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52B1 -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52B1
KR102522152B1 KR1020220111132A KR20220111132A KR102522152B1 KR 102522152 B1 KR102522152 B1 KR 102522152B1 KR 1020220111132 A KR1020220111132 A KR 1020220111132A KR 20220111132 A KR20220111132 A KR 20220111132A KR 102522152 B1 KR102522152 B1 KR 10252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ainwater
spray
water suppl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성
(주)한설
(주)지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성, (주)한설, (주)지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성
Priority to KR102022011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he weight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r volum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reservoir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장치는, 도로의 경계 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되, 상기 경계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Smart Clean Road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주요 대기오염 물질 중 하나로 입자 표면에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붙어있고, 폐포나 기관지에 침착함으로써 인체의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친다.
미세먼지들 중에서 포장도로에 쌓인 먼지들이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재비산 되는 먼지를 "도로 재비산 먼지"라 한다. 도로 재비산 먼지는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직접배출, 자동차 타이어와 도로 표면의 마모,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마모 분진, 강하분진, 쓰레기, 진흙과 먼지의 유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침적되어 도로 표면에 산적해있다가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재비산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도로 재비산 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용 물청소 차량을 운행하면서 도로 노면에 물을 살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차량을 이용한 도로 노면 살수 방식은 용수 확보를 위해 청소중에 수시로 수원지를 다녀와야 하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물청소 차량은 청소중에 저속운행을 해야 하므로 타 차량의 운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고, 노면에 주차된 차량의 아래쪽 부분은 차량을 이용해 청소하기가 곤란하므로 추가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로서, 관련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1490호(2012.03.13.)에는 중수 및/또는 지하수를 포함하는 청소용수가 저장되고 지하에 설치되는 저류조와, 일단이 저류조에 연결되고 타단이 포장도로면의 중앙부 아래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송수관과, 송수관과 연결되고 포장도로면의 중앙부 아래에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된 급수관과, 일단이 급수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포장도로면의 중앙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급수관의 길이방향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분기관과, 이러한 분기관에 연결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 수직하게 청소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살수 노즐과, 저류조와 연결되어 청소용수의 유동압과 살수노즐의 살수압을 제공하는 가압펌프를 구비한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는 중수에 내포된 이물질이나 에어를 포집하지 못하여 분사노즐이 막히거나 분사압력이 저하되어 현장에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으며, 분사배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노즐을 일일이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체결비용이 증가되고, 도로를 살수하기 위하여 담당자가 현장에 가서 일일이 살수를 확인 후 가동시켜야 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1490호(2012.0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심속의 미세먼지 저감과 여름철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빗물 저장고와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배관과 물의 양을 제어하면서 분사장치를 통해 빗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시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 분사 흐름에 대하여 LED 발광부를 통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장치에 구비되는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분사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수위를 외부에 알림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노즐에 레일부와 모터부를 설치하여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가능하도록하여 분사 반경을 확대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 및 배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을 재활용하여 클린로드를 위한 수도 요금 절감 효과를 있으며, 도로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 등 여러 현장상황에 맞게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은,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장치는, 도로의 경계 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되, 상기 경계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부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상면은 도로 경계 블록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장치는,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적어도 일렬도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측면에 노즐단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배관에는 빗물의 배출흐름을 빠르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프로펠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노즐 상부에 LED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며, 분사노즐의 분사 구동 시 또는 좌우 이동 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어 분사 유도 및 분사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분사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위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와 함께 현재 위치를 저장하여 제어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 방법은,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도로의 경계석 일단에 플렉시블 분사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삽입공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삽입공에 저장탱크에서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연결되어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분사노즐 배치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및 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 배치 단계에서, 커버부는 경계석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중앙분리대를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하는 단계; 급수배관을 중앙분리대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단계; 급수배관과 연결된 분사노즐을 연결하고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중앙분리대의 양측에 삽입하여 중앙분리대의 외부를 향해 배치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 및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면에 LED 발광부 및 수위 감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은, 도심속의 미세먼지 저감과 여름철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빗물 저장고와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배관과 물의 양을 제어하면서 분사장치를 통해 빗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시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빗물 분사 흐름에 대하여 LED 발광부를 통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분사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수위를 외부에 알림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분사노즐에 레일부와 모터부를 설치하여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 가능하도록하여 분사 반경을 확대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 및 배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빗물을 재활용하여 클린로드를 위한 수도 요금 절감 효과를 있으며, 도로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 등 여러 현장상황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제1 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제2 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분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분사장치의 좌, 우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제2 분사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제2 분사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은, 도로의 경계블럭(B)의 일단에 설치되거나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은, 빗물을 재활용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0)와 저장탱크(10)에 배관(29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급수펌프(20) 급수펌프(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 및 제어부(50)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장치(100) 및 제2 분사장치(200)를 포함한다.
제1 분사장치(100)는, 도로의 경계 블록(B)의 일단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되, 상기 경계 블록(B)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급수펌프(20)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280)과 급수배관(280)과 연결되고 급수배관(280)으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110)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110)이 설치되는 레일부(120) 및 레일부(120)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120) 상부를 덮는 커버부(130)를 포함하여, 분사노즐이 설치된 레일부와 모터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커버부(130)의 상면은 도로 경계 블록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로의 경계블록과 이질감 없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분사장치를 통해 빗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시 분사노즐을 좌, 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사노즐에 레일부와 모터부를 설치하여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 가능하도록하여 분사 반경을 확대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 및 배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빗물을 재활용하여 클린로드를 위한 수도 요금 절감 효과를 있으며, 도로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 등 여러 현장상황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은, 제어부(50)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장치(200)는,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적어도 일렬도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급수펌프(20)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28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측면에 분사노즐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배관(280)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280)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210),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220) 및 레일부(220)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의 분사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 분사노즐(210)이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 시 분사노즐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좌,우 구동 시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배관(280)에는 빗물의 배출흐름을 빠르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프로펠러(250)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210)이 연결되는 각 급수배관(280)에 마다 프로펠러(2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 상부에 LED 발광소자(215)를 포함하며, 분사노즐의 분사 구동 시 또는 좌우 이동 시 서로 다른 색상(예: 구동 시 녹색발광, 이동 시 적색발광)으로 발광되어 분사 유도 및 분사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빗물 분사 흐름에 대하여 LED 발광부를 통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2 분사장치(2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위 감지부(216)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216)를 통해 도로에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와 함께 제2 분사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저장하여 제어부(50)를 통해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분사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수위를 외부에 알림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사장치(200)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사노즐을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9(a)는 분사노즐이 우측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9(b)는 분사노즐이 좌측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LED 발광부(215)를 통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빗물은 배수구(D)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 방법은,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도로의 경계석 일단에 플렉시블 분사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b)상기 삽입공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삽입공에 저장탱크에서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연결되어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분사노즐 배치단계; (c)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d)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및 (e)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 배치 단계(e)에서, 커버부는 경계석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로의 경계블록과 이질감 없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분사장치를 통해 빗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시 분사노즐을 좌, 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1)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를 구비하는 단계; (b1)상기 중앙분리대를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하는 단계; (c1)급수배관을 중앙분리대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단계;
(d1)급수배관과 연결된 분사노즐을 연결하고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중앙분리대의 양측에 삽입하여 중앙분리대의 외부를 향해 배치하는 단계; (e1)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f1)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g1)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 및 (h1)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면에 LED 발광부 및 수위 감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심속의 미세먼지 저감과 여름철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빗물 저장고와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배관과 물의 양을 제어하면서 분사장치를 통해 빗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시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빗물 분사 흐름에 대하여 LED 발광부를 통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분사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수위를 외부에 알림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분사노즐에 레일부와 모터부를 설치하여 분사노즐을 좌,우로 구동 가능하도록하여 분사 반경을 확대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 및 배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을 재활용하여 클린로드를 위한 수도 요금 절감 효과를 있으며, 도로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 등 여러 현장상황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장탱크
20: 급수펌프
50: 제어모듈
100: 제1 분사장치
110: 분사노즐
120: 레일부
130: 커버부
200: 제2 분사장치
210: 분사노즐
220: 레일부
230: 커버부

Claims (8)

  1.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로에 빗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장치와 제2 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장치는, 도로의 경계 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되, 상기 경계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장치는,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적어도 일렬도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유량과 압력이 조절된 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의 측면에 노즐단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상기 빗물을 공급받아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는 플렉시블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위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를 통해 도로에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와 함께 현재 위치를 저장하여 제어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송신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분사장치 및 제2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을 좌, 우로 구동시켜 물의 분사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분사장치 및 제2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상부에 LED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분사노즐의 분사 구동 시 또는 좌우 이동 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어 야간에도 차량 운전자들이 분사 여부 및 분사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상면은 도로 경계 블록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에는 빗물의 배출흐름을 빠르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프로펠러가 구비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도로의 경계석 일단에 플렉시블 분사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삽입공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삽입공에 저장탱크에서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연결되어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분사노즐 배치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및
    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 배치 단계에서, 커버부는 경계석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
  8. 도로 노면에 빗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분리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중앙분리대를 도로의 중앙분리선이나 차선 경계에 도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하는 단계;
    급수배관을 중앙분리대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단계;
    급수배관과 연결된 분사노즐을 연결하고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중앙분리대의 양측에 삽입하여 중앙분리대의 외부를 향해 배치하는 단계;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면에 레크부가 구비되는 레일부를 형성하는 레일부 형성 단계;
    상기 레일부가 배치된 일측에 레일부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를 배치하는 모터부 배치 단계;
    상기 모터부 배치 단계 이후에 레일부와 모터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를 배치하는 커버부 배치 단계; 및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면에 LED 발광부 및 수위 감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의 설치방법.
KR1020220111132A 2022-09-02 2022-09-02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52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32A KR102522152B1 (ko) 2022-09-02 2022-09-02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32A KR102522152B1 (ko) 2022-09-02 2022-09-02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52B1 true KR102522152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132A KR102522152B1 (ko) 2022-09-02 2022-09-02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1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490B1 (ko) 2009-06-18 2012-03-1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
KR20170037306A (ko) * 2015-09-25 2017-04-04 종 화 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로유지보수 및 긴급상황 처리를 수행하는 도로운영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403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개량형 이동식 염수분사 장치
KR102021015B1 (ko) * 2019-01-11 2019-09-11 주식회사 엘아이디워터 유출지하수 및 빗물을 이용한 도로용 비산 미세먼지 저감 장치
KR102424158B1 (ko) * 2021-11-10 2022-07-25 남윤석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클린로드, 제설 및 해빙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490B1 (ko) 2009-06-18 2012-03-1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
KR20170037306A (ko) * 2015-09-25 2017-04-04 종 화 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로유지보수 및 긴급상황 처리를 수행하는 도로운영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403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개량형 이동식 염수분사 장치
KR102021015B1 (ko) * 2019-01-11 2019-09-11 주식회사 엘아이디워터 유출지하수 및 빗물을 이용한 도로용 비산 미세먼지 저감 장치
KR102424158B1 (ko) * 2021-11-10 2022-07-25 남윤석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클린로드, 제설 및 해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23B1 (ko) 다기능 클린로드 살수시스템
KR101121490B1 (ko)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
KR101212281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는 난간대
US5515623A (en) Snowplow with deicer spray attachment
KR102314754B1 (ko) 분사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JP2015521134A (ja) 車両用アンチアクアプレーニングデバイス
KR102315782B1 (ko) 매립 고정식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102088943B1 (ko) 맞춤형 도로 살수 장치
KR102522152B1 (ko)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10058359A (ko) 액체분사장치가 구비되는 도로표지병
US20090050409A1 (en) Device for applying liquid on rail
KR102051428B1 (ko) 클린로드 도로 물분사 시스템의 배관 및 노즐 충격방지용 보호커버
KR200243344Y1 (ko) 지하철 궤도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SK500182014A3 (sk) Čistiace zariadenie zvodidiel pri komunikáciách
US6651293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pavement surface utilizing pressurized water
CN108860072B (zh) 机动车清洗系统、含该系统建筑物、车道和停车场及应用
KR102339822B1 (ko) 지능형 원격 차량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클린로드공법
KR20210090823A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61001B1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462554B1 (ko) 다목적 특수차
KR101959353B1 (ko) 버스 정류장의 안개분무 장치
KR101989292B1 (ko) 스마트 노면물세척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WO2000044992A1 (en) Rail vehicle
KR200408831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보도블록 경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