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94B1 -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 Google Patents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94B1
KR102520894B1 KR1020220112097A KR20220112097A KR102520894B1 KR 102520894 B1 KR102520894 B1 KR 102520894B1 KR 1020220112097 A KR1020220112097 A KR 1020220112097A KR 20220112097 A KR20220112097 A KR 20220112097A KR 102520894 B1 KR102520894 B1 KR 10252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am
cleaner
cleaning
clean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조원
Original Assignee
(주)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고 filed Critical (주)대고
Priority to KR102022011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부착 영역으로 스팀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에 관한 것으로, 스팀을 이용하는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탈부착층, 청소기 탈부착층에 연결되고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흡수층에 연결되고 청소기의 스팀이 통과되며 표면으로 배출되는 청소층을 포함하고, 청소기 탈부착층은 표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팀공급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CLEANING PAD FOR STEA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 부착 영역으로 스팀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노즐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즐은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노즐의 종류에 따라서, 노즐에 걸레가 부착되어 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즉, 흡입력을 이용한 진공 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 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청소기가 개시되고 있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에 의한 이물 흡입과, 물 청소기나 스팀 청소기에 의한 물 청소 또는 스팀 청소가 동시에 구현 가능한 진공 스팀 청소기 또한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바닥 청소용 걸레로 사용되는 청소패드는 청소기 노즐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기도 하지만,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부착되어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청소패드는 흡입 방식의 진공 청소기에 마련된 노즐 바닥면에 부착되어 먼지 흡입 기능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외에도 소위 청소 마대 등과 같이 단순히 청소패드가 부착되는 바닥용 청소 기구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바닥에 오물이 고착된 경우 청소기를 미는 힘 또는 회전판의 회전력만으로는 건조상태에서 청소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착된 오물을 용해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물이나 왁스 및 화학용제 등을 청소패드에 사용한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활용하는 방안이 발명되었다.
이렇게, 종래에는 청소기 노즐에 걸레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방식으로 물 청소기 또는 스팀 청소기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물 청소기 또는 스팀 청소기는 습윤식으로 사용되는 청소패드가 청소기 노즐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 청소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청소기 노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청소기 부착면이 벨크로로 마련되는데, 벨크로 재질의 특성상 물이나 스팀이 투과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청소기 부착면을 벨크로 영역과 물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게 구획 형성하여, 각 영역을 통해 탈부착 기능 및 물 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물 청소기용으로 사용되는 청소패드의 경우에는 물 투과 영역을 통해 흡수된 물이 흡수층에서 흡수된 상태에서 바닥 청소면으로 전달 되므로 사용에 큰 문제가 없으나, 스팀 청소기용으로 사용될 경우 청소패드는 벨크로 영역에서 스팀이 원활하게 투과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해 스팀 청소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06591호 (2013.11.1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물 또는 스팀을 투과시켜 지속적인 습윤 상태로 바닥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부착 부분에 스팀이 투과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스팀 청소에 용이한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스팀 온도가 하락하면서 발생되는 물에 의해 바닥면에 물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스팀을 이용하는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탈부착층, 청소기 탈부착층에 연결되고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흡수층에 연결되고 청소기의 스팀이 통과되며 표면으로 배출되는 청소층을 포함하고, 청소기 탈부착층은 표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팀공급공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팀공급공은 청소기 탈부착층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이격되며 5mm 내지 15mm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스팀공급공은 8mm 내지 10mm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청소기 탈부착층은, 흡수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하여 흡수층이 청소기와 접하여 배치되도록 둘레측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스팀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스팀공급부는 청소기 탈부착층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청소기 탈부착층이 흡수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게 함에 따라 하측에 배치되는 흡수층의 외주부 영역이 표면상에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청소기 탈부착층은 흡수층의 중심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되 스팀공급부에 의해 흡수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흡수층의 면적에 대해 55% 내지 75%의 크기로 형성되고 스팀공급부가 나머지의 크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청소기 탈부착층은 흡수층의 면적에 대해 약 60~65%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흡수층은, 청소기 탈부착층에 연결되어 청소기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되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액적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층 및 제1 전달층에 연결되어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을 흡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전달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전달층은 복수의 부직포 시트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흡수층은, 제2 전달층 및 청소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달층과 제2 전달층에 의해 통과된 청소기의 스팀을 청소층으로 전달하며, 통과된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 및 제2 전달층에 포함된 물을 각각 흡수하는 제3 전달층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제3 전달층은, 다공성 표면을 포함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청소층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전달층으로 형성되고, 제2 전달층에서 수분을 공급받아 청소층으로 전달하되 외력 발생 여부(청소가 중단된 상태)에 따라 청소층에 대해 연속적인 수분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청소층은 50% 내지 75%의 마이크로섬유와 25% 내지 50%의 일반화학섬유로 구성된다.
게다가, 청소층은 원단의 파일 길이가 1mm 내지 3mm의 길이로 형성되며, 원단 흡수성이 10 내지 15를 가지며, 원단의 마찰계수가 0.35 내지 0.5 μk 로 형성된다. 청소층의 원단은 파일 길이가 약 2mm 이상 3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흡수층 및 청소층의 외주부를 상호 고정 결합하여 지지하는 테두리 고정부, 및 테두리 고정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섬유가 교차배치되어 꼬임결합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테두리 고정부는 3mm 내지 7mm의 두께로 형성되며, 브러쉬부를 바닥면을 향해 하방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브러쉬부는 테두리 고정부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4mm 내지 6mm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물 또는 스팀을 투과시켜 지속적인 습윤 상태로 바닥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벨크로 탈부착 부분에도 스팀이 투과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여 스팀 청소에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는 스팀 온도가 하락하면서 발생되는 물에 의해 바닥면에 물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바닥면인 흡수층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바라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부착면인 청소기 탈부착층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청소패드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부착되기 전의 모습(a)과 부착된 후의 모습(b)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청소기의 바른 위치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청소기의 잘못된 위치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측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바닥면인 흡수층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부착면인 청소기 탈부착층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패드의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부착되기 전의 모습(a)과 부착된 후의 모습(b)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청소기의 바른 위치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가 청소기의 잘못된 위치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측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스팀을 이용하는 청소기(1)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청소기(1)에 포함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컨대,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후크 타입 벨크로(hook type velcro) 및 루프 타입 벨크로(roop type velcr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타입의 벨크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청소기(1)의 회전판(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도 4에서와 같이, 회전판(10)에 마련된 벨크로(V)에 부착될 수 있다.
흡수층(120)은 청소기 탈부착층(110)에 연결되어 청소기의 스팀을 청소층(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층(12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며,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을 내부에 흡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수층(1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청소층(130)은 흡수층(120)에 연결되어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켜 표면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청소층(130)은 흡수층(120)을 사이에 두고 청소기 탈부착층(110)과 반대되는 측에 마련되어 청소기의 물 또는 스팀을 제공받으며 바닥면에 의해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인 청소영역을 청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물 또는 스팀용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교체 또는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흡수층(120)을 통해 청소기의 스팀을 투과시키면서 스팀에 의한 물을 흡수하게 되므로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들은 청소기(1)의 회전판(10)이 회전하는 경우 비틀림 없이 청소기(1)의 회전판(10)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1)의 회전판(10)의 회전 시 습윤 상태의 청소패드가 회전 비틀림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불편함 내지 부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고, 청소력이 저하되며, 청소기(1)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형상으로 마련된 청소기 탈부착층(110),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은 회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시 안전성이 증대되고, 청소력이 향상되며, 청소기(1)의 내구력을 좋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이 벨크로로 형성되므로 벨크로 영역을 통해 물이 흡수되거나 스팀이 통과되지 않는다. 즉,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스팀 청소기(1)에 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나 물 또는 스팀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벨크로 소재에 대한 스팀 투과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복수의 스팀공급공(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공급공(111)은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표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구멍일 수 있다.
그리고, 스팀공급공(111)은 사이 간격(W)이 약 5mm 내지 15mm로 배치될 수 있다. 스팀공급공(111)은 벨크로 원단재로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표면에 전술한 크기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동일한 간격을 두고 사각 또는 마름모 격자 형태의 배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탈부착층(110)에 형성되는 스팀공급공(111)의 적정 간격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 1]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의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스팀 투과 실험은 직경 100mm 크기의 청소기 탈부착층 원단을 청소기 노즐의 회전판에 부착하고, 반대측 면에 다른 재질의 원단을 부착하여 비교 원단의 습윤 상태 및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스팀의 투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2) 각각의 간격으로 스팀공급공이 타공된 청소기 탈부착층 원단을 냉수로 10회 세탁하여 세탁 후 상태를 관찰하여 내구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각 항목에 대해 ○: 우수, △: 보통, X: 부적합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샘플 #1 #2 #3 #4 #5 #6 #7 #8 #9 #10 #11
간격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타공X
스팀투과성
내구성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6 내지 샘플 8이 스팀투과성 및 내구성 항목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달리, 샘플 1 내지 샘플 4의 경우, 스팀공급공(111)의 간격이 7mm 이하의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구멍이 다소 조밀하게 배치되어 스팀투과성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밀하게 형성된 구멍 배치로 인해 세탁 시 내구성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샘플 8 내지 샘플 11의 경우 내구성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팀이 투과되는 성능이 부적합하여 사용에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실험 결과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스팀공급공(111)의 사이 간격(W)은 8mm 내지 10mm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공(111)은 9mm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공급공(111)은 청소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이 원활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하여, 흡수층(120)과 청소층(130)으로 청소에 사용되는 스팀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적정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내구성 확보에도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벨크로가 마련되어 탈부착 방식의 청소패드(100)로 사용되더라도 스팀공급공(111)을 통해 스팀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여 스팀 청소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청소기 탈부착층(110)에 직접적으로 청소기의 스팀노즐이 배치되더라도 스팀공급공(111)을 통해 스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패드(100)의 둘레측에 인접되게 개방 상태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스팀공급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113)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외주부와 인접한 위치에 개방 상태로 마련되어 흡수층(12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하므로 흡수층(120)이 청소기와 접하여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즉, 스팀공급부(113)는 흡수층(120)의 일부 영역이 청소기와 접촉될 수 있게 소통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청소기(1)의 스팀 노즐(WN)에 의한 흡수층(120)으로의 스팀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흡수층(120)의 중심부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스팀공급부(113)가 외주부에 형성되므로 흡수층(12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층(120)의 면적에 대해 55% 내지 75%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층(120)의 표면이 노출되는 나머지 영역에는 스팀공급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청소패드(100)의 크기 즉 흡수층(120)의 표면적 크기에 대하여 60% 내지 65%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63%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공급부(113)는 흡수층(120)의 면적에 대해 37%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탈부착층(110)은 벨크로 부착을 위해 청소기(1)의 회전판(10)의 벨크로 부착영역 내에서 최대 크기가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전술한 스팀공급공(111)에 의한 청소기 탈부착층(110)으로의 스팀 투과 기능과 함께, 스팀공급부(113)에 의해 흡수층(120)의 표면을 청소기(1)의 회전판(10) 또는 회전판(10)의 외측 부분에 마련되는 물 또는 스팀 공급 노즐과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함에 따라 스팀 공급을 직접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벨크로로 마련되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에 개방형의 스팀공급부(113)가 형성됨에 따라 흡수층(120)으로 청소기 노즐에 의한 스팀 공급이 직접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스팀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며, 청소를 위한 스팀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벨크로로 마련된 청소기 탈부착층(110)이 청소패드(100)의 중심부에 위치됨에 따라 회전판(10)에 의한 회전 동작 및 청소기(1)의 이동 동작에도 청소기(1)와 밀착되면서도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벨크로가 청소패드의 둘레측에 마련될 경우 패드 중앙부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부착력 및 청소력 저하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중심부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부착 가능하므로 고정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원활한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스팀공급부(113)에 의해, 청소기의 벨크로 부착 영역을 벗어난 위치의 흡수층(120)이 회전판(10)과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청소기(1)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회전판(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스팀공급부(113)에 위치하는 청소패드(100)의 외주부 영역은 미부착 상태로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의 오목한 처짐 상태가 되어 미세한 상하 유동이 가능하므로 바닥면에 대한 접촉이 다회 발생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브러쉬부(190)에 의한 바닥면 청소에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층(120)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흡수층(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층(140), 제2 전달층(150) 및 제3 전달층(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순서대로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달층(140)은 청소기 탈부착층(110)에 연결되어 청소기(1)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청소기(1)의 스팀을 통과시키되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방울 등의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제2 전달층(150)은 제1 전달층(140)에 연결되어 제1 전달층(140)을 통해 전달되는 청소기(1)의 스팀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을 흡수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3 전달층(160)은 제2 전달층(150)과 청소층(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달층(140) 및 제2 전달층(150)에 의해 통과된 청소기(1)의 스팀을 아래의 청소층(130)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3 전달층(160)은 제2 전달층(150)을 통해 통과된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이나 제2 전달층(150)에 보유되는 물을 각각 흡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층(120)은 스팀을 각 층별로 투과시키면서 청소층(13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스팀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응집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이 전술한 것처럼 흡수층(120)의 원형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는 바, 스팀공급공(111)으로 통과되지 못한 스팀이 응집되어 액적 등으로 형성되더라도 회전판(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둘레측의 스팀공급부(113)를 통해 흡수층(120)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흡수층(120)으로 물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의 발생 없이 지속적인 직접 흡수가 가능하게되며, 외부로 물이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청소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층(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복수의 층으로 구성됨에 따라 흡수량이 증대되어, 스팀 온도 저하에도 다량 발생되는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수분 배출에 의한 물자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층(1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 전달층(140)은 극세사 또는 일반화학섬유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달층(140)은 0.01 데니어(denier) 내지 1.3 데니어(denier)인 극세사(Microfiber)로 마련되거나, 극세사와 일반화학섬유사가 혼합된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층(140)의 흡수면의 적정 원단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 2]를 실시하였다.
[실험 2]의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스팀 투과 실험은 직경 130mm 크기의 제1 전달층 원단을 청소기 노즐의 회전판에 부착하고, 반대측 면에 다른 재질의 원단을 부착하여 비교 원단의 습윤 상태 및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스팀의 투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2) 제1 전달층 원단의 물 흡수 실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청소기를 작동시켜 회전판의 회전 시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수가 주변 바닥면으로 분사 또는 배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사용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층은,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1 : 0.43 의 중량비로 마련되었다. 본 실험에서 ○: 적합, X: 부적합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마이크로섬유 70% 70% 100% 0% 0%
화학섬유 30% 30% 0% 100% 100%
조직 트위스트 파일
3mm
트위스트 파일 4.8mm 테리 2.5mm 메쉬형 플랫형
스팀투과력
물튀김현상
위 표 2를 참고하면, 제1 전달층(140)은 제1 섬유인 마이크로섬유와 제2 섬유인 화학섬유가 대략 7:3 비율로 형성되고, 트위스트 파일(twist pile) 형태의 원단으로 루프형 파일사의 모길이가 3mm일 경우에, 스팀의 투과 성능이 적합하고, 물 흡수에 의한 물튀김 현상 발생 빈도가 적어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와 같이 제1 섬유인 마이크로섬유와 제2 섬유인 화학섬유가 대략 7:3 비율로 형성되었지만, 파일사의 모길이가 더 긴 4.8mm로 형성됨에 따라, 스팀에 대한 투과 성능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와 같이 마이크로섬유로만 이루어질 경우 스팀 투과 성능 및 물 흡수 성능 면에서 모두 부적합했고, 화학섬유 100%인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에도다소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실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층(140)의 적정 원단은 모의 길이가 대략 2.5 내지 3.5mm로 형성되는 루프형태의 꼬임 파일(twist pile)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달층(140)은 굵기가 0.01 데니어(denier) 내지 1.3 데니어(denier)로 마련되는 극세사(Microfiber)인 제1 섬유와, 굵기가 1.4 데니어(denier) 내지 80 데니어(denier)로 마련되는 일반화학섬유사인 제2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층(140)은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1 : 1 내지 1 : 0.2의 중량비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달층(140)은 스팀을 원활하게 투과시키면서도 적정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수층(120)의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제2 전달층(150)은, 복수의 부직포 시트(151, 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전달층(150)은 상부시트(151) 및 하부시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 시트(151, 153)는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가 웹(Web)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 및 레이온(Rayl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스테이플 섬유를 니들 펀칭(Needle punching)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부직포 시트(151, 153)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시트 2장이 결합되어 제2 전달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청소용 부직포에 필요한 형태의 안전성과 벌키(Bulkly)을 고려한다면, 상기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는 3 내지 50 Denier 범위에서 섬도가 서로 다른 2 종 이상의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섬도가 서로 다른 스테이플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형성할 경우, 웹(Web)의 보다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어 벌키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섬도가 적은 섬유가 주는 부드러운 터치감과 섬도가 큰 섬유가 주는 안정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 스테이플 섬유로 웹을 형성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스펀 레이스(Spunlace), 서멀본드(Thermal bond), 케미컬본드(Chemical), 멜트블로운(Meltblown) 등이 존재하므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부직포 시트의 형태 안정성과 점착 조성물의 용이한 침투가 가능한 웹 구조 형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부직포 시트는 니들 펀칭에 의해 제조된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수 있다.
제2 전달층(150)의 각 부직포 시트(151, 153)는 단위 면적(㎡)당 건조 중량이 50 내지 100g 및 높이가 2 내지 5 ㎜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정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균일한 스팀 투과 및 물 흡수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건조 중량이나 높이가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지나치게 가벼워 안정적인 사용감을 부여할 수 없거나 또는 부직포가 뻣뻣한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어 청소 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에, 부직포 시트의 단위 면적당 건조 중량과 높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테이플 섬유의 건조중량이 30 내지 300 g/m2이고, 섬유장이 15 내지 51 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층(120)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제3 전달층(160)은 다공성 표면을 포함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청소층(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전달층(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전달층(160)으로 마련된 제3 전달층(160)은 스폰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우레탄폼(PU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3 전달층(160)은 쿠션 성능이 좋아 완충 작용에 이점을 가지면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바닥 청소에 대한 적절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 전달층(160)은 청소기에 청소패드(100)를 부착하여 청소하는 경우, 청소 영역의 손상을 방지하고, 청소기(1)의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3 전달층(160)의 쿠셔닝으로 인해 청소영역에서 고형화되어 돌출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청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3 전달층(160)은 다공성 표면으로 스팀이 사이 공간을 통해 쉽게 통과되도록 하며,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청소층(130)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3 전달층(160)은 1mm 내지 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전달층(160)의 두께는 3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소패드(100)에 결합 후 2mm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층(160)은 청소 작업 시 청소층(130)에 필요한 수분을 제2 전달층(150)을 통해 공급 받아 제공하게 되는데, 제3 전달층(160)에 청소 작업을 위한 회전력이나, 노즐에서의 연속적인 스팀 공급, 또는 사용자 가압에 의한 압력 제공이 중단될 경우(이를 청소 중단 상태라고 함), 수분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전달층(160)은 청소가 중단된 상태 등과 같이 수분 공급이 필요 없을 경우 수분 투과를 차단함에 따라 바닥 즉, 청소층(130)으로 불필요한 물이 흐르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층(120)은 각각의 층에서 스팀을 투과시키면서도 스팀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적절하게 차단 및 흡수함에 따라 청소층(130)을 통해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도 청소에 필요한 적정량만을 공급할 수 있어 청소 시 물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층(130)은, 굵기가 0.01 데니어(denier) 내지 1.3 데니어(denier)로 마련되는 극세사(Microfiber)인 제1 청소층 섬유(131)와, 굵기가 1.4 데니어(denier) 내지 80 데니어(denier)로 마련되는 일반화학섬유사인 제2 청소층 섬유(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층(130)은, 제1 청소층 섬유와 제2 청소층 섬유를 1 : 1 내지 1 : 0.2의 중량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청소층 섬유(131) 및 제2 청소층 섬유(133)는 혼합되어 제조됨에 따라 청소층(130)의 전체 면적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너비를 갖는 원단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청소층(130)의 전체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청소층(130)의 섬유 비중은 전체 면적에 대해 해당 비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섬유가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층(130)의 청소면의 적정 원단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 3]을 실시하였다.
[실험 3]의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오염물질이 지워지는 정도를 판단한 청소력 실험은, 오염물질이 도포되어 완전히 건조시킨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여 100mm × 100mm 크기의 청소층 원단을 플레이트에 부착하고 200g의 중량으로 가압하면서 청소면을 닦아보고 시각적으로 청소된 정도와 오염물질의 지워짐 정도를 확인하였다.
2) 청소층 원단의 마찰계수는 ASTM D 1894:2001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청소층 원단의 흡수성 테스트는 원단을 물에 담그는 소킹(soaking) 단계를 30분간 수행하고, 1분간 수평 상태로 물을 낙하시키는 적하법(dropping) 단계를 거쳐, 원단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청소력에 대한 측정 결과를 ○: 우수, △: 보통, X: 부적합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실험예5 실험예6 실험예7
성분 마이크로섬유 100% 80% 75% 62% 50% 38% 0%
일반화학
섬유사
0% 20% 25% 38% 50% 62% 100%
청소력
파일 길이 5mm 5mm 5mm 5mm 5mm 5mm 5mm
흡수성 (g/cm2) 32.1 32.1 26 23.3 21 19.8 18.5
마찰력 (μk) 0.75 0.71 0.49 0.42 0.38 0.30 0.25
[실험 3]의 표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층(130)의 마이크로섬유와 일반화학섬유를 각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7의 비율로 제작한 원단을 사용하였다. 이때, 파일 길이는 5mm로 형성된 원단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의 경우 청소력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화학섬유사가 다량 함유된 실험예 6 및 실험예 7의 경우 청소력이 다소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원단의 흡수성은 18 내지 32 g/cm2의 범위 내에서 측정되었다.
여기서, 청소층(130)의 흡수성이 높게 형성될 경우, 청소면에 물 흡수량이 증대됨에 따라 청소기에 의한 스팀이 청소면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청소면에 포함된 물을 가열하여 뜨거운 물의 형태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스팀 청소용으로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파일 길이를 5mm에서 2mm로 단축하여 원단 자체의 흡수성을 낮춤에 따라, 흡수성을 낮게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청소에 필요한 물의 경우 흡수층(120)에서의 흡수력으로 충분히 제공될 수 있으므로, 청소층(130)은 청소력과 함께 적정 흡수성을 갖추도록 하였다.
아래의 표 4는 위 [실험 3]을 동일한 조건에서, 원단의 파일 길이만 2mm로 제조한 각 실험예 8 내지 실험예 14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이다.
실험예8 실험예9 실험예10 실험예11 실험예12 실험예13 실험예14
성분 마이크로섬유 100% 80% 75% 62% 50% 38% 0%
일반화학
섬유사
0% 20% 25% 38% 50% 62% 100%
청소력
파일 길이 2mm 2mm 2mm 2mm 2mm 2mm 2mm
흡수성 (g/cm2) 18.4 15.4 13.4 12.9 12 11.8 10.9
마찰력 (μk) 0.75 0.71 0.49 0.42 0.38 0.30 0.25
위 표 4를 참고하면, 파일 길이가 단축되면서 원단의 흡수성을 낮추게 되었으며, 각 원단의 흡수성이 10 내지 19 g/cm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흡수성이 15 g/cm2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 물 흡수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스팀 전달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다만, 청소를 위해 적정한 물 흡수량을 제공해야 하므로 너무 낮은 흡수성을 갖는 것은 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청소층(130)의 원단을 이루는 적절한 파일 길이는 0.5mm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2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단의 파일 길이가 2mm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되는 바닥면과의 밀착 상태를 증대시켜 청소기의 스팀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파일 길이가 5mm인 청소층 대비 실제 바닥면과의 접촉면적 또는 이격거리 등이 단축된다. 특히, 파일 길이가 5mm 이상일 경우에는 스팀 전달력이 더욱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100)에 사용되는 청소층(130)은, 원단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마찰계수(μk)가 원단의 마찰계수가 적정 범위인 것이 바닥 청소 시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예컨대 0.35 내지 0.5 μk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청소패드(100)를 구성하는 청소층(130)의 원단 마찰계수가 높게 형성될 경우 청소 시 뻑뻑한 느낌을 주며, 반대로 마찰계수가 낮을 경우 미끄러지듯이 밀리게 되지만 실제 청소력이 좋지 못하다. 더군다나, 청소패드(100)는 회전판(10)에 부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마찰력이 높을 경우 바닥 청소면에 대한 청소력을 높일 수 있지만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모터의 성능 또는 출력이 높아야 하지만, 무선 청소기 등으로 사용할 경우 전력량이 제한적이므로 청소기 사용시간이 단축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바닥 청소면과의 저항이 저감되기 때문에 모터의 부하가 적어 장시간 사용은 가능하지만 실질적인 청소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층(130)은 실험예 10 내지 실험예 12의 원단이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의 섬유 비율은 마이크로섬유 50 내지 75%, 일반화학섬유사가 25% 내지 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실험예 10 또는 실험예 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섬유의 비율은 중량%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층(130)은, 오염물질의 닦임 정도가 우수하였으며, 적절한 흡수성과 마찰력을 제공함에 따라 스팀 청소에 활용하기에 우수하였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청소층(130)은 전술한 제1 전달층(140)과 동일한 것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서 제조 비용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청소층(130)은 제1 전달층(140)과 동일한 원단이지만 파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 섬유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극세사 100 %로 청소층을 마련하는 경우보다 청소층의 마모도를 감소시켜 청소효율을 높이고, 청소층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테두리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고정부(170)는 청소패드(100)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테두리 고정부(170)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의 외주부를 상호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층(120)과 청소층(130)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외주부에 봉제됨에 따라 양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 고정부(170)는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 외주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지지스트랩(1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스트랩(171)은 테두리 고정부(170)를 감싸는 띠 형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테두리 고정부(170)에 의해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의 외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테두리 고정부(170)는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의 외주부에 봉제되는 봉제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스트랩(171)은 홈 또는 구멍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딤플공(171a)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딤플공(171a)은 원형 또는 사각(또는 마름모) 형상의 요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스트랩(171)은 흡수층(120)과 청소층(130)을 감싸도록 마련되면서 봉제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예컨대, 지지스트랩(171)은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고속 회전하는 청소 상태에도 안정적으로 청소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 고정부(170)는 청소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100)의 세척 후에도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층상 구조의 청소패드(100)의 외형 두께를 얇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기 탈부착층(110)이 흡수층(120)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되어 중심부에 배치됨에 따라 테두리 고정부(170)에 의한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의 고정 시 함께 봉제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마련되는 봉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봉제 라인은 청소기 탈부착층(110)의 외주부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층(120)의 제1 전달층(140)에 함께 봉제됨에 따라, 청소기 탈부착층(110)을 흡수층(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청소패드(100)를 회전판(10)에 부착시킬 때, 청소패드(100)의 중심을 회전판(10)의 중심과 일치시키도록 중앙부에 마련되는 개구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8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의 회전축(RX)과 동일한 축 상에 미리 결정된 구멍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 측에 청소기 탈부착층(110),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청소기(1)의 회전판(10)의 정확한 위치에 청소패드(100)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 이웃하는 청소패드(100)와 간섭이 발생하며, 청소 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80)는, 회전축(RX)의 헤드 또는 축부분의 외주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80)의 내측에 회전축(RX)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부착시 청소기(1)의 회전판(10)에 마련된 회전 중심축(RX)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청소패드(100)를 청소기(1)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의 회전판(10) 회전 시 청소패드(100)의 회전이 회전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개구부(180)의 외주부를 따라 마련되는 마감재(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재(181)는 청소기 탈부착층(110), 흡수층(120) 및 청소층(130)들을 안정적으로 마감한다. 예컨대, 마감재(181)는 개구부(180)의 주변을 오버로크(overlock) 마감 처리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패드(100)의 형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청소기(1)의 회전판(10)의 정확한 위치에 청소패드(100)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 이웃하는 청소패드(100)와 간섭이 발생하며, 청소 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80)는, 청소기(1)의 회전판(10)에 회전 중심축을 확인할 수 있고, 청소패드(100)를 청소기(1)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의 회전판(10) 회전 시 청소패드(100)의 회전이 회전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100)는, 브러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190)는 테두리 고정부(17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섬유가 교차배치되어 꼬임 결합된다. 브러쉬부(190)는, 타측 단부가 테두리 고정부(170)에 다시 연결되어 루프 형상을 이루는 루프 타입 브러쉬부(190)이다. 브러쉬부(190)는 제1 브러쉬 섬유(191)와, 제2 브러쉬 섬유(192)의 꼬임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브러쉬 섬유의 꼬임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브러쉬부(190)는, 플렉시블리티(flexiblity)가 증대되므로,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벽과 같은 장애물의 청소시 유연하게 장애물 구조에 인입되어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성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고, 청소할 수 있는 청소영역의 범위가 넓어져 청소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190)는 루프 타입의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의 섬유부 간에 간섭이 적어 청소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브러쉬부(190)는 청소 시 청소층(130)의 청소면에서 닦아낸 후에 흡수하지 못한 물 또는 잔여 오염물질을 부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러쉬부(190)는 마이크로 섬유 70 내지 90% 및 일반화학 섬유 10 내지 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섬유 70% 및 일반화학 섬유 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브러쉬부(190)는 적절한 흡수력을 구현하면서도 낮은 마찰력을 부여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부(190)를 이루는 극세사의 비중이 너무 높게 형성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청소 패드의 회전 시 방해될 수 있고, 극세사의 비중이 낮게 형성되는 경우 청소층(130)에 의한 청소 과정을 거친 후에 바닥면에서 탈피된 오염물질을 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오염물질과 함께 물자국을 바닥에 남길 수 있으다. 즉, 일반화학 섬유의 함량이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으나, 적은 마찰력에 의해 청소 시 사용자에게 미끄러운 감촉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감이 저하되며, 흡수력이 떨어져 잔여물을 잔존시켜 청소 작업에 효율성을 낮추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범위 내에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브러쉬부(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고정부(170)의 하측에 배치되어 테두리 고정부(17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바닥과 밀접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봉제 라인은 도 7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 봉제 라인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양측의 봉제 라인은 테두리 고정부(170)의 내경 부분과 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내측 라인의 경우 청소층(130) 또는 중간층(120)의 노출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폭 간격을 더욱 줄이면서도 브러쉬부(190)인 코메즈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및 외측 봉제 라인의 폭 길이(L1)는 2mm 내지 4mm 정도로 협소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폭 길이(L1)은 3mm 내지 3.4mm의 폭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코메즈 봉제 라인 간격이 4mm 이상의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요구되는 코메즈 자체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돌출되는 길이 또한 길게 형성되어 미청소 영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테두리 고정부(170)는 이들 길이를 단축시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부(190)는 극세사로 이루어진 루프형 가닥 부분이 테두리 고정부(17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길이(L2)가 4mm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코메즈 노출 길이가 5~10mm 폭 구간으로 형성되는 기존 코메즈 부분에는 상부에 하방으로의 가압 영역이 없기 때문에, 미청소 영역이 더욱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은 노출 길이를 적정 길이로 단축함에 따라 미청소 영역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청소 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주부로 돌출되는 길이(L2) 뿐만 아니라, 브러쉬부(190)의 자체 길이를 짧게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사용되는 총량을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브러쉬부(190)는 내측 및 외측 봉제 라인에 의해 후단이 고정되는 위치가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고, 자유단부의 길이가 단축되는 동시에 상측의 테두리 고정부(170)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110: 청소기 탈부착층
120: 흡수층 130: 청소층
140: 제1 전달층 150: 제2 전달층
160: 제3 전달층 170: 테두리 고정부
180: 개구부 190: 꼬임 섬유부

Claims (10)

  1. 스팀을 이용하는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탈부착층;
    상기 청소기 탈부착층에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에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의 스팀이 통과되며 표면으로 배출되는 청소층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탈부착층은 상기 흡수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층의 중심부에 동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청소기에 부착되되, 표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팀공급공 및 상기 흡수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하여 상기 흡수층이 상기 청소기와 접하여 배치되도록 둘레측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는 링형상의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은,
    상기 청소기 탈부착층에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되 스팀에 의해 생성되는 액적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층;
    복수의 부직포 시트가 결합된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달층에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의 스팀을 통과시키며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을 흡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전달층; 및
    상기 제2 전달층 및 상기 청소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달층과 상기 제2 전달층에 의해 통과된 상기 청소기의 스팀을 상기 청소층으로 전달하며, 통과된 스팀에 의해 형성되는 물 및 상기 제2 전달층에 포함된 물을 각각 흡수하는 제3 전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층 및 상기 청소층 각각은 굵기가 0.01 데니어 내지 1.3 데니어로 마련되는 제1 섬유 및 굵기가 1.4 데니어 내지 80 데니어로 마련되는 제2 섬유가 혼합되되,
    상기 제1 전달층은 2.5 내지 3.5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청소층은 1.5 내지 2.5mm의 길이를 갖는 루프형태의 꼬임 파일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층은 건조중량이 30 내지 300 g/m2이고, 섬유장이 15 내지 51 mm인 스테이플 섬유에 의해 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공은 상기 청소기 탈부착층의 중심부에서 5mm 내지 15mm의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며 형성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탈부착층은 상기 흡수층의 면적에 대해 55% 내지 75%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팀공급부가 나머지 영역의 크기로 형성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달층은,
    상기 제2 전달층의 하부 시트와 결합되되 다공성 표면을 포함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청소층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전달층으로 형성되고, 외력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달층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청소층에 대해 연속적인 수분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소층은 50% 내지 75%의 마이크로섬유와 25% 내지 50%의 일반화학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청소층의 외주부를 상호 고정 결합하여 지지하는 테두리 고정부; 및
    상기 테두리 고정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섬유가 교차배치되어 꼬임결합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고정부는 3mm 내지 7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부를 바닥면을 향해 하방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테두리고정부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4mm 내지 6mm인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KR1020220112097A 2022-09-05 2022-09-05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KR10252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97A KR102520894B1 (ko) 2022-09-05 2022-09-05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97A KR102520894B1 (ko) 2022-09-05 2022-09-05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94B1 true KR102520894B1 (ko) 2023-04-12

Family

ID=8598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97A KR102520894B1 (ko) 2022-09-05 2022-09-05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580Y1 (ko) * 2006-04-13 2006-10-16 김문환 스팀청소기용 패드
KR20130006591A (ko) 2009-12-17 2013-01-17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지는 클램핑 디바이스 및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102010829B1 (ko) * 2019-03-11 2019-08-14 (주)대고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
KR20210017586A (ko) * 2019-08-09 2021-02-17 박남숙 청소포 부착 패드 및 듀얼 회전 스팀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580Y1 (ko) * 2006-04-13 2006-10-16 김문환 스팀청소기용 패드
KR20130006591A (ko) 2009-12-17 2013-01-17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지는 클램핑 디바이스 및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102010829B1 (ko) * 2019-03-11 2019-08-14 (주)대고 물 또는 액상 청소용제를 이용하는 청소기용 청소패드
KR20210017586A (ko) * 2019-08-09 2021-02-17 박남숙 청소포 부착 패드 및 듀얼 회전 스팀 물걸레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505B2 (en)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trip mop with strips covered with microfiber for cleaning floors
US5887311A (en) Flat mop head for cleaning floors
US8407848B2 (en) Cleaning pad and cleaning implement
EP2134227B1 (fr) Article d'entretien et de nettoyage
TWI295163B (ko)
TWI295162B (ko)
US8578549B2 (en) Cleaning sheets
US7861358B2 (en) Hand towel with attached scrubber
CA2644519C (en) Mop head and mop with such a mop head
WO1997049326A1 (en) Cleaning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513266A (ja) 交互に配置される剛性繊維および高吸収性繊維を有する布地およびそのモップ
EP2712533A2 (en) Multipurpose cleaning pad
KR102520894B1 (ko) 스팀 청소기용 청소패드
DK3087895T3 (en) Flat mop
JP4226918B2 (ja) 清掃シート
US5855204A (en) Multi-layer mop
KR100574743B1 (ko) 스팀 청소기용 청소 패드
KR200394724Y1 (ko) 스팀 청소기용 청소 패드
US20050172441A1 (en) Cleaning pad for single-disk or multi-disk cleaning machines
JP2003210381A (ja) 洗浄具
KR100568163B1 (ko) 스팀 청소기용 청소 패드
JP5059648B2 (ja) 洗浄用具
JP2021178127A (ja) 清掃用シート
CN217347061U (zh) 一种非织造面料
WO2005044552A1 (en) Multi surfaced cleaning cl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