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892B1 -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892B1
KR101217892B1 KR1020120069500A KR20120069500A KR101217892B1 KR 101217892 B1 KR101217892 B1 KR 101217892B1 KR 1020120069500 A KR1020120069500 A KR 1020120069500A KR 20120069500 A KR20120069500 A KR 20120069500A KR 101217892 B1 KR101217892 B1 KR 101217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belt
space
seal cover
typ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12006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65G69/183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with co-operating closure members on each of the parts of a separable transfer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7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non-return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중인 운송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양 측면에 위치하는 슈트 벽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각의 슈트 벽에 체결되는 마주하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벨트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 벽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의 일체로 연장되는 하단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외측에서 볼트 체결부를 통해 체결되는 외측 커버; 및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사이에 체결되고, 저면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벨트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스커트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하는 운송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저면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일자형 벨트 스커트 구조와 달리 아치 형태의 구조로 벨트 스커트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하는 운송물의 낙광을 방지함은 물론, 운송물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뒤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스커트의 저면부가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벨트 스커트의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스커트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가 자중식으로 하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는 벨트 스커트가 항상 일정한 압으로 컨베이어 벨트와 접하고, 향상된 실링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A BELT SKIRT APPARATUS OF SPACE FORM OF SELF-WEIGH TYPE}
본 발명은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시에 슈트 벽의 밖으로 운송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설치되는 벨트 스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일자형 벨트 스커트와 달리 아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하는 운송물에 의해 벨트 스커트가 뒤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벨트 스커트의 저면부가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향상된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석탄 원료를 취급하는 화력 발전소,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시멘트 제조 공장, 제철소, 및 화학플랜트 등에 공급되는 원료 광물은 입상 혹은 분말 상태로 많은 양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료 광물은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원료 광물의 다양성과 컨베이어 벨트의 특성상 이송되는 원료 광물은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슈트 벽을 넘어 낙광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 광물의 낙하나 비산을 막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으로 스커트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스커트 장치는,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양측에 판상 구조의 스커트를 내려주어 막아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스커트 장치는, 이송되는 원료 광물이 무수히 스커트 외부로 유출이 되면서 주변 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단순한 차단 형태의 스커트 장치에 대한 보완의 일 형태로 국내특허등록 제10-0671179호(낙광방지용 벨트 스커트), 국내특허등록 제10-0671178호(낙광방지용 벨트 스커트) 등이 개시되어 실링 효과를 얻도록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에 의하여 어느 정도 차단 효과는 상승하였지만, 벨트 스커트의 구조가 컨베이어 벨트에 수직의 일자형으로 밀착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사용 중 벨트 스커트가 편마모 되어 버리면 그 편마모된 일부에서 분진이 새어 나올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은 아직 교체시기가 아니라 하여도 벨트 스커트 고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되는 부분이 벨트 스커트의 일자형으로 세워지는 부분으로 작기 때문에 제한적인 실링 효과만이 제공되고, 또한 운송물의 이동 중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벨트 스커트가 뒤로 밀리거나 쉽게 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만족할만한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일자형 벨트 스커트 구조와 달리 아치 형태의 구조로 벨트 스커트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하는 운송물의 낙광을 방지함은 물론, 운송물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뒤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스커트의 저면부가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벨트 스커트의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 스커트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가 자중식으로 하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는 벨트 스커트가 항상 일정한 압으로 컨베이어 벨트와 접하고, 향상된 실링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운전 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중인 운송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양 측면에 위치하는 슈트 벽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각의 슈트 벽에 체결되는 마주하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벨트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 벽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의 일체로 연장되는 하단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외측에서 볼트 체결부를 통해 체결되는 외측 커버; 및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와 상기 외측 커버의 사이에 체결되고, 저면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벨트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스커트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하는 운송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저면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는,
상기 슈트 벽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장하는 하단이 수평으로 1차 절곡되고, 이어 1차 절곡된 수평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는 수직으로 2차 절곡되는 아치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트 벽과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은,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수직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와, 상기 T자형의 가이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슈트 벽에 형성된 슈트 벽 가이드를 수직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우는 체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트 벽과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은,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수직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벽에 스터드(STUD) 용접된 볼트들이 상기 장공에 삽입되고 너트의 조임으로 체결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 외측 커버, 및 벨트 스커트의 체결 구성은,
전체 형상이 아치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더 형성함으로써, 운송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운송물의 처리가 자유롭고 실링 효과가 향상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스커트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스커트는,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골을 더 형성함으로써, 벨트 스커트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송물이 끼더라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안으로 흡수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는,
상기 벨트 스커트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으로 하강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의 실링 효과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일자형 벨트 스커트 구조와 달리 아치 형태의 구조로 벨트 스커트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하는 운송물의 낙광을 방지함은 물론, 운송물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뒤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스커트의 저면부가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벨트 스커트의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스커트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가 자중식으로 하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되는 벨트 스커트가 항상 일정한 압으로 컨베이어 벨트와 접하고, 향상된 실링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일 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일 측면 구성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운송물이 이동 중인 상태를 보인 일 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다른 일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운전 시에 컨베이어 벨트(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중인 운송물이 컨베이어 벨트(10) 양 측면에 위치하는 슈트 벽(20)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각의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마주하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벨트 스커트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기존의 일자형 제품으로 구성되는 벨트 스커트와 달리 전체적인 형상을 아치 형태로 구성하고 양 사이드에 공간을 둠으로써, 기존의 일자형의 스커트가 뒤로 밀리거나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후술할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 및 벨트 스커트(130)의 체결 구성을 통해 전체 형상이 아치형으로 구성되고 양 측면에 내부 공간(140)을 더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운송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운송물의 처리가 자유롭고 실링 효과가 향상되며, 컨베이어 벨트(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일 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자중식 공간형 실(seal) 커버(110), 외측 커버(120), 및 벨트 스커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일체로 연장되는 하단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111)와 일체로 연장하는 하단이 수평으로 1차 절곡되고, 이어 1차 절곡된 수평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는 수직으로 2차 절곡되는 아치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슈트 벽(20)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체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112)와, T자형의 가이드(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슈트 벽(20)에 형성된 슈트 벽 가이드(21)를 수직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우는 체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후술하게 될 벨트 스커트(130)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으로 하강되도록 설치 구성됨으로써 벨트 스커트(130)와 컨베이어 벨트(10)와의 실링 효과가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슈트 벽(20)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다른 일례의 체결 방식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과,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슈트 벽(20)에 스터드(STUD) 용접된 볼트(22)들이 장공(113)에 각각 삽입되고 너트(23)의 조임으로 체결 구성될 수도 있다.
외측 커버(120)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외측에서 볼트 체결부(121)를 통해 체결된다. 즉, 외측 커버(120)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2차 절곡되는 곡면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 곡면을 관통하는 홀에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볼트 체결부(121)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게 된다. 이때,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는 체결 부위의 공간으로 벨트 스커트(130)의 상부를 고정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로써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 및 벨트 스커트(130)는 체결된 전체 형상이 굴곡진 형태의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슈트 벽(20)과의 사이에 내부 공간(14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내부 공간(140)으로는 컨베이어 벨트(10)에 실려 이동되는 운송물의 일부가 침투할 수 있으나,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 및 벨트 스커트(130)의 체결에 의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됨은 물론, 운송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운송물의 처리가 자유롭고 실링 효과가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이 컨베이터 벨트(10)의 양 측면 끝단에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컨베이어 벨트(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벨트 스커트(130)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의 사이에 체결되고, 저면부(131)가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벨트 스커트(130)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해 이동하는 운송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저면부(131)가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사선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벨트 스커트(130)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벨트 스커트(130)는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골(132)을 더 형성함으로써, 벨트 스커트(130)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송물이 끼더라도 컨베이어 벨트(10) 안으로 흡수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벨트 스커트(130)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가 벨트 스커트(130)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으로 하강됨에 따라 벨트 스커트(130)는 컨베이어 벨트(10)와 항시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의 일 측면 구성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운송물이 이동 중인 상태를 보인 일 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슈트 벽(20)의 슈트 벽 가이드(21)와 체결될 수 있는 T자형의 가이드(112)를 구성한다. 이때 T자형의 가이드(112)는 수직 플레이트(111)에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슈트 벽(20)의 슈트 벽 가이드(21)의 구성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자중식 공간 형 실 커버(110)와 외측 커버(120)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벨트 스커트(130)는 복수의 사선 골(132)을 형성함으로써, 벨트 스커트(130)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송물이 끼더라도 컨베이어 벨트(10) 안으로 흡수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10)에 실려 이동하는 운송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체결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20)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슈트 벽(20)에 구성되는 슈트 벽 가이드(21)와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에 구성되는 T자형의 가이드(112)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체결되는 분리 상태의 사시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의 슈트 벽 가이드(21)와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T자형의 가이드(112)가 삽입 체결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에서, 슈트 벽과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의 다른 일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는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이 형성되고,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슈트 벽(20)에는 스터드 용접된 볼트(22)가 형성된다. 도 7의 (c)에서는 슈트 벽(20)에 스터드(STUD) 용접된 볼트(22)들이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너트(23)의 조임으로 체결이 완료되는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벨트 20: 슈트 벽(chute wall)
21: 슈트 벽 가이드 22: 볼트(STUD 용접)
23: 너트 110: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
111; 수직 플레이트 112: T자형의 가이드
113: 장공 120: 외측 커버
121: 볼트 체결부 130: 벨트 스커트(belt skirt)
131: 저면부 132: 사선 골
140: 내부 공간

Claims (8)

  1. 컨베이어 벨트(10)의 운전 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중인 운송물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양 측면에 위치하는 슈트 벽(20)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각의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마주하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벨트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일체로 연장되는 하단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외측에서 볼트 체결부(121)를 통해 체결되는 외측 커버(120); 및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와 상기 외측 커버(120)의 사이에 체결되고, 저면부(131)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벨트 스커트(130)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스커트(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해 이동하는 운송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저면부(131)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사선형태로 기울어져 면 접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벨트 스커트(130)는,
    사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골(132)을 더 형성함으로써, 벨트 스커트(130)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송물이 끼더라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안으로 흡수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상기 슈트 벽(20)에 체결되는 수직 플레이트(111)와 일체로 연장하는 하단이 수평으로 1차 절곡되고, 이어 1차 절곡된 수평의 끝단이 하단을 향하는 수직으로 2차 절곡되는 아치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벽(20)과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체결은,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112)와, 상기 T자형의 가이드(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슈트 벽(20)에 형성된 슈트 벽 가이드(21)를 수직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우는 체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벽(20)과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체결은,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의 수직 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형태의 장공(113)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슈트 벽(20)에 스터드(STUD) 용접된 볼트(22)들이 상기 장공(113)에 삽입되고 너트(23)의 조임으로 체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 외측 커버(120), 및 벨트 스커트(130)의 체결 구성은,
    전체 형상이 아치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140)을 더 형성함으로써, 운송물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운송물의 처리가 자유롭고 실링 효과가 향상되며, 컨베이어 벨트(1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스커트(130)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식 공간형 실 커버(110)는,
    상기 벨트 스커트(130)의 마모 상태에 따라 자중식으로 하강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의 실링 효과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KR1020120069500A 2012-06-27 2012-06-27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KR10121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00A KR101217892B1 (ko) 2012-06-27 2012-06-27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00A KR101217892B1 (ko) 2012-06-27 2012-06-27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892B1 true KR101217892B1 (ko) 2013-01-14

Family

ID=478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00A KR101217892B1 (ko) 2012-06-27 2012-06-27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93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1958913B1 (ko) * 2018-10-11 2019-03-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사일로 호퍼의 밀폐장치
KR20210025335A (ko) * 2019-08-27 2021-03-09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WO2023006547A1 (de) * 2021-07-26 2023-02-02 Khs Gmbh Führungsvorrichtung zum seitlichen führen von behältern, behälter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ührung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214A (ja) * 1996-09-27 1998-06-09 Kureha Elastomer Kk 供給ホッパーのシーリングスカート
KR20020063635A (ko) * 2001-01-30 2002-08-05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고무벨트 컨베이어용 고무 스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214A (ja) * 1996-09-27 1998-06-09 Kureha Elastomer Kk 供給ホッパーのシーリングスカート
KR20020063635A (ko) * 2001-01-30 2002-08-05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고무벨트 컨베이어용 고무 스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93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1958913B1 (ko) * 2018-10-11 2019-03-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사일로 호퍼의 밀폐장치
KR20210025335A (ko) * 2019-08-27 2021-03-09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KR102227436B1 (ko) * 2019-08-27 2021-03-12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WO2023006547A1 (de) * 2021-07-26 2023-02-02 Khs Gmbh Führungsvorrichtung zum seitlichen führen von behältern, behälter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ührun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892B1 (ko) 자중식 공간형 벨트 스커트 장치
KR101107773B1 (ko) 컨베이어 이송물의 분진 방지용 커버장치
KR101332026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스커트 장치
JPH1087046A (ja) 砕砂製造設備のベルトコンベヤ
KR10136553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20140066277A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KR101223737B1 (ko) 홈 구조를 갖는 벨트 스커트
KR101265271B1 (ko) 석탄하역기용 버켓 체인 가이드 롤러
JPH08258941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KR101596388B1 (ko) 밀폐형 컨베이어 장치
US9718621B2 (en) Sealing device for a belt transfer location
AU2006200735A1 (en) Wear Protection System
US20070163606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compacting comminuted materials
KR1025198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US2919792A (en) Self-cleaning bootless grain elevator
US10155624B1 (en) Magnetic seal for conveyor belt assembly
KR101564376B1 (ko) 석탄 취급 설비의 슈트 하부 사이드 커버부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 웨어 라이너
AU2013203858B2 (en) Dust protection for hpgr
KR10099952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JP2021155218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KR20180136756A (ko) 일체형 구조를 포함하는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RU2809420C1 (ru) Трубчат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с перегородками
KR20150083349A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US366476A (en) Force-feed for grain-elevators
JP2005298195A (ja) 土砂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