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526B1 -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526B1
KR102522526B1 KR1020207030451A KR20207030451A KR102522526B1 KR 102522526 B1 KR102522526 B1 KR 102522526B1 KR 1020207030451 A KR1020207030451 A KR 1020207030451A KR 20207030451 A KR20207030451 A KR 20207030451A KR 102522526 B1 KR102522526 B1 KR 10252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channel
wireless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842A (ko
Inventor
스밍 완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충전 장치는 무선 수신 회로, 충전 인터페이스, 충전 관리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인터페이스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및/또는 충전 인터페이스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충전 장치는 유선 충전 기능을 지원할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 공개특허공보 CN103746429A(2014.04.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은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양태에서,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충전 장치는 무선 수신 회로, 충전 인터페이스, 충전 관리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인터페이스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며, 및/또는 충전 인터페이스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2 양태에서, 단말기가 제공된다. 단말기는 제 1 양태에서 설명된 충전 장치 및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제 3 양태에서, 충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충전 제어 방법은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충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수신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및/또는 충전 인터페이스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에서 충전 관리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택 스위치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0)는 무선 수신 회로(110), 충전 인터페이스(120), 충전 관리 모듈(130)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110)(Wireless RX라고도 함)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충전 전력이라고도 하며,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110)는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교류 전류를 획득하며, 또한 무선 수신 회로(110) 내부의 정형 회로(예를 들어, 정류 회로 또는 필터 회로)를 통해 수신 코일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에 대하여 정류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함으로써, 교류 전류를 충전에 적합한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20)(유선 충전 인터페이스(120)라고도 함)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인터페이스(120)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충전 인터페이스(120)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 또는 라이트닝(lightning)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표준 USB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 또는 Type-C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회로는 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은 무선 수신 회로(110)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 모듈(130)은 무선 수신 회로(110)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나중에 배터리(200)에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가 배터리(200)의 충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30)은 무선 수신 회로(110)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은 아래 내용으로 교체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은 배터리(200)의 충전 과정에 대하여 충전 관리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30)은 무선 수신 회로(110)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은 아래 내용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은 배터리(200)의 충전 과정에 대하여 정전류 및/또는 정전압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충전 관리 모듈(130)은, 예를 들어, 충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또는 충전기일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110)와 충전 관리 모듈(130)은 제 1 충전 채널(150)에 설치된다. 제 1 충전 채널(150)은 가끔 무선 충전 채널이라고도 한다. 제 1 충전 채널(150)은 무선 수신 회로(110)에서 시작하여 배터리(200)로 끝낼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150)은 무선 수신 회로(11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에 따라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 이외에, 실제 수요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150)에 다른 유형의 기능 회로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채널(150)에 전압 안정화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저전압 아웃 레귤레이터(low dropout regulator, LDO)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20)와 충전 관리 모듈(130)은 제 2 충전 채널(160)에 설치된다. 제 2 충전 채널(160)은 가끔 유선 충전 채널이라고도 한다. 제 2 충전 채널(160)은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시작하여 배터리(200)로 끝낼 수 있다. 제 2 충전 채널(160)은 충전 인터페이스(12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에 따라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 이외에, 실제 수요에 따라, 제 2 충전 채널(160)에 다른 유형의 기능 회로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충전 채널(160)에 전압 및/또는 전류 보호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충전 채널(160)에 부전압 보호(negative voltage protection, NVP) 회로 및/또는 과전압 보호(over voltage protection, OVP) 회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충전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은 동일한 충전 관리 모듈(130)을 공유하기 때문에, 충전 장치(100)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충전 장치(100)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장치(100)는 제어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제 1 충전 채널(150) 및/또는 제 2 충전 채널(16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모듈(14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일 수 있다. 충전 장치(100)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갖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에 통합되는 경우, 제어 모듈(140)도 AP일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4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150) 또는 제 2 충전 채널(160)이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잇으며, 제 1 충전 채널(150) 및/또는 제 2 충전 채널(160)이 외부 충전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150) 또는 제 2 충전 채널(160)이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같은 기간 내에 단 하나의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같은 기간 내에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40)은, 무선 수신 회로(110)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 1 충전 채널(150)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충전 인터페이스(120)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 2 충전 채널(160)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모듈(140)은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을 직접 제어할 수 있고,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40)은 선택 스위치(170)를 통해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0)는 제 1 감지 라인(161) 및 제 2 감지 라인(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감지 라인(161)은 제 1 충전 채널(150)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감지 라인(162)은 제 2 충전 채널(16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110)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140)은 제 1 감지 라인(161)에 의해 제 1 충전 채널(150)에 전압 신호가 존재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선택 스위치(170)에 의해 제 1 충전 채널(1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외부 전원 공급 장치가 충전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충전 전기 에너지를 출력할 때, 제어 모듈(140)은 제 2 감지 라인(162)에 의해 제 2 충전 채널(160)에 전압 신호가 존재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선택 스위치(170)에 의해 제 2 충전 채널(16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모듈(140)에 의해 감지된 전압 신호는 저항 전류 제한 및 레벨 매칭 후의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선택 스위치(170)는 제 1 충전 채널(150)과 제 2 충전 채널(160)에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선택 스위치(170)는 충전 관리 모듈(130) 앞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 스위치(170)는 충전 관리 모듈(130)과 배터리(2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170)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스위치(170)는 도 2에 도시된 단극 쌍투형 스위치일 수 있고, 선택 기능을 갖는 스위치 칩일 수도 있다. 단극 쌍투형 스위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단극 쌍투형 스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극 쌍투형 스위치는 여러개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 트랜지스터(172)와 MOS 트랜지스터(174)는 IN1과 OUT1 사이의 라인이 제 1 충전 채널(150)의 일부로 되도록 제 1 충전 채널(15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MOS 트랜지스터(172)와 MOS 트랜지스터(174)의 제어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MOS 트랜지스터(172)와 MOS 트랜지스터(174)가 동시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충전 채널(150)이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MOS 트랜지스터(176)와 MOS 트랜지스터(178)는 IN2과 OUT2 사이의 라인이 제 2 충전 채널(160)의 일부로 되도록 제 2 충전 채널(16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MOS 트랜지스터(176)와 MOS 트랜지스터(178)의 제어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MOS 트랜지스터(176)와 MOS 트랜지스터(178)가 동시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2 충전 채널(160)이 작동 하거나 또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시로서, 단극 쌍투형 스위치는 로드 스위치(load switch)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로드 스위치는, 예를 들어,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로드 스위치일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200)는 단일 셀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는 단일 셀 또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의 종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강압형 충전 집적 회로(IC)(예를 들어, 백 충전기(Buck charger)) 또는 승압형 충전 IC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강압 기능 및 승압 기능을 모두 갖는 충전 IC(예를 들어, 벅 부스트 충전기(Buck-Boost charger))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만약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과 충전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이 항상 배터리(200)를 충전하기 위한 최대 충전 전압보다 높은 경우, 충전 관리 모듈(130)은 강압형 충전 IC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0)는 표준 무선 충전 프로토콜(예를 들어, Qi 기준 파워 프로파일(Qi Baseline Power Profile, Qi-B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충전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5V이다. 또한, 충전 장치(100)는 표준 USB 충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원 공급 장치에서 충전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도 5V이다. 배터리(200)는 단지 하나의 셀을 포함하고, 상기 셀이 필요로 하는 최대 충전 전압은 5V보다 낮다(예를 들면, 4.25V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과 충전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이 항상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충전 관리 모듈(130)은 강압형 충전 IC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충전 인터페이스(120) 또는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높을 수도 있고,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낮을 수도 있다.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충전 인터페이스(120) 또는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 충전 관리 모듈(130)은 승압형 충전 IC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200)가 직렬로 연결된 여려 셀을 포함하는 경우, 충전 관리 모듈(130)의 승압에 의해 배터리(200)의 충전 전압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장치(100)는 고전압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충전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20V이다. 또한, 충전 장치(100)는 표준 USB 충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원 공급 장치에서 충전 신호를 획득하며, USB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5V이다. 배터리(200)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셀을 포함하고, 2개의 셀이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은 6V~8V이다. 이런 경우, 무선 수신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항상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충전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항상 배터리(200)가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충전 관리 모듈(130)은 승압 기능과 강압 기능을 모두 갖는 충전 IC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150)이 작동할 때, 충전 관리 모듈(130)은 강압 기능을 수행하고, 제 2 충전 채널(160)이 작동할 때, 충전 관리 모듈(130)은 승압 기능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채널(150)에 강압 회로(1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강압 회로(180)는 제 1 충전 채널(150)의 전압을 강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장치(100) 내부에 강압 회로(180)를 설치함으로써, 무선 송신 장치와 충전 장치 사이는 고전압 전송 모드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 회로(110)의 전류를 감소하는 데에 유리하고, 따라서 충전 장치(100)의 발열량을 감소할 수 있다.
강압 회로(180)는 강압 변환 효율(또는 전력 변환 효율)이 충전 관리 모듈(130)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은 강압 회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차지 펌프일 수 있다.
또한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더욱 감소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0)는 통신 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충전 관리 모듈(13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예를 들면, 무선 충전 베이스이며, 도시되지 않음)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송신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전압 차이를 줄이는 데에 사용된다.
도 5에서 통신 모듈(190)과 제어 모듈(140)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 모듈(190)과 제어 모듈(140)을 함께 통합하여 통신 제어 모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90)은 충전 관리 모듈(130)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 관리 모듈(13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충전 관리 모듈(130)은 그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를 통신 모듈(190)에 능동적으로 보고할 수도 있다.
충전 관리 모듈(130)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모듈(13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와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전압 차이를 줄임으로써 충전 관리 모듈(130)의 강압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충전 장치(100)의 발열량을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모듈(190)은 제 1 충전 채널(150)이 작동할 때에 배터리(200)의 상태(예를 들면, 배터리(200)의 전압 및/또는 전기량)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무선 송신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과 배터리(200)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가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전 장치(100)의 통신 모듈(190)은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와 통신하여 배터리(200)의 상태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의 송신 전력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에서 무선 송신 장치로 전송되는 피드백 정보는 배터리(200)의 전압 및/또는 전기량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고, 무선 송신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감시키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모듈(190)과 무선 송신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90)과 무선 송신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후방 산란 변조 방식(또는 전력 부하 변조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단말기(600)를 제공한다. 단말기(600)는 상술한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충전 장치(100)와 배터리(200)를 포함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법 실시예의 설명과 장치 실시예의 설명은 서로 대응되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장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방법은 상술한 충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술한 단말기(6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의 방법은 단계 S710~S740을 포함한다. 이하, 도 7의 각 단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 S710,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단계 S720, 충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한다;
단계 S730, 무선 수신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및 / 또는
단계 S740, 충전 인터페이스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그 중에서 충전 관리 모듈은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면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모듈은 강압형 충전 IC 또는 승압형 충전 IC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충전 관리 모듈은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켜 제 1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충전 채널에 강압 회로가 더 설치되어 있다. 강압 회로는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충전 관리 모듈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이다.
선택적으로, 도 7의 방법은 또한 아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송신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전압 차이를 줄인다.
선택적으로, 도 7의 방법은 또한 아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무선 송신 장치에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과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가 일치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다. 충전 관리 모듈은 제 2 충전 채널의 전압을 승압시켜 제 2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배터리는 단일 셀 또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포함한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절차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라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교체를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1)

  1. 충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회로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관리 모듈과,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및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전압 차이를 줄이는 데에 사용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가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무선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켜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 2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강압형 충전 집적 회로 또는 승압형 충전 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 1 충전 채널에 설치된 강압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압 회로는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켜,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제 1 감지 라인 및 제 2 감지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 라인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감지 라인은 상기 제 2 충전 채널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감지 라인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채널에 전압 신호가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 수신 회로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 2 감지 라인에 의해 상기 제 2 충전 채널에 전압 신호가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충전 채널과 상기 제 2 충전 채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단일 셀 또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0.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충전 장치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회로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충전 관리 모듈과,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및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전압 차이를 줄이는 데에 사용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가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무선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켜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 2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충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충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및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및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이 설치된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에서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 또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전압 차이를 줄이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과,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충전 채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전압을 강압시켜 상기 제 1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기 에너지의 전압은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 2 충전 채널이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충전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제 2 충전 채널의 출력 전압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할 때에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상기 무선 충전 신호의 송신 전력과 상기 배터리가 현재 필요로 하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07030451A 2018-06-22 2018-06-22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2522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92486 WO2019242020A1 (zh) 2018-06-22 2018-06-22 充电装置、移动终端和充电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42A KR20200135842A (ko) 2020-12-03
KR102522526B1 true KR102522526B1 (ko) 2023-04-18

Family

ID=6898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451A KR102522526B1 (ko) 2018-06-22 2018-06-22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69675B2 (ko)
EP (1) EP3767775A1 (ko)
JP (1) JP7160942B2 (ko)
KR (1) KR102522526B1 (ko)
CN (1) CN111684680A (ko)
AU (1) AU2018429030B2 (ko)
WO (1) WO2019242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290B2 (ja) 2017-04-07 2022-04-2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装置、無線充電方法及び被充電機器
EP3462564A4 (en) * 2017-04-07 2019-05-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LOA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TO BE LOADED
CN116566004A (zh) * 2020-06-30 2023-08-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及电子设备
GB202117825D0 (en) * 2021-12-09 2022-01-26 Nicoventures Trading Ltd Charging an aerosol provision device
TWI788165B (zh) * 2021-12-28 2022-12-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源傳輸系統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8735A1 (en) * 2016-11-16 2018-05-17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er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89B1 (ko) 2005-07-29 2008-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 배터리 및 충전기, 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충전 세트, 및 충전제어 방법
KR101253669B1 (ko) * 2006-10-10 2013-04-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기
JP2009273327A (ja) 2008-05-10 2009-11-19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
CN201656501U (zh) * 2009-10-22 201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充电装置
JP2011239603A (ja) 2010-05-12 2011-11-24 Tamura Seisakusho Co Ltd 充放電システム
KR101727495B1 (ko) * 2010-12-28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99699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무접점 충전 장치, 피충전 단말기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20140086000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2067019B1 (ko) * 2013-02-13 2020-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3387219U (zh) * 2013-05-28 2014-01-08 向智勇 电子烟高效充电装置
JP6208503B2 (ja) 2013-09-11 2017-10-04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そ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US9973039B2 (en) * 2014-01-20 2018-05-15 Stmicroelectronics S.R.L.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 a power receiver
JP6304789B2 (ja) * 2014-03-04 2018-04-04 華為終端(東莞)有限公司 充電回路および端末
WO2015159560A1 (ja) * 2014-04-16 2015-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TWI556543B (zh) * 2015-01-23 2016-11-0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電源輸入電路
CN105098890B (zh) * 2015-07-23 2018-08-03 深圳市华宝新能源股份有限公司 充电数据线及充电器
KR102184527B1 (ko) * 2015-08-19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CN105656115B (zh) * 2015-11-30 2019-05-14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双通道充电方法、系统和终端
KR102508958B1 (ko) * 2016-10-06 202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537720B (zh) * 2016-10-21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6549445B (zh) * 2016-10-28 2020-11-27 太仓市昊博技术服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充电切换控制方法
CN108233507A (zh) * 2017-07-31 2018-06-29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电路、系统、方法及电子设备
CN107947305A (zh) * 2017-12-01 2018-04-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电路、系统、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8735A1 (en) * 2016-11-16 2018-05-17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er pow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29030B2 (en) 2021-10-14
CN111684680A (zh) 2020-09-18
US11569675B2 (en) 2023-01-31
EP3767775A4 (en) 2021-01-20
AU2018429030A1 (en) 2020-11-12
US20210006089A1 (en) 2021-01-07
JP2021519055A (ja) 2021-08-05
KR20200135842A (ko) 2020-12-03
EP3767775A1 (en) 2021-01-20
JP7160942B2 (ja) 2022-10-25
WO2019242020A1 (zh)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526B1 (ko)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2411250B1 (ko) 충전대상 기기,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JP2020517213A (ja) 被充電機器、無線充電装置及び無線充電方法
KR20190127887A (ko) 충전 대상 기기,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6348B1 (ko) 무선 충전 수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N105140985A (zh) 移动终端、可直充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KR102471450B1 (ko)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US10673270B2 (en) Low-heat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KR102211979B1 (ko) 충전 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초과 온도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
US20220239155A1 (en) Device to-be-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WI633739B (zh) 具有調節迴路之電池充電系統及充電方法
CN110707945A (zh) 整流电路、无线充电装置、电源提供设备及无线充电系统
CN114844234A (zh) 一种充电控制方法、电子设备、无线充电系统
KR101261338B1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398209B (zh) 无线充电装置、系统、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62785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210135952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109964384B (zh) 具有调节回路的电池充电系统
CN109286210B (zh) 无线受电设备、无线充电设备及系统
WO2019242019A1 (zh) 充电装置、移动终端和充电控制方法
CN112290611A (zh) 用于无线充电的系统
CN112803560A (zh) 无线充电装置、待充电设备、充电系统及方法、存储介质
CN112803610B (en) Device to be charged, system,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4068569A1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pparatus for wirelessly charging, terminal and char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