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25B1 -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25B1
KR102350125B1 KR1020200000251A KR20200000251A KR102350125B1 KR 102350125 B1 KR102350125 B1 KR 102350125B1 KR 1020200000251 A KR1020200000251 A KR 1020200000251A KR 20200000251 A KR20200000251 A KR 20200000251A KR 102350125 B1 KR102350125 B1 KR 10235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nel
anchor
bolt
fasten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40A (ko
Inventor
김정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0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볼트부의 조임시 앵커부가 밀착변형안내부에 의해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됨으로써, 차체패널에 대한 어스터미널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는 차체패널의 설치홀부에 삽입되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어 어스터미널을 지지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조임시 상기 어스터미널이 상기 차체패널에 접지되도록 상기 앵커부를 상기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시키는 밀착변형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ANCHOR DEVICE FOR VEHICLE EARTHING}
본 발명은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부의 조임시 앵커부가 밀착변형안내부에 의해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됨으로써, 차체패널에 대한 어스터미널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스터미널(Earth Terminal)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 혹은 정비하는 도중에 사람의 신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차체패널에 고정하여 누설전류를 차체로 도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어스터미널은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차체패널의 일측면에 밀착시킨 후, 차체패널의 타측면에서 설치홀부를 통과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어스터미널은 차체 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차체 패널에 도장된 도료가 오염되거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볼트 또는 너트와 차체 패널의 사이에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식에 의한 전기적인 절연으로 접지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3491호(2004.04.28. 공개, 명칭: 접지 단자 고정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볼트부의 조임시 앵커부가 밀착변형안내부에 의해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됨으로써, 차체패널에 대한 어스터미널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는 차체패널의 설치홀부에 삽입되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어 어스터미널을 지지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조임시 상기 어스터미널이 상기 차체패널에 접지되도록 상기 앵커부를 상기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시키는 밀착변형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설치홀부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 및 상기 걸림지지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부가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체결홀부를 구비하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변형안내부는 상기 체결삽입부의 둘레면에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의 조임시 상기 체결삽입부가 축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부려지도록 안내하는 굽힘안내홀부 및 상기 체결삽입부가 상기 굽힘안내홀부에 의해 중첩되게 구부러짐시 상기 차체패널을 가압하여 상기 어스터미널의 접지 성능을 강화시키는 접지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강화부는 상기 차체패널의 일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상기 걸림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지강화돌기 및 기 차체패널의 타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상기 체결삽입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지강화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는, 볼트부의 조임시 앵커부가 밀착변형안내부에 의해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지용 앵커는 앵커부(10), 볼트부(20) 및 밀착변형안내부(30)를 포함한다.
앵커부(10)는 차체패널(P)의 설치홀부(H)에 삽입된다. 이러한 앵커부(10)는 볼트부(20)와 체결되고, 볼트부(20)와 체결시 밀착변형안내부(3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중첩되게 구부려져서 차체패널(P)에 밀착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앵커부(10)는 설치홀부(H)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11)와, 걸림지지부(11)에 연장 형성되어 설치홀부(H)에 삽입되고, 볼트부(20)가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체결홀부(12a)를 구비하는 체결삽입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볼트부(20)는 앵커부(10)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어 어스터미널(T)을 지지한다. 이러한 볼트부(20)는 어스터미널(T)에 형성된 관통홀부에 삽입된 채로 체결삽입부(12)에 삽입되어 어스터미널(T)을 차체패널(P)에 고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밀착변형안내부(30)는 볼트부(20)의 조임시 어스터미널(T)이 차체패널(P)에 접지되도록 앵커부(10)를 차체패널(P)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굽힘안내홀부(31) 및 접지강화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굽힘안내홀부(31)는 체결삽입부(12)의 둘레면에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고, 볼트부(20)의 조임시 체결삽입부(12)가 축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부려지도록 안내한다.
즉, 볼트부(20)가 체결삽입부(12)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임력이 계속적으로 더해지면 체결삽입부(12)는 단부가 볼트부(20)의 머리 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굽힘안내홀부(31)가 형성되는 구간이 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부려진다.
이로써, 앵커부(10)는 걸림지지부(11)가 차체패널(P)의 일측면에 걸림 가능하게 밀착되고, 체결삽입부(12)에서 중첩되도록 구부려진 부위가 차체패널(P)의 타측면에 걸림 가능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설치홀부(H)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지강화부(32)는 체결삽입부(12)가 굽힘안내홀부(31)에 의해 중첩되게 구부러짐시 차체패널(P)을 가압하여 어스터미널(P)의 접지 성능을 강화시키는 접지강화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지강화부(32)는 차체패널(P)의 일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걸림지지부(11)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지강화돌기(32a) 및 차체패널(P)의 타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체결삽입부(12)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지강화돌기(32b)를 포함한다.
이때, 제1접지강화부(32)와 제2접지강화돌기(32b)는 차체패널(P)에 박힘 가능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1접지강화부(32)와 제2접지강화돌기(32b)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지강화돌기(32a)는 볼트부(20)가 어스터미널(P)을 지지한 채로 체결삽입부(12)에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부(20)의 조임력이 계속적으로 더해져 체결삽입부(12)가 축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순간부터 차체패널(P)에 대한 걸림지지부(11)의 밀착 가압력이 증가되어 차체패널(P)의 일측면에 강제적으로 박히도록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접지강화돌기(32b)는 체결삽입부(12)가 굽힘안내홀부(31)에 의해 중첩되도록 구부려져 차체패널(P)의 타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부(20)의 조임력을 계속적으로 더해지면 차체패널(P)의 타측면에 강제적으로 박히도록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제1접지강화돌기(32a)와 제2접지강화돌기(32b)는 볼트부(20)의 조임력으로 차체패널(P)에 강제적으로 박힘으로써, 차채패널(P)의 표면이 페인트로 절연 처리되거나 볼트부(B)가 체결삽입부(12)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 채 풀리더라도 차체패널(P)에 대한 어스터미널(T)의 접지 성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앵커부
11: 걸림지지부
12: 체결삽입부
20: 볼트부
30: 밀착변형안내부
31: 굽힙안내홀부
32: 접지강화부

Claims (4)

  1. 차체패널의 설치홀부에 삽입되는 앵커부;
    상기 앵커부에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어 어스터미널을 지지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조임시 상기 어스터미널이 상기 차체패널에 접지되도록 상기 앵커부를 상기 차체패널에 밀착 가능하게 변형시키는 밀착변형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설치홀부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지지부 및 상기 걸림지지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부가 체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체결홀부를 구비하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변형안내부는 상기 체결삽입부의 둘레면에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의 조임시 상기 체결삽입부가 축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부려지도록 안내하는 굽힘안내홀부 및 상기 체결삽입부가 상기 굽힘안내홀부에 의해 중첩되게 구부러짐시 상기 차체패널을 가압하여 상기 어스터미널의 접지 성능을 강화시키는 접지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강화부는 상기 차체패널의 일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상기 걸림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지강화돌기 및 상기 차체패널의 타측면을 접촉 가압하도록 상기 체결삽입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지강화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지강화돌기와 상기 제2접지강화돌기는 상기 차체패널에 박힘 가능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00251A 2020-01-02 2020-01-02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KR10235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51A KR102350125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51A KR102350125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40A KR20210087240A (ko) 2021-07-12
KR102350125B1 true KR102350125B1 (ko) 2022-01-11

Family

ID=7685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51A KR102350125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97Y1 (ko) 1994-07-22 1999-06-15 류정열 전선의 접지터미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515B2 (ja) * 1993-10-26 2001-02-26 株式会社東芝 電気機器のアース端子構造
KR19990030546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20080054079A (ko) * 2006-12-12 2008-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접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97Y1 (ko) 1994-07-22 1999-06-15 류정열 전선의 접지터미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40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575B1 (en) Hose clamp
EP2018692B1 (en) An enclosure with a lead-through and a grommet
US20190351845A1 (en) Wire harness
KR102350125B1 (ko) 차량 접지용 앵커장치
US20200262364A1 (en) Wire harness
US20020117319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terminal portion of electric wire provided on housing body for electric components
KR100858724B1 (ko) 링 터미널
KR20160013497A (ko)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KR101890239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768697B1 (ko)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N217823970U (zh) 一种电缆辅助送线器
KR102518753B1 (ko)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CN214579477U (zh) 管路连接固定装置
CN218648547U (zh) 电缆与绝缘子的连接固定装置
KR102228665B1 (ko) 차량용 배선의 접지장치
KR102302282B1 (ko) 케이블의 접지유닛
CN210926285U (zh) 一种固定套和天线
CN212162123U (zh) 一种连接器
JP7153359B2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CN214240335U (zh) 安装支架、稳定杆总成及车辆
CN211456597U (zh) 线盒的辅助装置
KR100880432B1 (ko)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KR102174036B1 (ko) 접지유닛을 포함하는 유볼트 어셈블리
KR102058314B1 (ko) 관 연결구
KR20230047302A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