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372B1 -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 Google Patents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372B1
KR102522372B1 KR1020220143188A KR20220143188A KR102522372B1 KR 102522372 B1 KR102522372 B1 KR 102522372B1 KR 1020220143188 A KR1020220143188 A KR 1020220143188A KR 20220143188 A KR20220143188 A KR 20220143188A KR 102522372 B1 KR102522372 B1 KR 10252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odule
lagging
switch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현
유현재
서정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시그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372B1/ko
Priority to PCT/KR2022/018779 priority patent/WO20240961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3Converters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Ac Conversion (AREA)

Abstract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가 개시된다. 상기 회로는, 제1 레그(leg), 제2 레그, 제3 레그 및 제4 레그를 포함하고,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써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1차측 회로와 미리 설정된 변압비에 따라,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고, 상기 제2 교류 전압에 대한 정류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모듈을 복수개 포함하는 2차측 회로와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Phase Shift Full Bridge Converter circuit for Eliminating Lagging Leg}
본 발명은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위칭 신호의 중첩을 통해, 레그가 리딩 레그임과 동시에 래깅 레그로 기능하는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풀 브릿지는 대용량 전력 변환 회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10)는 스위치 S1 내지 S4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위칭함에 따라 전압을 생성 및 전달하는 제1 차측 회로와 1차즉 생성 전압을 변압하고, 정류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2 차측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의 각 스위치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스위치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는, 주기(Ts) 대비 듀티비 50%를 가지며, 스위치 S1 및 S2를 상보적으로 동작시키고, 스위치 S3 및 S4 역시 상보적으로 동작시킨다. 특히, 1차측 회로에서 S1 대비 위상이 천이되어 S4가 위상각(θ) 구간 동안 S1과 동시에 켜지거나, S2 대비 위상이 천이되어 S3이 S2와 소정의 위상각 구간 동안 동시에 켜질 때, 2차측으로 전압이 전달된다.
여기에서, 먼저 켜지는 레그(Leg)를 리딩 레그, 나중에 켜지는 레그를 래깅 레그로 정의할 때, 리딩 레그는 2차측의 인덕터의 에너지에 의해 소프트스위칭 동작하고, 래깅 레그는 1차측 변압기의 기생 인덕턴스에 의해 소프트스위칭 동작한다.
위상 천이 풀 브릿지는 대용량의 신뢰성과 조작 용이성 등 장점이 많은 회로이지만, 리딩 레그와 달리 래깅 레그는 소프트 스위칭 동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누설 인덕턴스 값을 키우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실제 에너지 전달 구간이 줄어드는 또 다른 문제(duty cycle loss)를 발생시킨다.
이에, 컨버터에 별도의 보조 회로를 추가하여 넓은 영전압 스위칭 영역을 보장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보조 회로의 설계 및 적용으로 인해 회로 경량화 및 소형화를 해치게 되는 한계점을 가진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64605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추가 회로 없이 대부분의 동작 영역에서 소프트 스위칭으로 동작이 가능한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보조 회로 없이 모든 레그(leg)를 리딩 (leading leg)로 만들어서 낮은 부하부터, 거의 모든 부하 구간의 소프트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누설 인덕터의 값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전달 구간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는, 제1 레그(leg), 제2 레그, 제3 레그 및 제4 레그를 포함하고,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써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1차측 회로와 미리 설정된 변압비에 따라,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고, 상기 제2 교류 전압에 대한 정류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모듈을 복수개 포함하는 2차측 회로와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듈은, 제1 모듈, 제2 모듈, 제3 모듈 및 제4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2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3 레그 및 상기 제4 레그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3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4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4 모듈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5 스위치 및 제6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7 스위치 및 제8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듈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1 레그는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레그는 래깅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듈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2 레그는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3 레그는 래깅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3 모듈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3 레그는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3 레그는 래깅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4 모듈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4 레그는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레그는 래깅 레그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구간에 상기 제1 모듈에 대하여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에 상기 제4 모듈에 대하여 래깅 레그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 리딩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구간은 상기 각각의 리딩 레그에 매칭되는 각각의 래깅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2 구간 대비 위상각 90도만큼 앞서며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비는 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그, 상기 제2 레그, 상기 제3 레그 및 상기 제4 레그 각각에 포함된 스위치에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간의 데드타임(Dead Time)이 동일한 시간간격을 갖도록 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는, 래깅 레그가 제거되는 효과로 인하여, 소프트 스위칭 범위가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레그가 리딩 레그임과 동시에 래깅 레그로 구성되어서 소프트 스위칭의 범위가 넓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위한 부가 회로 없이 모든 소자들이 전력 변환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회로 설계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각 스위치에 걸리는 전류가 상쇄되어서 도통 손실 측면에서 이득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설 인덕턴스 값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duty cycle loss가 크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누설 인덕턴스 값을 최소로 설계하여 추가로 연결하는 인덕터가 사라지게 되며 회로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하다. 이로써, 에너지 전달 구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부하 영역에서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각 스위치의 동작 시 전류 상쇄로 인한 도통 손실 저감되는 효과로 인하여, 회로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이다.
도 2는 도 1의 풀 브릿지 컨버터의 각 스위치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4 병렬 스위치 중첩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리딩 레그와 래깅 레그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는, 래깅 레그 제거 회로로 약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래깅 레그 제거 회로(100)는, 1차측 회로(110), 2차측 회로(12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측 회로(110)는, 제1 스위치(S1), 제2 스위치(S2), 제3 스위치(S3), 제4 스위치(S4), 제5 스위치(S5), 제6 스위치(S6), 제7 스위치(S7), 제8 스위치(S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1차측 회로(110)의 상기 각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어부(200)로부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1차측 회로(110)는, 각 스위치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써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 1차측 회로(110)는 2차측 회로(120)의 모듈 각각에 포함된 변압기에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2차측 회로(120)는, 복수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특히, 도 3에서, 2차측 회로(120)가 모듈1(module1)(121), 모듈2(module2)(122), 모듈3(module3)(123) 및 모듈4(module4)(124)를 포함하는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각 모듈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복수개의 모듈 각각은, 변압기를 구비하여, 미리 설정된 변압비에 따라, 1차측 회로(110)의 출력인, 제1 교류 전압을 제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각각은 제2 교류 전압에 대한 정류 및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은 각각 정류부 및 필터부를 포함한다.
정류부는, 복수개의 다이오드의 병렬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류부 및 필터부는, 상기 기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회로 설계 방식 또는 그에 대한 응용 실시예가 상기 정류부 및 필터부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1차측 회로(110)의 제1 스위치(S1) 내지 제8 스위치(S8)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1차측 회로(11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털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 시, 단순하게 PWM IC 1개만을 이용하여 본 발며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깅 레그 제거 회로는, 4개의 병렬 회로로 구동되므로 각 스위칭 제어 신호 사이의 중첩이 발생하는 앞쪽과 뒤쪽의 위상각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를 디지털 회로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상기 동일한 위상각의 설정으로 저비용의 낮은 사양 프로세서 적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4 병렬 스위치 중첩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의 예시이다.
도 4에서 도 3의 제어부(200)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스위칭 제어 신호가 1차측 회로(110)에 인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래깅 레그 제어 회로(100)는, 제1 레그(Leg1)(111), 제2 레그(Leg2)(112), 제3 레그(Leg3)(113) 및 제4 레그(Leg4)(114)를 포함한다.
제1 레그(111)는,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를 포함하고, 제2 레그(112)는, 직렬 연결된 제3 스위치(S3) 및 제4 스위치(S4)를 포함하고, 제3 레그(113)는, 직렬 연결된 제5 스위치(S5) 및 제6 스위치(S6)를 포함하고, 제4 레그(114)는, 직렬 연결된 제7 스위치(S7) 및 제8 스위치(S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차측 회로(110)의 2개의 레그와 2차측 회로(12)의 1개의 모듈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총 4쌍의 병렬 회로가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레그(111) 및 제2 레그(112)가 동작함에 따라, 제1 모듈(121)이 구동되고, 제2 레그(112) 및 제3 레그(113)가 동작함에 따라, 제2 모듈(122)이 구동되고, 제3 레그(113) 및 제4 레그(114)가 동작함에 따라, 제3 모듈(123)이 구동되고, 제4 레그(114) 및 제1 레그(111)가 동작함에 따라, 제4 모듈(124)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먼저 켜지는 순서에 따라, 각 모듈 별 리딩 레그와 래깅 레그를 살펴보면, 제1 모듈(121)의 구동을 위해, 제1 레그(111)가 리딩 레그로, 제2 레그(112)가 래깅 레그도 동작한다.
제2 모듈(122)의 구동을 위해, 제2 레그(112)가 리딩 레그로 제3 레그(113)가 래깅 레그로 동작한다. 즉, 제2 레그(112)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서로 다른 듀티 구간에서 동작함으로써, 제1 모듈(121)과 제2 모듈(122)을 구동시킨다.
제3 모듈(123)의 구동을 위해, 제3 레그(113)가 리딩 레그로, 제4 레그(114)가 래깅 레그로 동작한다. 즉, 제3 레그(113)는 스위칭 신호의 서로 다른 듀티 구간에서 동작함으로써, 제2 모듈(122)과 제3 모듈(123)을 구동시킨다.
제4 모듈(124)의 구동을 위해, 제3 레그(114)가 리딩 레그로, 제1 레그(111)가 래깅 레그로 동작한다. 즉, 제4 레그(114)는 스위칭 신호의 서로 다른 듀티 구간에서 동작함으로써, 제3 모듈(123)과 제4 모듈(124)를 구동시킨다.
한편, 제1 레그(111)는, 앞서 제1 모듈(121)의 구동을 위해 리딩 레그로 동작하였고, 제4 모듈(124)의 구동을 위해 래깅 레그로 동작한다.
제어부(200)는, 각각의 레그와 상기 각각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를 상기와 같이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1차측 회로(110)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리딩 레그와 래깅 레그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그와 모듈의 조합으로, 1 조합 내지 4 조합의 결합으로, 각각의 레그가 어느 하나의 모듈에 대하여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의 모듈에 대하여 래깅 레그로 동작 가능하다.
이에 따라, 특정 레그가 래깅 래그로 남게 되어 발생하는 소프트 스위칭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특히, 각 모듈과 레그 쌍의 조합에도, 래깅 레그로만 동작하는 레그가 존재하는 경우, 래깅 레그가 적용되는 해당 모듈의 설계 시 누설 인덕턴스의 값을 어느 정도 가져갈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복수의 모듈 간의 소프트 스위칭 구동 조건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누설 인덕턴스 값 및 데드 타임(Dead time) 등 모듈의 설계 값 역시 달라진다. 이는 소자를 도통하는 전류의 불균형 등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 조합 내지 4 조합이 병렬로 결합되어 각 모듈의 운전 시, 어느 하나의 모듈에 대한 래깅 레그가 다른 하나의 모듈에 리딩 레그로 동작함에 따라 설계 값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레그(111), 제2 레그(112), 제3 레그(113) 및 제4 레그(114) 각각에 포함된 스위치(S1 내지 S8)에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 간의 데드타임(Dead Time)이 동일한 시간간격을 갖도록 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리딩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구간은 상기 각각의 리딩 레그에 매칭되는 각각의 래깅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2 구간 대비 위상각 90도만큼 앞서며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50%로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11: 1차측 회로
12: 2차측 회로
100: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200: 제어부
110: 1차측 회로
120: 2차측 회로
111: 레그 1
112: 레그 2
113: 레그 3
114: 레그 4
121: 모듈 1
122: 모듈 2
123: 모듈 3
124: 모듈 4

Claims (8)

  1.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로서,
    제1 레그(leg), 제2 레그, 제3 레그 및 제4 레그를 포함하고,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써 제1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1차측 회로;
    미리 설정된 변압비에 따라,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고, 상기 제2 교류 전압에 대한 정류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1 모듈, 제2 모듈, 제3 모듈 및 제4 모듈을 포함하는 2차측 회로; 및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레그가 리딩 레그로, 상기 제2 레그가 래깅 레그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2 레그가 리딩 레그로, 상기 제3 레그가 래깅 레그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2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3 레그가 리딩 레그로, 상기 제4 레그가 래깅 레그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3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제4 레그가 리딩 레그로, 상기 제1 레그가 래깅 레그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4 모듈이 구동되고,
    상기 2차측 회로의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2 모듈, 상기 제3 모듈 및 상기 제4 모듈 각각은, 병렬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에 각각 직렬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 및 제4 다이오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3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된 접점은 상기 각각의 모듈에 포함된 변압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4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된 접점은 상기 변압기의 타단에 연결되는,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5 스위치 및 제6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레그는, 직렬 연결된 제7 스위치 및 제8 스위치를 포함하는,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구간에 상기 제1 모듈에 대하여 리딩 레그로 동작하고,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에 상기 제4 모듈에 대하여 래깅 레그로 동작하는,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리딩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1 구간은 상기 각각의 리딩 레그에 매칭되는 각각의 래깅 레그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2 구간 대비 위상각 90도만큼 앞서며 중첩되는,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비는 50%인,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그, 상기 제2 레그, 상기 제3 레그 및 상기 제4 레그 각각에 포함된 스위치에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간의 데드타임(Dead Time)이 동일한 시간간격을 갖도록 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KR1020220143188A 2022-10-31 2022-10-31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KR10252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88A KR102522372B1 (ko) 2022-10-31 2022-10-31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PCT/KR2022/018779 WO2024096184A1 (ko) 2022-10-31 2022-11-25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88A KR102522372B1 (ko) 2022-10-31 2022-10-31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372B1 true KR102522372B1 (ko) 2023-04-17

Family

ID=8613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88A KR102522372B1 (ko) 2022-10-31 2022-10-31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2372B1 (ko)
WO (1) WO202409618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605A (ko) 2009-12-08 2011-06-15 성호전자(주)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회로
KR20190025196A (ko) * 2017-08-31 2019-03-11 전자부품연구원 절연형 dc-d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36B1 (ko) * 2010-09-28 2012-05-03 한국전기연구원 절연형 벅 부스트 dc?dc 컨버터
KR20140004968A (ko) * 2012-07-03 2014-01-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병렬 운전형 풀 브리지 컨버터 구동 장치
KR101693587B1 (ko) * 2015-07-06 2017-01-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소프트 스위칭 풀브리지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20180001309A (ko) * 2016-06-27 2018-01-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인터리브드 방식의 위상천이 풀브리지 dc-dc 컨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605A (ko) 2009-12-08 2011-06-15 성호전자(주)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회로
KR20190025196A (ko) * 2017-08-31 2019-03-11 전자부품연구원 절연형 dc-d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184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8122B2 (en) DC/DC converter
JP6172277B2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5995139B2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EP3163734B1 (en) Dc-dc converter with high transformer ratio
WO2015161138A1 (en) Modular dc-dc converter
US2015018843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with the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645726C2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 переменное
AU2016277074B2 (en) Dual bridge DC/DC power converter
JP2020092592A (ja) Dc/dcコンバータ
KR20090033087A (ko) 승압형 고효율 dc-dc 컨버터
US8885366B2 (en) DC-to-DC voltage regul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thereof
Cui et al. Two phase interleaved ISOP connected high step down ratio phase shift full bridge DC/DC converter with GaN FETs
JP2013038876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バッテリ充電器
CN111193398A (zh) 一种隔离型双向dcdc变换器及电流双向控制方法
KR102522372B1 (ko) 래깅 레그 제거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회로
TWI514736B (zh) 具有功率因素校正電路的電源供應器
KR20140004968A (ko) 병렬 운전형 풀 브리지 컨버터 구동 장치
US20220294228A1 (en) Partial-resonant converters for pv applications
KR101214381B1 (ko) 단락방지 고주파 직류 컨버터
CA2898934A1 (en) Modular multi-level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dc fault current limiting capability
Alaql et al. A Boost and LLC Resonant–based Three-port DC–DC Converter
JP6996660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ための電圧バランス回路
US10277137B1 (en) Power conversion control circuit
TW202046615A (zh) 具高升壓比之隔離型轉換器
CN103904910B (zh) 单相六开关组mmc ac-ac变换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