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479B1 - 과일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과일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479B1
KR102522479B1 KR1020220057166A KR20220057166A KR102522479B1 KR 102522479 B1 KR102522479 B1 KR 102522479B1 KR 1020220057166 A KR1020220057166 A KR 1020220057166A KR 20220057166 A KR20220057166 A KR 20220057166A KR 102522479 B1 KR102522479 B1 KR 10252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uit
unit
pressure tank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원
Original Assignee
배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원 filed Critical 배성원
Priority to KR102022005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9Fruit flavou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 등의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 또는 식용용매에 용해시킨 후, 압력 탱크 내부에 넣은 사과를 포함한 과일을 향해 스프레이로 방식으로 분무한 후, 압축탱크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여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압력 사이클로 이루어진 압력차이방식으로 침투물질을 조직내부로 침투시켜 과일의 고유성분과 침투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과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온도의 열로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과일의 먼지 제거 작업과 살균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과일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팽창시키고 과일을 압력 탱크에 삽입한 후 진공상태로 9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을 팽창시키면 과일의 표면이 진공상태로 인해 외부로 당겨져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압력 탱크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과일은 원상태로 복귀하여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이나 식용용매에 침투물질인 용질을 용해하여 탱크 내부에 스프레이로 분무한후, 압력 탱크 내부로 1.1 ∼ 5atm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25초 동안 가압한 다음 5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로 침투 물질을 침투시킨 다음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30초 동안 배출하는 감압 과정을 거친 다음 10초 동안 유지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다시 압력 탱크에 침투물질을 공급하고, 가압 및 감압하여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침투물질을 과일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일 가공 방법{PROCESSING METHOD FOR FRUITS}
본 발명은 과일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 등의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 또는 식용용매에 용해시킨 후, 압력 탱크 내부에 넣은 사과를 포함한 과일을 향해 스프레이로 방식으로 분무한 후, 압축탱크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여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압력 사이클로 이루어진 압력차이방식으로 침투물질을 조직내부로 침투시켜 과일의 고유성분과 침투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과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온도의 열로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과일의 먼지 제거 작업과 살균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일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를 포함한 과일은 사람들이 식용으로 하는 열매의 총칭으로, 과육,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많으며 향기가 좋아 많이 섭취되고 있다.
또한, 과일은 과육이 발달된 형태에 따라 인과류, 준인과류, 핵과류, 장과류, 견과류로 구분되며, 인과류는 꽃턱이 발달하여 과육부를 형성한 것으로, 사과, 배, 비파 등이 이에 속하고, 준인과류는 씨방이 발달하여 과육이 된 것으로, 감, 감귤류가 이에 속하며, 핵과류는 내과피가 단단한 핵을 이루고 그 속에 씨가 들어 있으며, 중과피가 과육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복숭아, 매실, 살구 등이 이에 속하고, 장과류는 꽃턱이 두꺼운 주머니 모양이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즙이 많은 과일로, 포도 등이 이에 속하며, 견과류는 외피가 단단하고 식용부위는 곡류나 두류처럼 떡잎으로 된 것으로 밤, 호두, 잣 등이 이에 속한다.
과일 속에는 수분이 85 ∼ 90%로 가장 많고, 단백질 1 ∼ 0.5%, 지방 0.3%, 당분과 섬유질의 탄수화물 10 ∼ 12%가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질은 0.4%로 카로틴과 칼륨이 들어 있고, 그 밖에도 비타민 C가 가장 많이 들어있다.
또한, 과일의 맛은 단맛, 신맛이 주이고, 그밖에 식감으로서 펙틴이 들어 있으며, 단맛과 신맛의 균형은 완숙되었을 때가 최고이고, 미숙 상태일 때는 단맛이 적고 신맛이 많아 맛이 떨어진다. 종류에 따라서는 떫은맛이 나는 것도 있다.
과일이 익으면 단맛이 나는 것은 당분이 많아지는 원인도 있지만, 산의 양이 줄어드는 데도 크게 관계된다.
또한, 과일에는 과당, 포도당, 수크로오스 등이 약 10%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단맛이 난다.
특히, 포도의 경우는 약 20%에 달하여 단맛이 매우 강하고, 당분의 함량은 과일의 종류와 성숙도에 따라 다르며, 과일의 신맛은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에 의한 것이고, 감귤류는 시트르산, 포도는 타르타르산, 사과는 말산이 각각 주체를 이룬다.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엽록소 등의 천연 색소들이 들어 있는데, 주된 것은 역시 안토시아닌이다.
과일의 향기성분은 수십 종이 있으며, 이들이 조화를 이루어 각종 과일의 독특한 향기를 낸다.
향기성분으로는 여러 종류의 에스테르, 알코올, 알데히드 등이 있다.
이러한 과일들은 재배방법, 종, 기후, 재배지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 구성 성분이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인체에 유용한 각종 성분들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웰빙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과일류에는 기본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의 함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안되지않고 있다.
따라서 과일에 함유된 주성분 이외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과일 이외의 것을 함께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건강과 관련하여 효용가치가 높은 성분만을 따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개인의 취향 및 식성에 따라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28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 등의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 또는 식용용매에 용해시킨 후, 압력 탱크 내부에 넣은 사과를 포함한 과일을 향해 스프레이로 방식으로 분무한 후, 압축탱크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여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압력 사이클로 이루어진 압력차이방식으로 침투물질을 조직내부로 침투시켜 과일의 고유성분과 침투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과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온도의 열로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과일의 먼지 제거 작업과 살균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일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과일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팽창시키고 과일을 압력 탱크에 삽입한 후 진공상태로 9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을 팽창시키면 과일의 표면이 진공상태로 인해 외부로 당겨져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압력 탱크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과일은 원상태로 복귀하여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이나 식용용매에 침투물질인 용질을 용해하여 탱크 내부에 스프레이로 분무한후, 압력 탱크 내부로 1.1 ∼ 5atm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25초 동안 가압한 다음 5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로 침투 물질을 침투시킨 다음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30초 동안 배출하는 감압 과정을 거친 다음 10초 동안 유지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다시 압력 탱크에 침투물질을 공급하고, 가압 및 감압하여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침투물질을 과일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과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과일의 상측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및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과일의 상측에서 열을 가해 열처리 하는 열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과일을 살균 시키기 위한 근적외선 LED를 방사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과일에 여러 회 에어를 분사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과일에 여러회 근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되어 상기 에어분사부의 사이 마다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바닥면에 다수개의 이물질 배출홀이 종,횡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과일을 지지하며, 상기 이물질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연결홀이 형성된 쿠션부; 상기 배출부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 상기 배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면에 상기 탄성부의 끝단이 각각 결합되고,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서포트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쿠션부에 안착된 과일을 상,하 반복적으로 튕기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배출부의 저면 또는 상기 쿠션부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의 하부로 전달되는 제거부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보호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서포트의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상기 서포트와 수용박스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형지지부; 상기 서포트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감쌈부; 상기 서포트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이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이 형성된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감쌈부; 상기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과, 제3 체결홀 및 제4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서포트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유동억제부; 내부에 상기 수용박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금속 중량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금속 중량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서포트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과일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단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받침블록을 포함하는 받침부; 상기 서포트에 경사지게 고정되며, 내부에 과일을 굴려보내기 위한 경사통로가 형성된 투명소재의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을 낙하시키기 위한 곡선통로가 형성된 투명소재의 곡선부; 상기 경사부의 상측과, 하측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과일을 살균하기 위한 UV를 방사하는 UV 살균램프; 및 상기 곡선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곡선통로에서 배출된 과일을 수집하는 쿠션형수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 등의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 또는 식용용매에 용해시킨 후, 압력 탱크 내부에 넣은 사과를 포함한 과일을 향해 스프레이로 방식으로 분무한 후, 압축탱크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여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압력 사이클로 이루어진 압력차이방식으로 침투물질을 조직내부로 침투시켜 과일의 고유성분과 침투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과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온도의 열로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과일의 먼지 제거 작업과 살균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컨베이어와, 에어분사부 및 열처리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제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살균수단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컨베이어와, 에어분사부 및 열처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제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살균수단을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각종 과일이나 채소의 조직 내부에 압력차이방식으로 침투물질을 침투시켜 소비자의 취항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함께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과일이나 채소의 내부로 침투물질을 침투시키기 위해 압축공기 공급부(2)와, 압력 탱크(4)와, 침투물질 공급부(2)와, 컨트롤러(3) 및 압력조절기(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과일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팽창시키고 과일을 압력 탱크(4)에 삽입한 후 진공상태로 9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을 팽창시키면 과일의 표면이 진공상태로 인해 외부로 당겨져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압력 탱크(4)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과일은 원상태로 복귀하여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이나 식용용매에 침투물질인 용질을 용해하여 탱크 내부에 스프레이로 분무한후, 압력 탱크(4) 내부로 1.1 ∼ 5atm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25초 동안 가압한 다음 5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로 침투 물질을 침투시킨 다음 압력 탱크(4)에 압축공기를 30초 동안 배출하는 감압 과정을 거친 다음 10초 동안 유지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다시 압력 탱크(4)에 침투물질을 공급하고, 가압 및 감압하여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침투물질을 과일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사과(80), 배, 참외 등 모든 종류의 과일 뿐만 아니라 무우, 콜라비 등 모든 뿌리 채소에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침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타민은 G를 제외한 A군 내지 H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비타민은 A 내지 H 중 과일의 가공 용도나 제조자 의도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군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공대상물이 사과(80)로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방법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사과(80)를 압력 탱크(4)에 넣어 밀폐한 후, 물 또는 식용용매에 침투물질인 용질을 용해한 후 침투물질 공급부(1)를 통해 탱크 내부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무한다.
상기와 같이 압력 탱크(4) 내부에 침투물질을 분무한 후에 압력공기 공급부를 구성하는 압축공기용기에 부착된 압력조절기(6)로 압력을 1.1 ∼ 5atm으로 조절하여 압축공기를 압력 탱크(4) 내부로 공급한다.
또한, 침투물질 공급부(1)와 압력 탱크(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를 통해 압력 탱크(4)에 공급되는 외부압력을 미리 입력된 가압 프로그램에 의해 진공과정은 1회만 실시한 후 압축공기 및 침투물질의 공급 및 배출과정을 시차를 두고 반복한다.
그러면 압력 탱크(4) 내부에 반복적으로 외부압력이 공급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 사이클에 의해 압력 탱크(4) 내부의 압력이 상승시 침투물질인 용질을 과일의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고, 반대로 하강시 압력 탱크(4) 내부 압력을 대기압 수준으로 복원하는 압력 사이클을 1회 이상 반복하는 압력차이방식을 이용하여 침투물질을 침투시키면 사과(80)의 조직 내부로 침투된 침투물질은 껍질 자체가 반투막을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 압력을 상승 및 하강하는 이유는 한번에 지속적으로 외부압력을 사과(80)에 강압을 할 경우 사과(80)껍질 등이 손상되어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시차를 두고 가압을 한다.
또한, 사과(80)에 침투물질을 침투시키는 가압시간은 0.5 ∼ 3시간 사이가 바람직하며, 상승 및 하강하는 압력 사이클의 시간은 가변적으로 조정이 가능하고, 껍질이 상하지않고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최적의 압력 값 부여가 중요하다.
한편, 사과(80)의 조직 내부로 침투되는 침투물질은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으로 크게 구분되며, 약용성분은 인삼성분인 사포닌, 천연약제, 인공약제인 비타민 등이고, 식용성분은 설탕, 꿀인 당분과 염분 등이고, 솔향, 한약 향 등의 향기성분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사과(80) 내부의 색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색소(천연)성분 추가하며, 침투성분과 같이 물이나 식용용매에 용해하여 압력 탱크(4) 내부로 분무한다.
따라서, 제조자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 취향 등을 제고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사과(80)의 조직내부로 침투시킴으로써 기능성 사과(80)를 제공함은 물론 소비자의 주문에 사과(80)의 조직 내부로 침투물질을 침투시켜 맞춤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기능성 침투물질이 침투된 사과(80)를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압력 탱크(4) 내부의 압력차이 조건과 동일조건을 갖는 보관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과(80)에 한정하지 않고, 배, 참외 등 모든 과일에 적용이 가능하며 껍질의 두께에 따라 외부 압력을 달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실시 예 1
압력 탱크(4) 내부에 사과(80)를 넣고 외부 압력을 1.1 ∼ 5 atm으로 조절하고, 침투물질로는 인삼추출물인 사포닌을 침투시켜 압축공기인 외부압력을 상승 및 하강하도록 압력 사이클을 0.5 ∼ 3시간 내외에서 반복하여 침투물질이 조직 내부로 침투된 기능성을 사과(80)를 제조한다.
[표1]
Figure 112022049440346-pat00001
[표2]
Figure 112022049440346-pat00002
[표3]
Figure 112022049440346-pat00003
압력 사이클을 이용한 압력차이 방식으로 사포닌을 침투시켜 사포닌농도를 공정 후 1일 후에 측정하니 사과(80) 껍질부에 최대 농도값이 나타나고, 중심부로 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과(80) 내부로 침투물질이 조직 내부에서 침투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전술한 가공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일정온도의 열로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컨베이어(10)와,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와, 제거부(40)와, 보강부(110) 및 살균수단(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에서 전술한 가공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10)와,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를 통해 사과(8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일정한 온도로 살균처리 하는 단계 및 살균수단(50)을 통해 사과(80)를 추가로 살균하는 단계만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10)는 사과(80)들을 수평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에 다수개의 사과(80)를 올려놓고 이송시켜, 사과(80)가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를 거치도록 하면 된다.
이때, 컨베이어(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어 사과(80)를 이송시킬 수 있는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20)는 별도의 서포트(60)를 통해 컨베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6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밸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그 단면 형상이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분사부(20)는 서포트(60)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사과(8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에어분사부(20)는 에어콤프레셔와 같이 에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에어분사부(20)는 에어콤프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공급관(21) 및 공급관(21)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공급관(21)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에어를 사과(80)를 향해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관(22)에서 분사된 에어는 사과(80)에 가해진다. 따라서, 사과(80)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타 각종이물질이 바람에 날려 제거된다.
한편, 열처리부(30)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사과(80)의 상측에서 열을 가해 열처리하는 구성이다.
열처리부(30)는 에어분사부(20)와 동일하게 서포트(70)를 통해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사과(8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열처리부(30)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사과(8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살균용 근적외선 LED를 방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은 소비자 들에게 깨끗한 사과(8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에어분사부(20)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사과(80)에 여러회 에어를 분사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열처리부(30)는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사과(80)에 근적외선 LED를 여러회 방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부(30)는 에어분사부(20)의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사과(80)에 바람 및 근적외선 LED를 교번되게 여러회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열처리부(30)는 선단,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열처리부(30)에서부터 후단, 우측에 위치된 열처리부(30)로 갈수록 방사하는 근적외선 LED의 온도가 높아지게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된 열처리부(30)에서 방사되는 근적외선 LED의 온도는 약 70 ℃ 내지 80 ℃ 일 수 있고, 우측에 위치된 열처리부(30)에서 방사되는 근적외선 LED의 온도는 약 81 ℃ 내지 90 ℃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측에 위치한 열처리부(30)가 살균하지 못한 세균을 우측에 위치한 열처리부(30)가 살균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에 적용된 제거부(40)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에서는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 및 제거부(40)의 사용순서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힌다.
즉, 제거부(40)로 먼저 사과(80)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컨베이어(10)로 사과(80)를 이송시켜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를 거치도록 하거나 또는, 에어분사부(20)와 열처리부(30)로 먼저 사과(80)에서 이물질을 제거 및 열처리 한 다음, 제거부(40)를 통해 에어분사부(20)에서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을 밝힌다.
계속해서, 제거부(40)는 바닥면에 다수개의 이물질 배출홀(41a)이 종,횡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배출부(41)와, 배출부(4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과(80)를 지지하며, 이물질 배출홀(41a)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연결홀(42a)이 형성된 스펀지 재질의 쿠션부(42)와, 배출부(41)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43)와, 배출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면에 탄성부(43)의 끝단이 각각 결합되고,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서포트(100)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부(44)와, 쿠션부(42)에 안착된 사과(80)를 상,하 반복적으로 튕기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출부(41)의 저면 또는 쿠션부(42)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솔레노이드(45) 및 쿠션부(42)의 상측 또는 배출부(41)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며, 사과(80)에서 분리되는 먼지나 기타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기팬(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솔레노이드(45)가 배출부(41)의 저면 중앙부분을 타격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며, 솔레노이드(45)가 배출부(41)를 타격하면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43)들이 수축 팽창하면서 사과(80)에 진동이 가중된다.
그리고, 사과(80)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튕겨짐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어, 사과(80)의 둘레면과, 상면 및 저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분리되며, 흡기팬(46)은 배출홀(41a) 및 연결홀(42a)을 통해 쿠션부(42)의 상측에 위치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흡기팬(46)은 공기흡입을 통해 사과(80)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다른 곳으로 배출한다.
전술한 에어분사부(20)는 사과(80)의 상측에서 에어를 분사하기 때문에, 사과(80)의 둘레면이나 저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미미할 수 있으나, 제거부(40)는 사과(80) 전체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켜 먼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먼지의 제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에 적용된 살균수단(50)에 대해 설명한다.
살균수단(50)은 열처리부(30)에 이어서 사과(80)를 한번 더 살균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살균수단(5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포트(511) 및 받침블록(512)을 포함하는 받침부(51)와, 서포트(511)에 경사지게 고정되며, 내부에 사과(80)를 굴려보내기 위한 경사통로(521)가 형성된 경사부(52)와, 경사부(52)의 하단에 연장되며, 내부에 경사통로(521)와 연결되어 사과(80)를 낙하시키기 위한 곡선통로(531)가 형성된 곡선부(53)와, 경사부(52)의 상측과, 하측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사과(80)를 살균하기 위한 UV를 방사하는 UV 살균램프(54) 및 곡선부(53)의 하측에 배치되고, 곡선통로(531)에서 배출된 사과(80)를 수집하는 스폰지 소재의 쿠션형수집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사부(52) 및 곡선부(53)는 UV 살균램프(54)의 살균력이 사과(80)에 작용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형수집부(55)는 대략 사각형 등 다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부직포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이 형성된다.
경사부(52)의 상측에서 경사통로(521)로 사과(80)를 투입하면, 사과(80)가 경사통로(521)를 따라 굴러 내려가게 되고, 그 과정에서 경사부(52)의 상측과, 하측과,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UV 살균램프(54)가 사과(80)를 살균하게 된다.
전술한 열처리부(30)는 사과(80)의 상측에서 근적외선 LED를 방사하기 때문에, 사과(80)의 둘레면이나 저면에는 근적외선 LED가 작용하지 못해 살균효율이 미미할 수 있으나, 살균수단(50)은 UV 살균램프(54)가 경사부(52)의 둘레는 감싸는 구조로 배치된 상태에서 경사통로(521)를 따라 굴러내려가는 사과(80) 전체 부위에 UV LED를 방사하기 때문에 사과(80)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UV 살균램프(54)는 병원이나 식당에서 위생용 살균기로 사용되고 있어 안전하면서도 단시간에 가장 살균 효과가 뛰어난 200nm~280nm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살균램프(54)는 4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2쌍 이상으로 적용되어 경사부(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UV 살균램프(54)는 전술한 열처리부(30)와 동일하게 근적외선 LED를 방수할 수 있는 제품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가공 방법에 적용된 보강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부(41)와, 쿠션부(42) 및 베이스부(44)의 하중은 서포트(100)의 하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서포트(100)와, 배출부(41)와, 쿠션부(42) 및 베이스부(44)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강부(110)로 서포트(100)를 보강해야 한다.
보강부(110)는 서포트(100)를 보강하기 위해 수용박스(111)와, 파형지지부(112)와, 제1 감쌈부(113)와, 제2 감쌈부(114)와, 유동억제부(115)와, 금속 중량부(116)와, 측정부(117)와, 지지판(118)과, 튜브(119)와, 하우징(120) 및 펌프(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서포트(100)의 하측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파형지지부(112)는 수용박스(111)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서포트(100)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서포트(10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서포트(100)와 수용박스(111)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된다.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100)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10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서포트(100)가 배출부(41)와, 쿠션부(42) 및 베이스부(44)의 하중 또는, 지진, 기타 각종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감쌈부(113)는 서포트(100)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1131a)이 형성된 제1 부재(1131) 및 제1 부재(113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1132a)이 형성된 제2 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쌈부(114)는 서포트(100)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1141a)이 형성된 제3 부재(1141) 및 제3 부재(114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1142a)이 형성된 제4 부재(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억제부(115)는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1131a)과, 제2 체결홀(1132a)과, 제3 체결홀(1141a) 및 제4 체결홀(1142a)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서포트(1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서포트(100)의 유동을 억제하여 배출부(41)와, 쿠션부(42) 베이스부(44) 및 서포트(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유동억제부(115)로 서포트(100)를 고정한 다음에는 수용박스(111)를 금속 중량부(116)의 내부공간에 수용한다.
금속 중량부(11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의 수용공간에는 수용박스(111)가 수용된다.
금속 중량부(116)는 서포트(10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려고 할 때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무게는 약 50kg~200kg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는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서포트(100)의 유동도 억제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포트(10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부(117)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기나, 기타 마주하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기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18)은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튜브(119)는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지지판(118)이 각각 결합된다.
튜브(119)의 내부공간에는 약 80%~90%의 물이 채워져 있다.
튜브(119)는 물이 채워질수록 점진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9)는 대략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튜브(119)가 각각 수용된다.
하우징(120)은 금속 중량부(116)의 상면에 고정되어 튜브(119)의 유동을 방지한다.
펌프(121)는 별도의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튜브(119)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100)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한 서포트(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전송한다.
제어부는 측정부(117)에서 신호가 전송될 경우, 펌프(121)를 작동시켜 튜브(119)의 내부에 약 20% ~ 10%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튜브(119)를 팽창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측정부(117)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관리자 PC에 서포트(100)의 이상 사실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튜브(119)가 팽창되면 지지판(118)이 서포트(100)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지지판(118)이 서포트(100)를 지지하고, 튜브(119)가 일정 중량 상태에서 지지판(118)을 지지함으로, 서포트(1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의 영향이 작용하더라도, 서포트(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119)에 채워지는 물의 양은 배출부(41)와, 쿠션부(42), 베이스부(44) 및 서포트(100)의 크기나 무게에 대응되게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히팅선 또는 히팅코일로 형성되는 보온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2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측정기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되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시,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온도측정기는 전술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측정기는 기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온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온도를 전송 받고, 만약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얼음이 어는 온도인 0℃일 경우, 보온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1 ℃ 이상일 경우, 보온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침투물질 공급부 2 : 압축공기 공급부
3 : 컨트롤러 4 : 압력 탱크
6 : 압력조절기 10 : 컨베이어
20 : 에어분사부 21 : 공급관
22 : 분사관 30 : 열처리부
40 : 제거부 41 : 배출부
41a : 배출홀 42a : 연결홀
43 : 탄성부 44 : 베이스부
441,511,60,70 : 서포트 45 : 솔레노이드
50 : 살균수단 51 : 받침부
512 : 받침블록 52 : 경사부
521 : 경사통로 53 : 곡선부
531 : 곡선통로 54 : UV 살균램프
55 : 쿠선형수집부 110 : 보강부
111 : 수용박스 112 : 파형지지부
113 : 제1 감쌈부 1131 : 제1 부재
1131a : 제1 체결홀 1132 : 제2 부재
1132a : 제2 체결홀 114 : 제2 감쌈부
1141 : 제3 부재 1141a : 제3 체결홀
1142 : 제4 부재 1142a : 제4 체결홀
115 : 유동억제부 116 : 금속 중량부
117 : 측정부 118 : 지지판
119 : 튜브 120 : 하우징
121 : 펌프
80 : 과일

Claims (4)

  1. 과일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팽창시키고 과일을 압력 탱크에 삽입한 후 진공상태로 9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을 팽창시키면 과일의 표면이 진공상태로 인해 외부로 당겨져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압력 탱크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과일은 원상태로 복귀하여 표면과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 비타민, 콜라겐, 바닐라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침투물질을 선택하여 물이나 식용용매에 침투물질인 용질을 용해하여 탱크 내부에 스프레이로 분무한후, 압력 탱크 내부로 1.1 ∼ 5atm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25초 동안 가압한 다음 50초 동안 유지하여 과일의 표면과 내부 사이로 침투 물질을 침투시킨 다음 압력 탱크에 압축공기를 30초 동안 배출하는 감압 과정을 거친 다음 10초 동안 유지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다시 압력 탱크에 침투물질을 공급하고, 가압 및 감압하여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침투물질을 과일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며,
    상기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부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바닥면에 다수개의 이물질 배출홀이 종,횡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과일을 지지하며, 상기 이물질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연결홀이 형성된 쿠션부;
    상기 배출부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
    상기 배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면에 상기 탄성부의 끝단이 각각 결합되고,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서포트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쿠션부에 안착된 과일을 상,하 반복적으로 튕기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배출부의 저면 또는 상기 쿠션부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의 하부로 전달되는 제거부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보호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서포트의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상기 서포트와 수용박스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형지지부;
    상기 서포트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감쌈부;
    상기 서포트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이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이 형성된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감쌈부;
    상기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과, 제3 체결홀 및 제4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서포트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유동억제부;
    내부에 상기 수용박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금속 중량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금속 중량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서포트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과일 가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살균수단으로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단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받침블록을 포함하는 받침부;
    상기 서포트에 경사지게 고정되며, 내부에 과일을 굴려보내기 위한 경사통로가 형성된 투명소재의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과일을 낙하시키기 위한 곡선통로가 형성된 투명소재의 곡선부;
    상기 경사부의 상측과, 하측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과일을 살균하기 위한 UV를 방사하는 UV 살균램프; 및
    상기 곡선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곡선통로에서 배출된 과일을 수집하는 쿠션형수집부를 포함하는 과일 가공 방법.
KR1020220057166A 2022-05-10 2022-05-10 과일 가공 방법 KR10252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66A KR102522479B1 (ko) 2022-05-10 2022-05-10 과일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66A KR102522479B1 (ko) 2022-05-10 2022-05-10 과일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479B1 true KR102522479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166A KR102522479B1 (ko) 2022-05-10 2022-05-10 과일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24A (ko) * 2005-06-17 2006-12-21 (주) 디디우스 고도산화 및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세척방법
KR100841517B1 (ko) * 2007-04-11 2008-06-25 이재호 자외선 살균기
KR101492889B1 (ko) 2011-07-29 2015-02-12 배성원 압력차이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과일 제조방법
KR20200069855A (ko) * 2018-12-07 2020-06-17 배성원 복숭아향이 나는 토마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24A (ko) * 2005-06-17 2006-12-21 (주) 디디우스 고도산화 및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세척방법
KR100841517B1 (ko) * 2007-04-11 2008-06-25 이재호 자외선 살균기
KR101492889B1 (ko) 2011-07-29 2015-02-12 배성원 압력차이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과일 제조방법
KR20200069855A (ko) * 2018-12-07 2020-06-17 배성원 복숭아향이 나는 토마토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889B1 (ko) 압력차이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과일 제조방법
KR102153854B1 (ko)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JP6105709B2 (ja) 乾燥カット柑橘系果実及びその褐変防止方法
US7452561B2 (en) Treatment of vegetable foodstuffs
Sudheer et al. Post harvest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Yahia Mango (Mangifera indica L.)
US20030198716A1 (en) System for maintaining fresh quality and safe food attributes of minimally processed produce
KR102245079B1 (ko)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437321B1 (ko) 가온·냉각 일체형 식재 가공 시스템
KR20200069855A (ko) 복숭아향이 나는 토마토 제조방법
Yahia et al. Postharvest technologies to maintain the quality of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CN102197841A (zh) 一种猕猴桃鲜切片保鲜剂、保鲜品及保鲜方法
KR20160031244A (ko) 사과를 포함한 과일 내부에 투입 물질을 투입시키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220122790A (ko) 가온·냉각 일체형 식재 가공 시스템
KR102522479B1 (ko) 과일 가공 방법
Mujtaba et al. Enhancing post harvest storage life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cv. Rio Grandi using calcium chloride
KR20210013285A (ko) 건조 식용 식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 건조 방법 및 건조 식용 식물 조성물 및 음식품
KR102567358B1 (ko)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
Bett Evaluating sensory quality of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Bett‐Garber et al. Effect of storage on sensory properties of fresh‐cut cantaloupe varieties
KR101876296B1 (ko) 사과와 비트의 혼합 착즙액 제조방법
AU2014247318A1 (en) Method for storing substances in organic solids
KR100817241B1 (ko) 사과 또는 버섯을 숙성시켜 향료를 투입시키는 방법
KR101975564B1 (ko) 무화과 가공장치 및 방법
Syukri et al. The enhancement of phytochemical compounds in fresh produces by abiotic stress application at postharvest handling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