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48B1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548B1
KR102519548B1 KR1020170163243A KR20170163243A KR102519548B1 KR 102519548 B1 KR102519548 B1 KR 102519548B1 KR 1020170163243 A KR1020170163243 A KR 1020170163243A KR 20170163243 A KR20170163243 A KR 20170163243A KR 102519548 B1 KR102519548 B1 KR 10251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ormula
compound
organic light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008A (ko
Inventor
백정은
유미상
김춘기
윤경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07D265/34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07D265/38[b, e]-condensed with two 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10Spiro-condensed systems
    • C07D491/107Spir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6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heteroatoms per 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유기 화합물은 지연 형광 특성을 가지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유기 발광층에 이용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Figure 112017119838990-pat00138

Description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COMPOUN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OUNDS}
본 발명은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유기 화합물 및 이를 발광층의 도펀트로 이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면표시소자 중 하나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라고도 불리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물질층에 음극과 양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낮은 전압에서 (10V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정공 주입 전극(양극)과,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기발광층은 정공 주입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극에서 주입된 정공(hole)과 음극에서 주입된 전자(electron)가 발광물질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엑시톤, exciton)을 형성하여 불안정한 에너지 상태(excited state)로 되었다가, 안정한 바닥 상태(ground state)로 돌아오며 빛을 방출한다.
발광물질층에 이용되는 발광 물질의 외부양자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ηext)은 하기 식으로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1
S /T는 여기자생성효율(singlet/Triplet ratio), г는 전하 균형 인자(charge balance factor); Φ는 방사양자효율(radiative quantum efficiency); ηout-coupling은 광-추출 효율(out-coupling efficiency)임)
여기자생성효율(ηS /T)은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빛의 형태로 전환되는 비율로, 형광 물질의 경우 최대 0.25의 제한적인 값을 갖는다. 이론적으로 정공과 전자가 만나 여기자를 형성할 때, 스핀의 배열에 따라 짝스핀(paired spin) 형태인 단일항 여기자(singlet exciton)과 홀스핀(unpaired spin) 형태인 삼중항 여기자(triplet exciton)이 1:3의 비율로 생성된다. 형광 물질에서는 단일항 여기자만이 발광에 참여하고 나머지 75%의 삼중항 여기자는 발광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하균형인자(г)는 여기자를 형성하는 정공과 전자의 균형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100%의 1:1 매칭(matching)을 가정하여 '1'의 값을 갖는다. 방사양자효율(Φ)은 실질적인 발광 물질의 발광 효율에 관여하는 값으로, 호스트(host)-도펀트(dopant) 시스템에서는 도펀트의 광-발광(photoluminescence, PL)에 의존한다.
광-추출 효율(ηout -coupling)은 발광 물질에서 발광된 빛 중에서 외부로 추출되는 빛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등방성(isotropic) 형태의 발광 물질을 열증착하여 박막을 형성할 경우, 개개의 발광 분자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무질서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무질서한 배열(random orientation) 상태에서의 광-추출 효율은 일반적으로 0.2의 값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식 1에 나타난 4개의 요소들을 조합하면, 형광 물질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최대 발광 효율은 약 5%에 불과하다. 형광 물질이 가지는 낮은 효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광 물질이 개발되었다. 인광 물질은 단일항 에너지와 삼중항 에너지를 모두 빛으로 전환시키는 발광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광 재료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착화합물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수명이 매우 짧아 상용화에 한계가 있다. 특히, 청색 인광 물질의 경우, 요구되는 발광 효율 및 신뢰성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신뢰성을 만족하는 형광 물질에서, 양자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발광 형광 물질에서의 낮은 발광 효율(양자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로부터 선택되고,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2
[화학식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6
[화학식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09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이 전술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전술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서는, 전자 당김(electron withdrawing) 특성을 가져 전자받개 모이어티(electron acceptor moiety)로 기능하는 벤조퀴논 코어에 링커를 통해 전자주개 모이어티(electron donor moiety)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유기 화합물은 지연 형광 특성을 갖는다.
즉, 단일항 에너지와 삼중항 에너지 모두가 발광에 참여하며, 이에 따라 유기 화합물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휘도가 향상되고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화합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화합물1의 NMR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화합물1의 PL(photoluminescence)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화합물4의 NMR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화합물4의 PL(photoluminescence)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화합물7의 NMR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b는 화합물1의 PL(photoluminescence)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화합물10의 NMR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7b는 화합물10의 PL(photoluminescence)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로부터 선택되고,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0
[화학식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4
[화학식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7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4 중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19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0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29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로부터 선택되고,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0
[화학식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4
[화학식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7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4 중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39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0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49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도펀트로 이용되며, 상기 유기 발광층은 호스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최고준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HO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고준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HOMODopant) 차이(|HOMOHost-HOMODopant|) 또는 상기 호스트의 최저준위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LU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저준위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LUMODopant) 차이(|LUMOHost-LUMODopant|)는 0.5 eV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의 단일항 에너지 레벨(S1)과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의 차이(ΔEST)가 0.3 eV 이하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전술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10)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1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20) 상에는 반도체층(122)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22)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22)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22)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22)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2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22)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122)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24)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4)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4)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30)이 반도체층(122)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1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24)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24)은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3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3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32)은 상기 반도체층(122)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게이트 전극(13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게이트 절연막(124)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24)이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층간 절연막(13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3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은 상기 게이트 전극(13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22)의 양측과 접촉한다.
상기 반도체층(122)과, 상기 게이트전극(130), 상기 소스 전극(140), 상기 드레인전극(14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120)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기 소스 전극(142) 및 상기 드레인 전극(144)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데이터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4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52)을 갖는 보호층(150)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50)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52)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4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6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6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6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이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 1 전극(16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50)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6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16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16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 1 전극(160) 상에는 유기 발광층(162)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다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층(162)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60, 164)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물질층(230)과, 상기 제 1 전극(160)과 상기 발광 물질층(23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220)과, 상기 제 2 전극(164)과 상기 발광 물질층(23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상기 제 1 전극(160)과 상기 정공 수송층(22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210)과, 상기 제 2 전극(164)과 상기 전자 수송층(24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2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상기 정공 수송층(220)과 발광물질층(23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과 상기 발광 물질층(230)과 상기 전자 수송층(24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차단층(hole blocking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62)이 형성된 상기 기판(110) 상부로 제 2 전극(16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6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16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60), 상기 유기발광층(162) 및 상기 제 2 전극(164)는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
상기 제 2 전극(16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17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70)은 제 1 무기 절연층(172)과, 유기 절연층(174)과 제 2 무기 절연층(174)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70) 상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전자 당김(electron withdrawing) 특성을 가져 전자받개 모이어티(electron acceptor moiety)로 기능하는 벤조퀴논(benzoquinone) 코어에 링커를 통해 전자주개 모이어티(electron donor moiety)가 연결된 구조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0
상기 화학식1에서,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카바졸(carbazole) 유도체, 페녹사진(phenoxazine) 유도체, 아크리딘(acridine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에 표시된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D1 내지 D4는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4
또한, 상기 화학식2에서, 링커인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렌기일 수 있다. 이때, 페닐렌기의 치환기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에 표시된 모이어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L1 내지 L4는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7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유기 발광층, 보다 정확히는 유기 발광층의 발광물질층에 포함되며, 도펀트(dopant)로 이용된다. 발광물질층은 호스트(ho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펀트는 호스트에 대하여 약 1~30의 중량비(wt%)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물질층으로부터 청색 광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지연 형광(delayed fluorescence) 특성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열 활성화 지연 형광(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특성을 갖는다.
즉, 전자받개 모이어티와 전자주개 모이어티가 링커에 의해 분자 내에서 결합되므로, 유기 화합물의 입체 장애가 증가한다. 따라서, 유기 화합물의 최고준위 점유 분자궤도(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와 최저준위 비점유 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의 중첩이 감소됨으로써, 열 활성화 지연 형광이 구현된다.
즉, 전자받개 모이어티로 기능하는 벤조퀴논 코어에 네개의 전자주개 모이어티가 링커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분자 내에서 전하의 이동이 쉽게 일어나고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벤조퀴논 코어는 케톤(ketone)기를 포함하므로 유기 화합물에서 단일항 에너지와 삼중항 에너지의 차이(ΔEST)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열 활성화 지연 형광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벤조퀴논 코어는 두개의 케톤기를 갖기 때문에, 약한 전자 받개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레드 쉬프트(red shift) 문제가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더욱이, 링커에 의해 입체장애가 증가함으로써, 레드 쉬프트 문제가 더욱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화합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서는, 단일항 여기자와 삼중항 여기자 모두가 발광에 참여하여 양자 효율이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열에 의해 삼중항 여기자가 활성화되어, 삼중항 여기자와 단일항 여기자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 I1)로 이동하고 바닥상태(ground state, S0)로 떨어지면서 발광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단일항 상태(S1)와 삼중항 상태(T1)에서 중간 상태(I1)로 전이가 일어나고 (S1-> I1 <-T1), 단일항 여기자와 삼중항 여기자 모두가 발광에 참여함으로써,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종래 형광 물질은 HOMO와 LUMO가 분자 전체에 퍼져 있기 때문에 단일항상태와 삼중항 상태 사이의 상호 전환이 불가능하다. (selection rule, 선택 규칙)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지연 형광 화합물에서는, 분자 내 HOMO와 LUMO 겹침이 적기 때문에, HOMO와 LUMO 사이의 상호작용이 작다. 따라서, 전자의 스핀 상태 변화가 다른 전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선택 규칙을 따르지 않는 새로운 전하 이동 밴드(charge transfer band)가 형성된다.
또한, 전자받개 모이어티와 전자주개 모이어티가 분자 내에서 링커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분자 내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가 분극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쌍극자 모멘트가 분극된 상태에서는 HOMO와 LUMO 간의 상호 작용이 작아지게 되어 선택 규칙을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서는, 삼중항 상태(T1)와 단일항 상태(S1)에서 중간 상태(I1)으로 전이가 가능해지고, 삼중항 여기자가 발광에 참여하게 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가 구동되면, 열에 의해 25%의 단일항 상태(S1) 여기자와 75%의 삼중항 상태(T1) 여기자가 중간 상태(I1)로 계간 전이를 일으키고 바닥 상태(S0)로 떨어지면서 발광이 일어나기 때문에 내부 양자 효율은 이론적으로 100%가 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1의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4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59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0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69
[유기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1의 합성
(1) 화합물B
[반응식1-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0
질소 환경 하(N2 purging)에서, 화합물A, 2 당량의 benzyltrimethylammonium tribromide를 물과 acetic acid의 혼합 용액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60 ℃ oil bath에 넣고 교반시켰다. 5시간 후 반응물을 차가운 DI water에 떨어뜨려 노란 고체를 얻었다. 노란 고체를 여과한 후, dichloromethan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하고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재결정함으로써, 화합물 B를 얻었다.
(2) 화합물D
[반응식1-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1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B와 6 당량의 화합물C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와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D를 얻었다
(3) 화합물F
[반응식1-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2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D와 6 당량의 화합물E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F(화합물 1)를 얻었다.
화합물1의 NMR 분석 결과와 PL(photoluminescence) 강도 측정 결과를 도 4a 및 도 4b에 각각 도시하였다. (PL 측정시 toluene 용매 이용)
2. 화합물2의 합성
(1) 화합물H
[반응식2-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3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B와 6 당량의 화합물G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H를 얻었다.
(2) 화합물I
[반응식2-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4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H와 6 당량의 화합물E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I(화합물2)를 얻었다.
3. 화합물3의 합성
(1) 화합물K
[반응식3-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5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B와 6 당량의 화합물J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K를 얻었다
(2) 화합물L
[반응식3-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6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K와 6 당량의 화합물E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L(화합물3)을 얻었다.
4. 화합물4
[반응식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7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D와 6 당량의 화합물M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N(화합물 4)를 얻었다.
화합물4의 NMR 분석 결과와 PL(photoluminescence) 강도 측정 결과를 도 5a 및 도 5b에 각각 도시하였다. (PL 측정시 toluene 용매 이용)
5. 화합물5
[반응식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8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H와 6 당량의 화합물M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O(화합물 5)를 얻었다.
6. 화합물6
[반응식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79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D와 6 당량의 화합물K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P(화합물 6)를 얻었다.
7. 화합물7
[반응식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0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D와 6 당량의 화합물Q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R(화합물7)를 얻었다.
화합물7의 NMR 분석 결과와 PL(photoluminescence) 강도 측정 결과를 도 6a 및 도 6b에 각각 도시하였다. (PL 측정시 toluene 용매 이용)
8. 화합물8
[반응식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1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H와 6 당량의 화합물Q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S(화합물8)를 얻었다.
9. 화합물9
[반응식9]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2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K와 6 당량의 화합물Q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T(화합물9)를 얻었다.
10. 화합물10
[반응식10]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3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D와 6 당량의 화합물U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V(화합물10)를 얻었다.
화합물10의 NMR 분석 결과와 PL(photoluminescence) 강도 측정 결과를 도 7a 및 도 7b에 각각 도시하였다. (PL 측정시 toluene 용매 이용)
11. 화합물11
[반응식1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4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H와 6 당량의 화합물U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W(화합물11)를 얻었다.
12. 화합물12
[반응식1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5
질소 환경 하에서, 1 당량의 화합물K와 6 당량의 화합물U에 0.4 당량의 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 0.4 당량의 tri-tert-butylphosphine, 20 당량의 sodium t-butanolate를 혼합한 후, toluene 용매에 넣고 교반시켰다. 실온에서 약 30분 교반 후, 111 ℃ oil bath에 넣고 환류 및 교반시켰다. 12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합성물을 ethyl acetate과 DI water를 이용해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hexane을 이용하여 습식 정제함으로써 화합물X(화합물12)를 얻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서는, 25%의 단일항 상태 엑시톤과 75%의 삼중항 상태 엑시톤이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구동시 생성된 열에 의해 단일항 상태와 삼중항 상태의 중간 상태로 계간 전이(intersystem crossing)를 일으키고, 이러한 중간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되면서 발광이 일어나기 때문에 양자 효율이 향상된다. 즉, 형광 물질에서 단일항 상태 엑시톤 뿐만 아니라 삼중항 상태 엑시톤도 발광에 참여함으로써,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발광물질층의 도펀트로 이용되며, 호스트에 대하여 약 1~30의 중량비(wt%)를 갖고, 청색 발광에 이용된다.
이때, 상기 호스트의 최고준위 점유 분자궤도 레벨(HO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고준위 점유 분자궤도 레벨(HOMODopant) 차이(|HOMOHost-HOMODopant|) 또는 상기 호스트의 최저준위 비점유 분자궤도 레벨(LU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저준위 비점유 분자궤도 레벨(LUMODopant) 차이(|LUMOHost-LUMODopant|)는 0.5eV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트에서 도펀트로의 전하이동(charge transfer) 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호스트로서, 하기 화학식5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각각 Bis[2-(diphenylphosphino)phenyl]ether oxide (DPEPO), 2,8-bis(diphenylphosphoryl)dibenzothiophene (PPT), 2,8-di(9H-carbazol-9-yl)dibenzothiophene (DCzDBT), m-bis(carbazol-9-yl)biphenyl (m-CBP), Diphenyl-4-triphenylsilylphenyl-phosphine oxide (TPSO1), 9-(9-phenyl-9H-carbazol-6-yl)-9H-carbazole (CCP))
[화학식5]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6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8
Figure 112017119838990-pat00089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0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1
이때, 상기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가 상기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작고, 도펀트의 단일항 에너지와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의 차이(ΔEST)는 0.3eV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ΔEST가 작을수록 발광효율이 증가하며, 본 발명의 지연 형광 화합물에서는, 도펀트의 단일항 에너지와 삼중항 에너지의 차이(ΔEST)가 비교적 큰 약 0.3eV가 되더라도 전계에 의해 단일항 상태(S1) 여기자와 삼중항 상태(T1) 여기자가 중간 상태(I1)로 전이 될 수 있다. (ΔEST≤0.3)
[유기발광다이오드]
ITO 기판은 사용 전에 UV 오존으로 세척한 다음에 이를 증발시스템에 적재하였다. 그 다음, 상기 기판은 기판의 상부에 다른 모든 층들의 증착을 위해 진공 증착 챔버에서, 약 10-6 Torr 진공 하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층들을 ITO기판에 증착하였다.
(a) Anode (500 Å, ITO)
(b) HIL (50 Å, HATCN(화학식6-1))
(c) HTL (500 Å, NPB(화학식6-2))
(d) EBL (100 Å, 화학식6-3)
(e) EML (300 Å, HOST (DPEPO): Dopant (30wt%))
(f) HBL (100 Å, DPEPO)
(g) ETL (250 Å, TPBi(화학식6-4))
(h) EIL (50 Å, LiF)
(i) Cathode (1000 Å, Al)
[화학식6-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2
[화학식6-2]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3
[화학식6-3]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4
[화학식6-4]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5
(1) 비교예(Ref)
도펀트로서 하기 화학식7의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2) 실험예1(Ex1)
도펀트로서 화학식4의 화합물1을 이용하였다.
(3) 실험예2(Ex2)
도펀트로서 화학식4의 화합물4를 이용하였다.
(4) 실험예3(Ex3)
도펀트로서 화학식4의 화합물7을 이용하였다.
(5) 실험예4(Ex4)
도펀트로서 화학식4의 화합물1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7]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6
비교예, 실험예1 내지 실험예4에서 제작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3 ㎟의 방출 영역을 갖는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외부전력 공급원에 연결하였으며, 전류 공급원(KEITHLEY) 및 광도계(PR 650)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소자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동 전압, 전류 효율, 전력효율, 외부양자효율(EQE), CIE 색좌표, 발광파장(λmax)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17119838990-pat0009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유기 화합물을 발광물질층의 도펀트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발광물질층의 도펀트로 사용한 경우, 구동 전압, 전류 효율, 전력효율, 외부양자효율(EQE)의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를 이용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또는 조명 장치의 휘도가 증가하고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유기발광 표시장치 160: 제 1 전극
164: 제 2 전극 162: 유기발광층
210: 정공주입층 220: 정공수송층
230: 발광물질층 240: 전자수송층
250: 전자주입층 D: 유기발광다이오드

Claims (8)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로부터 선택되고,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
    [화학식1]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0

    [화학식2]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1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2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3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4

    [화학식3]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4 중 어느 하나인 유기 화합물.
    [화학식4]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6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7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8

    Figure 112023032881056-pat00159

  3.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D1 내지 D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2로부터 선택되고, L1 내지 L4 각각은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화학식1]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0

    [화학식2]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1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2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3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4

    [화학식3]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5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4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화학식4]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6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7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8

    Figure 112023032881056-pat00169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도펀트로 이용되며, 상기 유기 발광층은 호스트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최고준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HO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고준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HOMODopant) 차이(|HOMOHost-HOMODopant|) 또는 상기 호스트의 최저준위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LUMOHost)과 상기 도펀트의 최저준위비점유분자궤도 에너지 레벨(LUMODopant) 차이(|LUMOHost-LUMODopant|)는 0.5 eV 이하인 유기발광다이오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의 단일항 에너지 레벨(S1)과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의 차이(ΔEST)가 0.3 eV 이하인 유기발광다이오드.
  8.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70163243A 2017-11-30 2017-11-30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1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43A KR102519548B1 (ko) 2017-11-30 2017-11-30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43A KR102519548B1 (ko) 2017-11-30 2017-11-30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08A KR20190064008A (ko) 2019-06-10
KR102519548B1 true KR102519548B1 (ko) 2023-04-06

Family

ID=668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243A KR102519548B1 (ko) 2017-11-30 2017-11-30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5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41B1 (ko) * 2009-04-08 2011-10-31 덕산하이메탈(주) 방향족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08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652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TWI530493B (zh) 苯并咪唑化合物及具有該化合物之有機光電裝置
CN111320623B (zh) 延迟荧光化合物、及包含其的oled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440238B1 (ko) 공간 전하 이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표시장치
KR20180077544A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CN110590755B (zh) 空间电荷转移化合物及有机发光二极管和显示装置
KR20200087758A (ko) 유기 발광 소자
TW202116785A (zh) 包含吡咯亞甲基硼錯合物的發光元件材料、發光元件、顯示裝置及照明裝置
KR102571401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3889583A (zh) 有机发光二极管和包括其的有机发光装置
CN110804003B (zh) 有机发光化合物、有机发光二极管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580803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19548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678573B2 (en) Organic compou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ntaining the compound
KR102633565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62976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34666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2789280A (zh) 有机化合物以及包括其的有机发光二极管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560868B1 (ko) 공간 전하 이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JP2020077872A (ja) 電荷輸送材料、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TWI646085B (zh) 通過空間電荷轉移化合物、及使用該化合物的有機發光二極體和顯示裝置
KR102656995B1 (ko) 지연형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CN118102755A (zh) 包括有机金属化合物和多个基质材料的有机发光二极管
CN118102754A (zh) 包括有机金属化合物和多个基质材料的有机发光二极管
TW202037598A (zh) 吡咯亞甲基金屬錯合物、吡咯亞甲基化合物、發光元件材料、發光元件、顯示裝置及照明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