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767B1 -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767B1
KR102520767B1 KR1020210099589A KR20210099589A KR102520767B1 KR 102520767 B1 KR102520767 B1 KR 102520767B1 KR 1020210099589 A KR1020210099589 A KR 1020210099589A KR 20210099589 A KR20210099589 A KR 20210099589A KR 102520767 B1 KR102520767 B1 KR 10252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ight string
light
inner layer
mix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989A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7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89A/ko
Priority to KR1020230045584A priority patent/KR102628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The moulding materials being injec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having a "sandwich" structure
    • B29C45/1645Injecting skin and core materials from the same injection cylinder, e.g. mono-sandwich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9C2045/1614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ide-by-side flow of materials in the same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having a "sandwich" structure
    • B29C2045/1656Injecting the skin material through the central passage of the multiway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light string and vehicle light string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트림 등에는 장식적인 효과를 유발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무드 조명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급 차량일수록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실내분위기를 고급스럽게 연출하기 위하여 무드 조명이 많이 적용된다.
차량의 실내 무드 조명을 위해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이 주로 사용되며, 라이트 스트링은 끝단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최대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라이트 스트링 조립체는 횡단면이 원형인 라이트 스트링(10)과, 라이트 스트링(10)의 고정을 위한 렌즈(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렌즈(20)는 라이트 스트링(10)의 도면상 양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커버(30)는 라이트 스트링(10)의 도면상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라이트 스트링(10)을 고정한다.
렌즈(20), 커버(30) 및 라이트 스트링(10)이 결합된 라이트 스트링 조립체는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라이트 스트링(10)을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수용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렌즈(20) 및 커버(30)와 같은 별도 부품이 필요하고, 이러한 별도 부품을 조립해야 하는 등 제조경비와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라이트 스트링(10)이 렌즈(20) 및 커버(30)에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라이트 스트링(10)의 형태가 렌즈(20) 및 커버(30)의 형태에 제약을 받아 다양한 디자인의 라이트 스트링(10)을 자유롭게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0833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은 사출부의 제1노즐을 통해 표피층 형성을 위한 혼합조성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a)단계; 및 상기 사출부의 제2노즐을 통해 내부층 형성을 위한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b)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노즐을 통해 주입된 상기 수지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노즐을 통해 주입된 상기 혼합조성물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혼합조성물을 밀면서 상기 캐비티의 끝단으로 서서히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혼합조성물이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 부착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상기 수지를 둘러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조성물은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광확산제가 혼합된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층에서 전달된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표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라이트 스트링, 렌즈 및 커버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후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각 부품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수와 사출 성형 공정 횟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수가 추가되어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이 증대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형성함으로써 PMMA수지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층은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표피층은 종래의 렌즈 및 커버와 같이 내부층에서 전달된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내부층을 감싸 고정하고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로 렌즈 및 커버 등과 같은 부품이 없어도 내부층과 표피층으로 구성된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라이트 스트링이 렌즈 및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됨에 따라 라이트 스트링의 형태를 렌즈 및 커버의 형태에 맞게 제한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다양한 디자인의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이트 스트링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라이트 스트링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이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이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공사출 공법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사출부(120)의 유입노즐(123)이 금형(110)의 캐비티(111)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제1노즐(121)을 통해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이 투입되면,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이 유입노즐(123)을 통해 금형(110)의 캐비티(111)에 주입되어 캐비티(111)에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이때, PC수지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또한, 광확산제는 폴리에틸렌계 물질, 폴리프로필렌계 물질, 폴리올레핀계 물질, 실리콘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등 높은 분자량과 고밀도 특성을 보유하여 광확산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광확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제2노즐(122)을 통해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가 투입되면, PMMA수지가 유입노즐(123)을 통해 금형(110)의 캐비티(111)에 주입된다.
이때, 캐비티(111)에 주입된 PMMA수지는 캐비티(111)에 부분적으로 채워진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밀면서 캐배티(111)의 도면상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에 따라,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이 내부로 유입된 PMMA수지에 의해 외측으로 퍼지면서 캐비티(111)의 내면에 부착되어 PMMA수지를 둘러싸게 된다.
이후, 제2노즐(122)을 통해 PMMA수지가 계속 투입되면, 도 6과 같이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이 캐비티(111)의 도면상 좌측 끝단까지, 즉 캐비티(111)의 내면 전체에 완전히 부착되고, PMMA수지는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의 내부에 완전히 채워진다.
따라서, 사출 성형이 완료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PMMA수지는 라이트 스트링의 내부층(220)을 형성하고,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은 라이트 스트링의 표피층(210)을 형성한다. 이때, PMMA수지로 형성된 내부층(220)은 투광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며,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로 형성된 표피층(210)은 투과율, 광확산성 및 조도 면에서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층(220)을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렌즈(20) 및 커버(30)와 같이 내부층(220)에서 전달된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내부층(220)을 감싸 고정하고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대신 하게 된다. 이렇게 공사출 공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라이트 스트링은 별도의 부품 없이 단독으로 도어트림, 대시보드 등의 가니쉬에 설치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220) 및 표피층(210)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성형함으로써 렌즈(20), 커버(30)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라이트 스트링(10), 렌즈(20) 및 커버(30)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후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각 부품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수와 사출 성형 공정 횟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수가 추가되어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이 증대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층(220) 및 표피층(210)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형성함으로써 PMMA수지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층(220)은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표피층(210)은 종래의 렌즈(20) 및 커버(30)와 같이 내부층(220)에서 전달된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내부층(220)을 감싸 고정하고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로 렌즈(20) 및 커버(30) 등과 같은 부품이 없어도 내부층(220)과 표피층(210)으로 구성된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라이트 스트링이 렌즈(20) 및 커버(30)의 내측에 장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됨에 따라 라이트 스트링의 형태를 렌즈(20) 및 커버(30)의 형태에 맞게 제한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다양한 디자인의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PMMA수지 및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동시에 사출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성형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별도 부품 없이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조립공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라이트 스트링, 렌즈 및 커버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후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각 부품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수와 사출 성형 공정 횟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수가 추가되어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이 증대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층 및 표피층으로 구성되는 라이트 스트링을 형성함으로써 PMMA수지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층은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PC수지와 광확산제의 혼합조성물을 통해 형성되는 표피층은 종래의 렌즈 및 커버와 같이 내부층에서 전달된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내부층을 감싸 고정하고 도어트림 등의 가니쉬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로 렌즈 및 커버 등과 같은 부품이 없어도 내부층과 표피층으로 구성된 라이트 스트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라이트 스트링이 렌즈 및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됨에 따라 라이트 스트링의 형태를 렌즈 및 커버의 형태에 맞게 제한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다양한 디자인의 라이트 스트링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종래기술>
10 : 라이트 스트링
20 : 렌즈
30 : 커버
<본원발명>
110 : 금형
111 : 캐비티
120 : 사출부
121 : 제1노즐
122 : 제2노즐
123 : 유입노즐
210 : 표피층
220 : 내부층

Claims (4)

  1. 사출부의 제1노즐을 통해 혼합조성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a)단계; 및
    상기 사출부의 제2노즐을 통해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b)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노즐을 통해 주입된 상기 수지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노즐을 통해 주입된 상기 혼합조성물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혼합조성물을 밀면서 상기 캐비티의 끝단으로 서서히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혼합조성물이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 부착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상기 수지를 둘러싸게 됨으로써 상기 수지가 내부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조성물이 상기 내부층을 감싸는 표피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조성물은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광확산제가 혼합된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이고,
    상기 내부층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표피층은 상기 내부층을 감싸 고정하고 별도의 부품 없이 차량 내부 구성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부층에서 전달된 빛이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4. 삭제
KR1020210099589A 2021-07-29 2021-07-29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KR10252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89A KR102520767B1 (ko) 2021-07-29 2021-07-29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KR1020230045584A KR102628260B1 (ko) 2021-07-29 2023-04-06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89A KR102520767B1 (ko) 2021-07-29 2021-07-29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584A Division KR102628260B1 (ko) 2021-07-29 2023-04-06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89A KR20230017989A (ko) 2023-02-07
KR102520767B1 true KR102520767B1 (ko) 2023-04-13

Family

ID=852211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89A KR102520767B1 (ko) 2021-07-29 2021-07-29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KR1020230045584A KR102628260B1 (ko) 2021-07-29 2023-04-06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584A KR102628260B1 (ko) 2021-07-29 2023-04-06 공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07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668A (ja) * 2006-01-18 2007-08-30 Kakuichi Kasei Kk 多層成形品、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2014105563A (ja) * 2012-11-30 2014-06-09 Seiko Industry Co Ltd 視認用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4599B2 (ja) * 1993-12-20 1998-01-26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多層成形方法
JPH1045169A (ja) * 1996-07-30 1998-02-17 Polyplastics Co 食品保存用容器
KR20140087597A (ko) * 2012-12-31 2014-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방열부와 투광부가 일체로 형성된 튜브형 led 램프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668A (ja) * 2006-01-18 2007-08-30 Kakuichi Kasei Kk 多層成形品、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2014105563A (ja) * 2012-11-30 2014-06-09 Seiko Industry Co Ltd 視認用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89A (ko) 2023-02-07
KR102628260B1 (ko) 2024-01-23
KR20230054331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840B2 (en) Light guide for a vehicle lighting unit
KR101219341B1 (ko) 자동차용 발광 가니쉬
US8998465B2 (en)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material lenticular bodies for lights of motor vehicles and similar, and lenticular body for lights of motor vehicles and similar
US20070172664A1 (en)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2874995A1 (fr) Piece en matiere plastique, notamment pour l&#39;habillage de l&#39;habitacle d&#39;un vehicule
JP2010534158A (ja) 照明ユニットを備える自動車のためのリアエレメント
US8043672B2 (en) Lens for a vehicular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EP3237798A1 (en) Vehicle body element comprising a translucent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ody
KR102520767B1 (ko)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라이트 스트링
CN103097101B (zh) 薄膜嵌件成型产品
EP0964417A2 (en) Article comprising co-injection molded component having integral light guide
CN116964378A (zh) 具有面式光导体的装饰件
JPH0814622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導光板の製造方法
US936804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3146148A (ja) 車両用装飾部材
CN104416745B (zh) 使用薄片层的注射成型工艺防浸湿方法
CN206755016U (zh) 用于机动车辆的发光装置
JP2007106125A (ja) 中空状成形体製造用の金型
JP2009224253A (ja) 導光体、表示装置及び導光体の成形方法
KR102083645B1 (ko)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18006A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lens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plastic material for producing car lights and similar
JP2020121581A (ja) 乗物用照明装置
CN217048501U (zh) 发光模组及发光车标
TWM605959U (zh) 一種內置氛圍燈的側壁組件
KR20220052519A (ko) 가니쉬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