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487B1 -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487B1
KR102519487B1 KR1020220159206A KR20220159206A KR102519487B1 KR 102519487 B1 KR102519487 B1 KR 102519487B1 KR 1020220159206 A KR1020220159206 A KR 1020220159206A KR 20220159206 A KR20220159206 A KR 20220159206A KR 102519487 B1 KR102519487 B1 KR 10251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leaching
products
silver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헌식
이현
Original Assignee
고려아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아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아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87B1/ko
Priority to PCT/KR2023/006543 priority patent/WO2023243874A1/ko
Priority to AU2023222948A priority patent/AU2023222948A1/en
Priority to CA3211940A priority patent/CA321194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22B19/20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 C22B19/22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with leaching with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2Refining by liquating, filtering, centrifuging, distilling, or supersonic wave action including acoustic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마무리 침출 공정에서 생성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가압 침출하여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 및 철의 함량이 각각 1중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압 침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by-product of hydrometallurgical process of zinc with reduced carbon-emission}
본 발명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연 정광으로부터 아연을 추출하는 공법에는 건식 제련 공법과 습식 제련 공법이 있다. 이 중 습식 제련 공법은 아연 정광을 배소 공정, 침출 공정 및 정액 공정을 거친 뒤 최종적으로 전해 공정을 거쳐 고순도 아연으로 추출하는 공법을 일컫는다.
도 1은 종래의 아연 습식 제련의 부분 공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소 공정을 거친 아연 소광을 침출하는 산 침출 공정(S10), 산 침출 공정(S10)에서 발생하는 케이크를 보다 강한 산으로 침출하는 강산 침출 공정(S20), 그리고 강산 침출 공정(S20)에서 발생하는 케이크를 최종 침출하는 마무리 침출 공정(S30)을 거쳐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이 발생한다.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은 납(Pb)과 은(Ag)을 포함하는 부산물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침출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연 습식 제련에서 발생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은 아연(Zn)을 5%, 철(Fe)을 10% 정도로 상당히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어, 건식 처리 공정 중에서 용융 제련로(smelter) 에서의 용융 처리보다는 휘발 제련로(fumer)를 사용한 휘발 처리에 적합한 원료이다.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중의 아연 페라이트(ZnO·Fe2O3) 성분은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시 용이하게 용융되지 않아서 조업 불안정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발생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휘발 제련로를 사용하여 금속을 휘발시켜 회수하는 휘발 처리 공정(S40)에서 처리했다.
그런데, 휘발 제련로를 사용하는 휘발 처리는 아연(Zn)과 철(Fe)의 함량이 높은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처리가 가능하지만, 통상적으로 용융 제련로를 통한 용융 처리와 대비하여 원료 당 탄소 배출량이 5배 이상 높은 단점이 있으며, 은(Ag), 금(Au), 구리(Cu) 등의 유가 금속 회수율이 용융 제련로를 사용한 용융 처리와 대비할 때 상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납과 은 함유 부산물 1톤을 휘발 제련로로 처리할 경우에는 약 1.38톤의 CO2가 발생하는데 반해, 용융 제련로로 처리할 경우에는 CO2 발생량을 약 0.26톤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처리 방식에 따른 CO2 발생량
휘발 제련로 용융 제련로
원료 1톤 당
CO2 발생량 (톤)
1.38 0.26
본 발명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가 금속이 회수율이 높으면서도 탄소 배출량이 낮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마무리 침출 공정에서 생성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가압 침출하여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 및 철의 함량이 각각 1중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압 침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침출 공정에서는 아연 전해 미액으로 상기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가압 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침출 공정은 침출액 중 철의 농도를 10~12g/L으로 유지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출액 중의 철의 농도가 10~12g/L으로 유지되도록,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철 함량에 따라 투입되는 아연 전해 미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마무리 침출 공정에서 생성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가압 침출하여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 및 철의 함량이 각각 1중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압 침출 공정, 상기 가압 침출 공정의 침출액과 침출 잔사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 및 상기 침출 잔사를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하는 용융 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 공정에서 여과된 침출액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정제 공정으로 송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연 습식 제련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인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가압 침출하여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침출을 통해 발생되는 침출 잔사의 비율은 약 56~63%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연 습식 제련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에 대한 처리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침출 후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과 철의 함량을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 가능한 수준인 1wt% 이하로 각각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침출 후 침출 잔사를 용융 제련로를 이용하여 용융 처리함으로써, 유가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탄소 배출량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아연 습식 제련의 부분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처리 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처리 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처리 방법은 가압 침출 공정(S100), 분리 공정(S200), 및 용융 처리 공정(S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처리 방법의 원료가 되는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에 발생하는 부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마무리 침출(S30)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일 수 있다.
가압 침출 공정(S100)
가압 침출 공정(S100)에서는,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납과 은 함유 부산물에 대한 가압 침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침출 공정(S100)에서는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30℃ 이상의 온도 및 3.7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납과 은 함유 부산물 내의 아연과 철에 대한 침출이 수행될 수 있다.
가압 침출 공정(S100)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실험 데이터와 함께 후술할 바와 같이, 가압 침출 공정(S100)이 길어질 경우, 침출된 철이 재침전될 수 있으므로, 온도 및 압력에 따라 바람직한 반응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침출 공정(S100)은 130℃ 이상 150℃ 미만의 온도 및 3.7~4.0bar의 압력 하에서는 1~1.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150℃ 이상의 온도 및 3.7~4.0bar의 압력 하에서는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침출 공정(S100)에서 침출에 사용되는 용액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전해 공정에서 사용된 아연 전해 미액(zinc spen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연 전해 미액의 주요 성분은 아연이며, 황산(H2SO4)의 농도는 약 160~180g/L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침출 공정(S100)에서 침출에 사용되는 용액은 약 160~180g/L 농도의 황산일 수 있다. 침출과 관련한 반응식은 아래의 식 (1)과 같다.
ZnFe2O4 + 4H2SO4 → ZnSO4 + Fe2(SO4)3 + 4H2O … 식 (1)
가압 침출 공정(S100) 후의 침출 잔사의 비율(즉, 원료로 투입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에 대한 가압 침출 공정 후 침출 잔사의 비율)은 약 56~63%일 수 있다.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Zn) 및 철(Fe)의 함량은 약 1wt% 이하이다. 실험 데이터와 함께 후술할 바와 같이,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중 자로사이트(jarosite)와 아연 페라이트(zinc ferrite)가 침출되어 침출 잔사의 양 및 그에 포함된 아연과 철의 함량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침출 공정(S100)을 통해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후 이에 대하여 행해지는 처리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과 철의 함량을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 가능한 수준인 1wt%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침출 후의 침출 잔사를 용융 제련로를 이용해 용융 처리함으로써, 유가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탄소 배출량을 낮출 수 있다.
가압 침출 공정(S100)에서의 침출액에는 납과 은 함유 부산물로부터 침출된 아연(Zn) 및 철(Fe)이 포함되어 있다. 침출액에 포함된 철의 농도는 약 10~12g/L일 수 있으며, 이 조건하에서 자로사이트(jarosite)의 생성이 억제되어 침출 잔사에 포함된 철의 함량을 1wt%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분리 공정(S200)
가압 침출 공정(S100) 후 침출액과 침출 잔사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여과된 침출액은 별도의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정제 공정(S210)으로 송액될 수 있고, 침출 잔사는 용융 처리 공정(S3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용융 처리 공정(S300)
분리 공정(S200)에서 발생된 침출 잔사에 대하여 용융 처리 공정(S300)이 수행될 수 있다. 용융 처리 공정(S300)에서는, 용융 제련로를 이용하여 침출 잔사로부터 아연(Zn), 구리(Cu), 금(Au), 은(Ag)과 같은 유가 금속이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침출 잔사를 플럭스 및 환원재와 함께 용융 제련로에 장입한 후 이를 융점 이상의 온도로 용융 및 제련함으로써, 아연, 구리, 금, 은과 같은 유가 금속을 불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예]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2]
본 실험예에 사용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주성분은 납과 철이다. 납은 주로 황산납(PbSO4)의 형태로 존재하며, 전체 8.9%의 철 중 약 1.0%는 자로사이트의 형태로, 나머지 약 7.9%의 철은 아연 페라이트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성분의 함량 조성을 표 2에 기재하였다.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성분 함량
 원 소 Pb Fe Zn Ag (g/t) Au (g/t)
함량 (%) 14.3 8.9 5.0 1,146 7
오토클레이브에 상기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장입하고, 130~150℃의 온도 및 3.7~4.0bar의 압력 하에서 1.5~2.0 시간 동안 아연 전해 미액으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가압 침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가압 침출 실험결과 (여액 중 철 농도 약 11g/L 기준 조건)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실시예4
반응온도(℃) 130 140 150
반응시간(hr) 1.5 2.0 1.5 2.0 1.5 2.0
잔사 중 Fe (%) 0.96 1.37 0.55 1.39 0.76 0.87
여액 중 Fe (g/L) 11.3 10.8 11.7 10.9 11.6 11.4
잔사 중 Zn (%) 0.98 1.64 0.46 1.22 0.43 0.64
침출잔사 비율 (%) 63 64 60 61 56 58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4에서 침출 잔사 중 철, 아연 품위를 1wt% 미만까지 떨어뜨릴 수 있었으며 투입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 대비 침출 잔사의 비율은 56~63%이었다. 또한, 가압 침출 시, 반응시간이 1.5 시간에서 2.0 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용해된 철이 재침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상기 실시예 3(150℃에서 1.5시간 침출)의 침출 잔사 및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의 XRD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XRD 측정결과 (Peak Intensity)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 실시예 3의 침출 잔사
K/Na-jarosite
아연 페라이트
PbSO4
CaSO4
SiO2
* 매우 강함(◎), 강함(○), 약함(△), 검출 안됨(Ⅹ)
표 4를 참조하면,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에 비해 침출 잔사에서 자로사이트 및 아연 페라이트의 XRD 피크가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침출 잔사의 감소 원인은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 중 자로사이트와 아연 페라이트가 가압 침출 공정 중 용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3~5]
본 실험예에서는, 가압 침출 공정에서 고체 밀도 조절을 통해 침출액 중 철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침출 잔사 중 철과 아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가압 침출 공정은 150℃의 온도 및 3.7~4.0bar의 압력 하에서 1.5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에 포함된 철의 함량은 약 13wt%였다.
여액 중 철 농도별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가압 침출 실험 결과
실험 조건
(150℃, 1.5hr)
철 품위 13% 기준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
실시예5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고체 밀도 80g/L 100g/L 120g/L 150g/L
여액 중 Fe (g/L) 10.0 12.1 13.4 14.8
잔사 중 Fe (%) 0.84 1.50 3.12 5.29
잔사 중 Zn (%) 0.41 0.54 0.67 0.75
표 5를 참조하면, 가압 침출 시 침출액 중 철 농도가 10~12g/L인 경우에는 자로사이트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잔사 중 철 품위를 1wt%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용융 제련로에서 용융 처리하기 위한 침출 잔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가압 침출 시 침출액 중 철 농도를 10~12g/L로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 중 철 함량이 높을 경우 침출액 중 철 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철 함량에 따른 고체 밀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의 철 함량이 높을 경우 가압 침출을 위해 투입되는 아연 전해 미액의 양을 늘리고,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의 철 함량이 낮을 경우 가압 침출을 위해 투입되는 아연 전해 미액의 양을 줄여서, 침출액의 철 농도를 10~12g/L로 유지해야 한다.
[비교예 6~9]
본 실험예에서는, 고체 밀도를 달리하여 반응온도 95℃에서 12시간 동안 아연 전해 미액으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상압(1bar) 침출한 결과를 표 5에 표시하였다.
상압 침출 실험결과
실험 조건 철 품위 13% 기준 (납과 은 함유 부산물 원재)
(95℃, 12hr)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고체밀도 80g/L 100g/L 120g/L 150g/L
잔사 중 Fe (%) 1.43 2.31 3.72 4.89
잔사 중 Zn (%) 1.27 1.94 2.08 3.38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압 침출 만으로는 침출 잔사 중 철과 아연 품위를 1wt% 이하까지 제거하기 어려워 용융 제련로에서 침출 잔사를 처리할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가압 침출하면서, 공정 온도, 공정 시간, 여액 중 철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침출 잔사 중 철과 아연 함량을 1wt%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 가능한 침출 잔사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유가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Zn 83%→85%, Cu 70→95%, Ag 95%→99.8%, Au 85%→98.5%), 탄소 배출량도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는 가압 침출을 통해 후속 처리해야 할 부산물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부산물의 처리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마무리 침출 공정에서 생성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130℃이상의 온도 및 3.7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가압 침출함으로써 납과 은 함유 부산물 내의 아연과 철을 침출하여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 및 철의 함량이 각각 1중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압 침출 공정을 포함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침출 공정에서는 아연 전해 미액으로 상기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가압 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침출 공정은 침출액 중 철의 농도를 10~12g/L으로 유지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액 중의 철의 농도가 10~12g/L으로 유지되도록,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의 철 함량에 따라 투입되는 아연 전해 미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5.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마무리 침출 공정에서 생성된 납과 은 함유 부산물을 오토클레이브로 130℃이상의 온도 및 3.7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가압 침출함으로써 납과 은 함유 부산물 내의 아연과 철을 침출하여 침출 잔사에 포함된 아연 및 철의 함량이 각각 1중량% 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압 침출 공정;
    상기 가압 침출 공정의 침출액과 침출 잔사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 및
    상기 침출 잔사를 용융 제련로에서 처리하는 용융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공정에서 여과된 침출액은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정제 공정으로 송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의 처리 방법.
KR1020220159206A 2022-11-24 2022-11-24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KR10251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206A KR102519487B1 (ko) 2022-11-24 2022-11-24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PCT/KR2023/006543 WO2023243874A1 (ko) 2022-11-24 2023-05-15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AU2023222948A AU2023222948A1 (en) 2022-11-24 2023-05-15 Method for processing by-product of zinc hydrometallurgical process with reduced carbon emission
CA3211940A CA3211940A1 (en) 2022-11-24 2023-05-15 Method for processing by-product of zinc hydrometallurgical process with reduced carbon e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206A KR102519487B1 (ko) 2022-11-24 2022-11-24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487B1 true KR102519487B1 (ko) 2023-04-10

Family

ID=859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206A KR102519487B1 (ko) 2022-11-24 2022-11-24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19487B1 (ko)
CA (1) CA3211940A1 (ko)
WO (1) WO2023243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74A1 (ko) * 2022-11-24 2023-12-21 고려아연 주식회사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2901A (ja) * 2003-03-27 2004-10-21 Dowa Mining Co Ltd 亜鉛精鉱の浸出処理法
JP2008081766A (ja) * 2006-09-26 2008-04-10 Dowa Holdings Co Ltd 亜鉛浸出残渣の湿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8516C (fi) * 1990-02-16 1993-05-25 Outokumpu Oy Hydrometallurgiskt foerfarande foer behandling av zinksulfidhaltiga raoaemnen
JP3411320B2 (ja) * 1993-01-19 2003-05-26 秋田製錬株式会社 亜鉛製錬法
US6835230B2 (en) * 2001-03-28 2004-12-28 Dowa Mining Co., Ltd. Method for leaching zinc concentrate
KR102519487B1 (ko) * 2022-11-24 2023-04-10 고려아연 주식회사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2901A (ja) * 2003-03-27 2004-10-21 Dowa Mining Co Ltd 亜鉛精鉱の浸出処理法
JP2008081766A (ja) * 2006-09-26 2008-04-10 Dowa Holdings Co Ltd 亜鉛浸出残渣の湿式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74A1 (ko) * 2022-11-24 2023-12-21 고려아연 주식회사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3222948B1 (en) 2024-01-25
WO2023243874A1 (ko) 2023-12-21
CA3211940A1 (en)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774B2 (en) Method for concentration of gold in copper sulfide minerals
EP0698127B1 (en) Recovery of metals from sulphidic material
JP4360920B2 (ja) 湿式冶金的抽出方法における不純物の処理または除去のための方法
US4545963A (en) Process for separately recovering zinc and lead values from zinc and lead containing sulphidic ore
US10316389B2 (en) Hydrometallurgical treatment of anode sludge
US4337128A (en) Cupric and ferric chloride leach of metal sulphide-containing material
ZA200602040B (en) Method for processing anode sludge
KR102519487B1 (ko) 탄소 배출량이 저감되는 아연 습식 제련 공정의 부산물 처리 방법
CA1094011A (en) Dichromate leach of copper anode slimes
EP0065815B1 (en) Recovering zinc from zinc-containing sulphidic material
EP0096499B1 (en) Recovery of zinc from zinc-containing sulphidic material
US4351705A (en) Refining copper-bearing material contaminated with nickel, antimony and/or tin
US4149945A (en) Hydrometallurgical brass dust reclamation
CN114502752B (zh) 用于加工硫化铜和硫化镍材料的方法
JP2008115429A (ja) 湿式銅製錬法における銀の回収方法
US3440155A (en) Extraction and recovery of metals from ores,concentrates and residues
US3802870A (en) Purification of nickel matte with regenerated molten halide extractant
EP1507878B1 (en) Chloride assisted hydrometallurgical extraction of metals
Stensholt et al. Recent improvements in the Falconbridge nickel refinery
EP3155135A1 (en) Process of extracting gold and silver from ores and mining by-products
CA2278834A1 (en) Improved tellurium extraction from copper electrorefining slimes
EP0076049B1 (en) Recovery of precious metals from leach residues
FI12688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rsenic from starting materials
CN112575192A (zh) 一种铋银锌渣电解分离提取有价金属的方法
EP0043646B1 (en) Separation of chromium from sc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