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97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97B1
KR102520497B1 KR1020210005809A KR20210005809A KR102520497B1 KR 102520497 B1 KR102520497 B1 KR 102520497B1 KR 1020210005809 A KR1020210005809 A KR 1020210005809A KR 20210005809 A KR20210005809 A KR 20210005809A KR 102520497 B1 KR102520497 B1 KR 10252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supply unit
chamb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341A (ko
Inventor
윤종서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21000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고 기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살균 또는 기화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에서 유동되는 물은 기화되기 전에 전량이 선행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A HUMIDIFIER}
아래의 실시예들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액체 상태의 물 분자를 대기중으로 분사 시키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의 습도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에 따라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최근에는 간단한 구조, 뛰어난 가습 성능, 낮은 전력소모 등을 이유로 초음파식 가습기가 이용된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물 분자의 덩어리에 진동을 일으킨다. 이때 진동된 물 분자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진동을 전하고, 진동이 물의 표면에 닿으면 물 표면에 있던 물 입자들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물 표면 위로 튀어나오면서 주변 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의 표면에서 튀어 오른 물이 다시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낙차 소음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소음으로 인식되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송풍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식 가습기 경우,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霧化)된다. 무화된 공기는 가습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한다.
이러한 자연식 가습기는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를 사용하며, 수조에 수용된 물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가습기에서 수조를 사용하는 경우, 수조의 청소를 하지 않는 경우 곰팡이나 스케일, 물때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하여 건강에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에 장시간 수용되어 있던 물을 비우거나 수조의 청소를 자주 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자연식 가습기는 가습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므로 가습필터가 항상 젖은 상태로 유지되어 가습필터 자체의 오염이나 세균, 곰팡이 증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 특허 공보 제2016-0124297호는 가습기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기 설정된 분무량의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살균된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공급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고 기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살균 또는 기화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에서 유동되는 물은 기화되기 전에 전량이 선행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개폐요소,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된 수분을 생성하는 기화요소, 상기 개폐요소와 상기 기화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화요소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요소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에 자외선을 가하여 살균시키는 살균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요소 또는 상기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은 선행적으로 상기 살균요소에 의하여 살균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개폐요소를 통하여 제공되는 물의 전량이 상기 살균요소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요소 또는 상기 가열요소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요소는 상기 개폐요소 및 상기 살균요소가 배치된 제1 공간과 상기 기화요소 및 상기 가열요소가 배치된 제2 공간을 구분 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공급부의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감지요소 및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요소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공급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요소는 자동적으로 상기 기화요소, 상기 가열요소 또는 상기 살균요소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물을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측에 수용된 물을 상기 본체부로 전달하는 공급요소, 상기 챔버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상기 챔버의 상측으로 전달하는 유로 및 상기 챔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상기 가습기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개방된 상기 챔버의 상면과 맞물릴 수 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제1 배출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는 후크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요소는 상기 유로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로의 하단에는 상기 유로의 내측에서 형성된 물방울이 하기 본체부 측으로 직접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안정적으로 기 설정된 분무량의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효과적으로 살균된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공급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하측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상측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부를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와 본체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하측을 상세히 나타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의 상측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부를 나타내며,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공급부와 본체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고 기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급부(100) 및 공급부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살균 또는 기화시키는 본체부(200)를 포함하고, 공급부에 의하여 배출되는 기화된 수분의 방향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공급부(100)는, 물을 수용하는 챔버(110), 챔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챔버 내측에 수용된 물을 상기 본체부로 전달하는 공급요소(120), 챔버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챔버의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챔버의 상측으로 전달하는 유로(130) 및 챔버의 상면에 배치되어 유로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가습기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캡(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130)의 하단에는 유로의 내측에서 형성된 물방울이 후술할 본체부 측으로 직접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요소(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공급부(100)를 통하여, 챔버의 내측에 저장된 물은 공급요소(120)를 통하여 본체부(200)로 제공되고, 본체부로 전달된 물은 기화되어 공급부의 유로(130)를 통해 공급부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캡(140)을 통하여 기화된 수분은 가습기의 외측으로 발산하게 된다. 이 때. 가습기의 외측으로 발산되지 못하고 유로 내에 머무르게 되는 수분들이 궁극적으로 물방울을 형성하여 유로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방울이 낙하하면서 본체부에 존재하는 물과 직접적으로 충돌함으로써 미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한요소(150)는 상기 물방울이 직접적으로 본체부에 존재하는 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된 물방울은 제한요소 상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본체부 측으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도4를 참조하면, 캡(140)은, 개방된 챔버(110)의 상면과 맞물릴 수 있는 베이스(141) 및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142) 및 제1 배출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배출구(142)는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143)는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42) 및 제2 배출구(143)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음에 따라,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구(142)와 제2 배출구(143)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일 방향으로 기화된 수분 전량이 배출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제1 배출구(142)와 제2 배출구(143)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기화된 수분의 일부는 일 방향으로 배출되고, 기화된 수분의 나머지 부분은 타 방향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 각각의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의 개방된 부분을 조절할 수 있는 덮개요소를 각각 포함함으로써,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에 의하여 분출되는 기화된 수분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은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는 후크요소(144)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후크요소는 유로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요소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캡은 챔버의 기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공급부의 공급요소(12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개폐요소(210),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된 수분을 생성하는 기화요소(220), 개폐요소와 기화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기화요소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요소(230) 및 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에 자외선을 가하여 살균시키는 살균요소(240)를 포함하고, 기화요소 또는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은 선행적으로 살균요소에 의하여 살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물이 기화요소에 의하여 기화되기 전에 기화요소로 전달되는 전량의 물에 대하여 선행적으로 자외선을 통한 살균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물의 보다 효과적인 기화를 위하여 기화요소로 전달되는 전량의 물을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매커니즘이 보다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는 개폐요소를 통하여 제공되는 물의 전량이 살균요소를 통과한 후 기화요소 또는 가열요소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요소(250)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요소(250)는 개폐요소 및 살균요소가 배치된 제1 공간(A)과 기화요소 및 가열요소가 배치된 제2 공간(B)을 구분 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가이드요소(250)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요소(210), 살균요소(240), 가열요소(230), 기화요소(220) 순서대로 구성들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200)는, 본체부와 공급부의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감지요소(260) 및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요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6의 (a)와 같이 본체부와 공급부가 결합된 경우, 감지요소는 이와 같은 결합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본체부를 작동시켜 기화된 수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본체부에 내장된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하여 본체부 내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미만인 경우 제어부는 본체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반면, 도6의 (b)와 같이 감지요소에 의하여 본체부와 공급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제어요소는 자동적으로 기화요소, 가열요소 또는 살균요소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음으로써 효과적으로 본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안정적으로 기 설정된 분무량의 수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나아가, 가습기의 본체부와 공급부의 결합 또는 탈착 여부를 자동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본체부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공급부
200: 본체부

Claims (9)

  1. 물을 수용하고 기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살균 또는 기화시키는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물을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측에 수용된 물을 상기 본체부로 전달하는 공급요소;
    상기 챔버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상기 챔버의 상측으로 전달하는 유로; 및
    상기 챔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로부터 전달되는 기화된 수분을 가습기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개방된 상기 챔버의 상면과 맞물릴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 및
    덮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기화된 수분이 배출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덮개 요소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의 개방된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에 의하여 분출되는 기화된 수분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 내에서 유동되는 물은 기화되기 전에 전량이 선행적으로 살균될 수 있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개폐요소;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된 수분을 생성하는 기화요소;
    상기 개폐요소와 상기 기화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화요소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요소;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에 자외선을 가하여 살균시키는 살균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요소 또는 상기 가열요소로 전달되는 물은 선행적으로 상기 살균요소에 의하여 살균될 수 있는,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개폐요소를 통하여 제공되는 물의 전량이 상기 살균요소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요소 또는 상기 가열요소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요소는 상기 개폐요소 및 상기 살균요소가 배치된 제1 공간과 상기 기화요소 및 상기 가열요소가 배치된 제2 공간을 구분 짓도록 형성되는,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공급부의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감지요소; 및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요소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공급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요소는 자동적으로 상기 기화요소, 상기 가열요소 또는 상기 살균요소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는, 가습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는 후크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요소는 상기 유로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는, 가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하단에는 상기 유로의 내측에서 형성된 물방울이 하기 본체부 측으로 직접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요소가 형성될 수 있는, 가습기.
KR1020210005809A 2021-01-15 2021-01-15 가습기 KR10252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09A KR102520497B1 (ko) 2021-01-15 2021-01-15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09A KR102520497B1 (ko) 2021-01-15 2021-01-15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41A KR20220103341A (ko) 2022-07-22
KR102520497B1 true KR102520497B1 (ko) 2023-04-12

Family

ID=8260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809A KR102520497B1 (ko) 2021-01-15 2021-01-15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85B1 (ko) * 2006-08-18 2007-07-06 웅진쿠첸 주식회사 가습기용 물통의 분무노즐 조립체
KR200438801Y1 (ko) * 2006-12-28 2008-03-06 주식회사 노비타 안전스위치 기능을 갖는 수위감지장치
CN110440374A (zh) * 2019-05-06 2019-11-12 佛山恒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杀菌功能的加湿器
CN209801746U (zh) * 2019-01-23 2019-12-17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一种落水消音装置及加湿器
CN211204323U (zh) * 2019-09-27 2020-08-07 研晶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杀菌灯的加湿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85B1 (ko) * 2006-08-18 2007-07-06 웅진쿠첸 주식회사 가습기용 물통의 분무노즐 조립체
KR200438801Y1 (ko) * 2006-12-28 2008-03-06 주식회사 노비타 안전스위치 기능을 갖는 수위감지장치
CN209801746U (zh) * 2019-01-23 2019-12-17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一种落水消音装置及加湿器
CN110440374A (zh) * 2019-05-06 2019-11-12 佛山恒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杀菌功能的加湿器
CN211204323U (zh) * 2019-09-27 2020-08-07 研晶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杀菌灯的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41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417A (en) Humidifier
JP4808239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520497B1 (ko) 가습기
JP2002327940A (ja) 空気調和機
JP4825190B2 (ja) 空気調和機
KR19980083624A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JP6565713B2 (ja) 加湿器
JP3973391B2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暖房機器
JP2014040996A (ja) 加湿機構の制御方法
KR20120078139A (ko) 기화식 가습기
JP5728074B2 (ja) 加湿機構
US11674700B2 (en) Humidifier cartridge with handle
KR102179545B1 (ko) 부유형 유도관을 갖는 가습기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JP5847043B2 (ja) 加湿機構
JP5830922B2 (ja) 加湿器の吹出構造
KR20210117777A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20210000607U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초음파 겸용 가열식 가습기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220103343A (ko) 공급부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JP2019143833A (ja) 加湿機
KR20020063047A (ko) 가습기
KR20220103386A (ko) 가습기
JP2011242062A (ja) 加湿器
KR200270028Y1 (ko) 음료수용기를 수조로 이용하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