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279B1 -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279B1
KR102519279B1 KR1020210139076A KR20210139076A KR102519279B1 KR 102519279 B1 KR102519279 B1 KR 102519279B1 KR 1020210139076 A KR1020210139076 A KR 1020210139076A KR 20210139076 A KR20210139076 A KR 20210139076A KR 102519279 B1 KR102519279 B1 KR 10251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omposition
space
scratche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이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근 filed Critical 이종근
Priority to KR102021013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05Repairing damage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니스 또는 우레탄 수지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Clearing composition for furniture surface which has groove or scratch}
본 발명은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니스 또는 우레탄 수지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도록 한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대다수 현대인들이 자연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져 가구, 책상, 식탁 등의 생활용품을 포함하는 각종 실내가구 및 장식장 등이 목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목재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한 용도로 사용되는 목재들은 주로 미송이나 나왕과 같은 원목 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사용용도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제조된 제품의 자연적인 멋과 미려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상기 원목 표면에 무늬 등을 형성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즉, 원목 표면에는 나이테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된 무늬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되도록 하여 자연적인 멋에 의한 고급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늬 형성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통상 목재는 원목이 갖는 우수한 질감을 살리기 위하여 표면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화려한 외관과 고급스런 이미지를 강조할 경우에는 표면에 페인팅 처리하여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미하는 방법을 통상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원목 표면의 무늬 형성방법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원목의 표면을 불로 태워 탄화 시킨 후, 그 탄화된 원목의 표면층을 와이어 브러쉬 등으로 긁어 낸 다음, 부드러운 헝겊이나 융 등으로 샌딩 처리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한 다음, 그 표면층을 랙커 등의 투명도료로 도장하여 마감처리하고 있다.
이와같은 원목의 표면을 탄화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은 나이테에 해당되는 부분보다 상기 나이테가 없는 부분이 연질이어서, 불로 표면을 태우는 과정에서 나이테가 없는 부분이 더 타게 되므로 이를 와이어 브러쉬 등으로 긁어낼 경우 상기 나이테에 해당되는 부분과 나이테가 없는 부분의 탄화정도 차이에 의해 원목의 무늬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특히 판재의 연륜무늬를 살려서 실내나, 거실의 내장용으로 사용되게 한 판재가 있었으나, 이러한 판재는 그 표면에 니스나, 광택제를 도착시켜 판재 표면에 연륜무늬가 타부분에 비하여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원목가구에 있어서 원재료인 원목에 일정한 깊이 및 넓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이송 또는 보관중 원목 표면에 스크래치가 깊고 넓게 형성되면 원목을 가구로 사용할 수 없어 폐기함으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홈 또는 스크래치의 내부에 니스 및 우레탄수지 등을 부어 채웠으나 상기 니스 및 우레탄수지가 나무의 조직 공간 사이로 스며 들어가는 문제로 인하여 스며들어가지 않을 때까지 니스 및 우레탄수지를 채움으로 과다하게 니스 및 우레탄수지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가구로 사용된 원목을 재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709690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니스 또는 우레탄 수지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며, 상기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있어서,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리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베이스수지와 상기 베이스수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고 되는 공간부메움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베이스수지는 오일스테인, 우레탄수지, 아우로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코코넛오일, 파라핀, 왁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베이스수지에 100wt%에 대하여 1.0~3.0 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니스 또는 우레탄 수지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며, 상기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다.
먼저 가구의 원재료인 원목이 준비되면 필요한 크기 및 형태로 절단한 후 원목의 표면에 일정한 깊이와 넓이를 갖는 스크래치 또는 홈 내부를 끌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래치 또는 홈 내부를 정리한 후 원목 표면을 사포, 연마기, 그라인더 등의 면마수단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정리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원목이 준비되면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홈의 내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부어 스며들게 한다. 상기 조직 사이로 스며들면 저온 바람이 나오는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면 빠르게 응고된다. 물론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리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베이스수지와 상기 베이스수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고 되는 공간부메움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수지는 오일스테인, 우레탄수지, 아우로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코코넛오일, 파라핀, 왁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공간부메움수지의 일예로 코코넛 오일을 사용시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베이스수지에 100wt%에 대하여 1.0~3.0 wt%가 혼합되도록 사용한다. 상기 코코넛 오일이 1.0 wt% 이하로 사용되면 원목(나무)의 조직에 있어서 조직을 형성하는 공간을 채우는 양이 적어 채움재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코코넛 오일이 3.0 wt% 이상으로 사용되면 파라핀왁스와 잘 섞이지 못하여 층 분리현상이 발생되어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며 상온에서 베이스수지와의 혼합시 공간부메움수지인 코코넛오일이 먼저 응고되어 흰색의 응고된 덩어리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공간부메움수지와 베이스수지를 혼합시 공간부메움수지를 30~50℃로 가열 후 가열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자에서 설명하고 있듯 상온에서 베이스수지와의 혼합시 공간부메움수지이 먼저 응고되어 흰색의 응고된 덩어리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공간부메움수지의 일예로 사용되는 상기 코코넛 오일은 보습효과가 있으며 약 20℃ 이하에서도 빠르게 굳게 되는 성질과 라우르산(laur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비타민E 등이 함유돼 있어 원목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등의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니스 또는 우레탄 수지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며, 상기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에 있어서,
    가구의 표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또는 일정한 깊리를 갖는 홈의 내부를 메우면 상기 조성물이 나무 조직 사이 공간으로 스며들어가 공간을 메워 가구 표면에 도포되는 베이스수지와 상기 베이스수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고 되는 공간부메움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베이스수지에 100wt%에 대하여 1.0~3.0 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는 오일스테인, 우레탄수지, 아우로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메움수지는 코코넛오일, 파라핀, 왁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시트로넬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모기 및 벌레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KR1020210139076A 2021-10-19 2021-10-19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KR10251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076A KR102519279B1 (ko) 2021-10-19 2021-10-19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076A KR102519279B1 (ko) 2021-10-19 2021-10-19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279B1 true KR102519279B1 (ko) 2023-04-06

Family

ID=8591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076A KR102519279B1 (ko) 2021-10-19 2021-10-19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90B1 (ko) 2005-06-17 2007-04-19 박혜리 원목재의 음양각에 의한 다색 표면 가공 방법
KR102148332B1 (ko) * 2020-04-16 2020-08-26 주식회사 테라 오일스테인용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90B1 (ko) 2005-06-17 2007-04-19 박혜리 원목재의 음양각에 의한 다색 표면 가공 방법
KR102148332B1 (ko) * 2020-04-16 2020-08-26 주식회사 테라 오일스테인용 수지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3273790B (zh) 大漆葫芦胎制品制作方法
CN101581146B (zh) 一种防水渗蜡环保木地板及其生产方法
CN104859020A (zh) 一种驱蚊蚁竹木地板的制备工艺
KR102519279B1 (ko) 홈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된 가구 표면의 정리용 조성물
CN109531755B (zh) 一种高品质古典家具的加工方法
CN108405289A (zh) 一种对木制品外露部分进行仿木纹外观维护的施工方法
CN110170435A (zh) 一种竹木板及其加工方法
CN110014778A (zh) 一种木雕工艺品制作方法
CN102616079B (zh) 一种木片油画制作方法
CN100345697C (zh) 立体木质麦杆装饰画
CN101367317A (zh) 植物材料彩画的制作方法
CN212613534U (zh) 一种环保实木地板
KR20030017189A (ko) 납골함의 제조방법
CN105252955A (zh) 一种泼彩油画的制备方法、泼彩面料和服装
CN103342081A (zh) 树根树皮木屑工艺画及其制作方法
CN112829507A (zh) 一种使硬质实材原生态风化的方法
CN1272504C (zh) 青檀皮打浆用碓臼
Ellenwood The Complete Book of Woodcarving, Updated Editi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Master the Craft
CN107023141B (zh) 一种折光变色实木地板或实木饰面的制备工艺
Mogford Hand-book for the Preservation of Pictures... Revised with Additions
Nishanthi PlAster and colour technology of ancient sri lAnKAn MurAls
CN106032024B (zh) 漂流木制作工艺技术
JP3162225U (ja) ウェーブを付けて浮き立たせた天然木の装飾材からなる家具
CN103862978A (zh) 一种高粱杆工艺画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