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53B1 -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53B1
KR102518753B1 KR1020200113322A KR20200113322A KR102518753B1 KR 102518753 B1 KR102518753 B1 KR 102518753B1 KR 1020200113322 A KR1020200113322 A KR 1020200113322A KR 20200113322 A KR20200113322 A KR 20200113322A KR 102518753 B1 KR102518753 B1 KR 10251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earth terminal
position holding
hole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430A (ko
Inventor
채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11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는, 프로텍터에 관통홀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마운팅부의 관통홀에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프로텍터에 연결되는 접지와이어가 설치되는 어스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과 마운팅부에 구비되고, 어스 터미널을 마운팅부에 수용 장착하여 어스 터미널을 마운팅부와 함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체에 결합되게 하는 수용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EARTH TERMINAL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어스 터미널을 수용장착부를 이용하여 매립 설치한 후 볼트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하므로 마운팅부의 차체 결합작업과 어스 터미널의 차체 결합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저감하여 제조단가는 낮추는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스 터미널(Earth Terminal)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혹은 정비하는 도중에 사람의 신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부위에서 접지와이어를 연결하여 차체 또는 접지대상물에 볼트 혹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누설전류가 차체로 도전되어 인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접지구조물이다.
어스 터미널은 넓은 금속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형상을 만든 후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배럴을 구부려서 가공하고, 그 배럴에 어스 와이어선을 고정하여 가압하여 고정하고, 어스 터미널을 볼트 혹은 너트를 사용하여 차체에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차량용 프로텍터에도 어스 터미널이 적용되고 있으며, 프로텍터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를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프로텍터에서 인출되는 어스 터미널을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도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의 프로텍터 및 어스 터미널을 차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프로텍터를 차체에 결합하는 볼트작업과 너트작업 이외에 프로텍터에서 인출되는 어스 터미널을 차체에 결합하는 별도의 볼트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부품수가 많이 들어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33546호(2019.10.11, 발명의 명칭: 멀티 어스 터미널)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어스 터미널을 수용장착부를 이용하여 매립 설치한 후 볼트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하므로 마운팅부의 차체 결합작업과 어스 터미널의 차체 결합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저감하여 제조단가는 낮출 수 있는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는, 프로텍터에 관통홀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의 관통홀에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텍터에 연결되는 접지와이어가 설치되는 어스 터미널; 및 상기 어스 터미널과 상기 마운팅부에 구비되고, 상기 어스 터미널을 상기 마운팅부에 수용 장착하여 상기 어스 터미널을 상기 마운팅부와 함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에 결합되게 하는 수용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스 터미널은, 상기 수용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홀이 구비되어 상기 차체에 접촉되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지와이어가 결합되는 배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장착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매립 설치되는 상기 어스 터미널에 마련된 접지부를 상기 수용홈부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속돌기부; 및 상기 구속돌기부에 구속되도록 상기 접지부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어스 터미널을 수용장착부를 이용하여 매립 설치한 후 볼트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하므로 마운팅부의 차체 결합작업과 어스 터미널의 차체 결합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저감하여 제조단가는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차체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차체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는, 마운팅부(100), 어스 터미널(200) 및 수용장착부(300)를 포함한다.
마운팅부(100)는 프로텍터(20)에 관통홀(110)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체(1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마운팅부(100)는 프로텍터(20)에서 가장자리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프로텍터(200)를 차체(30)에 결합하기 위한 장착부재이다.
어스 터미널(200)은 마운팅부(100)의 관통홀(110)에 연통되는 장착홀(210)이 형성되고, 프로텍터(20)에서 인출되는 접지와이어(30)가 설치되어 차체(10)에 볼팅 합되므로 접지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어스 터미널(200)은 알루미늄소재등의 금속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절단 및 구부려서 형성되고, 접지와이어(30)가 가압 연결되어 접지를 수행한다.
어스 터미널(200)은, 수용장착부(300)에 설치되고, 장착홀(210)이 구비되어 차체(10)에 접촉되는 접지부(220)와, 접지부(220)에서 연장되어 접지와이어(30)가 결합되는 배렬부(230)를 포함한다.
접지부(220)는 원형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10)에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배럴부(230)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30)로 부터 접지 전류를 차체(10) 측으로 전달하여 접지를 수행한다.
배럴부(230)는 접지와이어(30)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용장착부(300)는 어스 터미널(200)과 마운팅부(100)에 구비되고, 어스 터미널(200)을 마운팅부(100)에 수용 장착하여 어스 터미널(200)을 마운팅부(100)와 함께 체결부재(40)를 이용하여 차체(10)에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수용장착부(300)는, 마운팅부(100)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310)와, 수용홈부(310)에 매립 설치되는 어스 터미널(200)에 마련된 접지부(220)를 수용홈부(310)에 구속하는 구속부(320)를 포함한다.
수용홈부(310)의 깊이는 접지부(2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조립 과정에서, 체결부재(40)를 마운팅부(100)의 관통홀(110)와 접지부(220)의 장착홀(210)을 통하여 삽입한 후 차체(10)에 체결하여 결합할 때, 어스 터미널(200)의 접지부(220)가 차체(10)의 표면에 긴밀하게 접촉됨과 동시에 마운팅부(100)의 배면이 차체(10)에 밀착 접촉되게 함으로써, 접지성능의 유지와 결합성능의 유지를 함께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구속부(320)는, 수용홈부(3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속돌기부(322)와, 구속돌기부(322)에 구속되도록 접지부(220)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324)를 포함한다.
구속돌기부(322)는 어스 터미널(200)의 접지부(220) 진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경사면부(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면부(326)는 마운팅부(100)의 배면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접지부(220)의 진입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제1경사면부(326a)와, 제1경사면부(326a)의 경사도에 비해 더 급격하게 형성되어 접지부(220)의 진입을 급속하게 안내하는 제2경사면부(326b)를 포함한다.
구속돌기부(322)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어스 터미널(200)에 마련된 접지부(220)는 위치유지부(400)에 의해 마운팅부(100)에서 삽입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유지부(400)는, 어스 터미널(200)의 접지부(220)의 장착홀(210)의 가장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유지돌부(410)와, 위치유지돌부(410)가 삽입되도록 마운팅부(100)의 관통홀(110)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위치유지홈부(420)를 포함한다.
위치유지돌부(410)는 체결부재(40)가 통과되도록 중심에 삽입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유지돌부(410)와 위치유지홈부(420)의 길이는 마운팅부(100)의 관통홀(110)에 걸리도록 마운팅부(100)의 두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써, 위치유지홈부(420)는 관통홀(110)의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위치유지돌부(410)의 하단부위가 걸리는 걸림턱부(430)가 형성된다.
위치유지돌부(410)의 단면 두께는 위치유지홈부(420)의 단면 깊이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므로 위치유지돌부(410)의 내경은 관통홀(110)의 내경과 동일하다. 이로인해, 체결부재(40)를 마운팅부(100)의 관통홀(110)에 삽입할 때 체결부재(40)가 위치유지돌부(410)의 단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유지돌부(410)는 체결부재(4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체결부재(40)가 차체(10)에 결합되므로 접지성능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는, 프로텍터의 마운팅부에 어스 터미널을 수용장착부를 이용하여 매립 설치한 후 볼트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하므로 마운팅부의 차체 결합작업과 어스 터미널의 차체 결합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저감하여 제조단가는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프로텍터
30: 접지와이어 100: 마운팅부
110: 관통홀 200: 어스 터미널
210: 장착홀 220: 접지부
230: 배럴부 300: 수용장착부
310: 수용홈부 320: 구속부
322: 구속돌기부 324: 구속홈부
326: 경사면부 400: 위치유지부
410: 위치유지돌부 420: 위치유지홈부
430: 걸림턱부

Claims (4)

  1. 프로텍터에 관통홀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의 관통홀에 연통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텍터에 연결되는 접지와이어가 설치되는 어스 터미널; 및 상기 어스 터미널과 상기 마운팅부에 구비되고, 상기 어스 터미널을 상기 마운팅부에 수용 장착하여 상기 어스 터미널을 상기 마운팅부와 함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에 결합되게 하는 수용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스 터미널은, 상기 수용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홀이 구비되어 상기 차체에 접촉되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지와이어가 결합되는 배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스 터미널에 마련된 상기 접지부는 위치유지부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에서 삽입 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위치유지부는, 상기 접지부의 장착홀의 가장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유지돌부; 및 상기 위치유지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운팅부의 관통홀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위치유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유지돌부와 상기 위치유지홈부의 길이는 상기 마운팅부의 관통홀에 걸리도록 상기 마운팅부의 두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위치유지홈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경에 비해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위치유지돌부의 하단부위가 걸리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유지돌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위치유지홈부의 단면 깊이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유지돌부의 내경은 상기 관통홀의 내경과 동일하며,
    상기 위치유지돌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차체에 결합되므로 접지성능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착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매립 설치되는 상기 어스 터미널에 마련된 접지부를 상기 수용홈부에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속돌기부; 및
    상기 구속돌기부에 구속되도록 상기 접지부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1020200113322A 2020-09-04 2020-09-04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10251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22A KR102518753B1 (ko) 2020-09-04 2020-09-04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22A KR102518753B1 (ko) 2020-09-04 2020-09-04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30A KR20220031430A (ko) 2022-03-11
KR102518753B1 true KR102518753B1 (ko) 2023-04-06

Family

ID=8081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22A KR102518753B1 (ko) 2020-09-04 2020-09-04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94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783U (ko) * 1995-05-25 1996-12-18 아이레트형 접지 단자 결착 구조
KR101876859B1 (ko) * 2016-12-22 2018-07-11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20200077348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경신 대전류단자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894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30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05000372B4 (de) Verbindungsvorrichtungsbefestigungsaufbau
CN110994504B (zh) 电气连接箱及其接地连接结构
US8013248B2 (en) Corrugated clamp
CN1297041C (zh) 具有防止开锁杆损坏的改进效果的连接器
US7891714B2 (en) Structure of rear bumper cover
DE102009051605A1 (de) Hochintegrierte Multiband-Finnenantenne für ein Fahrzeug
US3056570A (en) Mounting mechanism for automobile radio antenna
WO2014084176A1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2518753B1 (ko)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US20090233495A1 (en) Booster Cable Clamp
DE102006002782A1 (de) Sensoranordnung an einem Stoßfänger eines Kraftfahrzeugs
US10913406B2 (en) Wire protection pipe and wire harness
JP2019084867A (ja) 電力制御装置の車載構造
KR100858724B1 (ko) 링 터미널
CZ287423B6 (en) Brush holder plate
US10236566B2 (en) Antenna devices
KR102507027B1 (ko) 멀티박스용 일체형 어스장치
US4103305A (en) Universal antenna mount
KR102610772B1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US20090291588A1 (en) Shield connector
JP3810355B2 (ja) プロテクタ
KR102350125B1 (ko)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DE102008005908A1 (de) Anbauteil für ein Fahrzeug
JP348521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JP7092729B2 (ja) 端子、及び、端子と被取付面との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