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403B1 -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403B1
KR102522403B1 KR1020210128557A KR20210128557A KR102522403B1 KR 102522403 B1 KR102522403 B1 KR 102522403B1 KR 1020210128557 A KR1020210128557 A KR 1020210128557A KR 20210128557 A KR20210128557 A KR 20210128557A KR 102522403 B1 KR102522403 B1 KR 10252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fixing
guide
rotating body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812A (ko
Inventor
이진환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1012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403B1/ko
Priority to PCT/KR2022/012078 priority patent/WO2023054891A1/ko
Priority to CN202280060151.9A priority patent/CN117940037A/zh
Publication of KR2023004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42B3/205Chin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은 헬멧 본체(10),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20)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헬멧 본체(10)의 일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함에 따라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며,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면 회동체(20)에 접촉되는 고정부(1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Rotating body fixing means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가 동반되는 이륜차 탑승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헬멧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친가드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 중 시스템 헬멧(system helmet)은 친가드가 전방을 폐쇄하는 풀 페이스 모드(full face mode)와 친가드가 전방을 개방하는 오픈 페이스 모드(open face mode)로 작동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 중 로테이션 헬멧(rotation helmet)은 친가드가 전방을 폐쇄하는 풀 페이스 모드(full face mode)와 친가드가 헬멧의 후방으로 넘어가 착용자의 전방을 개방하는 오픈 페이스 모드(open face mode)로 작동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은 친가드를 풀 페이스 모드와 오픈 페이스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 없거나, 고정하는 수단이 있더라도 라쳇에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2014-0001141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라이딩함에 따라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하는 고정부를 채용하여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회동체를 고정할 수 있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은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회동체에 접촉되는 고정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헬멧 본체에 대한 제1 소정위치와 상기 헬멧 본체에 대한 제2 소정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며, 상기 회동체가 상기 제2 소정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회동체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친가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될 때, 상기 슬릿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제1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차에 상기 탄성부재가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2 단차를 통과한 때, 상기 돌출부의 일측이 상기 제2 단차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함몰된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회동체와 접촉할 때, 상기 회동체의 일측은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에는 함몰된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가 회동되면, 상기 회동체의 코너가 제2 홈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함에 따라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하는 고정부를 채용하여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회동체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b에 도시된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b에 도시된 C-C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b에 도시된 D-D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확대된 사시도, 및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은 헬멧 본체(10),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20)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헬멧 본체(10)의 일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함에 따라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며,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면 회동체(20)에 접촉되는 고정부(1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헬멧 본체(10)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헬멧 본체(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는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강도가 큰 외부쉘과 외부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체의 내부에는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친가드(20, Chin Guard)는 착용자의 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턱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친가드(20)는 양단이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친가드(20)는 회동되면서, 착용자의 턱의 전방(Full Face Mode, 도 1a 참조), 및 헬멧 본체(10)의 후방(Open Face Mode, 도 1b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쉴드(30, Shield)는 헬멧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헬멧 본체(10)의 양측(예를 들어, 라쳇(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회동하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회동체는 예를 들어 친가드(20)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회동체가 친가드(20)인 것을 기준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다만, 회동체는 반드시 친가드(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헬멧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쉴드(30) 등 임의의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고정부(100)는 헬멧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헬멧 본체(10)의 라쳇(15) 하측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헬멧 본체(1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슬라이딩함에 따라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된다. 고정부(100)가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면, 고정부(100)의 일면(상면)이 친가드(20)의 일측(하측)에 접촉됨으로써, 친가드(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에 대한 제1 소정위치(Full Face Mode, 도 1a 참조)와 헬멧 본체(10)에 대한 제2 소정위치(Open Face Mode, 도 1b 참조)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친가드(20)가 제2 소정위치에 배치될 때, 고정부(100)가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면 친가드(20)에 접촉됨으로써, 친가드(20)를 제2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정위치는 착용자의 턱 전방일 수 있고(Full Face Mode, 도 1a 참조), 상기 제2 소정위치는 헬멧 본체(10)의 후방일 수 있다(Open Face Mode, 도 1b 참조). 따라서, 친가드(20)는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고정부(10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도 2 참조).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2 소정위치는 헬멧 본체(10)의 상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친가드(20)가 헬멧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때, 고정부(100)에 의해서 친가드(2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헬멧 본체(10)에는 고정부(1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00)는 고정부(10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하도록, 고정부(1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는 가이드부(20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가이드부(200)에는 돌출부(110)가 삽입되는 슬릿(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250)은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므로, 돌출부(110)는 슬릿(25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돌출부(110)가 형성된 고정부(100)는 슬릿(250)이 형성된 가이드부(200)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슬릿(250)은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0)가 형성된 고정부(100)는 슬릿(250)이 형성된 가이드부(200)를 따라 가이드부(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할수록,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2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110)가 형성된 고정부(1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할수록,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10)가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돌출부(110)의 일면(상면)이 친가드(20)의 일측(하측)과 접촉되어 친가드(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고정부(100)에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가이드부(200)에 슬릿(250)이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아니고, 가이드부(200)에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고정부(100)에 슬릿(2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110)는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2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부(200)는 제1 가이드부재(210)와 제2 가이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제1 가이드부재(210)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재(220)는 제1 가이드부재(210)를 커버하도록 제1 가이드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210)와 제2 가이드부재(220) 사이에 슬릿(25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내지 도 5 참조). 결국, 고정부(100)의 돌출부(110)는 제1,2 가이드부재(210, 220) 사이에 형성된 슬릿(250)에 삽입되어 슬릿(25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슬릿(250)은 고정부(100)의 상하측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슬릿(250)에 대응하여 돌출부(110) 역시 고정부(100)의 상하면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10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돌기부(230)는 제1 가이드부재(210)의 일면(고정부(100)와 마주보는 면)에 고정부(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대응하여, 고정부(100)의 측면(제1 가이드부재(210)와 마주보는 면)에는 돌기부(230)가 삽입되는 함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결국, 가이드부(200)에 형성된 돌기부(230)에 고정부(100)에 형성된 함몰부(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100)는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는 돌출부(110)와 슬릿(250)에 의해서 가이드될 뿐만 아니라, 돌기부(230)와 함몰부(140)에 의해서 가이드되므로,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100)에는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부재(300)가 구비되고, 탄성부재(300)는 가이드부(200)에 접촉되어,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고정부(100)를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의 함몰부(140) 내부에 탄성부재(300)가 구비되고, 탄성부재(300)는 제1 가이드부재(210)의 일면(고정부(100)와 마주보는 면, 돌기부(230))에 접촉되어,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고정부(100)를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00)가 탄성부재(300)로 가압되므로, 고정부(100)는 가이드부(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항상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와 슬릿(250)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면, 고정부(100)는 탄성부재(300)로 가압되어, 고정부(100)의 돌출부(110)가 슬릿(250)의 외측면(제2 가이드부재(220)로 형성된 면)에 접촉될 때까지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00)는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션 스프링은 양단이 고정부(100)에 체결부재(310, 도 3 참조) 등으로 결합되고,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의 외주면이 제1 가이드부재(210)의 일면(고정부(100)와 마주보는 면, 돌기부(230))에 접촉되어, 고정부(100)를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에는 제1 단차(260)가 형성되어, 제1 단차(260)에 탄성부재(300)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재(210)의 돌기부(230) 일측(전방)에 제1 단차(2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에 배치될 때, 탄성부재(300)가 제1 단차(260)에 걸림으로써, 고정부(100)가 임의로 가이드부(200)의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착용자가 고정부(100)에 가이드부(200)의 타측(후방)으로 외력을 가해주면, 탄성부재(300)가 변형되면서 제1 단차(260)를 타고 넘어가, 고정부(100)는 가이드부(200)의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에는 제2 단차(270)가 형성되어, 탄성부재(300)에 의해서 일측(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부(110)가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의 돌출부(110)가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에서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하다가, 가이드부(200)에 형성된 제2 단차(270)를 통과한 때, 돌출부(110)의 일측이 가이드부(200)재의 제2 단차(270)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차(270)는 슬릿(25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가이드부(200)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가 일측(전방)에서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부(200)의 타측(후방)에 배치될 때, 돌출부(110)의 말단이 제2 단차(270)에 걸릴 수 있다. 특히, 고정부(100)에는 탄성부재(300)에 의해서 헬멧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돌출부(110)의 말단이 제2 단차(270)에 걸림을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정부(100)가 임의로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착용자가 고정부(100)에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으로 외력을 가해주면, 탄성부재(300)가 변형되면서 제2 단차(270)를 타고 넘어가, 고정부(100)는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는 함몰된 제1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부(120)는 친가드(20)의 일측(하측)과 접촉되는 고정부(100)의 일면(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친가드(2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가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친가드(20)와 접촉할 때, 친가드(20)의 일측(하측)은 제1 홈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친가드(20)는 고정부(1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제1 홈부(120)에는 제2 홈부(13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홈부(130)는 제1 홈부(120)의 일측(전방)에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친가드(2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가 친가드(20)와 접촉한 상태에서, 친가드(2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여 친가드(20)가 강제로 회동되면, 친가드(20)의 코너(25, corner)가 제2 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친가드(20)의 추가적인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친가드(20)의 코너(25)가 제2 홈부(130)에 삽입되면, 고정부(100)는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도 9의 화살표 참조). 결과적으로, 친가드(2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면, 친가드(20)의 코너(25)가 제2 홈부(130)에 삽입됨으로써, 친가드(20)가 일정각도 이상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가 착용자의 턱 전방에 배치될 때(Full Face Mode), 고정부(100)는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에 배치되고,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친가드(20)의 회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때, 고정부(100)의 탄성부재(300)는 가이드부(200)의 제1 단차(260)에 걸려, 고정부(100)가 임의로 가이드부(200)의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가드(20)를 회동시켜, 헬멧 본체(10)의 후방에 배치할 수 있다(Open Face Mode).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를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에서 타측(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고정부(100)의 돌출부(110)가 가이드부(200)의 슬릿(250)을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고정부(100)는 헬멧 본체(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도 6 내지 도 7 참조). 이때, 고정부(100)의 일면(상면)은 친가드(20)의 일측(하측)과 접촉되면서, 친가드(20)는 고정부(10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친가드(20)의 일측(하측)이 고정부(100)의 제1 홈부(120)에 삽입될 수 있고(도 8 참조), 친가드(2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여 친가드(20)가 강제로 회동되면, 친가드(20)의 코너(25)가 고정부(100)의 제2 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친가드(20)의 추가적인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고정부(100)의 돌출부(110)는 가이드부(200)의 제2 단차(270)에 걸려, 고정부(100)가 임의로 가이드부(200)의 일측(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헬멧 본체 15: 라쳇
20: 친가드(회동체) 25: 코너
30: 쉴드 100: 고정부
110: 돌출부 120: 제1 홈부
130: 제2 홈부 140: 함몰부
200: 가이드부 210: 제1 가이드부재
220: 제2 가이드부재 230: 돌기부
250: 슬릿 260: 제1 단차
270: 제2 단차 300: 탄성부재
310: 체결부재

Claims (15)

  1.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체를 포함하는 헬멧에 구비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헬멧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회동체에 접촉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함몰된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회동체와 접촉할 때, 상기 회동체의 일측은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헬멧 본체에 대한 제1 소정위치와 상기 헬멧 본체에 대한 제2 소정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며,
    상기 회동체가 상기 제2 소정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회동체에 접촉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친가드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헬멧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될 때,
    상기 슬릿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제2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헬멧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제1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차에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제2 단차를 통과한 때, 상기 돌출부의 일측이 상기 제2 단차에 걸리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에는 함몰된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가 회동되면, 상기 회동체의 코너가 제2 홈부에 삽입되는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1020210128557A 2021-09-29 2021-09-29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10252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57A KR102522403B1 (ko) 2021-09-29 2021-09-29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PCT/KR2022/012078 WO2023054891A1 (ko) 2021-09-29 2022-08-12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CN202280060151.9A CN117940037A (zh) 2021-09-29 2022-08-12 用于头盔的旋转体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57A KR102522403B1 (ko) 2021-09-29 2021-09-29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812A KR20230045812A (ko) 2023-04-05
KR102522403B1 true KR102522403B1 (ko) 2023-04-24

Family

ID=8578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57A KR102522403B1 (ko) 2021-09-29 2021-09-29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22403B1 (ko)
CN (1) CN117940037A (ko)
WO (1) WO20230548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296A1 (en) * 2000-02-07 2001-08-16 Antonio Locatelli Full-face helmet
WO2006045912A1 (fr) * 2004-10-27 2006-05-04 Shark Sa Casque de protection a mentonniere mobile, notamment pour le motocyclisme
US20160015114A1 (en) * 2014-07-21 2016-01-21 Shark Protective helmet with moveable chin guard with automatic shield lifting mechanism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7145B (it) * 1986-09-02 1988-11-25 Marco Cianfanelli Casco integrale dotato di mentoniera in un sol pezzo, sollevabile mediante movimento di traslazione e rotazione
JP2668322B2 (ja) * 1993-07-19 1997-10-27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JP5733858B2 (ja) * 2011-07-28 2015-06-10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におけるバイザ取り付け機構
JP5358722B1 (ja) 2012-06-26 2013-12-04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296A1 (en) * 2000-02-07 2001-08-16 Antonio Locatelli Full-face helmet
WO2006045912A1 (fr) * 2004-10-27 2006-05-04 Shark Sa Casque de protection a mentonniere mobile, notamment pour le motocyclisme
US20160015114A1 (en) * 2014-07-21 2016-01-21 Shark Protective helmet with moveable chin guard with automatic shield lifting mechanism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40037A (zh) 2024-04-26
WO2023054891A1 (ko) 2023-04-06
KR20230045812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557B2 (ja) 折畳み可能な防護ヘルメット
EP2063725B1 (en) Helmet
CN110650643B (zh) 头盔
EP2517586A2 (en) Shield coupling assembly and helmet having the same
US7320493B2 (en) Sun visor
US5847801A (en) Hinge structure and bearing member for hinge in frame of spectacles
KR100875460B1 (ko)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KR20140101006A (ko) 실드부재 및 보호모
JPH0734310A (ja) 乗車用ヘルメット
KR102522403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20200120051A (ko)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461899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102626302B1 (ko) 친가드 고정수단
KR102445325B1 (ko) 쉴드 회동제어수단
KR102466845B1 (ko) 헬멧용 회동수단
KR102646629B1 (ko)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IT201800009613A1 (it) Casco di protezione
KR102433223B1 (ko)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JP7343217B2 (ja) ヘルメット用顎紐付き顎紐ディバイダー
KR102428292B1 (ko) 헬멧용 친가드 간격 조절수단
KR20230126814A (ko) 헬멧
KR102582371B1 (ko)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KR20230126813A (ko) 친가드 고정수단
US20240180282A1 (en) Shield rotation controlling means
CN210062632U (zh) 具有杆上滑动功能的车辆遮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