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427B1 -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 Google Patents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427B1
KR102521427B1 KR1020220098370A KR20220098370A KR102521427B1 KR 102521427 B1 KR102521427 B1 KR 102521427B1 KR 1020220098370 A KR1020220098370 A KR 1020220098370A KR 20220098370 A KR20220098370 A KR 20220098370A KR 102521427 B1 KR102521427 B1 KR 102521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rtical
locking jaw
surfac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박주수
엄재용
Original Assignee
김동욱
박주수
엄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박주수, 엄재용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22009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의 다양화된 충격에 대비하여 강화된 보강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한 쌍의 승장문과;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일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1 수직보강대와;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타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2 수직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충격 발생 시 상기 승장문이 후방으로 휘는 현상을 크게 줄여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승장문 하단의 도어슈가 도어실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승장문 하단부가 뒤로 젖혀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ELEVATOR LANDING DOOR CAPABLE OF MINIMIZING DEFORMATION AND SEPARATION DUE TO EXTERNAL IMP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화된 충격에 대비하여 강화된 보강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10)는 후방(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휘어질 정도로 심한 외부충격(F)이 가해질 경우 하단의 도어슈(11)가 상승하여 도어실(12)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어에 부딪힌 사람을 지지해주지 못하여 승강로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2341904호(공고일자: 2021.12.21.) 등에서는 도어슈(door shoe, 11)가 도어실(door sill, 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전동휠체어를 비롯하여 자전거, 전동킥보드 등의 개인용 이동수단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종래의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정도로는 사고를 예방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휠체어를 탄 사람이 승장문(13)에 부딪힐 경우의 충격은 상기 특허에서와 같이 도어슈(11)와 도어실(12)의 결합구조 개선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슈(11) 내지 도어실(12)이 변형되거나 파손됨과 동시에 승장문(13)의 하단부가 뒤로 젖혀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전동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등의 더욱 악화된 사용환경을 고려한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안전강화 방안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대비 더욱 다양화되고 악화된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강화된 보강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승장문과;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일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1 수직보강대와;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타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2 수직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승장문은 내측단부에 요홈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승장문은 상기 요홈 굴곡부에 삽입 결합하는 돌출 굴곡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일측 승장문은 외측단부에 전후 폭방향으로 제1 외측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굴곡부는 상기 제1 외측걸림턱에 대응하여 제1 내측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승장문은 외측단부에 전후 폭방향으로 제2 외측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굴곡부는 상기 제2 외측걸림턱에 대응하여 제2 내측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는 상기 일측 승장문의 상하 방향으로 중간 지점 또는 하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배면을 지지하며 양측단부가 상기 제1 외측걸림턱 및 제1 내측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횡보강대와; 상기 타측 승장문의 상하 방향으로 중간 지점 또는 하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을 지지하며 양측단부가 상기 제2 외측걸림턱 및 제2 내측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횡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외측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는 마감브래킷이 부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외측단부의 각 전방에 기립 설치되되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받침부를 갖는 승장문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최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갖는 도어슈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가 수용되는 상단의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수용하는 수평홈부와, 상기 수평홈부의 전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직홈부의 전방에 이격 형성되는 수직공간부와, 상기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공간부 사이의 격벽을 이루되 상기 수평부의 상승 내지 후방으로의 선회를 접촉 차단하는 하향돌출벽부를 갖는 도어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의하면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는 수직보강대에 의해 외부충격에 대한 변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 발생 시 상기 승장문이 후방으로 휘는 현상을 크게 줄여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도어슈가 도어실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승장문 하단부가 뒤로 젖혀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좌우 양측 승장문의 각 내측단부가 요홈 굴곡부와 돌출 굴곡부를 형성하여 문이 닫힐 경우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부충격 발생 시 이러한 결합 부위에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도하여 승장문의 휘어짐 현상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대의 배면을 지지하는 횡보강대를 승장문의 상하방향 중간 지점에 설치함으로써 사람이나 자전거에 의한 충격 흡수를 보강할 수 있고, 만약 상기 승장문의 하단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특히 전동휠체어에 의한 충격 흡수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승장문의 외측단부에 부착되는 마감브래킷의 걸림부가 전방에 설치되는 승장문틀의 받침부에 수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승장문이 외부충격으로 인해 뒤로 젖혀지려 할 경우 상기 받침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장문의 최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도어슈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갖고, 상기 승장문에 대한 외부충격으로 상기 도어슈가 상승 또는 후방으로 선회할 경우 도어실의 하향돌출벽부를 통해 차단시켜줌으로써 도어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일측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측 도어를 가상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측 도어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일측 도어의 하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단부에서의 도어슈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타측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타측 도어를 가상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타측 도어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일측 도어와 도 7의 타측 도어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11은 도 6의 도어슈가 도어실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배면도 및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도어는 도 2에 도시된 일측 도어(101)와 도 7에 도시된 타측 도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일측 도어(101)는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일측 승장문(110), 이 일측 승장문(1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수직보강대(120)를 포함한다. 제1 수직보강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단면을 가지며, 전체로서 하나의 보강대로서 성형되거나 2 이상의 보강대가 용접으로 연결되어 전체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일측 승장문(110)은 내측단부(도면에서는 우측단부)에 요홈 굴곡부(111)가 형성되고, 외측단부에는 전후 폭방향으로 제1 외측걸림턱(112)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 굴곡부(111)에는 상기 제1 외측걸림턱(112)에 대응하여 제1 내측걸림턱(113)이 형성된다.
도 2에서 일측 승장문(110)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약 110cm인 중간 지점에는 제1 중간 횡보강대(131)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수직보강대(120)의 배면을 지지한다. 제1 중간 횡보강대(131)의 양측단부는 상기한 제1 외측걸림턱(도 3의 112)와 제1 내측걸림턱(113)에 체결되어 지지된다.
도 2에서 일측 승장문(110)의 하단부에는 높이 약 30cm 지점에 제1 하단 횡보강대(132)가 설치되어 제1 수직보강대(120)의 배면을 지지한다.
일측 승장문(110)의 상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상단레일(1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前面)을 통해 승장문(110)의 배면을 면접촉 지지하고, 좌우 양측단부가 제1 외측걸림턱(112)과 제1 내측걸림턱(113)에 각각 수용되어 체결된다. 제1 수직보강대(120)의 상단은 상기 상단레일(141)의 저면에 접촉 지지된다.
일측 승장문(110)의 하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레일(142)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하단레일(142)의 단면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굴곡부(142a)와 하측 굴곡부(142b)가 일체로 연결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굴곡부(142a)는 승장문(110)의 배면을 면접촉 지지하는 전방수직연장면부(142a-1), 좌우 양측단부를 통해 제1 외측걸림턱(112)과 제1 내측걸림턱(113)의 전면(前面)에 면접촉 체결되는 후방수직면부(142a-2, 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전방수직연장면부(142a-1)와 후방수직면부(142a-2) 간을 연결하는 긴수평면부(142a-3)를 가짐으로써 승장문(110)에 대한 지지구조를 확립한다.
하측 굴곡부(142b)는 상기 전방수직연장면부(142a-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짧은수평면부(142b-1), 이 짧은수평면부(142b-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도어슈체결면부(142b-2), 이 도어슈체결면부(142b-2)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장문(110)의 배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하단짧은수평면부(142b-3)를 갖는다. 도어슈(150)는 상기 도어슈체결면부(142b-2)에 체결됨으로써 이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슈(150)는 상측의 수직부(151)를 통해서는 상기 하단레일(142)의 하측 굴곡부(142b)에 볼트체결됨으로써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승장문(1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직부(15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52)를 갖는다.
도 5에서 승장문(110)에 대한 전방(도면에서는 우측)에서의 충격으로 인해 도어슈(150)가 후방 등으로 변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외측걸림턱(112)과 하단레일(142)측 하측 굴곡부(142b)의 사이에 그리고 제1 내측걸림턱(113)과 하측 굴곡부(142b)의 사이에도 마감블록(160)이 개재되어 고정된다(도 6 참조).
도 7의 타측 도어(102) 역시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타측 승장문(170), 이 타측 승장문(17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 수직보강대(180)를 포함한다. 제2 수직보강대(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단면을 갖는다.
타측 승장문(170)은 내측단부(도면에서는 좌측단부)에 돌출 굴곡부(171)가 형성되고, 외측단부에는 전후 폭방향으로 제2 외측걸림턱(172)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 굴곡부(171)에는 상기 제2 외측걸림턱(172)에 대응하여 제2 내측걸림턱(173)이 형성된다.
도 7에서 타측 승장문(170)의 상하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제2 중간 횡보강대(191)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수직보강대(180)의 배면을 지지한다. 또한, 타측 승장문(170)의 하단부에는 제2 하단 횡보강대(192)가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직보강대(180)의 배면을 지지한다.
타측 승장문(170)의 상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상단레일(14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前面)을 통해 승장문(170)의 배면을 면접촉 지지하고, 좌우 양측단부가 제2 외측걸림턱(172)과 제2 내측걸림턱(173)에 각각 수용되어 체결된다. 제2 수직보강대(180)의 상단은 상기 상단레일(143)의 저면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100)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다. 이때, 일측 승장문(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요홈 굴곡부(111)에는 타측 승장문(17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돌출 굴곡부(171)가 삽입되는 결합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6에서 승장문(110)의 최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어슈(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실(200)에 수용된다.
도어실(200)은 승장문(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도어슈(150)의 수직부(151)가 수용되는 상단의 수직홈부(201), 이 수직홈부(20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어슈(150)의 수평부(152)가 수용되는 수평홈부(202)를 갖는다.
그리고, 수평홈부(202)의 전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측의 수직공간부(203)는 상기 수직홈부(201)의 전방에 이격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격벽을 이루는 하향돌출벽부(204)를 형성한다.
하향돌출벽부(204)는 수평부(152)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그리고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만약 승장문(110)이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외부충격을 받아 후방(우측)으로 이동 및 변형되는 것을 원인으로 상기 수평부(152)가 상승하거나 후방으로 선회하는 것을 접촉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후방으로 선회하는 수평부(152)는 하향돌출벽부(204)의 전단 모서리부(204a)에 걸리게 되어 바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엘리베이터 승장도어(100)에는 승장문(110, 170)의 배면에 파형 단면을 가진 수직보강대(120, 180)가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형 단면의 수직보강대(120, 180) 대신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수직보강대(220, 28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보강대(220, 280)는 특수보강대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허니콤 격자구조는 전후 일정한 폭(즉, 허니콤의 육각형을 기준으로 할 때 그 높이에 해당)을 갖는 입체적 구조이다.
나아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승장문(210, 270)의 각 외측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31, 241)를 갖는 마감브래킷(230, 240)이 부착되고, 이에 대응하여 승장문(210, 270) 외측단부의 각 전방에 기립 설치되는 승장문틀(250, 260)에는 상기 걸림부(231, 241)를 수용하는 받침부(251, 261)가 구비됨으로써 승장문(210, 270)이 전방(도면에서는 상부)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걸림부(231, 241)가 받침부(251, 261)에 걸리도록 하여 승장문(210, 270)의 변형 내지 후방으로의 선회를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엘리베이터 승장도어(100, 2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100: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101: 일측 도어
102: 타측 도어 110: 일측 승장문
111: 요홈 굴곡부 112: 제1 외측걸림턱
113: 제1 내측걸림턱 120: 제1 수직보강대
131: 제1 중간 횡보강대 132: 제1 하단 횡보강대
141: 상단레일 142: 하단레일
143: 상단레일 142a: 상측 굴곡부
142b: 하측 굴곡부 150: 도어슈
151: 수직부 152: 수평부
160: 마감블록 170: 타측 승장문
171: 돌출 굴곡부 172: 제2 외측걸림턱
173: 제2 내측걸림턱 180: 제2 수직보강대
191: 제2 중간 횡보강대 192: 제2 하단 횡보강대
200: 도어실 201: 수직홈부
202: 수평홈부 203: 수직공간부
204: 하향돌출벽부 204a: 전단 모서리부
210: 일측 승장문 220: 수직보강대
230, 240: 마감브래킷 231, 241: 걸림부
250, 260: 승장문틀 251, 261: 받침부
270: 타측 승장문 280: 수직보강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승장문과;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일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1 수직보강대와;
    상기 한 쌍의 승장문 중 타측 승장문의 배면에 부착되며, 파형 단면을 가지거나 허니콤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제2 수직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측 승장문은 내측단부에 요홈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승장문은 상기 요홈 굴곡부에 삽입 결합하는 돌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승장문은 외측단부에 전후 폭방향으로 제1 외측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굴곡부는 상기 제1 외측걸림턱에 대응하여 제1 내측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 승장문은 외측단부에 전후 폭방향으로 제2 외측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굴곡부는 상기 제2 외측걸림턱에 대응하여 제2 내측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승장문의 높이 110cm인 지점과 높이 30cm인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직보강대의 배면을 지지하며 양측단부가 상기 제1 외측걸림턱 및 제1 내측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제1 횡보강대와;
    상기 타측 승장문의 높이 110cm인 지점과 높이 30cm인 지점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직보강대의 배면을 지지하며 양측단부가 상기 제2 외측걸림턱 및 제2 내측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제2 횡보강대와;
    상기 일측 승장문의 하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제1 하단레일과;
    상기 타측 승장문의 하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제2 하단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단레일은 제1 상측 굴곡부와 제1 하측 굴곡부가 일체로 연결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상측 굴곡부는 상기 일측 승장문의 배면을 면접촉 지지하는 제1 전방수직연장면부, 좌우 양측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외측걸림턱과 상기 제1 내측걸림턱의 전면(前面)에 면접촉 체결되는 제1 후방수직면부, 상기 제1 전방수직연장면부와 상기 제1 후방수직면부 간을 연결하는 제1 긴수평면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일측 승장문에 대한 지지구조를 확립하고,
    상기 제1 하측 굴곡부는 상기 제1 전방수직연장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짧은수평면부, 상기 제1 짧은수평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도어슈체결면부, 상기 제1 도어슈체결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 승장문의 배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제1 하단짧은수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하단레일은 제2 상측 굴곡부와 제2 하측 굴곡부가 일체로 연결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상측 굴곡부는 상기 타측 승장문의 배면을 면접촉 지지하는 제2 전방수직연장면부, 좌우 양측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외측걸림턱과 상기 제2 내측걸림턱의 전면(前面)에 면접촉 체결되는 제2 후방수직면부, 상기 제2 전방수직연장면부와 상기 제2 후방수직면부 간을 연결하는 제2 긴수평면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타측 승장문에 대한 지지구조를 확립하고,
    상기 제2 하측 굴곡부는 상기 제2 전방수직연장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짧은수평면부, 상기 제2 짧은수평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도어슈체결면부, 상기 제2 도어슈체결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 승장문의 배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제2 하단짧은수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외측걸림턱과 상기 제1 하측 굴곡부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내측걸림턱과 상기 제1 하측 굴곡부의 사이에 각각 제1 마감블록이 개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외측걸림턱과 상기 제2 하측 굴곡부의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2 내측걸림턱과 상기 제2 하측 굴곡부의 사이에 각각 제2 마감블록이 개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외측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는 마감브래킷이 부착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외측단부의 각 전방에 기립 설치되되,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받침부를 갖는 승장문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최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갖는 도어슈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승장문의 각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가 수용되는 상단의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부를 수용하는 수평홈부와, 상기 수평홈부의 전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직홈부의 전방에 이격 형성되는 수직공간부와, 상기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공간부 사이의 격벽을 이루되 상기 수평부의 상승 내지 후방으로의 선회를 접촉 차단하는 하향돌출벽부를 갖는 도어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KR1020220098370A 2022-08-08 2022-08-08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KR10252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70A KR102521427B1 (ko) 2022-08-08 2022-08-08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370A KR102521427B1 (ko) 2022-08-08 2022-08-08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427B1 true KR102521427B1 (ko) 2023-04-13

Family

ID=8597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370A KR102521427B1 (ko) 2022-08-08 2022-08-08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4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583U (ko) * 1985-02-05 1986-08-15
US20040093828A1 (en) * 2002-11-20 2004-05-20 Smith Rory Stephen Elevator cab door assembly with honeycomb core
KR20100104101A (ko) * 2009-03-16 2010-09-29 (주)삼신엔지니어링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20140055269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방화도어 구조
KR101674059B1 (ko) * 2015-05-15 2016-11-08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583U (ko) * 1985-02-05 1986-08-15
US20040093828A1 (en) * 2002-11-20 2004-05-20 Smith Rory Stephen Elevator cab door assembly with honeycomb core
KR20100104101A (ko) * 2009-03-16 2010-09-29 (주)삼신엔지니어링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20140055269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방화도어 구조
KR101674059B1 (ko) * 2015-05-15 2016-11-08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51B2 (en) Bus cabin structure
AU740265B2 (en) Elevator car
JP4488461B2 (ja) 車両
KR100899955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EP1670659B1 (en) Fuel tank supporting structure
CN110228531B (zh) 车辆的车体构造
US8714616B2 (en) Protecting frame structure for power supply apparatus
KR102521427B1 (ko) 외부충격으로 인한 변형 및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CA2825732C (en) Bus cabin structure
CN115465755A (zh) 一种重载货梯六导靴轿架结构
CN212353689U (zh) 车辆座椅安装横梁组件、车辆前地板总成和车辆
KR102258311B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101249751B1 (ko)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CN208413589U (zh) 一种大载重电梯轿架
NL2000547C1 (nl) Steiger met leuningframes voorzien van staanderdelen.
KR102679320B1 (ko) 창호용 연결브라켓의 구조
CN114802480B (zh) 提升柱碰的车身以及车辆
CN211470493U (zh) 一种防撞击的电梯层门
CA2938396C (en) Security grille and security grille system
KR102655390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KR200492936Y1 (ko) 화물차 적재함용 슬라이딩 발판
RU2326771C1 (ru) Рама двери кабины 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6836680U (zh) 一种上梁、电梯及升降机
KR102344315B1 (ko)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