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58B1 -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58B1
KR102522158B1 KR1020210040648A KR20210040648A KR102522158B1 KR 102522158 B1 KR102522158 B1 KR 102522158B1 KR 1020210040648 A KR1020210040648 A KR 1020210040648A KR 20210040648 A KR20210040648 A KR 20210040648A KR 102522158 B1 KR102522158 B1 KR 10252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aterproof
steel plate
press
undergroun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080A (ko
Inventor
김성진
박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riority to KR102021004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21D20/021Grouting with inorganic components, e.g.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중구조물의 본체 설치위치 외곽을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며 내부를 굴착하는 단계; 상기 대구경 강관의 일부를 자동으로 절개하여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상기 강관 절개홈 하부 측면을 완전 개방하고 상기 방수강판의 하부를 굴착하여 상기 강관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공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영구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 상기 영구 구조물 축조 후, 상기 영구 구조물 내부를 굴착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강판은 압입하는 단계는, 상기 방수강판의 압입방향으로 전방 돌출된 돌출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형 보강 배토부로 압입과 동시에 전방 압축토를 배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Non-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개착 지중구조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이웃한 대구경 강관 사이에 방수강판 설치시 압입이 용이하고 압입 전방의 토사를 배토할 수 있고, 대구경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는 지지대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며, 방수강판이 설치될 절개홈을 대구경 강관 내 균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강관(10)을 아치형 또는 사각형으로 압입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지중구조물, 예컨대 지하터널이 설치될 예정면을 따라 정확한 위치를 측량하고 정확한 위치에 유압잭과 추진보조관 등을 이용하여 강관(10)을 단계적으로 압입시키고, 강관(10)의 측면을 소정 폭 절개하여 강관(10)과 이웃한 강관(10) 사이에 방수강판(40)을 연결하고, 강관(10) 등의 영구구조물 설치 공간 내에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강관(10) 및 거푸집(50)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강관(10) 및 거푸집(50) 내에 콘크리트(51)를 타설하여 지중구조물을 시공하였다.
그런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강관(10) 측면을 소정 폭 절개하는 것은 매우 노동력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강관(10)이 대구경화되고 길어짐에 따라서 균일하게 절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웃하는 강관(10)의 측면에 소정 폭이 균일하게 절개되지 못한 경우에는 방수강판(40)을 유압잭(43)과 추진보조관(45)을 사용하여 압입 시 걸려서 추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방수강판(40)의 진행을 위해서 전방토사를 별도로 제거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강판(40)을 이웃하는 강관(10)의 측면에 대해 설치하기 위해서 절개부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강관(10)에 대해 강관(10) 내부에서 지지대(80)를 용접에 의해 단단히 고정해야 하며 콘크리트(54)를 타설하기 위해서 향후 제거해야 하나 강관(10)내에서 지지대(80)를 용접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노동력도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해제한 지지대(80)는 재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개착 지중구조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이웃한 대구경 강관 사이에 방수강판 설치시 압입이 용이하고 압입 전방의 토사를 배토할 수 있고, 대구경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는 지지대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며, 방수강판이 설치될 절개홈을 대구경 강관 내 균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개착 지중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압입 및 배토가 동시에 가능한 +자형 보강 배토수단이 형성된 방수강판을 사용하여 토사내 압입과 동시에 압입시 전방에 발생하는 토사를 배토할 수 있고, 이웃한 대구경 강관에 대해 방수용 방수강판을 설치할 때 대구경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기 위한 용접식 지지대를 현장에서 조립 및 재 사용이 가능한 가변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접 및 해체 시간도 줄일 수 있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대구경 강관에 대해 상기 방수강판 설치용 절개홈을 일정한 위치에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안전하며 튼튼하고 견고하게 지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중구조물의 본체 설치위치 외곽을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며 내부를 굴착하는 단계; 상기 대구경 강관의 일부를 자동으로 절개하여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상기 강관 절개홈 하부 측면을 완전 개방하고 상기 방수강판의 하부를 굴착하여 상기 강관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공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영구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 상기 영구 구조물 축조 후, 상기 영구 구조물 내부를 굴착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강판은 압입하는 단계는, 상기 방수강판의 압입방향으로 전방 돌출된 돌출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형 보강 배토부로 압입과 동시에 전방 압축토를 배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구경 강관의 일부를 자동으로 절개하여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구경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대구경 강관의 균일한 위치에 상기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차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는 비용접방식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가변형 지지유닛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상기 강관 절개홈 형성을 위한 절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수단은 제 1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노즐부와 제 2 가스를 분사하는 제 2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개착 지중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압입 및 배토가 동시에 가능한 +자형 보강 배토수단이 형성된 방수강판을 사용하여 토사내 압입과 동시에 압입시 전방에 발생하는 토사를 배토할 수 있고, 이웃한 대구경 강관에 대해 방수용 방수강판을 설치할 때 대구경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기 위한 용접식 지지대를 현장에서 조립 및 재 사용이 가능한 가변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접 및 해체 시간도 줄일 수 있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대구경 강관에 대해 상기 방수강판 설치용 절개홈을 일정한 위치에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안전하며 튼튼하고 견고하게 지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각각 강관을 이용한 지중구조물과, 지중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강관 사이에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 중 이웃한 대구경 강관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가변지지유닛을 이용하여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사용된 가변형 지지유닛의 작동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강관의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방수강판 압입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 중 이웃한 대구경 강관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가변지지유닛을 이용하여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은, 기존 지하터널 형성용 지중구조물의 설치 방법과 동일하게 지중 구조물의 시공 예정면을 따라 정확한 위치에 대구경 강관(100)을 위치시키고 유압잭과 추진보조관 등을 이용하여 대구경 강관(100)을 단계적으로 연속 압입하고 대구경 강관(100) 내부를 굴착한다(S110).
여기서 강관은 원형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사항에 따라 장방형관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된 대구경 강관 내부에서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차(200)를 이용하여 대구경 강관(200)에 미치는 토압에 대한 내력을 갖도록 가변형 지지유닛(18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지지유닛(18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강관에 미치는 토압에 대하여 내력을 갖게 하고,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내측에서 상부 방수강판(120)이 위치할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상측부를 따라 자동 절개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절개홈(110)을 형성한다.
상기 대차(200)는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균일한 위치에 상기 절개홈(110)을 형성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210)와, 상기 높이조절부(210)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대(230)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230)상에서 상기 가변형 지지유닛(180)을 확장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사용된 가변형 지지유닛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사용된 가변형 지지유닛의 작동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지지유닛(180)은 종래의 강관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용접방식으로 고정지지하던 방식과 달리 비용접방식으로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형 지지유닛(180)은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스틱형태의 본체구성요소(181)와 상기 본체구성요소(181)의 조립과 해체를 위하여 상기 본체구성요소(181)에 형성된 결합홈(181a)에 스냅 체결되는 결합핀(183)과, 상기 본체구성요소(181)와 상기 결합핀(183)이 상기 결합홈(181a)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잡아당기면 상기 결합핀(183)을 상기 본체구성요소(181)에 대해 쉽게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해제보조수단(185)과, 상기 본체구성요소(181)가 상기 결합핀(183)과 결합되어 소정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긴장요소(187)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핀(183)이 상기 결합홈(181a)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가능한 축소형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a)를 유지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축소형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a)가 상기 대차(200)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대구경 강관(110)을 내부에서 임시 지지할 때에는 지지위치에서 상기 축소형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a)를 길이방향으로 확장시킨 확장형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b)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확장형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b)는 확장된 가변형 지지 결합체(180)의 길이방향 복원을 방지하기 위해 긴장요소(187)로 긴장시킬 수 있는데, 상기 긴장요소(187)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리형 지지부일 수도 있으며, 와이어의 길이를 일정한 길이로 유지하기 위하여 턴버클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00)에는 상기 대구경 강관(100)에 상기 절개홈(110)을 형성할 수 있는 절개수단(210)과, 상기 방수강판(120)의 가장자리(123, 124)를 따라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절개홈(110)에 대해 이탈방지되도록 이탈방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수단(210)은 제 1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노즐부(251)와 제 2 가스를 분사하하는 제 2 노즐부(2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70)는 상기 방수강판(120)의 가장자리(123, 124)에 대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171)이 형성된 금속 판상부재일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강관의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강관의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방수강판 압입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10)이 형성된 이웃한 대구경 강관(100, 100')의 전면부에서 상기 절개홈(110)을 따라 방수강판(120)을 상기 절개홈(110)에 대해 압입한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강판(120)은 판상 몸체부(122)와, 상기 판상 몸체부(122)의 양 가장자리(123, 1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121)의 전방 단면이 +자형이 되도록 하는 +자형 보강 배토수단(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형 보강 배토수단(130)은 압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진시 압착된 토사를 깰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2)에 대해 직교하는 보강날부(13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판상 몸체부(122)의 전방 좌우측 가장자리(123, 124)에 인장 와이어(S)가 결합되는 인장홀(123a, 124a)이 형성되어, 상기 인장 와이어(S)를 상기 인장홀(123a,124a)에 체결하여 상기 대구경 강관(100)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견인 및 방향조정하면서 당겨 압입시킬 수 있다.
상기 판상 몸체부(122)의 후방을 따라 압입력을 분산시켜주며 상기 +자형 보강 배토수단(130)의 보강날부(131)에 의해 부셔진 토사를 압입과 동시에 끌어서 배토시킬 수 있는 수평빔(127)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빔(127)에 대해서 결합되는 유압잭(140) 또는 추진수단(15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인장 와이어(S)를 통한 전방 견인과 동시에 후방에서 압입시켜서 효율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압입과 동시에 토사의 배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강판(120)는 강관(110)에 대해 날개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방수강판(120)의 전면부에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형 보강 배토수단(130)을 더 구비하여 대구경 강관(110)의 압입과 동시에 방수강판(120)의 설치를 동시에 할 수 있고, 배토도 한번에 수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구경 강관(1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110)에 연속으로 압입 완료된 방수강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가장자리(123, 124)에 이탈방지부(170)이 체결되고 대차(2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며, 이웃한 대구경 강관(100, 100')과 방수강판(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부면의 완전 방수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절개홈(110) 아래로 상기 강관(100)의 하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속 절개하여 제거하고 상기 대구경 깅관(100)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방수강판(120) 하측 토사를 제거하는 굴착공정을 실시하여 서로 이웃한 대구경 강관(100, 100') 사이에 통공을 형성한다(S140).
이와 같이 토사가 제거되고 난 통공의 바닥면에 하부 지지판을 설치하고 모든 이음부를 용접처리하여 완전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부 방수강판과 하부 지지판의 사이에 토압지지대(70)를 설치하고, 상기 대구경 강관(100, 100')을 임시 지지하도록 설치했던 가변형 지지유닛(180)을 제거함으로써 이웃한 강관(100, 100') 연결하는 방수강판(12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방수강판(120)이 설치된 대구경 강관(100, 100') 사이의 통공에 철근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영구구조물을 축조한다(S150).
최종적으로 상기 영구구조물 내부를 굴착하여 지하터널과 같은 지중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개착 지중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압입 및 배토가 동시에 가능한 +자형 보강 배토수단(130)이 형성된 방수강판(120)을 사용하여 토사내 압입과 동시에 압입시 전방에 발생하는 토사를 배토할 수 있고, 이웃한 대구경 강관에 대해 방수용 방수강판(120)을 설치할 때 대구경 강관 내부를 임시 지지하기 위한 용접식 지지대를 현장에서 조립 및 재 사용이 가능한 가변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접 및 해체 시간도 줄일 수 있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대구경 강관에 대해 상기 방수강판 설치용 절개홈을 일정한 위치에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안전하며 튼튼하고 견고하게 지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100 : 대구경 강관 110 : 절개홈
120 : 방수강판 130 : +자형 보강 배토수단
170 : 이탈방지부 180 : 가변지지유닛
200 : 대차 210 : 절개수단
230 : 받침대

Claims (9)

  1.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중구조물의 본체 설치위치 외곽을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며 내부를 굴착하는 단계;
    상기 대구경 강관의 일부를 자동으로 절개하여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
    상기 강관 절개홈을 따라 상기 강관 절개홈 하부 측면을 완전 개방하고 상기 방수강판의 하부를 굴착하여 상기 강관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공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영구 구조물을 축조하는 단계,
    상기 영구 구조물 축조 후, 상기 영구 구조물 내부를 굴착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강판은 압입하는 단계는, 상기 방수강판의 압입방향으로 전방 돌출된 돌출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형 보강 배토부로 압입과 동시에 전방 압축토를 배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구경 강관의 일부를 자동으로 절개하여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구경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대구경 강관의 균일한 위치에 상기 강관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차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는 비용접방식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가변형 지지유닛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상기 강관 절개홈 형성을 위한 절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수단은 제 1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노즐부와 제 2 가스를 분사하는 제 2 노즐부를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는 상기 방수강판의 전방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인장홀에 대해 인장 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인장 와이어를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강판을 압입하는 단계는 상기 방수강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평빔에 의해서 압입력을 분산시키고 동시에 토사를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지지유닛은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본체구성요소와 본체구성요소의 조립과 해체를 위한 결합핀과, 상기 본체구성요소와 상기 결합핀의 해제를 보조하기 위한 해제보조수단과, 상기 본체구성요소와 상기 결합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긴장요소로 구성하며,
    상기 강관 절개홈이 형성된 대구경 강관을 임시 지지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구성요소와 상기 결합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하여 가변형 지지 결합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형 지지 결합체를 상기 대구경 강관의 지지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변형 지지 결합체의 길이방향 복원을 방지하기 위해 긴장요소로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요소로 긴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합핀과 이웃한 결합핀 사이에 걸린 상기 긴장요소를 고리형 지지부로 고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긴장요소의 길이를 턴버클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강판은 판상 몸체부와, 상기 판상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형 보강 배토부와, 상기 판상 몸체부의 전방 좌우측 가장자리에 인장 와이어가 결합되는 인장홀과, 상기 판상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평빔을 포함하는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10040648A 2021-03-29 2021-03-29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52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48A KR102522158B1 (ko) 2021-03-29 2021-03-29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48A KR102522158B1 (ko) 2021-03-29 2021-03-29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80A KR20220135080A (ko) 2022-10-06
KR102522158B1 true KR102522158B1 (ko) 2023-05-08

Family

ID=8359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648A KR102522158B1 (ko) 2021-03-29 2021-03-29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1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31B1 (ko) * 2007-03-17 2008-03-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예일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KR102071647B1 (ko) * 2019-06-19 2020-01-30 강신관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079673B1 (ko) * 2019-08-05 2020-02-19 주식회사 에이이 싱크홀 보수를 하기 위한 관로 천공용 무인대차 및 이를 이용한 싱크홀 보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05B1 (ko) * 2009-06-09 2011-10-04 주식회사 엔티에스이앤씨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강관연결용 방수철판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31B1 (ko) * 2007-03-17 2008-03-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예일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KR102071647B1 (ko) * 2019-06-19 2020-01-30 강신관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079673B1 (ko) * 2019-08-05 2020-02-19 주식회사 에이이 싱크홀 보수를 하기 위한 관로 천공용 무인대차 및 이를 이용한 싱크홀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80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787B1 (ko) 지하 구조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KR101324173B1 (ko)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KR101628264B1 (ko)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10345B1 (ko) 주열식벽체를 이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제작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96845B1 (ko) 강관자리를 pc상부슬래브로 압출하여 대체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JP5781574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装置
JP4661937B2 (ja) セグメントの補強方法及びセグメントの補強構造
KR101858961B1 (ko) 조립식 결합설치 토류판에 의한 암반층 지지와 시트파일에 의한 토사층 지지의 복합형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55515B1 (ko) 비개착 타입 터널 시공 방법
JP6355148B1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挿入補助器具
KR101474338B1 (ko) 가시설용 접이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법
KR102133053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2522158B1 (ko)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5120663A (ja) 山留め壁の構造
JPH11303087A (ja) 耐食性構造アンカーを使用した擁壁
KR101041264B1 (ko) 가압을 이용한 변위제어 터널의 보강구조체
KR102134603B1 (ko) 비개착 구조물 시공을 위한 비개착 구조물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22535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JP2014181487A (ja) 土留め構造及び土留め方法
KR101818428B1 (ko) 콘크리트 파일의 결합면 형성을 위한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시공방법
JP7177233B2 (ja) コンクリート函体もしくは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構造および方法
KR102388843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에 있어서의 u형 절곡강판을 이용한 벽체형성공법
JP6714060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1884453B1 (ko)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