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305B1 -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 Google Patents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05B1
KR102519305B1 KR1020220103543A KR20220103543A KR102519305B1 KR 102519305 B1 KR102519305 B1 KR 102519305B1 KR 1020220103543 A KR1020220103543 A KR 1020220103543A KR 20220103543 A KR20220103543 A KR 20220103543A KR 102519305 B1 KR102519305 B1 KR 10251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shape
memory
wrinkl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빈
Original Assignee
신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빈 filed Critical 신규빈
Priority to KR102022010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6Shape recovering or form memor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기억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 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 커튼의 S자형 골격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굴곡형성프레임에 주름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형상기억기름종이로 이루어진 밑판에 커튼용 원단을 밀착되게 고정하여 진공챔버 내부에 열처리를 가하여 커튼용 원단이 균일하고 선명한 드레이퍼리(커튼이나 벽지·가구용 등 집안 치장을 위해 늘어뜨리는 직물)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기억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 커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wrinkle memory curtain manufactured with that of the wrinkle memory curtain}
본 발명은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기억커튼의 S자형 골격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굴곡형성프레임에 주름의 폭과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밑판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기름종이 위에 커튼원단을 안착시켜 밀착되게 고정하여 진공밀폐챔버 내부에서 열처리를 가하여 커튼원단이 균일하고 선명한 드레이퍼리(커튼이나 벽지·가구용 등 집안 치장을 위해 늘어뜨리는 직물)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예로부터 직물직 원단을 사용하여,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 또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차가운 외부의 한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창을 가리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두꺼운 직물직 원단을 사용하며, 표면에 다양한 주름을 형성한다.
그 이유로는 커튼이 접힌 형태를 유지하여 창을 가리거나 개방할 때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와 품위를 높이기 위해서, 또는 직선의 주름으로 입체적인 형상의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커튼의 표면적을 넓혀 외부의 찬 기운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주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커튼의 주름을 만들기 위하여, 물뿌리기, 묶어두기, 보조장치 삽입 등의 방법이 일시적인 방편으로 사용되며, 커튼의 상단에 나비매듭 모양의 턱(tuck)을 형성함으로써 원단의 자연스러운 드레이퍼리를 형성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원단의 종류에 따라 자연스러운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원단의 필요량이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롤러를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열된 2개의 롤러가 접한 지점에 주름을 형성하고자 하는 지점을 접은 원단을 통과시켜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이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롤러를 사용하는 방식은, 롤러가 접하는 한 지점에 원단을 연속적으로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며 주름간의 폭을 정확하기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정확하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직선의 주름을 빠르게 형성하여 드레이퍼리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접철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의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개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1996-0064667 '커튼지의 주름가공장치'가 있다.
이 기술은 'W'형태와 같이 압착판이 힌지에 의해 접철된 경첩의 연속된 구조를 이루어 프레스에 의해 압착되어 폭이 일정한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 기술에 사용되는 접철부재는 두 압착판의 일측이 힌지에 의해 접철되어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커튼과 같이 두꺼운 원단에 주름을 형성할 때, 힌지방향의 원단 끝부분과 내측 원단표면부분에 프레스의 힘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원단이 접히는 끝부분의 주름형성은 용이하지만 원단표면의 인테리어를 위한 다양하고 고른 주름형성에는 부족함이 있는 기술이다.
그뿐만 아니라 주름 커튼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특1995-0009255호 '커텐 주름 성형장치'에는 커튼을 건조열풍실 및 냉각냉풍실을 거치도록 하여 커튼의 둥근부분과 각진 부분이 연속하여 성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커튼이 여기를 지나가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콘베이어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콘베이어의 작동에 의하여 커튼에 주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제작에 있어 많은 시간이 들 뿐 아니라 컨베이어의 오작동에 의한 제품의 손상 가능성도 컸다. 또한 로울러에 의하여 오히려 주름이 펴지는 경우도 많았다.
이에 자연스러운 주름의 형성방법으로 일본 특허공개 제1996-018716호는 커튼의 원단에 수지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S형의 드레이퍼리를 형성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며, 일본특허공개 제2001-0299568호는 증기분사를 통해 S형의 드레이퍼리를 형성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형성된 커튼 주름이 커튼의 반복 개폐와 세탁과정에서 유지되지 못하므로, 지속적으로 유려한 드레이퍼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커튼의 교체 및 세탁 과정 중에 재차 다림질을 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커튼 주름의 형상이 유지되는 커튼 주름 형성 방법으로 스팀 다림질 공법을 응용하거나 상기 증기 분사를 응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WS형의 드레이퍼리의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온수 세탁 또는 스팀다림질에 의해서 드레이퍼리 형상이 쉽게 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기 분사를 응용하는 방법은 원단의 건조 공정을 요구하여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1996-0064667호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10-1995-0009255호 일본 특허공개 제1996-018716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1-0299568호
본 발명은 종래의 커튼의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공정의 단순화와 주름 형상의 유지, 드레이퍼리 형태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에서 열처리를 반복적으로 가할 때 우수한 효율이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원단의 S자형 골격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밑판에 해당하는 형상기억기름종이를 굴곡형성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진공밀폐챔버내에서 열처리할 때 커튼원단이 형상기억기름종이에 눌러 붙지 않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형상기억기름종이는 S자형 골격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물과 혼합된 본드를 종이에 칠하여 딱딱하게 성형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후, 본드칠 위에 기름을 3~7회 칠하여 줌으로써, 열처리 후 커튼원단이 형상기억기름종이에서 분리되어도 흐트러지지 않고 S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은, 밑판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에 물과 본드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칠한 후, 그 위에 기름을 칠하여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형성하는 단계;
커튼원단이 S자형으로 형상기억할 수 있도록 밑판으로 형성되는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S자 형태로 접어서 보관하는 단계;
상기 밑판으로 형성되는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커튼의 길이에 맞추어진 고정봉(21)을 고정틀(22)에 안착하여 굴곡형성프레임(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의 고정봉(21)에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커튼원단(30)을 안착하여 커튼원단(30)이 S자형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틀(22)에 안착된 고정봉(21)을 서로 밀착시킨 후, 밴드(40)로 묶어서 커튼원단(30)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에 고정된 커튼원단(30)을 진공밀폐챔버(50)에 넣어서 열처리를 가한 후, 인출하여 S자형 형상으로 유지된 커튼원단(30)을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서 분리하여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본드 위에 기름칠은 3~7회 칠하여 커튼원단(30)을 열처리할 때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눌러 붙지 않고 인출후에도 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밀폐챔버(50)내의 열처리 온도는 90~110℃로 유지하고 열처리 시간은 25분 ~ 30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정봉(21)은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틀(22)의 양측 단부에 안착하여 고정 및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양단부를 ㄷ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안착된 커튼원단(30)을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봉(21)의 양측에 고정판(23)을 부착하여 밴드(40)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기억커튼을 형성하기 위하여 물과 혼합된 본드와 기름칠하여 S자형 굴곡이 형성된 형상기억기름종이 위에 커튼원단을 안착하여 진공밀폐챔버 내에서 열처리하여 인출하게 되면, S자형으로 형상기억이 된 커튼원단이 형상기억기름종이에서 잘 분리됨과 동시에 드레이퍼리 형태의 우수한 외관으로 주름기억커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드레이퍼리 형성을 위한 커튼 상단의 턱(TUCK)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원단의 사용량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은 진공압축상태에서 열처리 하기 때문에, 커튼원단을 고도로 형상을 기억시켜줌으로써, 세탁하는 경우에도 주름의 형상이 유지되어 커튼원단 고유의 질감과는 별개로 미려한 외관을 실현하고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압축방식을 이용하여 커튼원단 전체에 일정한 압력상태에서 90~110℃로 열을 25~30분 정도 가함으로써, 균일하고 선명한 주름 골격으로 드레이퍼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품 건조과정을 포함하지 않아 생산 효율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형성프레임을 형성하는 고정틀과 고정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기름종이를 S자형으로 굴곡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형성프레임에 형상기억기름종이를 안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기름종이 위에 커튼원단을 안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기름종이 위에 안착된 커튼원단을 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밀폐챔버의 외형과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기억커튼이 제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종이에 1차적으로 물과 본드를 혼합한 혼합물을 칠하고, 그 위에 기름을 여러번 칠하여 딱딱한 상태로 형성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S자형태로 제조하고,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굴곡형성프레임(20)의 고정봉(21) 위에 커튼원단(30)을 안착하고,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안착된 커튼원단(30)을 밴드(40)로 고정시켜서 진공밀폐챔버(50)에 투입하여 열처리한 후 인출하여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주름기억커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커튼용 원단은 통상의 커튼에 사용되는 원단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암막용, 난연용과 같은 특수한 원단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원단의 종류 및 본래의 질감과 상관없이 주름의 형상이 유지되는 주름 기억 커튼을 제조할 수 있다. 원단의 종류에 따라 진공밀폐챔버내에서의 시간, 열량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튼원단이 고정되는 굴곡형성프레임(20)은 제작자의 의사에 따라 S형 커브로 형성된 S형 커튼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W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S형 커튼은 커튼의 주름 형성 단면이 곡면으로만 연결되어 알파벳 S와 같은 형태를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은 제작자가 의도하는 커튼 주름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커튼 주름 제조 방법은 S형 이외에도 다양한 디자인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형의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형상기억기름종이(10) 제조 단계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이를 사용할 수 있으나, 형상기억할 수 있는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 위에 물과 본드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칠한다. 이때 본드는 수성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을 종이에 칠하게 되면, 종이는 본드성분에 의해서 딱딱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딱딱한 상태는 종이 자체에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유롭게 굴곡이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이 칠하여진 종이 위에 기름칠을 3회에서 7회 정도 칠하여 밑틀에 해당하는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제조한다. 상기 기름칠은 열처리 과정에서 커튼원단(30)이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눌러붇지 않고 잘 분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주름기억커튼(60)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S형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접어서 보관한다.(도 3 참조)
2. 굴곡형성프레임(20) 제조 단계
스테인레스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고정틀(2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틀(22)은 양측을 지지하는 바를 직사각형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20)에 안착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봉형태로 고정봉(21)을 형성하고, 고정봉(21)의 양측은 ㄷ자형으로 결합하여 고정틀(22)을 지지하는 직사각형의 바에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틀(22)에 고정봉(21)을 다수 안착하여 굴곡형성프레임(20)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봉(21)의 갯수는 주름형상에 따라 정해지나 보통 20개정도 안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에 안착되는 커튼원단(30)을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판(23)을 별도로 제작하여 보관한다.(도 1 및 도 2 참조)
3. 굴곡형성프레임(20)에 형상기억기름종이(10) 안착단계
상기 제조된 굴곡형성프레임(20)에 S자형으로 형성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안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굴곡형성프레임(20)의 고정틀(22)에 안착된 고정봉(21)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한 후, 고정봉(21)과 고정봉(21) 사이 사이에 S자형으로 형성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봉(21)과 고정봉(21) 사이에 안착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는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는 커튼원단(30)을 안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밑틀에 해당하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4. 커튼원단(30) 고정단계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의 고정봉(21)에 안착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커튼원단(30)을 안착시킨다.
이때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커튼원단(30)을 안착하기 위해서 고정봉(21)과 고정봉(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벌리면서 원단을 S자형으로 형성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일일이 삽입하여 커튼원단(30)을 고정하는 것이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커튼원단(30)이 굴곡형성프레임(20)에 장착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위에 삽입되어 고정이 되면 고정봉(21)을 서로 밀착시켜서 양측을 고정판(23)으로 밀착하여 고정시킨 후, 밴드(40)로 감아서 고정봉(21)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도 6 참조)
5. 진공밀폐챔버(50) 내에서 열처리 단계
전술한 커튼원단(30)은 진공밀폐챔버(50)에서 진공압축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주름이 형성되는 열처리 단계를 거친다.
즉, 열처리 단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진공압축방식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주름의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커튼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진공의 음압 상태에서 스팀 분사 등의 방법으로 열을 가하는 공정을 가리킨다.
이 때, 원단의 직조 과정 중 최종단계에서 이미 상당한 고온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원단에 추가적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열공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이에 대형 진공밀폐챔버(50)를 이용한 고강도의 압축공정을 통해 커튼용 원단에 드레이퍼리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밀폐챔버(50)는 진공펌프에 의한 내부 진공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3~7Kg/Cm2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고, 굴곡형성프레임(20)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의 크기이다. 그리고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진공밀폐펌프를 이용해 챔버 내부를 진공압력 -0085MPa 내지 -0095MPa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압력은 챔버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여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다.
진공밀폐챔버(50) 내부에 진공압력이 가해지면 챔버 내부의 공기가 진공펌프에 의해 배출되면서 굴곡형성프레임(20)에 고정된 커튼원단이 굴곡형성프레임에 더욱 밀착된다.
상기 커튼원단(30)을 굴곡형성프레임(20)에 밀착시킨 후, 진공밀폐챔버(50) 내부에 90~110℃로 25분에서 30분 정도로 열을 가하여 커튼원단(30)에 주름을 형성한다.
상기 열을 가하는 것은 진공밀폐챔버(50) 내부가 진공상태를 형성하므로, 공기의 대류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는 것이 아닌 수증기를 분사하여 열을 가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며,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열량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110℃를 초과하는 경우 원단의 손상, 불필요한 열량 소모 및 온도상승에 소요되는 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진공상태에서 고온의 스팀은 챔버 내부에 고르게 분산되고, 또한 빠르게 기화되어 응축수 발생을 억제하며, 진공밀폐챔버(50)는 챔버 하부에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챔버 내부의 커튼원단(30)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압력 및 고온의 상태를 원단의 종류에 따라 25분 내지 30분 동안 유지한다.
유지시간이 25분 미만인 경우 주름 형성이 미비하며,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커튼원단이 지나치게 수분에 노출되어 별도의 건조 공정이 요구되고 생산 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진공밀폐챔버(50) 내에서 열처리 하여도, 굴곡형성프레임(20)에 안착된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커튼원단(30)은 눌러 붙지 않게 된다.
상기 진공밀폐챔버(50) 내에서 열처리 한 후, 굴곡형성프레임(20)을 인출하여 커튼원단(30)을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서 커튼원단(30)을 분리하게 되면 커튼원단(30)은 S자형의 주름을 갖게되는 주름기억커튼(60)이 제조 되는 것이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짧은 시간동안 진공압축방식에 의해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보다 유려한 드레이퍼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생성된 주름의 형상기억능력이 우수한 커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조 공정을 요구하지 않게 됨으로써 생산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주름기억커튼(60)이란 연속 개폐 및 세탁 후 자연 건조시에도 커튼에 형성된 굴곡모양의 드레이퍼리(drapery)형상이 유지되는 커튼을 가리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형상기억기름종이 20. 굴곡형성프레임
21. 고정봉 22. 고정틀
23. 고정판 30. 커튼원단
40. 밴드 50. 진공멜폐챔버
60. 주름기억커튼

Claims (5)

  1.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형성하는 단계;
    커튼원단(30)이 S자형으로 형상기억할 수 있도록 밑판으로 형성되는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S자 형태로 접어서 보관하는 단계;
    상기 밑판으로 형성되는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커튼의 길이에 맞추어진 고정봉(21)을 고정틀(22)에 안착하여 굴곡형성프레임(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의 고정봉(21)에 형상기억기름종이(10)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 위에 커튼원단(30)을 안착하여 커튼원단(30)이 S자형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틀(22)에 안착된 고정봉(21)을 서로 밀착시킨 후, 밴드(40)로 묶어서 커튼원단(30)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굴곡형성프레임(20)에 고정된 커튼원단(30)을 진공밀폐챔버(50)에 넣어서 열처리를 가한 후, 인출하여 S자형 형상으로 유지된 커튼원단(30)을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서 분리하여 주름기억커튼(6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는 밑판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에 물과 본드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칠한 후, 그 위에 기름을 칠하여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 위에 기름칠은 3~7회 칠하여 커튼원단(30)을 열처리할 때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눌러 붙지 않고 인출후에도 잘 분리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진공밀폐챔버(50)내의 열처리 온도는 90~110℃로 유지하고 열처리 시간은 25분 ~ 30분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형상기억기름종이(10)에 안착된 커튼원단(30)을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봉(21)의 양측에 고정판(23)을 부착하여 밴드(40)로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21)은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틀(22)의 양측 단부에 안착하여 고정 및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양단부를 ㄷ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20103543A 2022-08-18 2022-08-18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KR10251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43A KR102519305B1 (ko) 2022-08-18 2022-08-18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43A KR102519305B1 (ko) 2022-08-18 2022-08-18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05B1 true KR102519305B1 (ko) 2023-04-06

Family

ID=8591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543A KR102519305B1 (ko) 2022-08-18 2022-08-18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255A (ko) 1993-09-28 1995-04-21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의 면역학적 검출방법, 합텐화합물, 합텐화합물 중간체, 면역원 및 항체
JPH0818716A (ja) 1994-06-28 1996-01-19 Fuji Xerox Co Ltd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2001299568A (ja) 2000-04-25 2001-10-30 Kyokuto Sanki Co Ltd カーテンの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KR20160128167A (ko) * 2015-04-28 2016-11-07 김천웅 모양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개선된 형태의 커튼 제조방법
KR101873457B1 (ko) * 2016-07-01 2018-07-02 (주)에이치에스티지 형상기억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형상기억 커튼
KR101975769B1 (ko) * 2018-04-11 2019-05-08 김건우 천연향이 발산되는 형상메모리 살균 커튼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255A (ko) 1993-09-28 1995-04-21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의 면역학적 검출방법, 합텐화합물, 합텐화합물 중간체, 면역원 및 항체
JPH0818716A (ja) 1994-06-28 1996-01-19 Fuji Xerox Co Ltd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2001299568A (ja) 2000-04-25 2001-10-30 Kyokuto Sanki Co Ltd カーテンの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KR20160128167A (ko) * 2015-04-28 2016-11-07 김천웅 모양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개선된 형태의 커튼 제조방법
KR101873457B1 (ko) * 2016-07-01 2018-07-02 (주)에이치에스티지 형상기억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형상기억 커튼
KR101975769B1 (ko) * 2018-04-11 2019-05-08 김건우 천연향이 발산되는 형상메모리 살균 커튼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1595B (zh) 一种改良型卷帘面料及其制造方法
CN104452160B (zh) 涤纶毛毯的制备方法
US20210032797A1 (en) Wrinkle removal module
CN105696233A (zh) 一种百褶帘面料的发泡涂白方法
KR102519305B1 (ko) 주름기억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기억커튼
CN105167480A (zh) 一种异图案拉舍尔双面绒毛毯及其制备工艺
KR101873457B1 (ko) 형상기억 커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형상기억 커튼
US4872276A (en) Calendering process for polyester fabric
KR102379788B1 (ko) 모양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개선된 형태의 커튼 제조방법
KR0143918B1 (ko) 주름이 생기지 않는 신축성 직물의 염색가공방법
CN216237733U (zh) 一种雪尼尔布料定型蒸箱
CN110106651A (zh) 一种鞋帽加工用布料烘干装置
KR102601123B1 (ko) 기능성 형상기억 기름종이 제조방법
JP3266670B2 (ja) プリーツ布地体とその製造方法
JP2696679B2 (ja) カーテンのひだ付け方法
CA2603011A1 (en) Processes for spray dyeing fabrics
CN207878145U (zh) 挂烫机
JP6864962B2 (ja) 形態安定カーテン、カーテンの形態評価方法、カーテンの形態評価治具、及び、形態安定カーテンの製造方法
JP2016141908A (ja) カーテン生地のプリーツ加工方法及びプリーツ加工に使う型生地
KR101078114B1 (ko) 커튼 주름형성 장치
CN115029848B (zh) 单珠透气舒爽复合针织面料及其抗皱整理装置
JPH09132866A (ja) カーテンの連続襞付方法および襞付されたカーテン用裂地
CN110464189B (zh) 一种防紫外线窗帘
CN221005807U (zh) 一种用于服装生产风干的服装架
CN212955782U (zh) 一种布质窗帘片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