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07B1 - 그릇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그릇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07B1
KR102518307B1 KR1020220135736A KR20220135736A KR102518307B1 KR 102518307 B1 KR102518307 B1 KR 102518307B1 KR 1020220135736 A KR1020220135736 A KR 1020220135736A KR 20220135736 A KR20220135736 A KR 20220135736A KR 102518307 B1 KR102518307 B1 KR 10251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wl
plate
sliding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주)우일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일이앤지 filed Critical (주)우일이앤지
Priority to KR102022013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47J39/025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for warming dishes without food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7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for carry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62B2206/04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only the load suppor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릇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 외부에서 탄성지지하는 그릇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릇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슬릿부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가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주연에 접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본체의 모서리측을 향하여 상기 롤러부의 일부가 통과하게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의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스와 접하게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롤러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그릇 디스펜서에 따르면, 항시 일정한 높이로 그릇을 적층(수납)시켜 허리를 굽히거나 그릇이 낙하되는 위험을 줄이게 되어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후좌우 수평을 맞추어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편심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소음을 줄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릇 디스펜서{Plate Dispenser}
본 발명은 그릇 디스펜서로서, 디스펜서에 수납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미리 설정한 높이로 그릇을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릇(용기) 등을 식당에서 제공하는 경우, 다수의 그릇을 한곳에 쌓아둔 상태에서 적재된 그릇을 분배하여 손님들에게 분배하거나 손들이 직접 적재된 그릇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손님에게 사용할 그릇의 수납(보관) 또는 사용 후 세척을 위하여 겹겹이 적층시켜 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층된 그릇이 처음에는 높았다가 손님들에게 분배가 되면서부터 높이는 점점 낮아지게 되어 나중에 오는 손님에게 분배될 ‹š에는 허리를 숙여(굽혀)서 주게 되면서, 작업자들은 수시로 허리를 숙이게 되어 허리 통증 등을 유발시키게 되어 직업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그릇을 높이 적층시킬 경우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는 위치로 인하여 편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그릇의 낙하 위험이 있고, 그릇이 낙하하면 작업자 또는 그릇 주변의 사람들에게 위험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그릇의 높이를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높이)로 적층시킨 후 손님에게 그릇을 분배하게 되면서, 그릇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허리를 숙일 수밖에 없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릇을 수시로 수납시켜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977호(2005.05.02.)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9-0037490호(1999.05.25.)
본 발명은 그릇의 상승 공급시 전후좌우 수평을 맞추고 그릇을 균일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제공하며 그릇을 수평을 맞추며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높이까지 그릇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작업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하고, 내부에 그릇을 수납하여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릇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그릇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 외부에서 탄성지지하는 그릇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릇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슬릿부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가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주연에 접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본체의 모서리측을 향하여 상기 롤러부의 일부가 통과하게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의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스와 접하게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롤러 결합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두개 면이 만나는 모서리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유동을 지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슬릿부를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슬라이딩부재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릿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면을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편심방지 이격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방지 이격개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향하여 밀착하는 일면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마찰면이 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릇 디스펜서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그릇 디스펜서에 따르면, 항시 일정한 높이로 그릇을 적층(수납)시켜 허리를 굽히거나 그릇이 낙하되는 위험을 줄이게 되어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그릇 디스펜서에 따르면, 전후좌우 수평을 맞추어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편심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소음을 줄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릇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본체의 그릇 지지수단의 작동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을 상측에서 일부 투영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릇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본체의 그릇 지지수단의 작동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이며, 도 4는 도 1을 상측에서 일부 투영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릇 디스펜서를 설명하면, 그릇 디스펜서(1)는 케이스(10), 본체(20), 그릇 지지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그릇 지지수단(30)이 구비된 본체(20)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본체(20)가 구비되게 관통되되, 많은 그릇(C)이 수납(안착)될 경우 무거운 상태에서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본체(20)와 이송수단이 설치되는 브라켓이 본체(2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일측과 대응한 타측 즉 저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삽입된 본체(20)가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가 관통되어 본체(2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단측과 후단측이 개구되고, 선단측을 통하여 슬라이딩 삽입된 본체(20)가 타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어 케이스(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은 케이스(10)의 후단측에서 관통된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선단측을 통해 삽입된 본체(2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송수단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은 본체(20)에 수납되는 그릇의 무게에 따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어 케이스(10)에 용접 또는 끼임 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송수단은 롤러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롤러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20)는 적층되는 그릇(C)의 중량에 따라 내부로 그릇(C)을 수납할 수 있으며, 그릇(C)이 본체(20) 외부로 노출되고, 이때 그릇의 높이는 작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소정의 높이로 제공할 수 있도록 그릇 지지수단(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20)는 그릇 지지수단(30)이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고, 플레이트(32)에 수개의 그릇(C)이 적층되어 수납될 수 있다. 물론, 그릇(C)은 케이스(10)에 본체(20)를 삽입시킨 뒤 수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와 본체(20)는 사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나, 사면보다 적거나 많은 수개의 면 또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은 작업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그릇(C)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그릇으로서 이미 알려진 용기, 접시, 식판, 대접 등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에 하나의 그릇 또는 수개의 그릇들이 수납(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플레이트(32)가 편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레이트에 하나의 그릇에 수개가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고, 관통된 내부와 외부를 연통되게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릿부(22)가 형성되고, 슬릿부(22)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후술하는 연결부재(36)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부(22)는 일면에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고, 수개가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20)의 타면에 일면에 형성된 슬릿부(22)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슬릿부(22)는 본체(20) 일면의 슬릿부로부터 본체(20) 타면의 슬릿부를 후술하는 연결부재(36)가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36)는 본체 일면의 슬릿부와 이와 마주하는 본체 타면의 슬릿부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슬라이딩부재(34)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아 슬릿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부(24)는 슬릿부(22)의 길이방향으로 슬릿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연결부재(36)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24)는 본체(20)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슬릿부(22)를 중심으로 연결부재(36)의 일면과 근접한 제 1가이드(241)와 연결부재(36)의 타면과 근접한 제 2가이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4)는 연결부재(36)의 일면과 타면은 가이드부(24)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각각 밀착되어 후술하는 플레이트(32)의 슬라이딩을 지지하게 되어 플레이트(3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연결부재(3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면서 플레이트(32)의 편심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는 작업자가 미리 설정한 높이로 그릇(C)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3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그릇 지지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릇 지지수단(30)은 플레이트(32), 슬라이딩부재(34), 연결부재(36), 탄성부재(38), 롤러부(40)를 포함하여, 플레이트(32)에 안착(적층)하는 그릇(C)의 중량에 따라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릇 지지수단(30)은 그릇(C)의 높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시 일정한 높이를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롤러부(40)로 본체(20)의 편심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32)는 본체(20)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게 구비되어 플레이트(32)에 안착하는 그릇(C)의 중량에 따라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릇(C)을 적층(수납)을 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4)는 본체(20)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연결부재(36)에 의해 플레이트(32)와 연결되어 플레이트(32)를 지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재(34)는 본체(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슬라이딩부재(34)는 상호 마주하는 슬릿부(22)를 통과한 연결부재(36)와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재(34)는 플레이트(32)에 적층되는 그릇(C)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압력이 연결부재(36)를 통해 슬라이딩부재(34)에서 분산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로 그릇(C)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32)에 그릇(C)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수납되는 경우 슬라이딩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34)는 본체(20)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는 모서리측에서 본체(20) 및 플레이트(32)의 편심 발생을 방지하는 롤러부(40)가 구비되며, 롤러부(40)를 고정시키는 롤러 결합구(361,36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결합구(341,342)는 본체(20)의 모서리측을 향하여 상기 롤러부의 일부가 통과하게 관통된 관통홀(341)과, 롤러부(341)의 다른 일부가 케이스(10)와 접하게 돌출되어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돌기(342)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 결합구(341,342)는 본체(20)의 모서리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341)과 관통홀(34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롤러부(40)가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34)는 관통홀(341)을 통하여 롤러부(40)가 일부가 본체(20) 측으로 통과하고 다른 일부에 결합돌기(342)에 결합되되, 다른 일부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슬라이딩부재(34)는 플레이트(32)에 가해지는 무게에 따른 압력을 연결부재(36)로부터 전달받게 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연결부재(36)는 탄성부재(38)로부터 탄성지지되는 슬라이딩부재(34)에 연결되어 플레이트(32)를 지지한다. 연결부재(36)는 슬라이딩부재(34)에 적층되는 그릇의 중량을 슬라이딩부재(34)로 분산시킨다.
연결부재(36)는 본체(20) 일면의 슬릿부와 대응하는 본체(20) 타면의 슬릿부를 통과하여, 연결부재(36)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슬라이딩부재(34)에 연결되어 슬릿부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연결부재(36)는 일측과 타측 사이에 플레이트(32)가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재(36)에는 플레이트(32)가 안착하여 결합되는 탈착가능한 방식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고정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36)는 플레이트(32)에 적층되는 그릇(C)의 중량을 슬라이딩부재(34)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34)로부터 탄성부재(38)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릇(C)을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6)는 수개가 구비되어 균형을 맞춰 플레이트(32)를 지지하게 되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36)는 플레이트(3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플레이트(32)에 안착하는 그릇(C)이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36)가 슬라이딩부재(34)로 무게(하중)를 분산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8)는 본체(20)와 슬라이딩부재(34)를 연결시켜 플레이트(32)에 안착하는 그릇(C)의 중량에 따라 인장되며 슬라이딩부재(34)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38)는 본체(20)의 둘레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체(20)의 슬릿부(22)가 형성된 일면 및 타면에 슬릿부의 사이에 수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38)는 일단이 본체(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재(34)에 연결되어 인장되며 슬라이딩부재(34)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38)는 작업자의 설정에 따라 플레이트(32)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조절하기 위해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는 작업자의 설정 높이에 맞추기 위해 그릇의 중량에 따라 탄성부재(38)의 개수를 조절하며, 중량 설정의 자유를 위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그릇 디스펜서는, 본체에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 그릇이 편향되게 수납되면 본체(20)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가 편심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릇 지지수단(30)에는 본체(20)의 모서리측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케이스(10)의 내주연에 밀착하면서 본체(20)를 지지하는 롤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40)는 케이스(10)와 본체(20) 사이의 슬라이딩부재(34)에 연결되어, 본체(20) 내주연에 접하며 슬라이딩부재(34)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며, 슬라이딩부재(34)의 두개 면이 만나는 모서리측에 구비되어 본체(20)의 유동을 지지할 수 있다.
롤러부(40)는 케이스(10)와 본체(20) 사이에서 슬라이딩부재(34)에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40)는 본체(20)의 모서리측과 케이스(10)의 내주연을 접하며 슬라이딩부재(34)의 상승 또는 하강시 각각의 모서리측에서 지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하게 되면서 편심을 방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 롤러부(40)는 관통홀(341)에 일부가 통과하여 외둘레면에 모서리측이 인입되며 결합돌기(3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롤러부(40)의 타측이 케이스(10) 내주연에 밀착하게 되어 본체(20)의 모서리와 케이스(10)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롤러부(40)는 플레이트(32)에 그릇(C)을 안착시키면 그릇(C)의 무게가 슬라이딩부재(34)로 전달되고, 탄성부재(38)에서 제공하는 탄성력보다 커지면 점진적으로 슬라이딩부재(34)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롤러부(40)가 본체(20)와 케이스(10) 사이에서 슬라이딩부재(34)를 지지하며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그릇(C)이 플레이트(32)의 중앙에 안착하지 않게 되면 일측으로 편심되어 플레이트(32)가 하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편심된 측의 롤러부(40)에서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부(40)는 사면을 갖는 본체(20) 각각의 모서리에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수개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에서 각각 지지함에 따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예로, 슬라이딩부재(34)가 본체(20)의 상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플레이트(32)에 안착(수납)하는 그릇(C)의 무게에 따라 슬라이딩이 진행되는 방향의 하측의 롤러부와 상측의 롤러부가 각각 본체(20)와 케이스(10)를 지지하게 되면서 슬라이딩부재(34)가 상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 좌우측 또는 상하측으로 편심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그릇 디스펜서는 플레이트(32)에 수개의 그릇을 적층시킬 경우, 편향되지 않고 항시 일정하게 플레이트(32)의 중심에서 압력을 받을 수는 없기 때문에 일측으로 편향되게 압력을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그릇 디스펜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그릇 디스펜서의 경우, 플레이트(32)에 편심되게 그릇이 적층될 경우에도 플레이트(32)의 슬라이딩시 편심되지 않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심방지 이격개(5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방지 이격개(50)는 연결부재(36)의 일면과 가이드부(24)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부재(36)의 타면을 가이드부(24)의 타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편심방지 이격개(50)는 가이드부(24)의 타측을 향하여 밀착하는 일면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마찰면이 수개가 형성되어 슬라이딩시 발생하는 마찰면을 줄여 슬라이딩시 마찰열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편심방지 이격개(50)는 내구성의 향상을 위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36)는 슬릿부(22)에서 슬라이딩될 때 가이드부(24)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편심방지 이격개(50)에 의해 제 1가이드(241)와 제 2가이드(242)에 편심방지 이격개(50)에 의해 밀착하게 되어 플레이트(32)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롤러부(40)와 함께 이용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릇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플레이트(32)에 그릇을 수개 안착시키게 되면 탄성부재(38)의 장력보다 커지게 되면 플레이트(32)가 슬라이딩하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8)에 의해 플레이트(32)를 지지하며 본체(20) 외부로 그릇(C)은 항시 노출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롤러부(40)는 케이스(10)에 밀착하면서 플레이트(32) 또는 본체(2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플레이트(32)에 그릇을 가져가게 되면 탄성부재(38)의 장력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플레이트(32)는 상승하게 되어 본체(20) 내부에 수납된 그릇(C)이 본체(20)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릇 디스펜서에 따르면, 항시 일정한 높이로 그릇을 적층(수납)시켜 허리를 굽히거나 그릇이 낙하되는 위험을 줄이게 되어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후좌우 수평을 맞추어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편심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소음을 줄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케이스
20: 본체
30: 그릇 지지수단
40: 롤러부
50: 편심방지 이격개

Claims (8)

  1.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 외부에서 탄성지지하는 그릇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릇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슬릿부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그릇의 중량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가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주연에 접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본체의 모서리측을 향하여 상기 롤러부의 일부가 통과하게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의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스와 접하게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롤러 결합구;를 포함하는 그릇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두개 면이 만나는 모서리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유동을 지지하는 그릇 디스펜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를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슬라이딩부재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그릇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릿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면을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편심방지 이격개;를 포함하는 그릇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방지 이격개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향하여 밀착하는 일면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마찰면이 수개가 형성된 그릇 디스펜서.

KR1020220135736A 2022-10-20 2022-10-20 그릇 디스펜서 KR10251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36A KR102518307B1 (ko) 2022-10-20 2022-10-20 그릇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36A KR102518307B1 (ko) 2022-10-20 2022-10-20 그릇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307B1 true KR102518307B1 (ko) 2023-04-06

Family

ID=8591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736A KR102518307B1 (ko) 2022-10-20 2022-10-20 그릇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90A (ko) 1997-10-29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고체 전해질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0236968A (ja) * 1999-02-25 2000-09-05 Nippon Senjoki Kk 食器ディスペンサー
KR200383977Y1 (ko) 2005-02-28 2005-05-10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국그릇 디스펜서
JP2008126723A (ja) * 2006-11-17 2008-06-05 Sogo Kikaku:Kk 積載台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90A (ko) 1997-10-29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고체 전해질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0236968A (ja) * 1999-02-25 2000-09-05 Nippon Senjoki Kk 食器ディスペンサー
KR200383977Y1 (ko) 2005-02-28 2005-05-10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국그릇 디스펜서
JP2008126723A (ja) * 2006-11-17 2008-06-05 Sogo Kikaku:Kk 積載台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8398B1 (en) Table top folded sheet dispenser
US7114776B1 (en) Lumbar support cushion
US3315858A (en) Service tray
US6024427A (en) Mobile office furniture pedestal unit with handle and auxiliary worksurface and storage
KR102518307B1 (ko) 그릇 디스펜서
JPH08256623A (ja) ペット給餌ステーション
US20140217112A1 (en) Napkin Dispenser
US20120223040A1 (en) Coffee caddy
CA2582068C (en) A carrier for a paint tray
US7717379B2 (en) Furniture balancing apparatus
US10959557B1 (en) Ergonomic food and drink storage tray
US4070072A (en) Self leveling dispenser
US20110214575A1 (en) Lifting mechanism of fry device and frying pan
US1197190A (en) Baggage-carrier.
US20060163268A1 (en) Napkin dispenser with dispensing control frame
US3512826A (en) Mobile food service wagon
KR101806876B1 (ko) 선반이 구비된 휴지걸이
US10149565B2 (en) Reconfigurable hanger
KR101283236B1 (ko) 음식 배달용 가방
EP3175126B1 (en) Modular wall system with slidable furniture
US7552974B2 (en) High chair
KR101761901B1 (ko) 핀홀 위치조절 방식의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책상
CN219020607U (zh) 填单台
US96625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abled individuals access to playground structures
US20230086358A1 (en) Serving cad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