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658B1 - 농업용작업차량 - Google Patents

농업용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658B1
KR102519658B1 KR1020180001508A KR20180001508A KR102519658B1 KR 102519658 B1 KR102519658 B1 KR 102519658B1 KR 1020180001508 A KR1020180001508 A KR 1020180001508A KR 20180001508 A KR20180001508 A KR 20180001508A KR 102519658 B1 KR102519658 B1 KR 102519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uel tank
bolt fastening
sea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721A (ko
Inventor
예준섭
조선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부(300)의 배치를 통해 탑승자의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생산 단가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작업차량(10)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료탱크(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홀더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작업차량{AGRICULTURAL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컵홀더의 배치를 통해 탑승자의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생산 단가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농업용작업차량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음료가 담긴 병, 컵이나 텀블러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농업용작업차량은 도 1과 같이 홈이 구비된 컵홀더(1)를 운전시트(2)의 좌우측에 위치한 펜더(3)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컵홀더(1)를 위와 같이 농업용작업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선 펜더(3)에 별도의 고정 홈이 요구되어 펜더(3)의 생산 난이도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펜더(3)의 중앙에 설치되는 컵홀더(1)로 인하여 컵홀더(1)가 설치되는 펜더(3)에는 탑승자의 승차를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63465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컵이나 병을 고정하는 컵홀더를 펜더가 아닌 연료탱크에 설치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난이도를 줄이고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더에 설치되는 컵홀더를 다른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펜더 상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펜더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료탱크(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200)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301)는 상기 홀더부(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300)는 접촉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10)는 볼트(30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에 대면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301)는 상기 홀더부(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되며, 상기 홀더부(300)는 접촉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10)는 볼트(30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대면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300)는 음료 용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면에 대향하는 일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볼트(301)는 상기 볼트체결공(202)을 통해 상기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는 실링부재(302)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202)이 실링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볼트(301)와 체결되기 위한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200)의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연료탱크(2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컵이나 병을 고정하는 컵홀더를 펜더가 아닌 연료탱크에 설치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난이도를 줄이고 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더에 설치되는 컵홀더를 다른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펜더 상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펜더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에서 사용되는 컵홀더(1)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의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00)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 및 상기 시트 위치 또는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농업용작업차량(10)의 탑승자는 시트부(100)에 착석하고, 시트부(100)의 근처에 위치한 각종 제어기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농업용작업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트제어부는 시트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탑승자는 시트제어부에 연결된 레버 또는 스위치를 통해 시트의 위치 또는 시트가 젖혀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료탱크(200)는 시트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며, 농업용작업차량(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위한 연료가 주입되어 적재될 수 있다. 연료탱크(200)에는 연료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탱크(200)의 크기는 농업용작업차량(10)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연료탱크(200)는 한 쌍의 펜더(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료탱크의 일부 영역에는 홀더부(300)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연료탱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홀더부(300)는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면에 적어도 2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관통하는 2개의 볼트(301)를 이용하여 연료탱크(20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300)는 음료의 휴대를 위한 컵, 병, 또는 텀블러와 같은 용기를 지지하여 외부로 낙하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음료 용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에 위치할 수 도 있고, 필요에 따라 양측 후방 모두에 위치할 수 도 있다.
펜더(400)는 시트부(100)의 양측에 위치하며, 하부주행체(도시되지 않음)의 구성 중 구동륜(도시되지 않음)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펜더(400)는 각각의 펜더(40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41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주행체는 농업용작업차량(10)의 주행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업용작업차량(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륜의 특성상, 펜더(400)는 시트부(100)가 위치한 높이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펜더(4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410)를 통해 탑승자의 탑승과 하차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홀더부(300)가 펜더(400)상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한 쌍의 펜더(400)의 상면에 대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펜더(400)의 여유 공간에 손잡이부(410)를 고정시킴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300)가 시트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시트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연료탱크(200)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탱크(200)는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되는 볼트체결부(201)를 통해 홀더부(300)와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300)는 볼트체결부(201)에 대면하는 면과 적어도 2개의 볼트(301)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접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탱크(200)는 볼트(301)의 체결을 위하여 연료탱크(200)의 다른 영역보다 내벽의 두께가 두꺼운 볼트체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체결부(201)에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공(202)의 내면은 볼트(301)가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30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체결공(202)은 사출을 통해 볼트체결부(201)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300)는 음료의 휴대를 위한 컵, 병, 또는 텀블러와 같은 용기를 농업용작업차량(10)의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하면서 연료탱크(200)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접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0)에는 볼트체결부(201)와 대면하기 위한 면이 형성되며 볼트체결부(201)와 대면하기 위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홀을 통해 적어도 2개의 볼트(301)가 관통될 수 있다.
홀더부(300)와 연료탱크(200)는 접촉부(310)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홀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된 적어도 2개의 볼트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300)가 보다 음료 용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6의 구성 중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또는 효과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달리 볼트(301)가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는 실링부재(302)에 의해 볼트체결공(202)이 실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와 달리 볼트(301)가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여 연료탱크(200) 내부의 연료가 적재되는 영역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302)가 볼트(301)에 체결됨으로써 볼트체결공(202)을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7의 구성 중 도 5 및 도 6과 중복되는 구성 또는 효과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와 달리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된 적어도 2개의 볼트(301)에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너트(303)가 볼트체결부(2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너트(303)는 볼트(301)의 외면 중 일부 영역을 둘러 쌀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303)의 홀의 내면은 볼트(301)가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301) 외면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303)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에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부(201)는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하여 사출되는 인서트 사출의 방식으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1개의 볼트만 사용하여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를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농업용작업차량 100: 시트부
200: 연료탱크 300: 홀더부
400: 펜더

Claims (6)

  1.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료탱크(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탱크(200)에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301)는 상기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여 상기 연료탱크(200) 내부의 연료가 적재되는 영역까지 돌출되면서 실링부재(302)가 체결되어 실링되고,
    상기 볼트(301)는 상기 홀더부(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되며,
    상기 홀더부(300)는 접촉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10)는 볼트(30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대면되는 면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300)는 음료 용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면에 대향하는 일부 영역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볼트(301)와 체결되기 위한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200)의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연료탱크(2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KR1020180001508A 2018-01-05 2018-01-05 농업용작업차량 KR102519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ko) 2018-01-05 2018-01-05 농업용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ko) 2018-01-05 2018-01-05 농업용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21A KR20190083721A (ko) 2019-07-15
KR102519658B1 true KR102519658B1 (ko) 2023-04-07

Family

ID=6725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ko) 2018-01-05 2018-01-05 농업용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627A (ja) * 2001-11-19 2003-05-27 Kubota Corp 草刈り機
JP2003276494A (ja) * 2002-03-22 2003-09-30 Kubota Corp 乗用型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006B1 (ko) 1996-12-23 2000-12-01 포만 제프리 엘 다수의액세스값을기억하고액세스하기위한장치및그복원방법
KR102235780B1 (ko) * 2014-06-18 2021-04-02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펜더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627A (ja) * 2001-11-19 2003-05-27 Kubota Corp 草刈り機
JP2003276494A (ja) * 2002-03-22 2003-09-30 Kubota Corp 乗用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21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211B2 (en) Battery pack
US7578523B2 (en) Four wheeled utility vehicle
US9512809B2 (en) Utility vehicle
US1004048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US7252170B2 (en) Structure for disposing fuel tank for straddle-type vehicle
US8585088B1 (en) Utility vehicle
US9126633B2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room encapsulation
GB2457591A (en) Auxiliary frame for the front axle of a vehicle
US9422008B2 (en) Front cover assembly of utility vehicle
US10640151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hock absorber of suspension device of utility vehicle
US8955909B2 (en) Vehicle
US9056637B2 (en) Cargo bed and vehicle
US8925670B2 (en) Vehicle
KR102519658B1 (ko) 농업용작업차량
JP532675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取付け部構造
US11414039B2 (en) Side airbag device
US11260746B2 (en) Fuel tank assembly for a vehicle
US9108559B1 (en) Utility vehicle
US11485311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00198446A1 (en) Utility vehicle
WO2020066690A1 (ja) 車両のボディ構造
US11993217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198197B2 (ja) サドル型シート
JP7395930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18177058A (ja) 多目的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