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26B1 -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26B1
KR102520926B1 KR1020210068010A KR20210068010A KR102520926B1 KR 102520926 B1 KR102520926 B1 KR 102520926B1 KR 1020210068010 A KR1020210068010 A KR 1020210068010A KR 20210068010 A KR20210068010 A KR 20210068010A KR 102520926 B1 KR102520926 B1 KR 10252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ompany
dental
scor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186A (ko
Inventor
엄상호
유진용
Original Assignee
(주)헤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리바이오 filed Critical (주)헤리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6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은 치과 병원의 제2 단말에서 상기 치과 병원에서 거래한 치과 기공업체와의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 업데이트된 초기 스코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스코어에 상기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최종 스코어를 산출하는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고,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하는 등급 평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Method of assessing dental article companies performed by dental article company assessme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대한 것이다.
세계적인 인구 노령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치과기공물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의학 분야에서 급속하게 디지털화되고 있는 분야인 디지털 덴티스트리 분야는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해외 아웃소싱 시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치기공 산업은 우수하고 풍부한 인력에 대비할 때, 과도한 경쟁에 따른 시장의 한계와 수출을 위한 전략의 부재로 인한 산업 활성화에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내 치기공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획기적인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치기공 산업은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이 높은 분야로 고가의 디지털 장비 구입에 따른 재정적인 면에서 운영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과 병원에의 종속적 관계로 인하여 미수금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거래처 확보를 위한 과다 경쟁 및 이에 따른 적정 가격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서, 이러한 치기공 산업 생태계 구축에 따라 여러 치과 기공물 업체들에 의해 치과 기공물이 제공되는 경우, 업체 평가 및 제품 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방법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가령 업체 평가 및 제품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이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서비스 제공/제품 제작 능력이 일정 수준 이하인 업체들에 대한 개선 방안 등에 대한 평가 시스템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8580호(2019. 07. 29.자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 기공물 제작 중개 플랫폼 상에서 수요자(치과병원)와 공급자(기공업체)의 공정하고 합리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공업체 품질평가 체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서, 상기 평가 방법은,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에서 전송된 업체 정보와 기공물 샘플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랫폼 업체의 제1 서버가 업체 평가 및 기공물 샘플 평가를 통해 초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 상기 제1 서버에서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거래 시 거래 평가 및 납품되어 사용된 기공물의 성능 평가를 통해 상기 초기 스코어를 업데이트하는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 치과 병원의 제2 단말에서 상기 치과 병원에서 거래한 치과 기공업체와의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 상기 업데이트된 초기 스코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스코어에 상기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최종 스코어를 산출하는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고,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하는 등급 평가 과정을 포함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급 평가 과정은,상기 제1 서버는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각각의 최종 스코어를 이용하여 업체별 평가 점수를 자동으로 누적하고, 상기 업체별 평가 점수를 보정 인자를 고려하여 보정하여 종합 평가를 수행하는 종합평가 과정; 상기 종합 평가에 따른 상기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여, 각 업체별 주거래 품목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및 각 업체별 누적된 거래에 따른 평가 레벨을 조정하는 업체 분류/평가 레벨 조정 과정; 및 상기 업체별 분류 및 상기 평가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하는 페널티/리워드 부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 및 상기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및 거래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업체 평가는, 각 업체별 신뢰성, 유형성, 응답성, 공감성에 기반하여 업체별 스코어가 산출 및 업데이트되어 수행되고, 상기 신뢰성은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한 각 업체의 재무 건전성 및 업체의 규모에 대한 평가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평가한 임무 수행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상기 유형성은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한 각 업체의 구성원 역량 및 시설, 장비, 작업 방식 및 재료 관리 상태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상기 응답성 및 상기 공감성은 제품에 대한 지식, 기공물 결함 발생률 및 치과기공물의 재제작 요구 이행 만족도에 대한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단말에서의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에서, 상기 성능 평가,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스코어는,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의 치수와 연관된 마진 적합성, 쉐이드 재현성, 컨택 강도, 교합관계, 유지력을 포함하는 제품의 기술력에 대한 기술력 평가 스코어; 상기 제2 단말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에 대한 만족도 및 재거래 희망 평가 스코어에 따른 정성적 품질 평가 및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하는 제품 재제작율 및 품질 이슈 발생 비율에 따른 정량적 품질 평가를 포함하는 품질 평가 스코어; 및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에 대한 가격 경쟁력, 제작 기간 및 납기 준수율에 따른 품질/서비스 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가격 적정성 평가 스코어를 종합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초기 평가에 따른 상기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에서, 각 업체 별 규모(Volume) 및 경쟁력(Competency)에 대해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하고, 치과 기공물의 각 제품(Product)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하고,상기 규모 및 경쟁력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와 상기 기술력에 기반하여, 상기 초기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최종 스코어 산출과정은,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 및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및 거래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되, 각 업체 별 응답성(Responsiveness)에 대해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하고, 치과 기공물의 각 제품(Product)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각 업체 별 응답성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와 상기 기술력, 품질 및 가격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에 기반하여,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고,상기 초기 평가에 따른 초기 스코어와 이후 거래 평가에 따른 평가 스코어를 종합하여 상기 최종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등급 평가 과정에서, 각 업체(Company) 별 업체 평가 스코어와 각 업체의 제품(Product) 별 제품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업체 평가 스코어 및 제품 평가 스코어를 (x,y) 값으로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상에 매핑하여, 업체 등급을 신뢰, 우수, 부진 및 역량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업체 평가 스코어와 상기 제품 평가 스코어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규 분포 상에서 업체 레벨을 A, B, C, D 중 하나로 결정하며, 상기 분류된 업체 등급 및 상기 결정된 업체 레벨에 따른 모든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및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신규 치과 기공업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 및 치과 병원의 제2 단말로 제공하는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스코어 및 제품 평가 스코어 및 업체 레벨이 상기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상에 표시되고, 다른 업체의 평가 스코어는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비용 결제가 수행되면, 임계 스코어 이상의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결과 리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쟁력 향상 방안 리포트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에서,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치과 기공물을 선택하면, 선택된 치과 기공물을 보유한 치과 기공 업체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치과 기공 업체들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치과 기공 업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업체 평가 및 기공물의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결과 리포트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의하면, 치과병원의 기공업체 선정 가이드라인 제공이 가능하고, 기공업체 필터링을 통해 중개플랫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기공업체를 중개플랫폼으로 유인, 경쟁 유도가 가능하고, 치과병원의 정량적 기준에 의한 최적 기공물 수급이 가능하며, 치과기공물 제작 중개 플랫폼으로서의 효과적 업체 관리수단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과 관련된 치과 기공물 중계 플랫폼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업체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치과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및 기공물의 초기 등록 평가, 상시 거래 평가 및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물 중계/평가 시스템의 초기 등록 평가, 상시 거래 평가 및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과 연관된 평가 프레임워크의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업체 평가 및 제품 평가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순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초기 등록 평가 과정 및 상시 거래 평가 과정의 최종 스코어 산출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초기 등록평가와 상시 거래평가와 이를 통해 업체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공업체 관리 프레임워크의 예시도.
도 10a 및 도 10b은 기공업체 세그멘테이션 및 레벨링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분류에 따른 각 업체의 분류 체계의 일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중 모니터링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과 관련된 치과 기공물 중계 플랫폼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개 플랫폼 운영자, 즉 중계 플랫폼인 제1 서버는 거래 권한의 부여, 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 거래 개선 및 활성화 유도를 위해 검증된 구조적 평가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기공업체는 사용자 단말인 제1 단말을 통해 치과 기공물 중계 플랫폼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각 치과병원은 사용자 단말인 제2 단말을 통해 치과 기공물 중계 플랫폼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공업체의 제1 단말과 각 치과병원의 제2 단말은 치과 기공물 중계 플랫폼의 서버를 통해서 치과 기공물의 판매 및 업체/품질 평가가 가능하다.
치과 기공물의 판매 및 업체/품질 평가와 관련하여, 평가 대상, 평가 주체, 평가 결과 및 평가결과의 활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대상 : 기공업체와 기공물의 품질
-평가 주체 : 기공업체와 업체가 제작한 기공물에 대하여 수요자인 치과병원과 운영자가 평가
-평가 결과 : 거래별 평가가 이루어지며, 업체 레벨의 결정, 신뢰도 및 업체 역량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
-평가결과의 활용 : 결과는 수요자와 공급자에 실시간으로 제시되어, 수요자의 구매 판단과 공급자의 개선활동에 활용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업체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치과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제1 단말(100)은 치과 기공물을 판매하려는 치과 기공업체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단말(200)은 치과 기공물을 구매하려는 치과 병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치과기공물 중계/평가 시스템은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공물 중계/평가 시스템은 제1 서버(300)와 제2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은 각각 판매자 단말(100) 및 사용자 단말(200)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은 각각 사용자 단말(100) 및 판매자 단말(200)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서버(300)와 제2 서버(400)는 각각 운영 서버(300) 및 결제 서버(400)일 수 있는데, 이 역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서버(300)와 제2 서버(400)는 각각 결제 서버(300) 및 운영 서버(400)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은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 설치된 단말기(전자 기기), 예컨대 이동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은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 서버(300) 및 제2 서버(400)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버(300)와 제2 서버(400)는 각각 운영 서버(300) 및 결제 서버(400)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는 물론, 제1 서버(300) 및 제2 서버(300, 400)와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AP(Access point)를 통해 제1 서버(300) 및 제2 서버(400)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130)는 기지국을 통해 제1 서버(300) 및 제2 서버(400)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140)는 제어부(1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메모리(1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을 수행 시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바탕 화면상에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1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해당하는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 실행 모듈이 제어부(120)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보면, 제2 단말(2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100)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제어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버(300) 및 제2 서버(4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100)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제어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및 기공물의 초기 등록 평가, 상시 거래 평가 및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 등록 평가 단계에서 기공업체 플랫폼 파트너 등록 (초기/갱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초기 등록 평가 단계에서 업체 평가(Company Assessment) 및 기공물 샘플 평가(Product Sample Assessment)가 이루어진다.
업체 평가에서, 평가방법은 온라인 등록정보 및 서류 심사(국내외 서류 구분)이고, 평가기준은 등록된 정보와 서류에 대한 업체 평가 SPI(Service Performance Indicators; 평가지표) 기준이고 ,평가주체는 중개 플랫폼(= 서버)일 수 있다. 기공물 샘플 평가에서, 평가방법은 지정된 기준 또는 자유 기준 샘플 우편 또는 동영상 접수일 수 있다. 평가기준은 제품 품질 기준 SPI별 평가이고, 기공물 샘플을 제출하는 기공업체는 평가점수에 베네핏(Benefit)이 부여될 수 있고, 평가주체는 중개 플랫폼(= 서버)일 수 있다. 초기 등록 평가 단계를 통해 파트너 자격/기본 레벨(Level) 부여가 가능하다.
상기 SPI(Service Performance Indicators; 평가지표)의 선정은 문헌조사를 통한 SPI 풀(Pool)을 기반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SPI의 선정은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통해 적정성 평가(SMART)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SPI와 지표별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다. SPI의 적절성 평가기준은 S(Specific):명확성/선호도, A(Achievable):달성 가능성, T(Timely):적시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PI의 적절성 평가기준은 M(Measurable):측정 가능성,A(Achievable):달성 가능성, R(Relevance):관련성/평가의도 충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시 거래 평가 단계에서 기공업체/기공물 품질 평가(거래 건별 누적)가 가능하다. 상시 거래 평가에서, 서비스 수준 평가(Service Level Evaluation) 및 제품 품질 평가(Product Level Evaluation)가 이루어진다.
상기 서비스 수준 평가(Service Level Evaluation)에서, 평가방법은 거래 건별 고객 평가이고, 그 평가기준은 업체의 서비스 평가 SPI 기준(자동 레벨 부여/조정 및 실적 누적)이고, 그 평가주체는 치과병원(제2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품 품질 평가(Product Level Evaluation)에서, 평가방법은 거래 건별 고객 평가이고, 그 평가기준은 기공물 품질 평가 SPI 기준(자동 레벨 부여/조정 및 실적 누적)이고, 그 평가주체는 치과병원(제2 단말)일 수 있다. 상시 거래 평가 단계를 통해 성과 누적에 따른 레벨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 단계에서, 거래 종합 평가(성과 누적/자동/정기) 및 플랫폼 운영자 필터링이 가능하다.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 단계에서 업체 분류/레벨 부여, 관리방안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업체 분류/레벨 부여, 관리방안 적용에서, 평가방법은 자동 누적 평가 및 플랫폼 측의 종합 평가/필터링이고, 업체 분류 및 레벨 조정과 성과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 단계를 통해, 업체 등급 및 페널티/리워드(Penalty/Reward) 부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물 중계/평가 시스템의 평가 프레임워크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물 중계/평가 시스템의 초기 등록 평가, 상시 거래 평가 및 종합 평가/업체 레벨 산정과 연관된 평가 프레임워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과 연동하여 플랫폼의 서버(300)가 초기 등록 평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단말(100)은 신규 기공업체 등록 시 기본 정보 등록 및 증빙 문서 첨부를 통해 업체 정보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단말(100)은 가이드 정보에 따른 기공물 샘플 등록 및 전송을 통해 기공물 샘플 제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운영서버인 제1 서버(300)는 업체 평가(Company Assessment)와 기공물 샘플 평가(Product Sample Assessment)를 통해 초기 등록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거래 착수 시 스코어(Score) 비교를 통해 치과병원의 업체 선정에 초기 스코어(Initial Score)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 치과 기공물 판매 실적이 없는 신규 업체에 대해서도 업체 정보 및 기공물 샘플에 따른 평가 스코어의 산출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서버(300)는 상시거래평가에 자동 누적/반영하여, 치과 기공업체의 거래 시 거래 평가(Transaction Evaluation) 및 납품되어 사용된 기공물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를 통해 초기 스코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랫폼의 서버인 제1 서버(300)와 치과 병원의 제2 단말(200)은 거래 평가(Transaction Evaluation)와 성능 평가(Performance Evalu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응용에 따라 도 4a와 같이 제1 서버(300)가 단독으로 거래 평가와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b와 같이 제1 서버(300)가 제2 단말(200)과 연동하여 거래 평가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거래 평가 및 성능 평가와 관련하여 도 4a와 같이 1차 평가를 수행하고, 다시 거래 평가 및 성능 평가를 도 4b와 같이 2차 평가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서버(300)는 신규 업체의 초기 스코어 및 기존 업체의 업체 레벨에 관한 정보를 제2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200)은 서비스 수준 평가(Service Level Evaluation) 및 제품 품질 평가(Product Level Evaluation)를 통해 상시 거래 평가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서버(300)는 상시거래평가에 따른 평가 스코어를 자동 누적/반영하여, 최종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서버(300)는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기공업체 분류, 기공업체 레벨 평가를 수행하고, 기공업체 관리 방안을 제공하고 5개 업체 등급 관리를 수행하고, 분류와 등급에 따른 페널티/리워드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서버(300)에서 제공/수행하는 동작들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업체 분류 및 레벨 평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기공업체 분류 - 우수 / 신뢰 / 역량 / 부진
2)기공업체 레벨 - A / B / C / D
3)기공업체 관리 방안
4) 5개 업체 등급 관리
5) 분류와 등급에 따른 페널티/리워드 부여
여기서, 플랫폼 서버인 제1 서버(300)는 업체/제품 평가를 통해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로 페널티/리워드와 같은 성과 보상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서버(300)는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종합 평가 및 업체/제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업체/제품은 기공물 중계 시스템에서 우선적으로 검색되거나 또는 제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티/리워드 부여 방식은 종합 평가 및 필터링 과정에서, 업체별 평가점수 자동 누적과 플랫폼 운영자(또는 서버)에 의해 검토 및 보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종합 평가 및 필터링 과정이 수행된 이후, 업체 분류(Company Classification) 및 업체 레벨(Company Level)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업체 분류 과정에서, 평가를 종합하여 업체 분류/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업체 레벨 평가 과정에서, 평가를 종합하여 업체 레벨 구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성과 보상체계를 적용하여 페널티/리워드 부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대로, 페널티/리워드 부여와 이의 누적에 따라 필터링된 업체/제품은 기공물 중계 시스템에서 우선적으로 검색되거나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물 중계 시스템에서 업체 평가 및 제품 평가 원칙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업체 평가 및 제품 평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업체&서비스(Company & Service) 측면의 평가는 기공업체 신뢰성과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VCR(Volume/ Competency/ Responsiveness)의 3가지 영역을 평가한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인 제1 서버(300)는 1) 신뢰성 - 믿을 수 있으며 정확한 임무 수행, 2) 유형성 - 물적 생산의 능력, 3)응답성 - 시의적절한 지원 가능 여부 및 4) 공감성 - 접근성, 친절, 고객 이해도, 의사소통을 고려하여, 업체&서비스 측면의 평가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신뢰성 평가와 관련하여, 업체의 규모(Volume) 정보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업체의 재무 건전성 및 매출액과, 업체의 실적, 경험, 규모 및 인원수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성 평가와 관련하여 역량(Competency) 정보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성원 역량 정보인 전문 기공사 인원수, 경력 년수, 자격증 보유, 교육 및 연수, 업체 역량 정보인 시설 및 장비, 자격 보유 여부, 작업 방식(One Person or Part System), 재료 관리 상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답성 및 공감성 평가와 관련하여, 응답성(Responsiveness) 정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지식, 고객과의 유대관계, 고객요구에 대한 이해, 친절성, 기공물 재제작 요구 이행도, 고객의 불만대처 능력, 기공물 결함 발생률, 제품의 정확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기공물 및 기공물 샘플에 대한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TQC(Technology/ Quality/ Cost)의 3가지 영역을 평가한다.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인 제1 서버(300)는 1) 기술력(Technology) - 제품에 대한 신뢰를 뒷받침하는 기술, 2) 제품의 품질(Quality) - 고객의 만족 정도와 재작업 최소화 정도, 3)적정 가격(Cost) - 품질 대비 가격의 적정성을 고려하여, 제품&샘플 측면의 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기술력(Technology) 평가와 관련하여, 치과 기공물의 마진(Margin) 적합성/ 쉐이드(Shade) 재현성/ 컨택(Contact)의 강도/ 교합관계/ 유지력/ 기능성/ 심미성/ 형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품질(Quality) 평가와 관련하여, 정성적 만족도인 고객의 만족도/ 재거래 의사와, 정량적 만족도인 제품 재제작율/ 품질 이슈 발생 비율 미 건수/ 소재 우수성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격(Cost) 평가와 관련하여, 가격 경쟁력/ 제작 기간/ 납기 준수율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은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S200),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S300),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 및 등급 평가 과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에서,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에서 전송된 업체 정보와 기공물 샘플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랫폼 업체의 서버가 업체 평가 및 기공물 샘플 평가를 통해 초기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S200)에서, 제1 서버에서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거래 시 거래 평가 및 납품되어 사용된 기공물의 성능 평가를 통해 상기 초기 스코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S300)에서, 치과 병원의 제2 단말에서 상기 치과 병원에서 거래한 치과 기공업체와의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에서, 업데이트된 초기 스코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스코어에 상기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최종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등급 평가 과정(S500)에서,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고,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전술한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 내지 등급 평가 과정(S500)을 포함하는 과정들은 본 발명의 제1 서버(300) 및 제2 단말(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 과정에서 평가 및 제어 동작은 제1 서버(300)의 프로세서 및 제2 단말(2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300)는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에서 전송된 업체 정보와 기공물 샘플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랫폼 업체의 서버인 제1 서버(300)가 업체 평가 및 기공물 샘플 평가를 통해 초기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버(300)는 상기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거래 시 거래 평가 및 납품되어 사용된 기공물의 성능 평가를 통해 상기 초기 스코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200)은 치과 병원에서 거래한 치과 기공업체와의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1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버(300)는 업데이트된 초기 스코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스코어에 상기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를 반영하여,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최종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300)는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고,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급 평가 과정(S500)은 종합평가 과정(S510), 업체 분류/평가 레벨 조정 과정(S520) 및 페널티/리워드 부여 과정(S5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합평가 과정(S510)에서는, 제1 서버는 상기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각각의 최종 스코어를 이용하여 업체별 평가 점수를 자동으로 누적하고, 상기 업체별 평가 점수를 보정 인자를 고려하여 보정하여 종합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업체 분류/평가 레벨 조정 과정(S520)에서는, 종합 평가에 따른 상기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여, 각 업체별 주거래 품목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및 각 업체별 누적된 거래에 따른 평가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페널티/리워드 부여 과정(S530)에서는, 업체별 분류 및 상기 평가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및 리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 및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S200)에서,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상기 업체 평가 및 상기 거래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업체 평가는, 각 업체별 신뢰성, 유형성, 응답성, 공감성에 기반하여 업체별 스코어가 산출 및 업데이트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신뢰성은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한 각 업체의 재무 건전성 및 업체의 규모에 대한 평가와 상기 제2 단말에서 평가한 임무 수행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유형성은 상기 제1 서버에서 평가한 각 업체의 구성원 역량 및 시설, 장비, 작업 방식 및 재료 관리 상태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응답성 및 공감성은 제품에 대한 지식, 기공물 결함 발생률 및 치과기공물의 재제작 요구 이행 만족도에 대한 상기 제1 서버 및 제2 단말에서의 평가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S200) 및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S300)에서, 성능 평가, 서비스 수준 평가 및 제품 품질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스코어는, 기술력 평가 스코어, 품질 평가 스코어 및 적정성 평가 스코어를 종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 기술력 평가 스코어는 서버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의 치수와 연관된 마진 적합성, 쉐이드 재현성, 컨택 강도, 교합관계, 유지력을 포함하는 제품의 기술력에 대한 평가 스코어일 수 있다. (ii) 품질 평가 스코어는 제2 단말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에 대한 만족도 및 재거래 희망 평가 스코어에 따른 정성적 품질 평가와, 상기 서버에서 평가하는 제품 재제작율 및 품질 이슈 발생 비율에 따른 정량적 품질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스코어일 수 있다. (iii) 가격 적정성 평가 스코어는, 제1 서버 및 제2 단말에서 평가하는 기공물에 대한 가격 경쟁력, 제작 기간 및 납기 준수율에 따른 품질/서비스 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 스코어일 수 있다.
한편, 신규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초기 평가에 따른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에서, 각 업체별 규모(Volume) 및 경쟁력(Competency)에 대해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에서, 치과 기공물의 각 제품(Product)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은, 업체별 규모 및 경쟁력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와 기술력에 기반하여, 초기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신규 치과 기공업체 및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및 거래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에서, 각 업체별 응답성(Responsiveness)에 대해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에서, 치과 기공물의 각 제품(Product)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은, 각 업체 별 응답성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와 상기 기술력, 품질 및 가격에 대한 평가 스코어 및 가중치에 기반하여, 평가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더불어서,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에서, 초기 평가에 따른 초기 스코어와 이후 거래 평가에 따른 평가 스코어를 종합하여 최종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신규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초기 평가에 따른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S100)과 신규 치과 기공업체 및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및 거래 평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S400)은 각각 도 7a 및 도 7b의 초기 등록 평가 과정 및 상시 거래 평가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의 초기 등록 평가 과정 및 상시 거래 평가 과정의 최종 스코어 산출 방법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초기 등록 평가 과정 및 상시 거래 평가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되어 확정되는 스코어는 모두 최종 스코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a를 참조하면, 초기 등록 평가(Initial Assessment)는 업체 등록 시 1회 실시하며, Company SPI(V: Volume, C: Competence)와 Product SPI(T: Technology) 영역을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300)가 평가한다.
상기 Company SPI(V, C)와 Product SPI(T) 영역 지표에 대한 스코어링 방법은 두 영역의 (가중) 평균에 의해 100점 만점이 부여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A): 100점 / 해당 SPI 수,(B): 지표별 가중치(전체 합은 1), (C): 배점((A) X (B))을 기준으로 한 스코어, (D): Company SPI(VC)와 Product SPI(T) 영역 스코어 합산을 위해 비중을 차별화하여 평균(샘플 미제출 시 Company X 1로 평가)이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최종 스코어(Final Score)와 관련하여, 업체 평가(Company Assessment)에는 가중치 0.6이 부여되고 제품 샘플 평가(Product Sample Assessment)에는 가중치 0.4가 부여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시 거래 평가(Transaction Evaluation)는 거래건 별로 실시하며, Company SPI(R)와 Product SPI(TQC) 영역을 치과병원의 제2 단말(200)이 평가한다.
Company SPI(R)와 Product SPI(TQC) 영역 지표에 대한 스코어링 방법은 두 영역의 평균에 의해 100점 만점이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점수와 신규 점수의 지속적 평균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 있어서 등급 평가 과정과 관련하여, 종합 평가(Performance Evaluation)/업체 레벨 산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8a 및 도 8b는 초기 등록평가와 상시 거래평가와 이를 통해 업체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초기 등록 평가’와 ‘상시 거래 평가’는 년중 거래 후 자동으로 누적 점수가 산정되며, 이를 기반으로 업체 분류와 레벨의 부여, 관리방법의 차별화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연간 거래 누적 평균은 초기등록평가 + 상시거래평가 [1건 Score + 2건 Score + … + N건 Score]을 (1+N)으로 나누어 산출될 수 있다. 이후, 기공업체 분류 및 기공업체 레벨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공업체 분류와 관련하여,‘업체(Company)’와 ‘제품(Product)’기준 절대평가(Quadrant Chart)와 파트너 관리를 위한 특성 분류가 수행될 수 있다. 기공업체 레벨 산출과 관련하여, 스코어 고저(높음 또는 낮음) 기준 A등급 ~ D등급(상대평가)와 페널티/리워드 대상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기공업체 관리방안을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기공업체 관리방안에서, 치과병원과 공유되는 기공업체 등급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류와 등급에 따른 페널티/리워드 부여를 통해 서비스 강화 및 거래 활성화 유도가 가능하다.
도 8a의 초기 등록평가와 상시 거래평가 과정은 각각 도 7a 및 도 7b의 제1 서버(300)에 의해 수행되는 초기 등록평가와 제2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상시 거래평가에 대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b의 업체 레벨 생성 과정은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은 기공업체 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공업체 관리 프레임워크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기공업체 등의 협력사 관리 체계는 업체 품질 평가, 분류 및 등급(수요자 선택기준) 부여, 모니터링 및 사후 관리를 포함하는 평가/ 선택/ 모니터링(Assessment/ Selection/ Monitoring)의 3체계(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가 체계(단계)에서, 초기 등급 평가 및 상시 등급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등급 평가에서 파트너 자격 부여를 위한 초기 평가, 규모/경쟁력/대응 수준, 샘플 품질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시 등급 평가에서 거래 별 파트너 품질 평가, 업체 대응/제품 기술/ 품질/ 가격 수준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택 체계(단계)에서, 세그먼테이션&레벨링(Segmentation & Leveling), 페널티/리워드(Penalty/Reward) 및 책임&보장(Liability & Indemnity)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세그먼테이션&레벨링 단계에서, 분류 기준과 등급에 따른 관리전략과 성과 보상 결과 반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페널티/리워드 단계에서, 파트너분류와 등급에 따른 다양한 보상체계 구축 및 부진 파트너 퇴출 룰(Rule)이 적용될 수 있다. 도한, 책임&보장 단계에서, 플랫폼 상에서의 파트너 기공업체의 기본 규율이 적용되고 손해배상 책임 규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체계 (단계)에서, 리뷰(Review), 컨트롤(Control)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리뷰(Review) 단계에서, 치과병원과 기공업체 간 거래상황 상시 검토와 평가체계/분류 및 등급 체계/평가보상체계 등 각종 룰의 갱신/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Control) 단계에서, 이슈, 분쟁 발생 시 개입, 평가 결과 / 분류 및 등급의 자동 산정에 개입/조정 및 업체 의무사항 위반 검토/ 이행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중 선택(Selection)은 도 10a 및 도 10b와 같은 기공업체 세그먼테이션&레벨링(Segmentation & Levelin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중 선택(Selection)과 관련하여 업체 분류/업체 레벨 분류 및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Segmentation Matrix)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시 거래평가(Transaction Evaluation) 이후, 두 가지 관점, 즉 업체(Company) 및 제품(Product)의 평가결과를 치과병원과 기공업체에 상시 개방(Open)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공업체의 품질 평가에 의한 스코어를 활용하여 중개 플랫폼 상의 기공업체를 분류하고 레벨을 정의하며, 두 가지 관점에 따른 관리 세그먼테이션 매트릭스(Segmentation Matrix)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10a를 참조하면, 등급 평가 과정(S500)에서 각 업체(Company)별 업체 평가 스코어와 각 업체의 제품(Product)별 제품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업체 평가 스코어 및 제품 평가 스코어를 (x,y) 값으로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상에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체 등급을 신뢰, 우수, 부진 및 역량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등급 평가 과정(S500)은 제1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급 평가 과정(S500)은 업체 평가 스코어와 제품 평가 스코어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규 분포 상에서 업체 레벨을 A, B, C, D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등급 평가 과정(S500)에서 분류된 업체 등급 및 상기 결정된 업체 레벨에 따른 모든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업체 분류/업체 레벨 분류 및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 도 6의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S60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S600)은, 제1 서버(300)가 도 10a의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및 도 10b의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신규 치과 기공업체 및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 및 치과 병원의 제2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S600)에서, 제1 단말(100)에 대응하는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스코어, 제품 평가 스코어 및 업체 레벨이 도 10a의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다른 업체의 평가 스코어는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100)에 의해 비용 결제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제2 서버(400)에 의해 수행되면, 제1 서버(300)에 의해 임계 스코어 이상의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결과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스코어 이상의 치과 기공업체는 해당 기공업체의 규모와 제1 임계치 범위 내의 규모를 갖고, 해당 기공업체의 평가 스코어보다 제2 임계치 이상의 평가 스코어를 갖는 치과 기공업체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용 결제가 수행된 후에,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S600)으로 인해, 제1 단말(100)에 대응하는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쟁력 향상 방안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S600)에서, 치과 병원의 제2 단말(200)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치과 기공물을 선택하면, 선택된 치과 기공물을 보유한 치과 기공 업체들을 검색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이후, 검색된 치과 기공 업체들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가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어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지점과 소정 거리 내에 있는 특정 치과 기공 업체를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원격지 또는 해외에 위치하는 특정 치과 기공 업체가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선택된 특정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업체 평가 및 기공물의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결과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 병원의 제2 단말(200)에서 원하는 형상의 치과 기공물을 보유하고 있는 치과 기공업체 중 해당 업체의 업체 경쟁력 및 제품 품질 평가 스코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제품 선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분류에 따른 각 업체의 분류 체계의 일 예시이며,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정보는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 및 치과 병원의 제2 단말(200)로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공업체서는 업체 평가/제품 평가 개선을 위해 활용되고 치과 병원에서는 치과 기공물 선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의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통해, 기공업체의 분류체계와 점수등급을 참고하여 업체 품질 등급을 부여하며, 해당 카테고리 진입 시 적절한 성과 보상, 즉 페널티/리워드를 부여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우수(Excellent)이면서 A등급인 경우, 우수 기공소로서 전략적 파트너/최대 리워드 제공이 가능하다. 이 경우, 우수 랩 마크(Excellent Lab Mark)가 부여될 수 있고, 수수료 인하/정산조건 상향/타 상품 이용권 등 3개 이상 리워드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b를 참조하면,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중 ‘’는 역량 있는 기공소를 의미한다. 이 경우, 1) 공동이익 증대 위한 협력 강화, 2) 안정적 매출확대를 위한 홍보 제공(플랫폼 홍보 노출) 및 3) 개별 상담을 통한 플랫폼 상의 개선요청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는 신뢰할 만한 기공소를 의미한다. 이 경우, 1) 공동이익 증대 위한 협력 강화, 2) 개별 상담을 통한 컨설팅 제공 및 3) 개별 상담을 통한 플랫폼 상의 개선요청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은 일반 기공소를 의미한다. 이 경우, 1) 삼진 아웃제에 의한 퇴출, 2) 개선 노력과 의지에 따라 등급 상향 기회 부여 및 3) 개선 합의서 작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 는 부진 기공소를 의미한다. 이 경우, 1) 1회 경고 후 재발 시 퇴출, 2) 퇴출을 대비한 사전조치 및 대체업체 필요여부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은 도 8의 모니터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중 모니터링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도 6,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치과병원의 제2 단말(200)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100)을 통해, 원활한 협업과 거래 역량 강화를 위해 모니터링(Monitoring) 단계에서는 표준 및 가이드를 준수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2가지 관점에서 점검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계 중 리뷰(Review) 단계에서 리뷰 대상은 거래 상황(Dashboard), 평가체계(초기/상시), 분류 및 등급체계와 페널티/리워드(Penalty/Reward)일 수 있다. 한편, 리뷰 내용은 거래 표준 절차 준수 관리, 평가방법론(방법,시기,주기 등)/ 지표(정의,산식,측정방법 등)/ 스코어링/ 가중치 및 분류/등급/페널티&리워드 등의 각종 룰(Rule)에 대한 조정, 요구사항 취합 반영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 중 컨트롤(Control) 단계에서 통제 대상은 이슈 및 분쟁, 자동 산출되는 평가결과 및 업체 의무 이행 여부일 수 있다. 한편, 통제 내용은 치과병원과 기공업체 간 거래 이슈 및 분쟁 발생 시 개입/조정, 평가결과를 검토하고, 조정 필요 시 타당성 검토 후 조정(내부 합의체계 필요) 및 업체 의무사항 위반 검토/ 이행 유도일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단계는 제2 단말(200)에서의 일부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제1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병원의 기공업체 선정 가이드라인 제공이 가능하고, 기공업체 필터링을 통해 중개플랫폼 신뢰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기공업체를 중개플랫폼으로 유인, 경쟁 유도가 가능하고, 치과병원의 정량적 기준에 의한 최적 기공물 수급이 가능하며, 치과기공물 제작 중개 플랫폼으로서의 효과적 업체 관리수단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및 파라미터 최적화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0: 제1 단말
110: 디스플레이
120: 제어부
130: 메모리
140: 통신부
200: 제2 단말
300: 제1 서버
400: 제2 서버

Claims (10)

  1.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에서, 상기 평가 방법은,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에서 전송된 업체 정보를 이용하여, 플랫폼 업체의 제1 서버의 운영자가 업체 평가를 통해 초기 스코어를 산출하여 제1 서버에 입력하는 초기 스코어 산출 과정;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자가 신규 치과 기공업체의 거래 시 업체 평가 및 납품되어 사용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제품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제품 평가 스코어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스코어를 업데이트하고 제1 서버에 입력하는 스코어 업데이트 과정;
    치과 병원의 제2 단말에서 치과 병원과 거래가 있는 기존 치과 기공업체와의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을 평가한 제품 평가 스코어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수준/제품 품질 평가 과정;
    상기 업데이트된 초기 스코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스코어에 상기 각 거래 시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을 평가한 제품 평가 스코어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서버가 자동적으로 모든 치과 기공업체의 최종 스코어를 산출하는 최종 스코어 산출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최종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자가 신규 치과 기공업체 및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등급을 평가하여 제1 서버에 입력하고, 각 거래 시의 서비스 수준 및 제품 품질에 대한 페널티 또는 리워드를 부여하는 등급 평가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업체 평가는,
    각 업체별 신뢰성 스코어, 유형성 스코어, 응답성/공감성 스코어에 기반하여 업체 평가 스코어를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업체별 초기 스코어가 산출되거나 또는 업체별 초기 스코어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품 평가 스코어는,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자 또는 제2 단말을 운용하는 치과병원에 의해 평가되는 기공물의 마진(Margin) 적합성, 쉐이드(Shade) 재현성, 컨택(Contact)의 강도, 교합관계, 유지력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제품의 기술력에 대한 기술력 평가 스코어;
    상기 제2 단말을 운용하는 치과병원에 의해 평가되는 기공물에 대한 만족도 및 재거래 희망 의사도에 따라 산출되는 정성적 품질 평가 및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자에 의해 평가되는 제품 재제작율 및 품질 이슈 발생 비율에 따라 산출되는 정량적 품질 평가를 포함하는 품질 평가 스코어; 및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자 또는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치과병원에 의해 평가되는 기공물에 대한 가격, 제작 기간 및 납기 준수율에 따라 산출되는 가격 적정성 평가 스코어;를 종합하여 산출하고,
    상기 등급 평가 과정에서,
    기산출된 각 업체별 업체 평가 스코어와, 각 업체의 제품별 제품 평가 스코어를 (x,y) 값으로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상에 매핑하여, 업체 등급을 나눠 신뢰, 우수, 부진 및 역량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업체 평가 스코어와 상기 제품 평가 스코어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규 분포 상에서 업체 레벨을 A, B, C, D 중 하나로 결정하며,
    상기 분류된 업체 등급 및 상기 결정된 업체 레벨에 따른 모든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페널티 또는 리워드는,
    제1 서버에 의해 해당 업체 또는 해당 업체의 제품이 우선적으로 검색되거나 제외되도록 필터링하는 기능을 부여하되,
    상기 리워드는, 리워드를 부여하는 해당 업체 또는 해당 업체의 제품 현출 시, 우수 랩 마크(Excellent Lab Mark)를 더 부가하여 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신뢰성 평가 스코어는, 각 업체의 매출액, 실적 및 총 인원수 정보를 적용하여 산출되고,
    유형성 평가 스코어는, 각 업체의 전문 기공사 인원수, 경력 년수, 자격증 보유 여부, 교육 및 연수, 시설 및 장비 정보를 적용하여 산출되며,
    응답성/공감성 평가 스코어는, 각 업체의 기공물 재제작 요구 이행도, 기공물 결함 발생률 정보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서버가 상기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및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를, 신규 치과 기공업체와 기존 치과 기공업체의 제1 단말 및 치과 병원의 제2 단말로 제공하는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치과 기공업체의 업체 평가 스코어 및 제품 평가 스코어 및 업체 레벨이 상기 업체-제품 평가 그래프, 업체 레벨과 연관된 정규 분포 상에 표시되고, 다른 업체의 평가 스코어는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리포트 제공 과정에서,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치과 기공물을 선택하면, 선택된 치과 기공물을 보유한 치과 기공 업체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치과 기공 업체들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그멘테이션 매트릭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치과 기공 업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치과 기공업체에 대한 업체 평가 및 기공물의 기술력(Technology), 품질(Quality) 및 가격(Cost)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결과 리포트가 제공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KR1020210068010A 2021-05-27 2021-05-27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KR10252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10A KR102520926B1 (ko) 2021-05-27 2021-05-27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10A KR102520926B1 (ko) 2021-05-27 2021-05-27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86A KR20220160186A (ko) 2022-12-06
KR102520926B1 true KR102520926B1 (ko) 2023-04-12

Family

ID=8440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10A KR102520926B1 (ko) 2021-05-27 2021-05-27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70B1 (ko) 2011-10-25 2012-03-29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 종합진단 방법
KR101918015B1 (ko) 2017-11-22 2019-01-29 이인찬 치과 의료 정보 및 제작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47445B1 (ko) * 2020-03-13 2020-08-24 주식회사 아스터유나이티드 치과 보철물 설계를 위한 디자이너와 치과 기공소의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232777B1 (ko) * 2020-09-23 2021-03-26 박성만 치과 인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29B1 (ko) * 2004-12-07 2007-05-04 (주) 프람트 공급사 선정을 위한 평가 자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15793B1 (ko) * 2011-05-12 2012-12-26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방산업체의 품질수준 평가 방법 및 전산시스템
KR20150100419A (ko) * 2014-02-25 2015-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용 맞춤형 지대주 제조방법
KR102632026B1 (ko) * 2017-02-02 2024-01-31 가부시키가이샤 디에스아이 지시서 발행 시스템, 지시서 발행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50458B1 (ko) * 2017-12-28 2019-11-29 신태운 치과 병원과 치기공물 제작자 간의 업무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2282144B1 (ko) * 2019-05-24 2021-07-28 주식회사 질링스 기업 가치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70B1 (ko) 2011-10-25 2012-03-29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 종합진단 방법
KR101918015B1 (ko) 2017-11-22 2019-01-29 이인찬 치과 의료 정보 및 제작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47445B1 (ko) * 2020-03-13 2020-08-24 주식회사 아스터유나이티드 치과 보철물 설계를 위한 디자이너와 치과 기공소의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232777B1 (ko) * 2020-09-23 2021-03-26 박성만 치과 인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86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nha Marques et al. Public‐private partnership contracts: a tale of two cities with different contractual arrangements
JP4018718B2 (ja) 企業価値評価装置並びに企業価値評価プログラム
EA011308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тимального установления цены и размещения средств
KR101932353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798336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170005985A (ko) 금융투자상품의 재무목표별 포트폴리오 투자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870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 estate loan administration
WO2001073631A1 (fr) Systeme destine au commerce electronique anonyme avec fonction et procede de credit
Aulia et al. Strategies to increase procurement maturity level using procurement maturity model to improve procurement performance
KR102520926B1 (ko) 치과 기공업체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 기공업체 평가 방법
US20130110566A1 (en) Evaluation tool and process
JP2003044681A (ja) 確定拠出型年金サービスシステム
Wessiani et al. Development of a Maturity Model based on the Input, Process, and Output Aspects of E-government
KR20200121517A (ko)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45707B2 (ja) ソリューション提案支援システムおよびソリューション提案支援方法
KR101932354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현장발명 판별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932352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도급 거래 매칭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Di Francesco et al. Bottom‐up costing within medium term expenditure frameworks: a survey of practices in selected OECD countries
Ribeiro et al. A real options approach to optimal bidding in construction projects considering volume uncertainty
Fan et al. Door-in-the-face heuristics: Intermediaries’ diversion in rental markets
KR101932355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포털 사이트 간 지표 연동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JP6473187B2 (ja) 会計処理装置及び会計処理方法
Chigangacha et al. Examining the maturity of South Africa’s Government departments to implement the Infrastructure Delivery Management System (IDMS)
Riki et al. Measuring Readiness of ERP Application Implementation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Method
Diptyana et al. Determining Factors for Enhancing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in Public Service Ag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