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60B1 - 이동형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60B1
KR102520960B1 KR1020210018142A KR20210018142A KR102520960B1 KR 102520960 B1 KR102520960 B1 KR 102520960B1 KR 1020210018142 A KR1020210018142 A KR 1020210018142A KR 20210018142 A KR20210018142 A KR 20210018142A KR 102520960 B1 KR102520960 B1 KR 10252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oor
disposed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759A (ko
Inventor
강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to KR102021001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2215/003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with the assistance of blowing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andcar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덕트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와이퍼를 수용하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 일면에 연결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를 수거하도록 봉투가 거치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면에서 상기 장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가능한 제1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배기장치 {PORTABLE EXHAUST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장치는 작업장 안에 유해한 분진, 가스, 증기 등의 발생원이 존재하고 있을 때, 이것이 실내에 확산되지 않도록 발생원 근처에서 흡입하여 배출하는 환기장치로서, 후드(hood)로 발생원을 흡입하여 덕트(duct)를 통해 옥외로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반도체 제조 설비는 반도체 웨이퍼를 다양한 환경과 공정 하에서 처리하고 가공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공정들은 대부분 각종 유독 가스 및 용액 하에서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설비들은 다양하고 열악한 환경 하에서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각종 유해 가스로 인해 설비가 부식되거나 변형되어 설비의 수명이 짧아져,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생산 설비의 유지비용도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장치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되기 위해 작업장 내에 설치하였으며, 가스 발생원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차가 구비된 이동형 배기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배기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후드 및 덕트의 내측면이나 배기장치의 외면에 오염원이 침착되어 청결 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 이동형 배기장치에 침착된 오염원을 작업자가 수건 및 청소용 솔 등으로 청소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배기장치의 청소과정에서 수건 및 솔 등의 도구가 금방 오염되므로, 이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구를 처리할 때 작업자의 피부에 오염원이 묻을 수도 있어 작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와이퍼의 보관 및 수거가 용이한 구조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덕트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와이퍼를 수용하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 일면에 연결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를 수거하도록 봉투가 거치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면에서 상기 수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가능한 제2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와이퍼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몸체를 개폐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수납몸체 내측면에 배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고정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격벽 일측에서 상기 제2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일면에 돌출되고 내측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봉투가 거치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몸체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몸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과 마주보는 상기 격벽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간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수납몸체 및 상기 제2 공간의 내부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연통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덕트관, 상기 본체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관이 관통되어 연결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가압력을 조절하여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회전부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는, 와이퍼의 보관 및 수거가 용이하여 후드 및 덕트 등에 침착된 오염원의 제거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봉투 교체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서 후드(300) 측으로 전방으로 규정하고, 후드(300)에서 본체부(100) 측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1)는 본체부(100), 덕트부(200), 후드(300), 수납부(400) 및 수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이동형 배기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형 배기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바퀴(140)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후면에는 개폐도어(1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내부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결합부재(132)가 설치되어 개폐도어(13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격벽(120)이 내부공간(1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110)의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120)을 기준으로 내부공간(110) 전방에는 수납부(400)가 배치되고, 내부공간(110) 후방에는 수거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덕트부(200)는 덕트관(210), 회전부(220) 및 회전부브레이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관(210)은 일단부는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후드(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관(210)은 후드(300)를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오염물질을 본체부(100) 내측으로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관(210)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관(210)을 임의으로 각도로 휘거나 굽어지게 배치할 수 있고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어, 후드(3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220)는 본체부(100) 상면에 설치되고 덕트관(210)이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220)는 덕트관(210)을 본체부(100)에 연결시키면서도, 덕트관(210)이 본체부(100)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20)는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모터가 장착되어 회전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브레이크(230)는 회전부브레이크재(231), 결합구(235) 및 레버(23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브레이크재(231)는 링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부(22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브레이크재(231)는 회전부(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브레이크재(231)는 일측이 절개되어 슬릿(2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232)의 양측에 위치한 회전부브레이크재(231)의 각 단부에는 결합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235) 및 레버(236)는 슬릿(232)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3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부재가 각각의 결합홈(233)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봉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구(235) 및 레버(236)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235)는 봉부재의 일단부를 회전부브레이크재(2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236)를 조작함에 따라 슬릿(232)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즉, 레버(236)를 조작함에 따라 회전부브레이크재(231)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전부(220)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브레이크(230)가 회전부(220)를 강하게 가압할 경우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회전부(220)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경우 회전부(220)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수납부(400)는 케이스(410), 제1 도어(420), 자석부재(430), 가이드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는 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410)는 내부에 와이퍼(W)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W)는 이동형 배기장치(1)의 외측면이나 후드(300) 및 덕트부(200) 내측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닦아내기 위해 유기용제가 함침되는 티슈나 스펀지 등의 닦개일 수 있다.
케이스(410)는 상단부 테두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411)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420)는 케이스(410)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41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420)의 일단부가 케이스(41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케이스(4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어(420)를 개방함으로써 케이스 내 와이퍼(W)를 꺼낼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 도어(420)를 닫아 와이퍼(W)를 케이스(410) 내에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자석부재(430)는 케이스(410)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부재(430)는 케이스(410) 내측면 상단에 배치되어, 제1 도어(420)와 인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어(420)가 회전되면서 케이스(41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제1 도어(420)의 자유단부가 케이스(410)에 가까워지면 자석부재(430)의 자력에 의해 제1 도어(420)가 자석부재(4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부재(430)에 의해 제1 도어(4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410)의 내측면에는 제1 흡입구(4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입구(440)에는 후술할 흡입부(7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440)를 통해 케이스(410)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입구(440)는 케이스(410)의 상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케이스(410) 내부에 수용된 와이퍼(W)로부터 휘발되는 유기용제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제1 흡입구(440)가 케이스(410) 상단에 배치됨으로써 와이퍼(W)의 유기용제가 케이스(41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50)는 소정의 봉 형상으로, 케이스(41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제1 흡입구(4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450)는 제1 흡입구(440) 후방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절곡되어 케이스(410)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450)가 제1 흡입구(440)에 의한 공기흐름 상에 배치되므로, 와이퍼(W)를 꺼낼 때 제1 흡입구(440)에 흡착되어 제1 흡입구(440)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이동형 배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봉투 교체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체부(100)는 격벽(120)에 의해 내부공간(110)이 구획되며, 격벽(120)의 전방에는 제1 공간(111)이 형성되고, 격벽(120)의 후방에는 제2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11)에는 덕트부(200) 및 수납부(400)가 설치되고, 제2 공간(112)에는 후술할 수거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수거부(500)는 제2 도어(510), 완충부재(520), 지지부재(530), 장착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510)는 본체부(100)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어(510)의 일측은 힌지부재(511)에 의해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어(510)는 회전함에 따라 제2 공간(112)을 개폐할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제1 브라켓(521), 제2 브라켓(522) 및 실린더(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521)은 격벽(120)에 설치되고, 제2 브라켓(522)은 제2 도어(510)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523)의 양단부는 각각 제1 브라켓(521) 및 제2 브라켓(52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523)는 제1 브라켓(521)및 제2 브라켓(522)에 힌지 결합되어 제2 도어(5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523)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써, 가압력에 따라 전체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어(510)의 상면을 누르면 실린더(523)가 압축되어 전체길이가 감소하여 제2 도어(510)가 개방될 수 있고, 제2 도어(510)를 누르지 않을 경우 실린더(523)의 전체길이가 증가되면서 제2 도어(510)를 상방으로 밀어서 닫을 수 있다. 이때, 실린더(523)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외력을 완충하므로 실린더(523)의 신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53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격벽(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2 도어(510)와 평행할 수 있다.
장착부재(540)는 지지부재(5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540)는 중심부에 관통부(5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부(541)는 장착부재(540)의 상면으로부터 지지부재(530)의 하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541)는 봉투(P)가 삽입되고, 장착부재(540)에는 봉투(P)의 상단부분을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투(P)의 상단부분을 접어 장착부재(540)에 씌움으로써 거치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제1 도어(420)를 개방함에 따라 작업자가 와이퍼(W)를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와이퍼(W)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2 도어(510)를 개방한 뒤 장착부재(540)에 거치된 봉투(P)에 사용한 와이퍼(W)를 투입하여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배기장치(1)는 수납부(400) 및 수거부(500)를 통해 와이퍼(W)의 보관 및 수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오염물질의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1)는 흡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흡입부(700)는 제1 흡입관(710), 제2 흡입관(720), 연결관(730), 연통관(740) 및 연결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관(710)은 제1 공간(111)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1 흡입구(4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관(710)은 제1 흡입구(440)를 통해 수납부(400)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입관(710)에는 지속적으로 음압이 가해지므로, 제1 도어(420)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1 흡입구(440)를 통해 자동으로 수납부(400)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2 흡입관(720)은 제1 공간(111)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2 흡입구(5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관(720)은 수납부(400) 및 격벽(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입관(720)은 제2 흡입구(550)를 통해 제2 공간(112)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입관(720)에는 지속적으로 음압이 가해지므로, 제2 도어(510)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2 흡입구(550)를 통해 자동으로 제2 공간(112)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연결관(730)은 제1 흡입관(710)의 타단부 및 제2 흡입관(720)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므로, 제1 흡입관(710) 및 제2 흡입관(72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연통관(740)은 연결관(730)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제1 흡입관(710), 제2 흡입관(720) 및 연결관(730)과 모두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관(740)은 일단부가 연결관(7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덕트관(210)에 설치된 연결부재(75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750)는 본체부(100) 내에 삽입된 덕트관(210) 일측면에 설치되며, 연통관(74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펌프(미도시)에 의해 덕트관(210)에 음압이 발생할 경우, 연통관(740)이 제1 흡입관(710), 제2 흡입관(720) 및 연결관(730)에 음압을 발생시켜 수납부(400) 내부 공기 및 수거부(500) 측 공기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제1 도어(420)를 개방할 경우 제1 흡입관(710)을 통해 수납부(400)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수거부(500)의 제2 도어(510)를 개방할 경우 제2 흡입관을 통해 제2 공간(112) 내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수납부(400) 및 수거부(500)에 보관된 와이퍼(W)에서 휘발된 유기용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부(700)는 유기용제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 및 작업자의 건강훼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배기장치의 봉투 교체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봉투(P)는 장착부재(540)에 탈착 시킴으로써 교체할 수 있다.
먼저, 봉투(P)의 교체시점이 된 경우 개폐도어(130)를 열고, 봉투(P)를 아래로 잡아당김으로써 장착부재(5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새 봉투(P)를 관통부(541)에 삽입한 뒤, 봉투 상단부를 접어 장착부재(540)에 거치함으로써 봉투의 교체가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거부(500)는 내부공간(110)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개폐도어(130)를 개방하고 봉투(P)를 탈착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봉투(P)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이동형 배기장치
100: 본체부 110: 내부공간
111: 제1 공간 112: 제2 공간
120: 격벽 130: 개폐도어
132: 결합부재 140: 바퀴
200: 덕트부 210: 덕트관
220: 회전부 230: 회전부브레이크
231: 회전부브레이크재 232: 슬릿
233: 결합홈 235: 결합구
236: 레버 300: 후드
400: 수납부 410: 케이스
411: 안착부 420: 제1 도어
421: 핸들 430: 자석부재
440: 제1 흡입구 450: 가이드부재
500: 수거부 510: 제2 도어
511: 힌지부재 520: 완충부재
521: 제1 브라켓 522: 제2 브라켓
523: 실린더 530: 지지부재
540: 장착부재 541: 관통부
550: 제2 흡입구
700: 흡입부 710: 제1 흡입관
720: 제2 흡입관 730: 연결관
740: 연통관 750: 연결부재

Claims (8)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덕트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와이퍼를 수용하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 일면에 연결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를 수거하도록 봉투가 거치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면에서 상기 수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가능한 제2 도어가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와이퍼가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된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몸체를 개폐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수납몸체 내측면에 배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고정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에는 상기 수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되며,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격벽 일측에서 상기 제2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일면에 돌출되고 내측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봉투가 거치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구; 및
    상기 제1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몸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관을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과 마주보는 상기 격벽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흡입구; 및
    상기 제2 흡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간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수납몸체 및 상기 제2 공간의 내부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덕트관;
    상기 본체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관이 관통되어 연결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가압력을 조절하여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회전부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기장치.
KR1020210018142A 2021-02-09 2021-02-09 이동형 배기장치 KR10252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142A KR102520960B1 (ko) 2021-02-09 2021-02-09 이동형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142A KR102520960B1 (ko) 2021-02-09 2021-02-09 이동형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59A KR20220114759A (ko) 2022-08-17
KR102520960B1 true KR102520960B1 (ko) 2023-04-27

Family

ID=8311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142A KR102520960B1 (ko) 2021-02-09 2021-02-09 이동형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566A (ja) 2004-11-01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付き収納容器装置
KR200468640Y1 (ko) 2012-08-07 2013-08-26 류해남 이동식 배연장치
KR101459692B1 (ko) * 2013-08-27 2014-11-12 김선혜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KR102071803B1 (ko) * 2018-09-12 2020-01-30 강귀동 분리수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65B1 (ko) * 2006-12-01 2008-06-19 성진세미텍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 회수장치
KR100930933B1 (ko) * 2008-02-27 2009-12-10 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용 에어블로우 시스템
KR20160003897U (ko) * 2015-05-04 2016-11-14 주식회사 피켐에프코리아 국소배기가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566A (ja) 2004-11-01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付き収納容器装置
KR200468640Y1 (ko) 2012-08-07 2013-08-26 류해남 이동식 배연장치
KR101459692B1 (ko) * 2013-08-27 2014-11-12 김선혜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KR102071803B1 (ko) * 2018-09-12 2020-01-30 강귀동 분리수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59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611A (en) Suction line assembly
US11510534B2 (en) Docking station
JP7053940B2 (ja) 集塵ボックス組立体、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KR102520960B1 (ko) 이동형 배기장치
JP3663630B2 (ja) 掃除用具載置台
TWI625111B (zh) Dust collecting device
CN101313831A (zh) 吸尘器的集尘袋固定结构
CN211437313U (zh) 风管吸扫清理一体机
JP2000325719A (ja) フィルタユニット
JP4317726B2 (ja) 集塵フード付き作業台
KR101739311B1 (ko) 진공 청소기용 석면 입자 필터링 유닛
JP5616843B2 (ja) 換気装置
JP2004069223A (ja) 可搬式集塵装置
TW202016479A (zh) 浴室乾燥機
JP5039937B2 (ja) 排気装置
CN219070070U (zh) 一种可调的手持吸尘器
CN216256905U (zh) 清洁装置
CN211733358U (zh) 一种卷膜分条机构
JP3062714U (ja) 集塵装置
KR102210187B1 (ko) 산업용 집진 장치의 흡입 배출 구조
CN214501376U (zh) 进烟机构及设有其的吸油烟机
CN107969986B (zh) 一种浴室皮屑清理装置
JPH0535045U (ja) 電気掃除機
JPH0588678U (ja) グレーチング板の持上装置及び清掃装置
JP3482145B2 (ja) 空気循環式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