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57B1 -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57B1
KR102519857B1 KR1020210080995A KR20210080995A KR102519857B1 KR 102519857 B1 KR102519857 B1 KR 102519857B1 KR 1020210080995 A KR1020210080995 A KR 1020210080995A KR 20210080995 A KR20210080995 A KR 20210080995A KR 102519857 B1 KR102519857 B1 KR 10251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ute wall
belt conveyor
disposed
skir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217A (ko
Inventor
최환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21008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8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와의 비접촉식 스커트 장치로 벨트 위 원료적재 시 원료 비산을 방지하는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상면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로, 벨트의 이송 방향 따라서 배치되며, 벨트와 함께 이송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슈트 벽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슈트 벽에 연결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Skirting Device for belt conveyer and belt conveyer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원료 등 입상 혹은 분말상의 이송물을 운반하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원료의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원하는 위치 또는 장소로 운반되게 된다.
분말 또는 입상의 이송물들은 컨베이어 벨트의 특성에 의해서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특히, 활송 장치(슈트, chute)를 통해 원료가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될 때, 떨어지는 원료에 의해서 비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시 낙하나 비산을 막기 위해서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탈을 막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을 스커트라고 한다.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커트의 말단부는 컨베이어 벨트에 접하는 고무 재질의 방지판이 설치되었는데, 이동하는 벨트와의 마모, 형상과의 부정합으로 원료가 비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 1 에는 종래의 스커트 장치(30)가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1)가 도시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1)는 벨트(B)와 벨트(B)를 지지하는 롤러(11, 12)를 포함하며, 롤러(11, 12)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 롤러(12)와 상기 경사 롤러(12)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롤러(11)가 한 세트로 벨트(B)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세트가 배치되며, 벨트(B)는 이러한 롤러 상에서 원료 등의 이송물(M)이 실린 상태에서 이송된다.
경사 롤러(12)의 상면에는 슈트 벽(20)이 배치되며, 슈트 벽(20)의 내측에는 이송물(M)로 인한 슈트 벽(2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웨어 플레이트(wear plate; 20)가 배치되며, 슈트 벽(20)의 외측에는 이송물(M)의 비산을 막기 위한 스커트(40)가 배치된다. 이러한 스커트(40)는 고무 재질로 벨트(B)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밀폐를 시키는데, 사용에 의해서 벨트(B)와의 마모가 발생되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설치가 잘못되거나 형상이 잘못되는 경우에 벨트(B)와의 간극이 발생하여 원료 등의 이송물(M)이 비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 컨베이어와의 비접촉식 스커트 장치로 벨트 위 원료적재 시 원료 비산을 방지하는 스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스커트 장치 및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상면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로, 벨트의 이송 방향 따라서 배치되며, 벨트와 함께 이송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슈트 벽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슈트 벽에 연결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커팅 장치는 상기 제 2 부분과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은 꺽어져 연결되며, 상기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은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베인 하면으로부터 상기 벨트와의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와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 사이가 절곡되고, 제 2 부분과 제 3 부분 상면이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부분의 단면형상은 V 자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의 간격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 쪽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벨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벨트; 상기 벨트의 아래에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벨트 상부에서, 이송물을 둘러싸는 슈트 벽; 상기 슈트 벽에 연결되는 상술한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롤러와 상기 중앙 롤러 바깥쪽에서 경사진 경사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벨트는 가장자리가 중앙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스커팅 장치는 상기 경사 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슈트 벽 내부의 하부에는 상기 슈트 벽을 보호하는 웨어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스커팅 장치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벨트 사이 간격은 상기 웨어 플레이트와 상기 벨트 사이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커트 장치 및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와의 비접촉식 스커트 장치로 벨트 위 원료적재 시 원료 비산을 방지하는 스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커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스커트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가이드 베인이 보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2 에는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단면도가, 도 3 에는 도 2 의 스커트 장치 부분의 확대도가, 도 4 에는 평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는 벨트(B); 벨트(B)를 지지하는 롤러(11, 12)를 포함하며, 롤러(11, 12)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 롤러(12)와 상기 경사 롤러(12)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롤러(11)가 한 세트로 벨트(B)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세트가 배치되며, 벨트(B)는 이러한 롤러 상에서 원료 등의 이송물(M)이 실린 상태에서 이송된다.
상기 경사 롤러(12)의 상부에는 상기 벨트(B)에 실린 이송물(M)의 비산을 방지하며, 이송물(M)이 공급되기 위한 슈트 벽(20)이 배치된다. 슈트 벽(20)은 이송물(M)을 둘러싸도록 상기 경사 롤러(12) 상부인 좌, 우측 뿐만 아니라, 벨트(B) 전단부 및 후단부에 배치된다.
슈트 벽(20)의 내측, 즉, 이송물(M)이 배치되는 공간 쪽 하부에는 상기 슈트 벽(20)이 이송물(M)에 의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어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이때, 웨어 플레이트(30)는 판형으로 슈트 벽(20)을 따라서 배치되며, 벨트(B)와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웨어 플레이트(30)는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송물(M)에 의해 비교적 큰 입자가 스커팅 장치(50)로 가는 것을 막아서 스커팅 장치(50) 및 가이드 베인(55)을 보호한다.
슈트 벽(20)의 외측, 즉 바깥쪽에는 슈트 벽(20)과 벨트(B) 사이의 틈으로 인하여 이송물(M)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커팅 장치(50)가 배치된다.
스커팅 장치(50)는 도 3 에 확대도가 개시되어 있듯이, 슈트 벽(20)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 1 부분(51)과 상기 제 1 부분(51)으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 2 부분(52) 및 제 3 부분(53)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부분(51)과 제 3 부분(53)은 간격 조절 수단(56)에 의해서 연결되어 제 1 내지 제 3 부분(51, 52, 53)과 상기 간격 조절 수단(56)에 의해서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제 1 부분(51)은 슈트 벽(20)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단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부분(52)은 상기 벨트(B)로부터 일정 간격(G)으로 이격되며 상기 벨트(B)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간격(G)을 통하여 슈트 벽 외부의 공기가 슈트 벽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2 부분(52)과 상기 벨트(B) 사이 간격(G)은 상기 웨어 플레이트(40)와 상기 벨트(B) 사이 간격보다 작다
제 3 부분(53)은 제 2 부분(52)과 제 1 부분(51)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부분(5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제 3 부분(53)의 상면은 제 2 부분(52)의 상면과 동일 높이로 연장되나, 제 3 부분(53)의 하면은 제 2 부분(52)의 하면보다 높게, 즉, 제 3 부분(53)과 벨트의 간격은 제 2 부분(52)의 하면과 벨트(B) 사이의 간격(G)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런 제 3 부분(53)은 하면에 가이드 베인(55)이 형성된다. 가이드 베인(55)의 하면은 상기 제 2 부분(52)의 하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에서 보이듯이, 가이드 베인(55)은 벨트(B)의 진행 방향, 즉, 이송물(M)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진행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가이드 베인(55)은 제 3 부분(53)의 하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슈트 벽(20) 내부 공간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B)가 구동하면서 유동장이 발생한다. 이러한 내부 유동장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외부 대기압에 비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즉, 슈트 벽(20) 내부 공간에 음압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팅 장치(50)의 제 2 부분(52)은 벨트(B)와 일정 간격(G)으로 이격되며, 해당 간격 외에는 슈트 벽(20) 내부 공간과 외부 대기가 통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기 간격(G)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52)과 상기 벨트(B)의 간격은 이격되어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슈트 벽(20) 내부 공간의 분진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 1 부분(51)의 단부와 제 2 부분(52)의 단부에는 간격 조절 수단(56)이 배치된다. 간결 조절 수단(56)은 제 1 부분(51)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56c), 제 2 부분(5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56b) 및 상기 제 1 부분(51)의 단부(51)에 연결된 연결부(56c)에 구비되는 너트(56d) 및 상기 제 2 연결부(56b)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 1 부분(56c)에 구비된 너트(56d)에 체결되는 볼트(56a)를 포함한다.
간격 조절 수단(55)는 도 5 의 사시도에서 보이듯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볼트(56a)을 회전 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부분(51)과 상기 제 2 부분(5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제 1 부분(51)은 슈트 벽(2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부분(52)과 벨트(B) 사이의 간격(G)이 조절된다.
따라서,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55)을 통하여 스커팅 장치의 에어 갭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며, 간격 조절 수단(55)의 벨트 컨베이어(1)의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벨트 컨베이어 20: 슈트 벽
40: 웨어 플레이트 50: 스커팅 장치
51: 제 1 부분 52: 제 2 부분
53: 제 3 부분 55: 가이드 베인
56: 간격 조절 수단 B: 벨트
G: 간격

Claims (7)

  1. 삭제
  2.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상면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로,
    벨트의 이송 방향 따라서 배치되며, 벨트와 함께 이송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슈트 벽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슈트 벽에 연결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간격을 통하여 슈트 벽 외부의 공기가 슈트 벽 내부로 유입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은 꺽어져 연결되며,
    상기 제 2 부분과 제 1 부분은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 하면으로부터 상기 벨트와의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와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 사이가 절곡되고, 제 2 부분과 제 3 부분 상면이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부분의 단면형상은 V 자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벨트의 간격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 쪽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벨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6. 벨트;
    상기 벨트의 아래에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벨트 상부에서, 이송물을 둘러싸는 슈트 벽;
    상기 슈트 벽에 연결되는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롤러와 상기 중앙 롤러 바깥쪽에서 경사진 경사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벨트는 가장자리가 중앙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스커팅 장치는 상기 경사 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벽 내부의 하부에는 상기 슈트 벽을 보호하는 웨어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스커팅 장치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벨트 사이 간격은 상기 웨어 플레이트와 상기 벨트 사이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KR1020210080995A 2021-06-22 2021-06-22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KR10251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95A KR102519857B1 (ko) 2021-06-22 2021-06-22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95A KR102519857B1 (ko) 2021-06-22 2021-06-22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217A KR20220170217A (ko) 2022-12-29
KR102519857B1 true KR102519857B1 (ko) 2023-04-11

Family

ID=8453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995A KR102519857B1 (ko) 2021-06-22 2021-06-22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37B1 (ko) 2012-07-12 2013-01-17 주식회사 케이이씨 홈 구조를 갖는 벨트 스커트
JP2015224089A (ja) 2014-05-26 2015-1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
KR101797362B1 (ko) * 2016-05-30 2017-11-14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석 이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814U (ja) * 1984-02-15 1985-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
JPH08319018A (ja) * 1995-05-25 1996-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JPH10152214A (ja) * 1996-09-27 1998-06-09 Kureha Elastomer Kk 供給ホッパーのシーリングスカ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37B1 (ko) 2012-07-12 2013-01-17 주식회사 케이이씨 홈 구조를 갖는 벨트 스커트
JP2015224089A (ja) 2014-05-26 2015-1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
KR101797362B1 (ko) * 2016-05-30 2017-11-14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석 이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217A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0405A (en) Conveyor apparatus
US9630779B2 (en) Cleated belt conveyor
KR1025198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JP2015224089A (ja) ベルトコンベア
CN110466944A (zh) 吊挂式带式输送机
KR101347321B1 (ko) 석탄하역기용 버켓 가이드 롤러
KR101265271B1 (ko) 석탄하역기용 버켓 체인 가이드 롤러
KR101217892B1 (ko)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KR101680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트 장치
US9409713B2 (en) Bulk material conveyor belt loading zone and method of loading a bulk material conveyor belt
JP7323776B2 (ja) ベルトコンベア乗継装置
KR102411127B1 (ko)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US20070163606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compacting comminuted materials
US10155624B1 (en) Magnetic seal for conveyor belt assembly
JP2902322B2 (ja) ベルトコンベア乗継部の搬送物落下防止支持装置
US3540569A (en) Bucket elevator hopper
KR10155591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용 임팩트 바 베드 장치
CZ20031457A3 (cs) Nosné vedení válečků pro pásový dopravní systém
KR101542108B1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JP2012020810A (ja) ベルトコンベヤ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KR101564376B1 (ko) 석탄 취급 설비의 슈트 하부 사이드 커버부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 웨어 라이너
JP3424384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KR20150106072A (ko) .슈트용 라이너
US1510051A (en) Belt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