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76B1 -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76B1
KR102518376B1 KR1020210052623A KR20210052623A KR102518376B1 KR 102518376 B1 KR102518376 B1 KR 102518376B1 KR 1020210052623 A KR1020210052623 A KR 1020210052623A KR 20210052623 A KR20210052623 A KR 20210052623A KR 102518376 B1 KR102518376 B1 KR 10251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groove
container
partition wal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703A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림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림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림푸드
Priority to KR102021005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 가열을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발열체에 수분공급이 용이한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용기본체가 발열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투입홈을 통해 발열체로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발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통로가변부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증기통로가 형성된 세팅홈으로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의 확산을 유도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다양한 음식 구성의 도시락을 세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Food packaging container with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 가열을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발열체에 수분공급이 용이한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하러 갈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기타 이유 등으로 인하여 도시락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레저활동이나 야외 활동시 식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락을 준비하는 것이 편리하며 경제적이므로 도시락을 준비하게 된다.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도시락은 주로 트레이 형식의 용기에 담겨지며 외부로 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는 랩으로 덮여진 상태로 판매된다.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104612호의 투명박판형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는, 특히 뚜껑(이하 "덮개"라고 함.)의 밀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기와 덮개를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서로 긴밀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보관이 가능한 용기등이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에 담겨지는 음식은 필요에 따라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덮여서 먹게 되는데,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음식을 데울 수가 없다.
도시락에 다양한 음식들을 담기 위하여 도시락의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적 측면에서도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04361호에는 가열체를 제공하여 음식을 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항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가열체가 발열작용을 할 때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용기본체와 발열용기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용기 외부로 증기가 새어 나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새어 나오게 되면 음식물을 충분히 가열할 수 없으며 가열시간도 길어지는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3275호에는 음식을 담기위해 다수의 수용홈부들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가 셋팅되며 수분공급에 의해 발열되면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발열제가 내장되는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결합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음식포장용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음식포장용기는 용기본체가 발열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발열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용기본체가 발열용기에 결합되는 사이에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발열용기 밖으로 새어나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식포장용기의 발영룡기는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전달되는 영역이 고정되어 있어, 용기본체에 담을 수 있는 가열이 필요한 음식의 종류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3275호 :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열용기에 용기본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수분공급이 가능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이 필요한 음식의 수에 따라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기가 전달되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구획된 다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가 각각 수용되는 다수의 세팅홈과, 다수의 세팅홈 중 어느 하나인 세팅홈의 저면측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되는 발열체수용홈과, 일측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 투입홈과, 상기 물 투입홈에서 상기 발열체수용홈으로 연장된 물공급유로가 형성된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결합되어 싱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물투입홈은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발열용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덮이지 않는 상기 발열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용기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발열용기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상기 세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부와,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모서리측에 상기 물투입홈이 형성되게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직교하는 내주면들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물투입홈과 인접하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 중 다른 하나인 상기 세팅홈이 연통되게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물공급유로의 제1물공급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로 형성리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세팅홈과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세팅홈이 부분 구획되어 연통되도록 제2물공급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용기는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세팅홈의 저면에 인입되되 상기 물투입홈의 저면보다 낮으며 상기 발열체수용홈의 저면보다 높게 인입형성되는 경유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물공급통로의 저면측이 상기 물투입홈의 저면과 상기 경유홈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경사진형태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물공급통로의 저면측이 상기 경유홈의 저면과 상기 발열체수용홈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는 다수의 음식수용부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판 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용기본체부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들의 둘레로 연장된 상단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 연장방향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들과 상기 테두리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용기본체 고정리브와, 상단에 상기 용기본체 고정리브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와 상기 덮개지지리브 사이에 상기 물투입홈의 상부와 연통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용기본체가 발열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투입홈을 통해 발열체로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식 가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통로가변부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증기통로가 형성된 세팅홈으로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의 확산을 유도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다양한 음식 구성의 도시락을 세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포장용기의 발열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음식포장용기의 발열용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의 발열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의 발열용기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발열용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음식포장용기의 용기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구획된 다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다수의 음식수용부가 각각 수용되는 다수의 세팅홈과, 다수의 세팅홈 중 제1세팅홈의 저면측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되는 발열체수용홈(47)과, 일측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 투입홈(72)과, 물 투입홈에서 발열체수용홈으로 연장된 물공급유로가 형성된 발열용기(40)와; 발열용기(40)와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상부를 덮는 덮개(12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10)는 다수의 음식수용부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판 상의 플레이트부(31)와, 플레이트부(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36)를 구비한다.
플레이트부(31)는 다수의 음식수용부(11,13,15,17,18,19,21,23,25)를 연결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후술되는 제3음식수용부(15)에 인접한 모서리측에 길이방향의 변과 상기 길이방향 변에 직교하는 폭방향 변을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는 대각방향의 연장된 변을 갖는다.
다수의 음식수용부는 밥이나 국과 같은 뜨거운 음식이 수용되는 제1 내지 제3음식수용부(11,13,15)와, 뜨겁지 않은 반찬이 수용되는 제4 내지 제7음식수용부(17,19,21,23)과, 수저나 젓가락이 수용되는 식사도구수용부(25)를 포함한다.
다수의 음식수용부 중, 제1 및 제2음식수용부(11,13)는 플레이트부(31)의 길이방향 및 후술되는 발열용기(4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연속 배치되며, 제3음식수용부(15)는 제1음식수용부(1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부(31)의 대각변이 형성된 모서리측에 인접한다.
다수의 음식수용부는 제3가열수용부(15)를 제외하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제3음식수용부(15)는 플레이트부(31)의 길이방향 변과 폭 방향 변에 각각 나란한 내주면들과, 플레이트부(31)의 대각변에 나란한 내주면을 갖는 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 및 제5음식수용부(17,19)는 제1 및 제2음식수용부(11,13)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부(31)의 길이방향으로 제3음식수용부(15)와 일렬로 배치된다. 제4음식수용부(17)와 제3음식부용부(15)는 상호 연속되게 배치되어 이루는 길이가 제1 및 제2음식수용부(11,13)가 이루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6 및 제7음식수용부(21,23)는 제2음식수용부(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5음식수용부(19)와 플레이트부(31)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플레이트부(31)의 폭 방향으로 제6 및 제7음식수용부(21,23)와 제2음식수용부(13)가 배치되어 이루는 길이는 제2음식수용부(13)와 제4음식수용부(17)가 플레이트부(3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루는 길이에 대응된다. 식사도구수용부(25)는 플레이트부(31)의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제6 및 제7음식수용부(21,23)와 제2음식수용부(1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발열용기(40)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발열용기본체부(41)와, 내부공간을 다수의 세팅홈으로 구획하는 격벽부(80)와, 발열용기본체부(41)의 발열체수용홈(47)에 수용된 발열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투입홈(72)을 형성하는 물공급부(96)를 구비한다.
발열용기본체부(41)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발열용기본체부(41)는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플레이트부(31)의 가장자리 연장방향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다수의 음식수용부들과 테두리부(36) 사이로 삽입되어 플레이트부(31)를 지지하는 용기본체 고정리브(43)와, 상단에 용기본체 고정리브(43)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용기본체 고정리브(43)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덮개(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리브(45)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열용기본체부(41)는 용기본체고정리브(43)와 덮개지지리브(45) 사이에 용기본체고정리브(43)에 지지된 플레이트부(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물투입홈(72)의 상부와 연통되는 인입홈(46)이 형성된다.
덮개지지리브(45)는 덮개(120)의 상부(121)를 지지하고 상부보다 면적이 적어 발열용기본체부(41) 내로 삽입된 하부의 측부와 면접한다.
용기본체고정리브(43)는 덮개(120)가 발열용기(40)에 결합 시, 덮개(120)의 하면에 대해 플레이트부(31)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그 이상으로 이격된다.
한편, 격벽부(8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세팅홈은 다수의 음식수용부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뜨거운 음식이 수용되는 제1 내지 제3음식수용부(11,13,15)와,반찬과 같은 뜨겁지 않은 음식이 수용되는 제4 내지 제7음식수용부(17,19,21,23) 및 식사도구수용부(25)가 각각 수용가능한 제1 내지 제8세팅홈(51,54,57,60,63,66,69,71)을 구비한다.
격벽부(80)는 발열용기본체부(41)의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세팅홈이 형성되도록 발열용기본체부(41)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격벽부(80)는 발열용기본체부(41)의 길이방향 방향 일측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격벽(81)과, 제2물공급통로(102)가 형성되도록 일측이 제1격벽(81)에 대해 제1격벽(81)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격벽(8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제2격벽(83)과, 발열용기본체부(4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제2격벽(83)의 타단에 연결되며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발열용기본체부(41)의 길이방향 타단에 대해 이격되는 제3격벽(85)과, 제3격벽(85)에 나란하되 제3격벽(85)에 대해 발열용기본체부(4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며 제2격벽(83)과 직교하여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방향 내주면 양측에 연결되는 제4격벽(87)과, 제4격벽(87)에 대해 이격되되 제2격벽(87)과 발열용기본체부(41)의 내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5격벽(89)과, 제2격벽(83)에 대해 이격되어 제3격벽(85)과 제4격벽(87)을 연결하는 제6격벽(91)을 구비한다. 그리고, 격벽부(80)는 제2격벽(83)의 일단에서 제5격벽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7격벽(93)과, 제7격벽(93)과 마주하는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방향 내주면 에서 제7격벽(9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7격벽(93)과 함께 제1 및 제2세팅홈(51,54)를 부분구획하는 제8격벽(95)을 구비한다. 제7격벽(93)과 제8격벽(95)은 상호 이격되어 발열체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가 이동가능한 제1증기통로(103)를 형성한다.
제1 내지 제8격벽은 용기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세팅홈(51)은 제1격벽(81)과, 제7 및 제8격벽(93,95)에 의해 형성되고, 제2세팅홈(54)은 제7 및 제8격벽(93,95)과, 제2격벽(83) 그리고, 제4격벽(87)의 길이방향 일측에 의해 형성된다. 제3세팅홈(57)은 제1 및 제2격벽(81,83)과, 제5격벽(89), 그리고, 후술되는 물공급부(96)의 복수의 통로형성리브(97,99)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4세팅홈(60)는 제2격벽(83), 제5격벽(89) 및 제4격벽(87)의 타측과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 방향 타측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5세팅홈(63)은 제2격벽(83), 제3격벽(85) 및 제4격벽(87)과,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 방향 타측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6세팅홈(66)은 제2격벽(83)의 타측과, 제3 및 제4격벽(85,87)의 일측과 제6격벽(91)에 의해 형성된다. 제7세팅홈(69)은 제3 및 제4격벽(85,87)의 일측과, 제6격벽(91) 및 발열용기본체부(41)의 폭 방향 일측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8세팅홈(71)은 제3격벽(85)과, 발열용기본체부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발열용기(40)는 제1및 제2세팅홈(51,54)의 저면에서 인입되어 발열체(미도시)가 수용되고 제1증기통로(103)와 연통되는 발열체수용홈(47)이 형성되고, 발열용기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물투입홈(72)과 연통되는 제3세팅홈(57)의 저면에 인입되되 물투입홈(72)의 저면보다 낮으며 발열체수용홈(47)의 저면보다 높게 인입형성되는 경유홈(49)이 형성된다. 발열체수용홈(47)은 제1증기통로(103)와 연통되게 제1세팅홈(51)에서 제2세팅홈(54) 방향으로 길이연장된다.
한편, 물공급부(96)는 발열용기본체부(41)의 모서리측에 물투입홈(72)이 형성되게 발열용기본체부(41)의 직교하는 내주면들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물투입홈(72)과 인접하는 다수의 세팅홈 중 제3세팅홈(57)이 연통되게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물공급유로의 제1물공급통로(101)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로형성리브(97,99)를 구비한다.
복수의 통로형성리브(97,99)는 용기본체고정리브(43)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단이 용기본체고정리브(43)과 동일한 높이를 가져, 발열용기(40)에 수용되는 용기본체(10)의 플레이트부(31)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된 변 측을 지지하고 상기 대각방향으로 연장된 변 측에 연결된 테두리부(36)와 접하거나 마주한다. 즉, 물투입홈(72)은 용기본체(10)가 발열용기(4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에 덮이지 않는 발열용기(40)의 모서리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물공급통로(101)의 저면측은 물투입홈(72)의 저면과 경유홈(49)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경유홈(49)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제2물공급통로(102)의 저면측은 경유홈(49)의 저면과 발열체수용홈(47)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발열체수용홈(47)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발열체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 물질이 들어있는 발열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 물질은, 예를 들면 생석회, 수산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중탄산나트륨,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덮개(120)는 상부(121)가 발열용기(40)의 상단을 덮으며 하부가 발열용기본체부(41)의 덮개지지리브(45) 내에 위치되게, 하부(122)가 상부보다 면적이 작은 역계단형태로 형성된다. 덮개(120)의 하부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상호 멀어지게 돌출된 결합돌기(123)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23)는 덮개지지리브(45)의 내주면에 측방향으로 인입형성된 결합홈(48)에 삽입가능하여 발열용기(40)에 덮개(120)가 고정되도록한다.
발열용기(40)와 덮개(120)는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발포폴리프로필렌(E.P.P)과 같이 보온기능이 있는 소재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용기본체(10)가 발열용기(40)에 수용 시, 용기본체고정리브(43)와 제1 및 제2통로형성리브(97,99)에 용기본체(10)의 플레이트부(31) 가장자리가 지지되고 테두리부가 용기본체고정리브(43)와 제1 및 제2통로형성리브(97,99)의 둘레에 위치되어 용기본체(10)가 위치고정된다.
용기본체(10)는 다수의 세팅홈과, 격벽부(80), 제1 및 제2통로형성리브(97,99)와 용기본체고정리브(43)를 덮으며, 물투입홈(72)은 용기본체(10)에 덮이지 않고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물공급통로(101)는 상부가 용기본체(10)에 덮이나 용기본체(10)의 하방측은 개방되어 있어, 물투입홈(72)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물이 제1물공급통로(101)로 흘러 경유홈(49)과 제2물공급통로(102)를 순차적으로 지나 발열체수용홈(47)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발열체수용홈(47)으로 가열된 물이 전달되면 발열체가 반응하여 증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증기는 제1 내지 제3세팅홈으로 확산되어 제1l 내지 제3가열음식수용부에 수용된 밥, 국 또는 가열이 필요한 음식을 데운다. 물투입홈(72)으로 가열된 물을 공급 후에는, 발열용기(40)에 덮개(120)를 결합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물투입홈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덮개(120)는 발열용기(40) 결합 시, 물투입홈(72)에 대응되는 하면에서 물투입홈(72)으로 돌출되고 물투입홈(72)의 하부측까지 연장되어 제1물공급통로의 측부가 폐쇄될수 있도록 하는 통로 보조폐쇄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용기본체(10)가 발열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투입홈(72)을 통해 발열체로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발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열용기(140)가 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열용기(140)는 격벽부(80)에 제2 및 제3증기통로(104,105)가 더 형성되고, 제2 및 제3증기통로(104,105)을 차단하거나 차단해제하는 복수의 제1통로가변부재(1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열용기(40)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2증기통로(104)는 제2세팅홈(54)과 제4팅홈(60)이 연통되는 방향으로 제2격벽(83)에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된다. 제3증기통로(105)는 제4세팅홈(60)과 제5세팅홈(63)이 연통되는 방향으로 제4격벽(87)에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된다.
제1통로가변부재(150)는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측에 설치되어 제2 또는 제3증기통로를 폐쇄한다. 제1통로가변부재(150)는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에 위치되어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를 폐쇄하는 통로차단본체(151)와, 통로차단본체(151)가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에 위치시 제2 또는 제4격벽(83,87)과 마주하는 통로차단본체(151)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슬라이딩결합돌기(151)를 구비한다.
제2 및 제4격벽(83,87)은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가 형성되는 측에 슬라이딩결합돌기(151)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결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고 제2 또는 제3증기통로(104,105)과 연통되며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결합홈(83a,83b)(84a,84b)이 각각 형성된다.
제4격벽(87)은 제3증기통로(105)가 제4세팅홈(60)과 제5세팅홈(63)이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 제2세팅홈(54)과 제6세팅홈(66)이 연통되는 위치에 제3증기통로(105)가 형성되거나, 제2세팅홈(54)과 제7세팅홈(69)이 연통되는 위치에 제3증기통로(10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제1통로가변부재(150)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증기통로(104 105)가 형성된 제4, 제5, 제6 또는 제7세팅홈으로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의 확산을 유도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다양한 음식 구성의 도시락을 세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제4세팅홈(60) 상부측에 인입홈(46)이 연통되게 절제되어 제3물공급통로(107)를 형성하는 절제부(264)가 형성되고, 발열용기(24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열용기(40)의 구조에, 제4세팅홈의 저면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될 수 있는 발열체보조수용홈(261)과, 하부가 절제부(26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3물공급통로(107)가 폐쇄되게 절제부(264)에 탈착가능하게 삽입고정가능하고 절제부(264)에 삽입 시 상단이 덮개지지리브(45)와 연속되게 위치되는 제2통로가변부재(270)와, 제3증기통로(105)와, 제1통로가변부재(150)를 더 구비한다.
인입홈(46)은 물투입홈(72) 일측에서 절제부(264), 즉 제3물공급통로(107)로 갈수록 하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커지도록 인입형성된 경사인입부(46a)와, 경사인입부(46a)에서 물투입홈(72)의 타단까지 일정한 깊이로 인입형성되되 제3물공급통로(107)에 인접한 경사인입부(46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수평인입부(46b)를 구비한다.
절제부(264)는 제3통로가변부재(107)가 제4세팅홈(60)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4세팅홈(60) 측의 폭이 인입홈(46) 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인입홈의 저면 측에서 제4세팅홈(60)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제2통로가변부재(270)는 절제부(26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제부(264)를 차단하거나 폐쇄한다. 제2통로가변부재(270)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절제부(264)에 삽입 시 제4세팅홈에 마주하는 일측면의 폭이 인입홈(46)과 마주하는 타측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통로가변부재(270)는 절제부(264)에 삽입 시 인입홈(46)의 저면을 기준으로, 인입홈(46)의 저면의 위측은 인입홈에서 제4세팅홈방향으로 덮개지지리브에 대응되는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인입홈(46)의 저면의 아래측은 하방으로 갈수록 인입홈에서 제4세팅홈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물공급홈 측에서 인입홈(46)의 경사인입부(46a)로 유입되는 물이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36)에 막히지 않고, 절제부를 통해 제4세팅홈(60)에 유입이 용이하도록, 절제부(264)와 연통되는 측의 경사인입부(46a)는 덮개지지리브(45)에 지지된 테두리부의 하단보다 깊게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36)가 절제부(264)의 측부를 덮지 않고 절제부(264) 측을 제외한 용기본체고정리브(43)의 측부만 덮을 수 있도록, 용기본체(10)는 발열용기에 결합 시 절제부(264)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두리부(36) 사이에 연통홀(3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증기통로(105)는 제4격벽(87)의 제4세팅홈(60)과 제5세팅홈(63) 사이에 형성되며, 제1통로가변부재(150)는 제3증기통로(1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체보조수용홈(261)에 수용된 발열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제5세팅홈(63)으로 확산 또는 차단되게 제3증기통로(105)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필요에 따라 발열체가 수용가능한 제4세팅홈(60)으로도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제1 및 제2세팅홈(51,54)에 수용된 발열체와 별개로 가열된 증기를 제4 및 제5세팅홈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제1세팅홈(51) 외에도 제4세팅홈(60)도 발열체를 수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물투입홈 (72)외에도 인입홈을 따라 제4세팅홈(60)으로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가열이 필요한 음식의 수를 늘릴수 있고 제4 또는 제5세팅홈에 수용되는 제4 및 제5음식수용부로 가열된 음식 추가 시 가열된 증기의 확산영역을 넓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 열전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10 : 용기본체 31 : 플레이트부
36 : 테두리부 40 : 발열용기
41 : 발열용기본체부 47 : 발열체수용홈
43 : 용기본체고정리브 45 : 덮개지지리브
49 : 경유홈 72 : 물투입홈
80 : 격벽부 90 : 물공급부
101 : 제1물공급통로 102 : 제2물공급통로
103 : 제1증기통로 120 : 덮개

Claims (7)

  1.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구획된 다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가 각각 수용되는 다수의 세팅홈과, 다수의 세팅홈 중 어느 하나인 세팅홈의 저면측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되는 발열체수용홈과, 일측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 투입홈과, 상기 물 투입홈에서 상기 발열체수용홈으로 연장된 물공급유로가 형성된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결합되어 싱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물투입홈은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발열용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덮이지 않는 상기 발열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용기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발열용기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상기 세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부와,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모서리측에 상기 물투입홈이 형성되게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직교하는 내주면들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물투입홈과 인접하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 중 다른 하나인 상기 세팅홈이 연통되게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물공급유로의 제1물공급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로 형성리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세팅홈과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세팅홈이 부분 구획되어 연통되도록 제2물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길이방향 방향 일측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2물공급통로가 형성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1격벽에 대해 상기 제1격벽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제2격벽과,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상기 제2격벽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폭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대해 이격되는 제3격벽과, 상기 제3격벽에 나란하되 상기 제3격벽에 대해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격벽과 직교하는 제4격벽과, 상기 제4격벽에 대해 이격되되 상기 제2격벽과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내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5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제3격벽과 상기 제4격벽을 연결하는 제6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격벽 또는 상기 제4격벽은 일측에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세팅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용기는 상기 증기통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증기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통로가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용기는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세팅홈의 저면에 인입되되 상기 물투입홈의 저면보다 낮으며 상기 발열체수용홈의 저면보다 높게 인입형성되는 경유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물공급통로의 저면측이 상기 물투입홈의 저면과 상기 경유홈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경사진형태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물공급통로의 저면측이 상기 경유홈의 저면과 상기 발열체수용홈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다수의 음식수용부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판 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용기본체부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들의 둘레로 연장된 상단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 연장방향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들과 상기 테두리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용기본체 고정리브와, 상단에 상기 용기본체 고정리브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와 상기 덮개지지리브 사이에 상기 물투입홈의 상부와 연통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6.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구획된 다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가 각각 수용되는 다수의 세팅홈과, 다수의 세팅홈 중 어느 하나인 세팅홈의 저면측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되는 발열체수용홈과, 일측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 투입홈과, 상기 물 투입홈에서 상기 발열체수용홈으로 연장된 물공급유로가 형성된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결합되어 싱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물투입홈은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발열용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덮이지 않는 상기 발열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용기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발열용기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상기 세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내주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부와,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모서리측에 상기 물투입홈이 형성되게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직교하는 내주면들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물투입홈과 인접하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 중 다른 하나인 상기 세팅홈이 연통되게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물공급유로의 제1물공급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로 형성리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발열용기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세팅홈과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세팅홈이 부분 구획되어 연통되도록 제2물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는 다수의 음식수용부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판 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용기본체부는
    다수의 상기 세팅홈들의 둘레로 연장된 상단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 연장방향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다수의 상기 음식수용부들과 상기 테두리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용기본체 고정리브와, 상단에 상기 용기본체 고정리브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본체고정리브와 상기 덮개지지리브 사이에 상기 물투입홈의 상부와 연통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세팅홈 중
    상기 물투입홈과 연통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세팅홈과, 상기 발열체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물공급통로에 의해 상기 다른 하나의 세팅홈과 연통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세팅홈과 구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세팅홈을 구비하고,
    상기 또 다른 세팅홈은 상기 인입홈이 연통되게 절제되어 제3물공급통로를 형성하는 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용기는 상기 또 다른 세팅홈의 저면에 인입되어 상기 발열체가 수용될 수 있는 발열체보조수용홈과, 하부가 상기 절제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물공급통로가 폐쇄되게 상기 절제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고정가능하고 상기 절제부에 삽입 시 상단이 상기 덮개지지리브와 연속되게 위치되는 제2통로가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입홈은 상기 물투입홈 일측에서 상기 제3물공급통로로 갈수록 하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커지도록 인입형성된 경사인입부와, 상기 경사인입부에서 상기 물투입홈의 타측까지 일정한 깊이로 인입형성되되 상기 제3물공급통로에 인접한 상기 경사인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수평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부는
    상기 제2통로가변부재가 상기 또 다른 세팅홈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또 다른 세팅홈과 연통되는 측의 폭이 상기 인입홈에 연통되는 측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통로가변부재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제부에 삽입 시 상기 또 다른 세팅홈에 마주하는 일측면의 폭이 상기 인입홈과 마주하는 타측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KR1020210052623A 2021-04-22 2021-04-22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KR10251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23A KR102518376B1 (ko) 2021-04-22 2021-04-22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23A KR102518376B1 (ko) 2021-04-22 2021-04-22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03A KR20220145703A (ko) 2022-10-31
KR102518376B1 true KR102518376B1 (ko) 2023-04-05

Family

ID=8380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23A KR102518376B1 (ko) 2021-04-22 2021-04-22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413B1 (ko) 2018-10-17 2021-06-25 권수진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KR102268602B1 (ko) * 2019-09-17 2021-06-24 권수진 음식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03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5229B2 (ja) 冷却パック付き食品容器
CA2334506C (en) Vented container with handles and embossment
KR102264010B1 (ko) 도시락 용기
US6234677B1 (en) Divided insulated container
US6821019B2 (en) Divided insulated container
TW201808741A (zh) 食物保鮮盒
KR102269413B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US5538136A (en) Egg-storer
TWM538373U (zh) 食物保鮮盒
US11330934B2 (en) Reusable chemically heated chafing dish
JP2003192074A (ja) 包装用容器
KR102518376B1 (ko)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
US6189722B1 (en) Compartmentalized cookware system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KR102662124B1 (ko)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JP2001206408A (ja) 容 器
KR20190002641U (ko) 초밥용 포장용기
JP7429975B2 (ja) 包装用容器
CN210809635U (zh) 一种饭盒
KR102594488B1 (ko) 휴대용 발열 지퍼 팩 및 그 사용 방법
JP4340956B2 (ja) 中容器を有する包装用容器
JP3149729U (ja) 寿司容器
JP2024001642A (ja) 弁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