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00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000B1
KR102520000B1 KR1020180096045A KR20180096045A KR102520000B1 KR 102520000 B1 KR102520000 B1 KR 102520000B1 KR 1020180096045 A KR1020180096045 A KR 1020180096045A KR 20180096045 A KR20180096045 A KR 20180096045A KR 102520000 B1 KR102520000 B1 KR 10252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power
display device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388A (ko
Inventor
권상구
성낙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0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 영역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을 통해서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브 IC,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 일단이 상기 제1 전원 배선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젤 영역 상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2 전원 배선 및 일단이 상기 제1 전원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로 전달하는 제3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 영역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을 통해서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이 갖는 여러 가지 성질 가운데 전압을 가하면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2장의 얇은 유리 기판 및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담긴 액정을 포함하며, 전압을 가하여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을 바꾸어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킴으로써 정보를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얇은 판으로 만들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적어 휴대용 컴퓨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가스 튜브를 배열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가스 튜브에는 네온이나 아르곤이 주입되며, 이 튜브에 연결된 전극으로 전압을 가해 플라즈마 현상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발생한 자외선을 3원색에 해당하는 형광층에 통과시켜 가시광선으로 변환, 컬러 화면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인 OLED를 이용한 표시 장치로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해서는 표시 장치 내부의 각 소자 또는 부품의 구동을 위한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야 한다. 전원 전압의 공급을 위해서, 표시 장치의 내부에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이 형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전원 전압의 공급을 위한 새로운 전원 배선의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표시 장치에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원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스 PCB(Source Printed Circuit Board)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없어도 전원 전압의 공급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 배선이 형성된 베젤 영역의 파손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브 IC,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 일단이 상기 제1 전원 배선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젤 영역 상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2 전원 배선 및 일단이 상기 제2 전원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로 전달하는 제3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는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상기 제3 전원 배선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 제1 소스 드라이브 IC 및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상기 공통 배선, 상기 제3 전원 배선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 제2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제1 소스 기판, 일단이 상기 제1 소스 기판과 연결되며 타단이 컨트롤 기판과 연결되는 제1 소스 PCB 및 일단이 상기 컨트롤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가 실장되는 컨트롤 PCB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제2 소스 기판, 일단이 상기 제2 소스 기판과 연결되는 제2 소스 PCB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소스 기판 및 일단이 상기 소스 기판과 연결되는 소스 PCB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제2 전원 배선의 일단이 상기 소스 PCB 상에서 서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전압은 상기 공통 배선을 통해서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 각각에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공통 배선 또는 상기 제3 배선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전원 배선 또는 상기 공통 배선으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받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공통 배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수신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공통 배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공통 배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젤 영역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 표시 장치에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원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스 PCB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없어도 전원 전압의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공통 배선이 형성된 베젤 영역의 파손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2개의 소스 PCB 사이의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표시 장치의 2개의 소스 PCB 사이의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2개의 소스 PCB 사이의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영역(140)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소스 기판(14a 내지 14h), 소스 PCB(Source Printed Circuit Board)(12a 내지 12d), 컨트롤 기판(11a, 11b), 컨트롤 PCB(Control Printed Circuit Board)(1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소스 PCB(12a 내지 12d)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13a 내지 13h))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데이터 전압에 따라서 특정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각각의 픽셀은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와 연결되며,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IC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서 각각의 픽셀과 연결되며, 게이트 라인을 통해서 게이트 신호를 각 픽셀에 공급한다. 게이트 신호가 각 픽셀에 인가됨에 따라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전압이 각 픽셀로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기판(14a 내지 14h) 상에는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가 실장된다. 소스 기판(14a 내지 14h)과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가 TCP(Tape Carrier Package) 형태로 구현될 경우 소스 기판(14a 내지 14h)은 캐리어 테이프(Carrier Tape)일 수 있다. 한편, 소스 기판(14a 내지 14h)과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가 COF(Chip On Film) 형태로 구현될 경우 소스 기판(14a 내지 14h)은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소스 기판(14a 내지 14h)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료 및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는 전원부(10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타이밍 제어부(10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100)의 각 픽셀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는 제1 소스 드라이버 IC(13c, 13d, 13e, 13f) 및 제2 소스 드라이버 IC(13a, 13b, 13g, 13h)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소스 드라이버 IC(13c, 13d, 13e, 13f)는 제1 소스 PCB(12b, 12c)와 연결되는 제1 소스 기판(14c, 14d, 14e, 14f)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의미하고, 제2 소스 드라이버 IC(13a, 13b, 13g, 13h)는 제2 소스 PCB(12a, 12d)와 연결되는 제2 소스 기판(14a, 14b, 14g, 14h)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의미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소스 기판(14a 내지 14h)의 일단은 표시 패널(100)과 연결되고, 소스 기판(14a 내지 14h)의 타단은 소스 PCB(12a 내지 12d)의 일단과 연결된다.
소스 PCB(12a 내지 12d)는 제1 소스 PCB(12b, 12c) 및 제2 소스 PCB(12a, 12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소스 PCB(12b, 12c)는 컨트롤 기판(11a, 11b)과 연결되는 소스 PCB를 의미하고, 제2 소스 PCB(12a, 12d)는 컨트롤 기판(11a, 11b)과 연결되지 않는 소스 PCB를 의미한다.
컨트롤 기판(11a, 11b)의 일단은 제1 소스 PCB(12b, 12c)의 타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컨트롤 기판(11a, 11b)의 타단은 컨트롤 PCB(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컨트롤 PCB(1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102) 및 전원부(104)가 각각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102) 및 전원부(104)는 각각 IC 형태로 구현되어 컨트롤 PCB(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PCB(10) 상에는 커넥터(106a, 106b)가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102)는 커넥터(106a, 106b)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장치(예컨대, 셋탑 박스 또는 그래픽 카드 등)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 및 다수의 타이밍 신호(예컨대,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수평동기신호(HSY), 수직동기신호(VSY),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예컨대, 소스스타트펄스신호(SSP), 소스샘플링클럭신호(SSC), 소스출력인에이블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감마기준신호(GAMMA), 패널인터페이스신호(EPI)), 다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예컨대, 게이트스타트펄스신호(GSP), 게이트쉬프트클럭신호(GSC), 게이트출력인에이블신호(GOE)), 데이터 전압을 각각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02)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와 연결되며,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다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02)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다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부(104)는 커넥터(106a, 106b)를 통하여 외부 전원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기초로 표시 장치(1)의 구동에 필요한 다수의 전원 전압(예컨대, 전원전압(VDD), 기저전압(VSS), 공통전압(VCOM), 게이트하이전압(VGH),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생성한다.
전원부(104)는 다수의 전원 배선을 통해서 전원 전압을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04)는 제1 전원 배선(120a, 120b), 제2 전원 배선(122a, 122b),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을 통해서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에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의 일단은 전원부(104)와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은 컨트롤 PCB(10), 컨트롤 기판(11a, 11b), 제1 소스 PCB(12b, 12c)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소스 PCB(12b, 12c) 상에 위치하는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의 타단은 제2 전원 배선(122a, 122b)과 연결된다.
한편, 제1 소스 PCB(12b)와 제2 소스 PCB(12a), 그리고 제1 소스 PCB(12c)와 제2 소스 PCB(12d) 사이에는 각각 연장 케이블(15b, 15c)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소스 PCB들 사이에는 각각 연장 케이블(15a, 15d)이 연결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제2 소스 PCB(12a, 12d)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소스 PCB(12a, 12d)의 일측에는 각각 추가적인 제2 소스 PC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스 PCB(12b, 12c)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원 배선(122a, 122b)은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을 통해서 각각 제2 소스 PCB(12a, 12d)로 연장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의 일단은 제2 전원 배선(122a, 122b)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의 타단은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와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표시 장치(1)에서 전원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로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은 컨트롤 기판(11a, 11b) 상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을 거쳐서 제1 소스 PCB(12b, 12c)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원 배선(122a, 122b)으로 전달된다.
제2 전원 배선(122a, 122b)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2 전원 배선(122a, 122b)과 연결되는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으로 전달된다.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3 전원 배선(124a 내지 124h)과 각각 연결되는 소스 드라이버 IC(13a 내지 13h)로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1 소스 PCB(12b, 12c)는 컨트롤 기판(11a, 11b)을 통해서 컨트롤 PCB(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만, 제2 소스 PCB(12a, 12d)는 컨트롤 PCB(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은 컨트롤 기판(11a, 11b)을 거쳐서 제1 소스 PCB(12b, 12c)에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소스 PCB(12a, 12d)에는 연결될 수 없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1 전원 배선(120a, 120b)은 제1 소스 PCB(12b, 12c)에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소스 PCB(12a, 12d)에는 제1 소스 PCB(12b, 12c)에 형성된 제2 전원 배선(122a, 122b)이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1)에는 제1 소스 PCB(12b, 12c)과 제2 소스 PCB(12a, 12d) 사이, 또는 제2 소스 PCB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소스 PCB들 사이의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을 통해 제2 전원 배선(122a, 122b)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소스 PCB 상에 전원 배선의 연결을 위한 핀이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 PCB(12c) 및 제2 소스 PCB(12d) 상에는 각각 연결 케이블(15c)을 통해서 연장되는 제2 전원 배선(122b)의 연결을 위한 핀(150f, 150g)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표시 장치(1)의 문제점, 즉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 및 제2 전원 배선의 연결을 위해 각 소스 PCB 상에 형성되는 핀(150f, 150g)을 구비하지 않아도 모든 소스 드라이버 IC에 대한 전원 전압 공급이 가능한 새로운 전원 배선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전원 배선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도 3에 표시된 표시 장치의 2개의 소스 PCB 사이의 전원 배선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표시 패널(300), 소스 기판(34a 내지 34h), 소스 PCB(32a 내지 32d), 컨트롤 기판(31a, 31b), 컨트롤 PCB(3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은 소스 PCB(32a 내지 32d)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데이터 전압에 따라서 특정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각각의 픽셀은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와 연결되며,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3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IC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서 각각의 픽셀과 연결되며, 게이트 라인을 통해서 게이트 신호를 각 픽셀에 공급한다. 게이트 신호가 각 픽셀에 인가됨에 따라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전압이 각 픽셀로 인가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300)은 베젤 영역(Bezel Area, BA) 및 액티브 영역(Active Area, A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은 전술한 다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데이터 전압의 공급에 따라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베젤 영역(B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영역(BA) 상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통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 배선(360)이 형성된다.
각각의 소스 기판(34a 내지 34h) 상에는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가 실장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소스 기판(34a 내지 34h)은 캐리어 테이프 또는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소스 기판(34a 내지 34h)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료 및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는 전원부(30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타이밍 제어부(30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300)의 각 픽셀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는 제1 소스 드라이버 IC(33c, 33d, 33e, 33f) 및 제2 소스 드라이버 IC(33a, 33b, 33g, 33h)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소스 드라이버 IC(33c, 33d, 33e, 33f)는 제1 소스 PCB(32b, 32c)와 연결되는 제1 소스 기판(34c, 34d, 34e, 34f)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의미하고, 제2 소스 드라이버 IC(33a, 33b, 33g, 33h)는 제2 소스 PCB(32a, 32d)와 연결되는 제2 소스 기판(34a, 34b, 34g, 34h) 상에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의미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소스 기판(34a 내지 34h)의 일단은 표시 패널(300)과 연결되고, 소스 기판(34a 내지 34h)의 타단은 소스 PCB(32a 내지 32d)의 일단과 연결된다.
소스 PCB(32a 내지 32d)는 제1 소스 PCB(32b, 32c) 및 제2 소스 PCB(32a, 32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소스 PCB(32b, 32c)는 컨트롤 기판(31a, 31b)과 연결되는 소스 PCB를 의미하고, 제2 소스 PCB(32a, 32d)는 컨트롤 기판(31a, 31b)과 연결되지 않는 소스 PCB를 의미한다.
컨트롤 기판(31a, 31b)의 일단은 제1 소스 PCB(32b, 32c)의 타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컨트롤 기판(31a, 31b)의 타단은 컨트롤 PCB(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컨트롤 PCB(3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302) 및 전원부(304)가 각각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302) 및 전원부(304)는 각각 IC 형태로 구현되어 컨트롤 PCB(3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PCB(30) 상에는 커넥터(306a, 306b)가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302)는 커넥터(306a, 306b)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장치(예컨대, 셋탑 박스 또는 그래픽 카드 등)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 및 다수의 타이밍 신호(예컨대,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수평동기신호(HSY), 수직동기신호(VSY),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예컨대, 소스스타트펄스신호(SSP), 소스샘플링클럭신호(SSC), 소스출력인에이블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감마기준신호(GAMMA), 패널인터페이스신호(EPI)), 다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예컨대, 게이트스타트펄스신호(GSP), 게이트쉬프트클럭신호(GSC), 게이트출력인에이블신호(GOE)), 데이터 전압을 각각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302)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와 연결되며,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다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배선(미도시)은 후술하는 전원 배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302)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와 연결되며, 게이트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다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부(304)는 커넥터(306a, 306b)를 통하여 외부 전원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기초로 표시 장치(3)의 구동에 필요한 다수의 전원 전압(예컨대, 전원전압(VDD), 기저전압(VSS), 공통전압(VCOM), 게이트하이전압(VGH),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생성한다.
전원부(304)는 다수의 전원 배선을 통해서 전원 전압을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부(304)는 제1 전원 배선(320a, 320b), 제2 전원 배선(322a, 322b), 제3 전원 배선(324a 내지 324h)을 통해서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의 일단은 전원부(304)와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은 컨트롤 PCB(30), 컨트롤 기판(31a, 31b), 제1 소스 PCB(32b, 32c)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소스 PCB(32b, 32c) 상에 위치하는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의 타단은 제1 소스 PCB(32b, 32c)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전원 배선(322a 내지 322h)의 일단은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의 타단과 연결되거나, 다른 제2 전원 배선의 일단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소스 PCB(32b, 32c)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의 일단은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소스 PCB(32a, 32d) 상에 위치하는 제2 전원 배선(322a, 322b, 322g, 322h)의 일단은 다른 제2 전원 배선(322a, 322b, 322g, 322h)의 일단과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전원 배선(322a 내지 322h)의 타단은 공통 배선(360)과 연결된다.
제3 전원 배선(324a 내지 324h)의 일단은 제2 전원 배선(322a 내지 322h)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3 전원 배선(324a 내지 324h)의 타단은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와 연결된다.
도 1 및 도 3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종래의 표시 장치(1)에서 소스 PCB들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을 구비하지 않으며,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 없이도 모든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에서 전원부(30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로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부(30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은 컨트롤 기판(31a, 31b) 상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배선(320a, 320b)을 거쳐서 제1 소스 PCB(32b, 32c) 상에 형성되는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으로 전달된다.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과 연결되는 제3 전원 배선(324c, 324d, 324e, 324f)으로 전달된다. 제3 전원 배선(324c, 324d, 324e, 324f)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3 전원 배선(324c, 324d, 324e, 324f)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소스 드라이버 IC(33c, 33d, 33e, 33f)로 공급된다.
한편,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2 전원 배선(322c, 322d, 322e, 322f)의 타단과 연결되는 공통 배선(360)으로 전달된다.
공통 배선(360)으로 전달되는 전원 전압은 공통 배선(360)과 연결되는 제2 전원 배선(322a, 322b, 322g, 322h)으로 전달된다. 제2 전원 배선(322a, 322b, 322g, 322h)에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2 전원 배선(322a, 322b, 322g, 322h)과 연결된 제3 전원 배선(324a, 324b, 324g, 324h)으로 전달된다. 제3 전원 배선(324a, 324b, 324g, 324h)으로 전달된 전원 전압은 제3 전원 배선(324a, 324b, 324g, 324h)과 각각 연결되는 제2 소스 드라이버 IC(33a, 33b, 33g, 33h)로 공급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에서 전원부(30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은 베젤 영역(BA)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360)을 통해서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 및 전원 전압 전달 경로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종래의 표시 장치(1)에서 소스 PCB들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을 구비하지 않으며,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 없이도 모든 소스 드라이버 IC(33a 내지 33h)에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 뿐만 아니라 종래 소스 PCB 상에 형성되던 핀(150f, 150g)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결 케이블(15a 내지 15d) 및 핀(150f, 150g)이 생략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종래에 비해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PCB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연결 케이블 및 핀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대면적의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종래에 비해 제조 비용 및 시간 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302)는 앞서 설명된 전원부(304)에 의한 전원 전압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공통 배선(360)의 단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300)에 연결되는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는 공통 배선(360)을 통해서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302)가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 이후 임의의 소스 드라이브 IC가 구동되지 않는다는 것은 공통 배선(360)의 단선으로 인하여 해당 소스 드라이브 IC에 전원 전압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302)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 이후 구동되지 않는 소스 드라이브 IC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공통 배선(360)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공통 배선(360)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밍 제어부(302)는 공통 배선(360)이 형성된 베젤 영역(BA)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에 전원 전압이 공급된 이후,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가 각각의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의 정상 구동 여부를 나타내는 구동 확인 신호를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타이밍 제어부(302)로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302)는 전원 전압 공급 이후 임의의 소스 드라이브 IC로부터 구동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소스 드라이브 IC가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이밍 제어부(302) 및 소스 드라이브 IC(33a 내지 33h) 사이에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원 배선과 동일한 방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의 구동 여부를 통해 공통 배선(360)에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밍 제어부(302)는 표시 패널(300)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302)는 공통 배선(360)의 단선을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를 표시 패널(300)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배선(360)의 단선 여부 또는 베젤 영역(BA)에 발생한 물리적인 손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1)

  1.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브 IC;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
    일단이 상기 제1 전원 배선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젤 영역 상에 형성되는 공통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2 전원 배선; 및
    일단이 상기 제2 전원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로 전달하는 제3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는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상기 제3 전원 배선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 제1 소스 드라이브 IC; 및
    상기 제1 전원 배선, 상기 제2 전원 배선, 상기 공통 배선, 상기 제3 전원 배선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 제2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제1 소스 기판;
    일단이 상기 제1 소스 기판과 연결되며 타단이 컨트롤 기판과 연결되는 제1 소스 PCB; 및
    일단이 상기 컨트롤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가 실장되는 컨트롤 PCB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제2 소스 기판;
    일단이 상기 제2 소스 기판과 연결되는 제2 소스 PCB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가 실장되며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소스 기판; 및
    일단이 상기 소스 기판과 연결되는 소스 PCB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제2 전원 배선의 일단이 상기 소스 PCB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은
    상기 공통 배선을 통해서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 각각에 전달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공통 배선 또는 상기 제3 전원 배선으로 전달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전원 배선 또는 상기 공통 배선으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받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공통 배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수신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공통 배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공통 배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젤 영역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6045A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KR10252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45A KR102520000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45A KR102520000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88A KR20200020388A (ko) 2020-02-26
KR102520000B1 true KR102520000B1 (ko) 2023-04-07

Family

ID=6963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045A KR102520000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0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726A (ko) * 2004-12-30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60080039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68554B1 (ko) * 2008-07-24 2010-07-0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패널용 lcm
KR101664967B1 (ko) * 2010-06-03 2016-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제조방법
KR101761407B1 (ko) * 2010-10-21 2017-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253685B1 (ko) * 2015-01-30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88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2728B2 (en) Display panel and crack detect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US95200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lm cable
KR101886305B1 (ko) 엘오지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046420A (ko) Oled 표시패널 및 oled 표시장치
KR102594393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200211445A1 (en) Data driver including noise shielding line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1235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32440B2 (en) Display device
KR20130000960A (ko) 검사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평판표시장치
US73622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10043508A1 (en) Signal Transmission Line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Wiring the Same
KR101861609B1 (ko)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리페어 방법
KR20170028000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20000B1 (ko) 표시 장치
KR102127974B1 (ko) 표시장치
US10741516B2 (en) Drive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25392A (ko) 칩온필름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339652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8851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120723B2 (en) Display panel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64467B1 (ko) 표시 장치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210033732A (ko) 표시장치와 그 불량 감지 방법
KR102503746B1 (ko) 표시장치
KR102323773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