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브라켓(100)은 상기 제2결합편(120)에 연결된 파지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편(13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편(130)은 제1결합편(1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파지편(130)은 제2결합편(120)의 하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편(130)은 암나사 블록(525)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편(13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구동부와 멀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편(130)은 제2결합편(120)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지편(130)이 대각선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당기거나 밀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0)이 지지수단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암나사 블록(525)은 수나사 가이드(523)와 맞물리는 너트(530)(nut)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나사 가이드(523)와 너트(530) 사이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암나사 블록(525)은 수나사 가이드(52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수나사 가이드(523)에 대해 창문(500b) 개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암나사 블록(525)은 수나사 가이드(52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측 내지 후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암나사 블록(525)은 암나사 블록(525)의 하측에 위치되는 연결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40)는 너트(53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40)는 양측편(도면부호 미도시)과 상기 양측편에 연결된 바닥편(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40)에는 상기 양측편과 상기 바닥편에 둘러싸인 삽입홀(54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541)은 전측과 후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40)는 제1결합편(110)의 전측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홀(541)에 제1결합편(110)의 전측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결합편(110)의 전측이 암나사 블록(525)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수단은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는 볼트(300)(Bolt)일 수 있다. 볼트(300)는 머리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300)는 창문틀(501)에 삽입될 수 있다. 볼트(300)가 창문틀(501)에 일부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부(303)는 창문틀(501)과 이격될 수 있다. 이격된 창문틀(501)과 머리부(303) 사이에 제2결합편(120)이 위치될 수 있다.
지지수단은 지지부재(30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소켓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링(400)은 브라켓(10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소켓링(400)은 중심에 축방향으로 볼트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소켓링(400)의 볼트홀(430)에는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링(400)에 볼트(30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소켓링(400)은 관 형상의 소켓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본체(410)의 외경은 제1홈(121)의 좌우폭보다 크되 머리부(303)의 직경보다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소켓본체(410)가 제1홈(121)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다. 소켓링(400)은 볼트(300)가 관통 삽입된 채 브라켓(1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수단이 브라켓(1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간에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 내지 도 2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2a는 제1위치의 브라켓(100)이 지지수단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브라켓(100)이 제3위치에 위치되고, 지지수단이 제2홈(123)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브라켓(100)이 제2위치에 위치되어 지지수단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제1위치에 위치되어 지지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수단은 일부가 제1홈(121)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수단은 제1홈(121)의 하측(121b)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수단이 제2결합편(120)에 걸려 브라켓(100)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홈(121)의 상하측 길이는 머리부(303)의 상하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수단이 제1홈(1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홈(121)의 일부는 경사면(121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303)는 경사면(121a)에 접촉될 수 있다. 경사면(121a)의 형상은 머리부(303)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303)의 좌우폭은 제2홈(123)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b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위치의 브라켓(100)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지편(130)을 잡고 브라켓(1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수단이 제1홈(121) 중에서 제2홈(123)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수단이 제1홈(121)의 상측(121c)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위치의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제1결합편(110)의 일부분인 삽입편(111)이 연결부(540)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제1위치의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암나사 블록(525)이 후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제1위치의 브라켓(100)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삽입편(111)이 연결부(5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브라켓(100)의 일부분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편(110)과 제2결합편(120)이 이루는 각도가 이전보다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편(110)과 제2결합편(120)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鈍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편(110)이 제2결합편(120)에 대해 대각선을 이룰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암나사 블록(525)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암나사 블록(525)은 이전보다 더 후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삽입편(111)이 연결부(540)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브라켓(100)은 이전보다 더 하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수단이 제2홈(123)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0)은 제3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이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수단이 위치되는 곳이 제1홈(121)에서 제2홈(12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수단은, 제2홈(123)에 위치되면 브라켓(100)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수단은 브라켓(100)과 접촉되지 않아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우측 창문(500a)이 좌우로 이동하면, 지지수단이 브라켓(100)에 걸릴 수 있다. 즉 우측 창문(500a)이 개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3위치의 브라켓(100)은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위치의 브라켓(100)은 암나사 블록(525)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00)은 전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삽입편(111) 중 연결부(540)에서 빠져 나왔던 일부분이 연결부(540)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100)이 제2위치가 되면, 지지수단의 좌우측에 브라켓(100)이 위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브라켓(100)이 제2위치가 되면, 지지수단이 제2홈(123)에서 이탈되고, 제2결합편(120)이 지지수단의 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창문(500a)이 개폐될 때, 지지수단이 브라켓(100)에 걸리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우측 창문(500a)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제1위치의 브라켓(100)이 제3위치를 거쳐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수단이 제2홈(123)으로 이동한 후 상기 브라켓(100)과 분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100)을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부를 창문(500a)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예를 들어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을 때, 창문(500a)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전술된 바와 반대로 실행되면, 예를 들어 도 2d부터 도 2a까지 거꾸로 실행되면 분리된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수단의 일부가 제1홈(121)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볼트(300)는 후측에 나사부(301)가 형성되는 축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305)의 직경은 머리부(30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축부(305)의 일부와 나사부(301)의 일부와 머리부(303)의 일부가 소켓링(4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303)의 나머지가 소켓링(4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볼트(300)는 나사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301)의 일부, 예를 들어 나사부(301)의 후측이 창문틀(501)에 삽입될 수 있다.
소켓링(400)의 전후측 길이는 볼트(300)의 전후측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볼트홀(430)의 직경은 머리부(303)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소켓링(400)에 머리부(303)가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켓링(400)은 볼트(300)가 창문틀(501)에 삽입되는 깊이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300)의 머리부(303)가 소켓링(400)에 걸리도록 삽입되면, 볼트(300)는 소켓링(400)의 후측으로 돌출된 부분만 창문틀(501)에 삽입될 수 있다. 소켓링(400)은 볼트(300)와 브라켓(1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링(400)은 볼트(30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고, 브라켓(100)은 소켓링(40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소켓링(400)에 의해 볼트(300)와 브라켓(100)이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볼트(300)와 브라켓(100)간에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소켓링(400)은 소켓본체(410)에 연결된 플랜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420)는 소켓본체(410)의 후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420)는 브라켓(100)과 창문(50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420)의 전후측 두께만큼 브라켓(100)의 후면과 창문틀(501)의 전면 사이(s)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은 우측 창문(500a)과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소켓링(400)이 있으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측 창문(500a)에 구동부를 후시공하는 경우, 볼트(300)를 구동부보다 먼저 우측 창문(500a)에 설치시킬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수단은 볼트(300a)와, 볼트(300a)가 관통 삽입되는 윙(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300a)는 전측에 형성된 머리부(303a)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300a)는 머리부(303a)의 후측에 연결된 축부(305a)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305a)의 직경은 머리부(303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축부(305a)와 머리부(303a)는 제1홈(121)에 위치될 수 있다. 머리부(303a)는 경사면(121a)에 접촉될 수 있다.
볼트(300)는 축부(305a)의 후측에 연결된 나사부(301a)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301a)의 적어도 일부는 창문틀(501)에 삽입될 수 있다.
윙(600)은 납작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윙(600)은 와셔(Washer)일 수 있다. 윙(600)에 나사부(301a)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윙(600)은 나사부(301a)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윙(600)은 도 3a에 도시된 소켓링(400)의 플랜지(420)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윙(600)은 볼트(300)가 창문틀(501)에 삽입되는 깊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301a) 중 윙(600)의 후측으로 돌출된 부분만 창문틀(501)에 삽입될 수 있고, 축부(305a)는 윙(600)에 걸릴 수 있다. 윙(600)은 브라켓(100)과 창문(50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윙(600)의 전후측 두께만큼 브라켓(100)의 후면과 창문틀(501)의 전면 사이(s)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은 우측 창문(500a)과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에는 커버(20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200)는 지지수단과 제1홈(121)과 제2홈(123)을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의 외관이 미려할 수 있다.
커버(200)는 브라켓(100)의 전측면을 가리는 커버편(2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편(210)은 상기 지지수단과 제1홈(121)과 제2홈(123)을 가릴 수 있다. 커버편(210)은 일지점이 굽어진 형상일 수 있다. 커버편(210)은 제1커버편(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편(211)은 제1결합편(11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제1커버편(211)은, 제1결합편(110) 중 후측을 가릴 수 있다. 제1커버편(211)은 제1결합편(110)의 일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버편(210)은, 제1커버편(211)에 연결된 제2커버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편(213)은 제2결합편(12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형상일 수 있다. 제2커버편(213)은 제2결합편(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버(200)는 양측의 지지편(220a,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편(220a,220b)은 커버편(21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0)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브라켓(100)에 걸릴 수 있다. 즉 커버(200)가 브라켓(100)의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브라켓(100)에는 커버(200)가 놓이는 지지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1)는 파지편(130)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1)의 상면에 제1커버편(211)이 올려지면, 커버(200)가 브라켓(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삽입편(111)의 좌우폭은 제1결합편(110) 중 후측의 좌우폭보다 작을 수 있다. 삽입편(111)에는 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홀(111a)에 걸쇠 등을 걸어 브라켓(100)이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100) 중 제1결합편(110)과 제2결합편(120)이 연결되는 부위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결합편(110)과 제2결합편(120)이 연결되는 부위의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편(130)의 단부에 파지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돌기(135)는 파지편(130)의 단부 전체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1)와 파지돌기(135) 사이에는 공간(gs)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지편(130)을 잡을 때 지지돌기(131)와 파지돌기(135) 사이의 공간(gs)에 손가락 등을 위치시키고, 브라켓(100)을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결합편(110)의 전측은 삽입편(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편(110)의 전후측 길이는 파지편(130)의 전후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편(110) 중 후측은 제2결합편(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결합편(110) 중 후측의 좌우폭과 제2결합편(120)의 좌우폭은 같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결합편(120)에는 제1홈(121)과 제2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21)은 상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121)은 하측(121b)의 좌우폭(b)이 상측(121c)의 좌우폭(c)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수단이 제1홈(121)에서 의도하지 않을 상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커버편(210) 중에서 제1커버편(211)과 제2커버편(213)이 연결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편(210)은 지지편(220a,220b)과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편(220a,220b)은 커버편(210)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에는 커버편(210)과 지지편(220a,220b)에 둘러싸인 공간(b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bs)에 브라켓(10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40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소켓링(400)은 소켓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본체(410)의 중심에는 볼트(30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30)의 직경은 일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브라켓
110 : 제1결합편
120 : 제2결합편
130 : 파지편
200 : 커버
210 : 커버편
300 : 볼트(지지수단)
301 : 나사부
303 : 머리부
305 : 축부
400 : 소켓링
410 : 소켓본체
420 : 플랜지
430 : 볼트홀
510 : 창틀
500b : 우측 창문
501 : 창문틀
523 : 수나사 가이드
525 : 암나사 블록
527 : 모터
530 : 너트
540 : 연결부

Claims (9)

  1. 창틀 또는 상기 창틀이 설치된 벽에 지지된 채 구동되어 창문을 좌우 양측으로 개폐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이동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일측의 폭이 타측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홈은 상기 일측의 제1홈과 상기 타측의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제1위치일 때 상기 제1홈에 끼워진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의 브라켓이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제2홈으로 이동한 후 상기 브라켓과 분리되며,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을 가리는 커버편, 상기 커버편의 양측에 연결된 지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커버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파지편에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돌기의 상면에 올려지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된 수나사 가이드, 상기 수나사 가이드와 맞물려 상기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 암나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 블록에 상기 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암나사 블록은 상기 수나사 가이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일측의 제1홈과 상기 타측의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의 브라켓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제3위치가 되면,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제2홈에 위치되고,
    상기 제3위치의 브라켓이 상기 암나사 블록과 함께 회전되어 제2위치가 되면,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제2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브라켓과 분리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암나사 블록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
    상기 제1결합편에서 상기 암나사 블록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결합편;
    상기 제2결합편에서 상기 암나사 블록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편에 상기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일측의 제1홈과 타측의 제2홈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가이드는 상기 창문의 개폐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편의 일측이 상기 암나사 블록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편의 타측은 상기 제2결합편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편은 상기 제2결합편의 하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의 브라켓이 하측으로 이동한 후 회전되어 상기 제2위치가 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단부에 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파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소켓링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링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창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창문이 이격되는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KR1020210046327A 2021-04-09 2021-04-09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KR10252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27A KR102522641B1 (ko) 2021-04-09 2021-04-09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27A KR102522641B1 (ko) 2021-04-09 2021-04-09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66A KR20220140166A (ko) 2022-10-18
KR102522641B1 true KR102522641B1 (ko) 2023-04-18

Family

ID=8380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27A KR102522641B1 (ko) 2021-04-09 2021-04-09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6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52B1 (ko) * 2010-07-11 2013-03-13 기 동 조 여닫이문 자동개폐장치
KR101265048B1 (ko) * 2011-03-18 2013-05-16 (주)리츠엔 자동창문개폐장치
KR101769181B1 (ko) * 2014-03-06 2017-08-17 (주)엘지하우시스 볼스크류를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1896214B1 (ko) 2018-03-15 2018-09-06 이춘용 이중 창문 동시 개폐장치
KR101988851B1 (ko) 2019-05-01 2019-06-13 윤준호 멀티미디어와 생활환경 IoT 기반의 자동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31B1 (ko) * 2015-12-11 2017-03-06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66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328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KR101243452B1 (ko) 여닫이문 자동개폐장치
EP1672151A3 (en) Window lock and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11377895B2 (en) Door operator having an automated roller
WO2020060272A1 (ko) 외부침입 및 추락 사고 예방용 창문 잠금장치
JP2005095364A (ja) カーテン開閉装置
KR102522641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
CN211287208U (zh) 雨水感应自动关窗装置
AU2002227501A1 (en) Counterbalance system cable drum for sectional doors
JP2001280001A (ja) ドアの開閉装置
AU2006270591A1 (en) Door opener
KR101746936B1 (ko) 벨트리스 타입 자동문 개폐시스템
CN211874308U (zh) 一种自动上锁的人防门
US9364064B2 (en) Attic door rope apparatus
CN2883596Y (zh) 雨感自动关窗器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CN107191104B (zh) 一种易推防风门
JP4829607B2 (ja) 出窓の自動開閉装置
KR102097427B1 (ko) 구동부 조향축 조절이 용이한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 장치
CN206000338U (zh) 车库门开门机
KR20100022561A (ko) 자동 창호 시스템
KR200194374Y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N211422106U (zh) 一种执手装置及门扇
CN214659603U (zh) 一种可遥控电动闭门器
KR102155135B1 (ko) 손 끼임 방지용 리프트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