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473B1 -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473B1
KR102521473B1 KR1020220085000A KR20220085000A KR102521473B1 KR 102521473 B1 KR102521473 B1 KR 102521473B1 KR 1020220085000 A KR1020220085000 A KR 1020220085000A KR 20220085000 A KR20220085000 A KR 20220085000A KR 102521473 B1 KR102521473 B1 KR 10252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curve
power generation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구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구루
Priority to PCT/KR2022/0125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052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레퍼런스 세트 및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fficiency Improvement of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연구개발특구진행재단의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전문)기관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사업명] 전남 나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연구과제명] 인공지능을 접목한 고효율 고출력 태양광 솔루션 개발
[과제수행기관명] 주식회사 지구루
[연구기관] 2022.06.13~2022.08.31
태양광 발전장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력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다수개의 직렬 스트링 태양광 모듈마다 인버터를 연결하여 각각의 직렬 스트링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하는 DC전력을 AC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인 스트링 인버터 방식과, 모든 태양광 모듈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고 태양광 모듈에 하나의 인버터를 연결하여 모든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하는 DC전력을 AC전력으로 변환하는 중앙 인버터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어느 하나의 태양광 모듈에만 그림자가 생기거나, 어느 하나의 태양광 모듈에 대해서만 일사량 또는 온도 조건이 다를 경우 전체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전력이 감소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온도와 일사량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태양광 모듈의 P-V(전력-전압) 또는 I-V(전류-전압)커브의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는 제어(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이하, MPPT제어라 함)를 수행한다.
MPPT제어 방식 중에 P&O(perturbation and observation) 방식은, DC-DC컨버터의 입력전압과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현재 시간인 t에 계산된 전력 값이 이전 시간인 t-1에 계산된 전력 값에 비해 증가하였을 경우, DC-DC컨버터의 PWM(pulse width modulation)듀티비를 증가시켜 DC-DC컨버터의 입력전압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현재 시간인 t에 계산된 전력 값이 이전 시간인 t-1에 계산된 전력 값에 비해 감소하였을 경우, DC-DC컨버터의 PWM듀티비를 감소시켜 DC-DC컨버터의 입력전압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DC-DC컨버터의 PWM듀티비를 증감시킬 경우, DC-DC컨버터의 입력전압이 태양광 모듈의 P-V커브 또는 I-V커브의 최대 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Vmp)로 수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P&O방식은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태양광 모듈에 발생된 음영으로 인해 출력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DC-DC컨버터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 등으로 인해 출력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태양광 모듈에 발생된 음영으로 인한 출력 손실 및 MLPE(module-level power electronics)를 이용하여 출력 손실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태양광 모듈별 컨버터의 펄스폭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은,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세트 및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로 상기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파라미터 값과 상기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미존재하면,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은,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레퍼런스 세트 및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예측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로 상기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에 의해 수행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획득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로 상기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상기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에 따라 예측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미존재 상태이면,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에 따라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은,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태양광 모듈에 발생된 음영으로 인한 출력 손실 및 MLPE(module-level power electronics)를 이용하여 출력 손실을 개선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경제성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별 컨버터의 펄스폭 변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컨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시뮬레이션 장치(20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복수의 제1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현한 시뮬레이션 공간 예컨대, 시뮬레이션 랩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의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 제1 입력부(220), 제1 표시부(230), 제1 메모리(240) 및 제1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제어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2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입력부(22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제1 입력부(22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모듈, 조그 셔틀, 터치 키 및 메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3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1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230)는 제1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메모리(24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1 메모리(240)는 시뮬레이션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메모리(240)는 조도, 온도 및 구름이 제1 태양광 모듈을 가려 제1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 등을 포함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화에 대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레퍼런스 세트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50)는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50)는 조도, 온도 및 구름이 제1 태양광 모듈을 가려 제1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을 변화시키면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태양광 모듈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간 예컨대, 시뮬레이션 랩에 구현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50)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화에 따른 I-V커브를 도출하고, 제1 제어부(250)는 도출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한다. 이때, 최대 전력점은 도출된 I-V커브에서 가장 고점의 위치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50)는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제1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레퍼런스 데이터는 제1 태양광 모듈별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따른 I-V커브, I-V커브에 의해 확인된 최대 전력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실제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제2 태양광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컴퓨터, 서버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3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300)는 제2 통신부(310), 센서부(320), 제2 입력부(330), 제2 표시부(340), 제2 메모리(350) 및 제2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1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통신부(3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320)는 제2 태양광 모듈에 작용되는 조도, 온도,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한 정도(%), 풍속 및 풍향 등의 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제2 제어부(36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320)는 제어장치(300)에 포함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센서부(320)는 복수의 제2 태양광 모듈에 설치되어 제어장치(300)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제2 제어부(3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입력부(330)는 제어장치(3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제2 입력부(33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모듈, 조그 셔틀, 터치 키 및 메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40)는 제어장치(300)의 동작과 관련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2 표시부(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제2 표시부(340)는 제2 입력부(330)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메모리(350)는 제어장치(3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2 메모리(350)는 제2 태양광 모듈별로 도출된 I-V커브로부터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35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에서 생성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제2 태양광 모듈별로 도출된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을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장치(200)에서 생성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현재 시점에서의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한다. 이때, 복수의 제2 태양광 모듈은 실제 현장에 설치된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기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센서부(32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하거나 동일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한다. 제2 제어부(360)는 도출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한다.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반대로,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면 제2 제어부(360)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한다.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어부(360)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현재 시점에 예측된 I-V커브를 기준으로 임계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I-V커브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센서부(320)로부터 현재 시점의 조도, 온도,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한 정도(%), 풍속 및 풍향 등의 파라미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조도, 온도,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한 정도(%) 등의 파라미터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한다. 제2 제어부(360)는 임계시간 이후 시점이 도래하면 제2 제어부(360)는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이어서,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추정된 최대 전력점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임계시간이 경과한 해당 시점에 센서부(320)로부터 조도, 온도 및 구름이 제2 태양광 모듈을 가려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수신하고, 해당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곡선을 도출한 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추정된 최대 전력점과 해당 시점에 도출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곡선 및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각각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1 제어부(250)는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50)는 조도, 온도 및 구름이 제1 태양광 모듈을 가려 제1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을 변화시키면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태양광 모듈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간 예컨대, 시뮬레이션 랩에 구현된 상태일 수 있다.
403단계에서 제1 제어부(250)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화에 따른 I-V커브를 도출한다. 405단계에서 제1 제어부(250)는 도출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한다. 407단계에서 제1 제어부(250)는 레퍼런스 세트를 확인하고 409단계를 수행한다. 409단계에서 제1 제어부(250)는 확인된 레퍼런스 세트를 제1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이때, 레퍼런스 세트는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는 제1 태양광 모듈별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따른 I-V커브, I-V커브에 의해 확인된 최대 전력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한다. 이때, 복수의 제2 태양광 모듈은 실제 현장에 설치된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기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센서부(32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하거나 동일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503단계의 확인결과,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면 제2 제어부(360)는 505단계를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제2 제어부(360)는 521단계를 수행한다. 521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501단계에서 확인된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고 523단계를 수행한다. 523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도출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제2 제어부(360)는 509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503단계의 확인결과, 확인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존재하면 505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고, 507단계를 수행한다. 507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어서, 509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507단계에서 추정된 최대 전력점 또는 523단계에서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511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501단계에서와 같이 파라미터 값이 확인된 시점(이하, 현재 시점이라 함)을 기준으로 임계시간이 경과한 임계시간 이후의 I-V커브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센서부(320)로부터 현재 시점의 조도, 온도,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한 정도(%), 풍속 및 풍향 등의 파라미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조도, 온도,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한 정도(%) 등의 파라미터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확인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할 수 있다.
513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예측된 임계시간 이후의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고 515단계를 수행한다. 515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임계시간 이후 시점의 도래여부를 확인한다. 515단계의 확인결과, 임계시간 이후의 시점이 도래하면 제2 제어부(360)는 517단계를 수행하고, 해당 시점이 도래하지 않으면 제2 제어부(360)는 해당 시점의 도래를 대기한다.
517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513단계에서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전압을 제어하고 519단계를 수행한다. 519단계에서 제2 제어부(360)는 511단계에서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513단계에서 추정된 최대 전력점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제어부(360)는 임계시간 이후 시점이 도래한 해당 시점에 센서부(320)로부터 조도, 온도 및 구름이 제2 태양광 모듈을 가려 제2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는 정도(%)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수신하고, 해당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제2 태양광 모듈별 I-V곡선을 도출한 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60)는 511단계에서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513단계에서 추정된 최대 전력점과 해당 시점에 도출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곡선 및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각각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 세트 및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현재 시점 또는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시점 또는 상기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한 후, 현재 시점에서 수신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파라미터 값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제1 태양광 모듈의 레퍼런스 세트에 상기 예측된 파라미터 값과 유사한 값이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레퍼런스 세트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추정된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과 제2태양광 모듈의 실측 파라미터 값을 통해 도출되는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로 상기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파라미터 값과 상기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미존재하면,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도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최대 전력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12.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레퍼런스 세트 및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현재 시점 또는 예측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로 상기 현재 시점 또는 상기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한 후, 현재 시점에서 수신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파라미터 값을 예측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모듈의 레퍼런스 세트에 상기 예측된 파라미터 값과 유사한 값이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레퍼런스 세트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이후의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며, 상기 임계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2 태양광 모듈의 추정된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과 제2태양광 모듈의 실측 파라미터 값을 통해 도출되는 I-V커브 및 최대 전력점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파라미터에 대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에 의해 수행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획득된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로 상기 레퍼런스 세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 상기 변경되는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I-V커브 및 상기 I-V커브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태양광 모듈별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값으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세트에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 레퍼런스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에 따라 예측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를 기반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가 미존재 상태이면,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파라미터 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I-V커브에 따라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최대 전력점을 확인하여 상기 제2 태양광 모듈별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시스템.
KR1020220085000A 2022-07-01 2022-07-11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52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2511 WO2024005257A1 (ko) 2022-07-01 2022-08-22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1205 2022-07-01
KR1020220081205 2022-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473B1 true KR102521473B1 (ko) 2023-04-14

Family

ID=8594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00A KR102521473B1 (ko) 2022-07-01 2022-07-11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1473B1 (ko)
WO (1) WO202400525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4188A (ja) * 2010-12-06 2012-06-28 Hitachi Ltd 太陽光発電量予測装置,太陽光発電量予測方法,系統電圧制御装置,系統電圧制御方法
JP2016038816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東芝 太陽光発電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プログラ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048972A (ja) * 2014-08-27 2016-04-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異常診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25B1 (ko) * 2020-01-20 2020-11-13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173741B1 (ko) * 2020-03-02 2020-11-03 박동철 태양광발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4188A (ja) * 2010-12-06 2012-06-28 Hitachi Ltd 太陽光発電量予測装置,太陽光発電量予測方法,系統電圧制御装置,系統電圧制御方法
JP2016038816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東芝 太陽光発電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プログラ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048972A (ja) * 2014-08-27 2016-04-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異常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257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dararaj et al. CCGPA‐MPPT: Cauchy preferential crossover‐based global pollination algorithm for MPPT in photovoltaic system
EP3361631B1 (en) Current-voltage curve scan method for photovoltaic module, and optimizer
US9685781B2 (en)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a method for energy harvest optimization thereof and a method for fault detection thereof
US89220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a suboptimal operation of one or more inverters in a multi-inverter system
JP633431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プログラ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0848099B2 (en) Power generatio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for photovoltaic panels
Hosseini et al. A high-performance shade-tolerant MPPT based on current-mode control
JP2012124188A (ja) 太陽光発電量予測装置,太陽光発電量予測方法,系統電圧制御装置,系統電圧制御方法
JP2014512170A (ja) 優先度別電気供給機能を備える制御されたコンバータアーキテクチャ
Nadeem et al. Online fractional open‐circuit voltage maximum output power algorithm for photovoltaic modules
TW201520784A (zh) 再生能源發電量預測系統及方法以及供電配置系統
US201500137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olar panel output
KR20220049390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설비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Veeramanikandan et al. A fuzzy‐elephant herding optimization technique for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the hybrid wind‐solar system
Mahmoud et al. Arithmetic optimization approach for parameters identification of different PV diode models with FOPI-MPPT
Verma et al. Power control strategy of PV system for active power reserve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s
KR102521473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JP6370541B2 (ja) 状態推定装置
Owais et al. Power reserve control of solar photovoltaic system for improved frequency response of a stand-alone power system
JP6511656B2 (ja) 独立電源システム
KR102548728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 효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6914A (ko) Dc-dc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태양광전원의 효율향상 장치
JP2015099447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動作点補正装置、および動作点補正方法
KR102522367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투자 가치 예측 방법 및 시스템
US11626834B2 (en) Power backfeed control method, convert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