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32B1 -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32B1
KR100880432B1 KR1020080110673A KR20080110673A KR100880432B1 KR 100880432 B1 KR100880432 B1 KR 100880432B1 KR 1020080110673 A KR1020080110673 A KR 1020080110673A KR 20080110673 A KR20080110673 A KR 20080110673A KR 100880432 B1 KR100880432 B1 KR 10088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band
hole
tighten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일환
Original Assignee
허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환 filed Critical 허일환
Priority to KR102008011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는,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둘레부와, 일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 일측제2경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조임장치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타측둘레부와, 타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지지부로 구성된 타측조임장치와;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로 구성된 볼트와; 볼트의 몸체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밴드를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조임장치를 밴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일측제2경사부가 삼각형 형태를 이 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2경사부가 밴드를 최대한 눌러 관체와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최대한 밀착되고, 특히 최소 3개 최대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관통공을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의 변형 발생시 결합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맞대기하여 상호 고정된 두 관체로부터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 연결, 결합력 강화, 누수방지, 삼각형

Description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Pipe connection device with triangle strain apparatus}
본 발명은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종래의 관 연결 장치에 비하여 관체와 연결 장치 사이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고, 수밀성을 최대화시킨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와 관체를 연결할 때는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밴드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밴드(1)와, 상기 밴드(1)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판(2)과, 상기 지지판(2)에 감싸져 체결수단인 장볼트(4)와 너트(5)를 지지하는 보강부재(3)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관 연결 장치에 쓰이는 보강부재는 그 형상이 도시된 것처럼 원형 단면을 가진 채 구성되어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상기와 같은 종래 관 연결 장치는 밴드의 폭과 관체의 연결부의 직경 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정확하게 수밀작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관체(10)는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양단부의 직경이 큰 오차범위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단부에서도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 두 개의 관체를 연접시켜 연결장치로 체결하고자 할 경우는 체결장치 전체가 하나의 구성으로 작용을 하게 되어 긴밀하게 수밀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너트를 강제로 조임에 따라 원형 봉 형상의 보강부재가 관의 중심측을 향해 압박을 가하도록 했으나, 보강부재는 원래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이 강해 외부의 충격 등이 볼트나 너트에 작용할 경우 볼트, 너트가 풀려 조임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전체 관 연결 장치가 두 관체의 연결 지점 외측으로 벗어나 버리게 되어 관 연결 장치의 고유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임장치를 밴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일측제2경사부가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2경사부가 밴드를 최대한 눌러 관체와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최대한 밀착되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최소 3개 최대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관통공을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의 변형 발생시 결합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맞대기하여 상호 고정된 두 관체로부터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일측조임장치를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타측조임장치를 삼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두 지점에서 관체와 밴드를 상호 밀착시킴으로서 수밀성 및 결합력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아울러, 일측제2경사부 또는 타측제2경사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를 형성하여 밴드를 관체 측으로 보다 잘 밀착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외측절곡부와 반대 방향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내측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외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외측절곡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밀착력을 갖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둘레부와, 일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 일측제2경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조임장치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타측둘레부와, 타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지지부로 구성된 타측조임장치와;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로 구성된 볼트와; 볼트의 몸체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밴드를 압박하도록 구성다.
이때,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측으로 꺾인 내측절곡부가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 반대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관 연결 장치는,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둘레부와, 일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 일측제2경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조임장치와; 밴드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타측둘레부와, 타측둘레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둘레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타측제1경사부와, 타측제1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있는 타측제2경사부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관통공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조임장치와;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로 구성된 볼트와; 볼트의 몸체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과 타측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밴드를 압박하고, 타측제1경사부와 타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타측제2경사부의 끝단이 밴드를 압박하도록 구성다.
이 경우 역시, 일측제2경사부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으로 꺾인 내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일측제2경사부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임장치를 밴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와, 일측제1경사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일측제2경사부가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너트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2경사부가 밴드를 최대한 눌러 관체와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최대한 밀착된다.
특히, 최소 3개 최대 4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관통공을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의 변형 발생시 결합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맞대기하여 상호 고정된 두 관체로부터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측제2경사부 또는 타측제2경사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를 형성하여 밴드를 관체 측으로 보다 잘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외측절곡부와 반대 방향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내측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외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외측절곡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밀착력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는 두 개의 관체(10)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 상에서는 두 관체(10)의 연결 지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두 관체(10)가 서로 맞대기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 두 관체(10)를 감싸는 밴드(700)가 설치된다.
밴드(7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나 스틸 등의 금속재가 바람직하나,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밴드(700)의 외측에는 두 개소에 일측조임장치(100)와, 타측조임장치(200)가 구성되어 있다.
일측조임장치(100)는 일측둘레부(110), 일측제1경사부(120), 일측제2경사부(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측조임장치(200)는 타측둘레부(210), 타측지지부로 구성된다.
일측조임장치(100)의 일측둘레부(110)는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 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120)는 일측둘레부(110)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일측제2경사부(130)는 일측제1경사부(120)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1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120)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100a)이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타측조임장치(200)는 일측조임장치(100)의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둘레부(210)는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지지부는 타측둘레부(210)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100a)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200a)이 형성되어 있다.
타측조임장치(200)의 타측둘레부(210), 타측지지부는 일측조임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합성수지 등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300)는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와,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320)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400)는 볼트(300)의 몸체(310)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볼트(300)의 몸체(310)는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을 관통한 채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머리(320)는 일측관통공(100a) 또는 타측관통공(200a)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있으며, 너트(400)는 볼트머리(320)의 반대편 측 몸체(310)에 체결되어 있다.
즉,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에 내측절곡부(500) 또는 외측절곡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절곡부(500)는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120)측을 향해 꺾여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절곡부(600)는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120) 반대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의 구성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되, 타측조임장치(200)를 일측조임장치(100)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타측조임장치(200)는 타측둘레부(210), 타측제1경사부(220), 타측제2경사부(230)로 구성되며, 타측둘레부(210)는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제1경사부(220)는 타측둘레부(210)와 연속 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둘레부(2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고, 타측제2경사부(230)는 타측제1경사부(220)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제1경사부(2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있다.
이때, 타측제1경사부(220)와 타측제2경사부(230)에는 일측관통공(100a)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2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볼트(300)는 일측제1경사부(120), 일측제2경사부(130), 타측제1경사부(220), 타측제2경사부(230)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일측관통공(100a)과 2개의 타측관통공(200a) 즉, 총 4개의 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대하여 너트(400)가 풀리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고, 타측제1경사부(220)와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더 견고하게 밴드(700)와 관체(10)를 밀착시켜 결합력을 높이고,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제 2 실시예를 기준으로 각각 내측절곡부(500)와 외측절곡부(60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측절곡부(500)는 일측제2경사부(130)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절곡부(600)는 일측제2 경사부(130)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의 작용 관계는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내측절곡부(500)가 형성된 최상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6의 좌측은 볼트(300)를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을 관통시킨 채 너트(400)를 체결한 상태고, 도 6의 우측은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발생되는 작용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너트(400)를 조이지 않았을 때는 일측둘레부(110), 일측제1경사부(120), 일측제2경사부(130) 및 내측절곡부(5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 지점은 단순히 밴드(700)의 끝단에 살짝 닿거나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를 갖는다.
타측조임장치(200) 측 역시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 지점 역시 밴드(700)의 끝단에 살짝 닿거나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우측 도면과 같이 너트(400)를 조이게 되면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가 서로 끌어당기고, 타측제1경사부(220)와 타측제2경사부(230)가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측제2경사부(130),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 측은 관체(10) 중심을 향해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밴드(700)의 외주면은 관체(10)를 압박하게 된다.
확대된 도면은 최대한 너트(400)를 조일 때 발생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밴드(700) 및 관체(10) 일부가 함몰될 정도로 밀착되게 된다.
물론, 관체(10)의 재질 특성상 탄성이 적은 관체(1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시한 것처럼 함몰되지는 않고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처럼 밴드(700)가 강하게 조여짐은 물론 조여진 상태에서 두 지점에서 내측으로 밴드(700)를 누르게 됨으로 인해 수밀성의 보장은 물론이고, 밴드(700)와 관체(10)가 고정되어 관 연결 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측절곡부(500)는 도시된 것처럼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일측제2경사부(130),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도 6과 같이 작용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중심을 향해 압박을 가하게 된다.
즉, 일측제2경사부(130), 타측제2경사부(230)만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선 접촉 상태를 가지나. 내측절곡부(500)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면 접촉을 함으로써 밀착 및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외측절곡부(600)와 내측절곡부(500) 모두 면 접촉을 하므로써 일측제2경사부(130)나 타측제2경사부(230)로 마무리했을 때보다 우수하나, 외측절곡부(600)는 너트(400)의 조임에 의해 밀려가면서 누르는 반면, 내측절곡부(500)는 경사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외측절곡부(600)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는 일측관통공(100a), 타측관통공(200a)이 최소 3, 최대 4개가 되므로 볼트(300)가 다수의 지점에서 걸리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너트(4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볼트머리(320)와 몸체(310)가 연결되는 지점을 도시된 것처럼 와셔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볼트머리(320)와 몸체(310) 사이에 와셔를 설치할 수 있으며, 너트(400)를 체결할 때도 너트(400)에 앞서 와셔를 설치하여 풀리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도 일측조임장치(100) 측에서 삼각형 형태의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조임장치(200)에서 볼트(300)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측제2경사부(130)에 의한 수밀 강화 및 결합력 강화가 일어나게 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인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는 맞대기한 관체와 관 연결장치의 밴드 간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관체로부터 관 연결 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수밀성 및 결합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함으로, 관 연결장치 분야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 장치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외측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내측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밴드 2 : 지지판
3 : 보강부재 4 : 장볼트
5 : 너트 10 : 관체
100 : 일측조임장치 100a : 일측관통공
110 : 일측둘레부 120 : 일측제1경사부
130 : 일측제2경사부 200 : 타측조임장치
200a : 타측관통공 210 : 타측둘레부
220 : 타측제1경사부 230 : 타측제2경사부
300 : 볼트 310 : 몸체
320 : 볼트머리 400 : 너트
500 : 내측절곡부 600 : 외측절곡부
700 : 밴드

Claims (6)

  1.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10)를 감싸는 밴드(700)와;
    상기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둘레부(110)와, 일측둘레부(1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1경사부(12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1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120)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 일측제2경사부(130)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100a)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조임장치(100)와;
    상기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타측둘레부(210)와, 타측둘레부(2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100a)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200a)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지지부로 구성된 타측조임장치(200)와;
    상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320)로 구성된 볼트(300)와;
    상기 볼트(300)의 몸체(310)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된 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120)측으로 꺾인 내측절곡부(5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에 일측제1경사부(120) 반대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6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장치.
  4.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10)를 감싸는 밴드(700)와;
    상기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둘레부(110)와, 일측둘레부(1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둘레부(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1경사부(12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제1경사부(1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일측제1경사부(120)와 함께 삼각형 형태를 갖는 일측제2경사부(130)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일측관통공(100a)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조임장치(100)와;
    상기 밴드(700) 일측을 감싸면서 밴드(700)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타측둘레부(210)와, 타측둘레부(21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둘레부(2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타측제1경사부(220)와, 타측제1경사부(22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제1경사부(2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있는 타측제2경사부(230)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관통공(100a)과 일직선상을 갖는 타측관통공(200a)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조임장치(200)와;
    상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320)로 구성된 볼트(300)와;
    상기 볼트(300)의 몸체(310) 외주면에 체결되며, 일측관통공(100a)과 타측관통공(200a)보다 크게 형성된 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너트(400)를 조임에 따라 일측제1경사부(120)와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일측제2경사부(1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고, 타측제1경사부(220)와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이 가까워지면서 타측제2경사부(230)의 끝단이 밴드(700)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제2경사부(130)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으로 꺾인 내측절곡부(5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제2경사부(130) 및 타측제2경사의 끝단에 서로 마주바라보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꺾인 외측절곡부(6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장치.
KR1020080110673A 2008-11-07 2008-11-07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KR10088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73A KR100880432B1 (ko) 2008-11-07 2008-11-07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73A KR100880432B1 (ko) 2008-11-07 2008-11-07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432B1 true KR100880432B1 (ko) 2009-01-29

Family

ID=4048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73A KR100880432B1 (ko) 2008-11-07 2008-11-07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72B1 (ko) 2012-03-22 2012-07-11 주식회사 태광수지 조임력 증가용 환봉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391A (ko) * 1998-05-20 1999-12-27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파이프커플링
KR20070017386A (ko) * 2004-05-25 2007-02-09 브리즈-토르카 프로덕츠 엘엘씨 밀봉 슬리브를 가진 리브붙이 파이프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391A (ko) * 1998-05-20 1999-12-27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파이프커플링
KR20070017386A (ko) * 2004-05-25 2007-02-09 브리즈-토르카 프로덕츠 엘엘씨 밀봉 슬리브를 가진 리브붙이 파이프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72B1 (ko) 2012-03-22 2012-07-11 주식회사 태광수지 조임력 증가용 환봉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373A (en) Tapping sleeve or service clamp for use in attaching a branch pipe to a main in a fluid supply system
JP6533209B2 (ja) 鋼製矢板の被覆防食構造及び保護カバー取付け具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JP5675474B2 (ja) 鋼管矢板壁の防食構造及び防食方法
KR100880432B1 (ko) 삼각 형상의 조임장치가 구비된 관 연결 장치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JP4363565B2 (ja) バルブピット用フランジ接合体
JP4412589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100689605B1 (ko) 체결력이 유지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US11852183B2 (en) Press-fit nut for assembly, press-fit nut-bolt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ng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 using same
CN210034694U (zh) 柔性管材抗拉拔装置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0717715B1 (ko)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KR200456613Y1 (ko) 지중매설관 연결용 고정밴드
KR20090114809A (ko) 누수방지 및 결합력 강화를 위한 관 연결장치
KR20090012067U (ko) 밴드 클램프
JP4404254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20050002951A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0416904Y1 (ko) 관 연결구
KR200444428Y1 (ko)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의 스토퍼
KR200420349Y1 (ko) 관 연결용 밴드
CN202100862U (zh) 一种扁软管与硬质管的连接锁紧结构
JP2006292037A (ja) 柱状体に取付ける板体の締め付け構造
KR200488681Y1 (ko)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