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145B1 - 배관용접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145B1
KR102517145B1 KR1020190033132A KR20190033132A KR102517145B1 KR 102517145 B1 KR102517145 B1 KR 102517145B1 KR 1020190033132 A KR1020190033132 A KR 1020190033132A KR 20190033132 A KR20190033132 A KR 20190033132A KR 102517145 B1 KR102517145 B1 KR 10251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pipe
welding torch
welding
distan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516A (ko
Inventor
윤훈성
김경수
박평원
유화웅
이동훈
정상호
함효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배관용접장치가 제공된다. 배관용접장치는, 파이프 둘레에 장착된 체인에 걸려 이동하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과,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및 스프로킷과 연결된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제1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와, 용접토치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용접토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용접토치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 제1몸체로부터 제2몸체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 및 제1거리조정 바와 이격되어 제1몸체 및 제2몸체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접장치{Apparatus for weld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둘레를 주행하며 용접하는 배관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금속물체를 매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물품으로부터 크기가 큰 금속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제품의 제작에 용접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형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분할되어 제작된 금속판이나 금속프레임 등을 용접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을 형성하는 데에도, 용접은 필수적이다. 용접과정은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작업이 반복적이거나 위험한 경우 등에는 자동화된 용접장비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 용접장비의 경우 구조나 동작방식 등이 정형화되어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용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접장비를 파이프 용접에 적용하는 경우, 장비의 장착과 토치의 위치 조정에 관한 문제, 소모품 교환이나 상황 발생시 대처에 관한 문제, 파이프의 예열이나 후열 등이 이루어질 때 장치의 적용에 관한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들이 원만히 해결되지 못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5135호, (2013. 10. 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접장치는, 파이프 둘레에 장착된 체인에 걸려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상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제2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 및 상기 제1거리조정 바와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용접토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접토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회전모듈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중심과 상기 용접토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로킷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로킷의 양 단부에 상기 제3스프로킷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상기 제3스프로킷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 상기 중앙기어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상기 중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 및 각각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파이프 등의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파이프 둘레에 용접장치를 보다 신속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파이프 둘레에 장치가 장착된 상태로도 다양한 상황변화에 대응이 가능하고, 특히 용접 시 파이프의 예열이나 후열이 필요한 경우에도 문제없이 장치를 적용할 수 있어, 상황에 구애되지 않고 매우 원활한 용접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적 개선을 통해 용접토치의 다양한 위치조정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여, 용접작업의 안정성과 정밀성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거리조정 바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2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이동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접촉 휠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접장치(1)는 하중이 집중되는 몸체부분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로 분리되며, 서로 분리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가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파이프(도 10의 B참조)에 고정되는 제1몸체(10)로부터 용접토치(210)가 형성된 제2몸체(20)가 보다 자유롭게 확장되고, 동시에 확장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제2몸체(10)가 제1몸체(20)로부터 확장된 상태에서도 용접토치(210)를 매우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제1몸체(10)는 파이프의 둘레를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 등의 구동구조가 내장되어 있어 파이프에 장착된 채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하며, 제2몸체(20)는 용접토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도 6의 220참조) 및 제3구동부(도 6의 230참조) 등의 구동부가 제1몸체(1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1몸체(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도 문제없이 용접토치(2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그 사이에서 적어도 2가지 서로 다른 구조로 이들을 연결 및 접속시키는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통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는 단일 지지체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양 측에서 그보다 짧은 길이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대향되는 지지체로 형성된다. 특히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서로 반대편에서 각각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서 맞닿아 지지점을 형성함으로써, 단일 지지체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쳐짐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제2몸체(20)가 제1몸체(10)에서 충분히 확장된 상태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배관용접장치(1)가 적용되는 파이프 둘레에 예열패드(도 10의 C참조) 등 부착물이 형성된 경우에도 제2몸체(20)를 충분히 확장시켜 이를 회피하면서 장비를 문제없이 구동하는 등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관용접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배관용접장치(1)는, 파이프(도 10의 C참조) 둘레에 장착된 체인(도 8 및 도 10의 A참조)에 걸려 체인을 따라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과, 수용공간(101)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도 7 및 도 8의 제1스프로킷(111) 참조]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를 포함하는 제1몸체(10), 제1몸체(10)로부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210)와, 용접토치(210)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220), 및 용접토치(2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용접토치(2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230)를 포함하는 제2몸체(20),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30), 및 제1거리조정 바(30)와 이격되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4참조].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배관용접장치(1)의 각 구성과 작용효과 등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함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골격구조 외측에 차단커버(102)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차단커버(102)를 개방하여 내부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차단커버(102)는 일 측이 힌지 등으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클립(102a)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차단커버(102)를 개방하고 내부 수용공간(101)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체인 등을 수용공간(101)으로 통과시키며 제1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몸체(10)에는 전술한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 제1스프로킷(도 7 및 도 8의 111참조), 제2스프로킷(도 8의 112참조),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 제4구동부(도 4의 140참조), 이동조절부(도 7 및 도 8의 130참조)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체인에 걸려 파이프 둘레를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몸체(1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몸체(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토치(210) 주변에 서로 다른 구동부들이 집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20)는 용접토치(210)를 파이프 외측에서 파이프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220), 제2구동부(220)와 용접토치(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도 2의 241참조)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용접토치(210)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240), 용접토치(210) 일 측에 배치되어 배관용접장치(1)의 파이프 둘레를 따르는 원주상의 이동에 대응하여 용접토치(2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230)등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을 통해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와 독립된 구동구조를 보유하게 되며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고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몸체(2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 역시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이러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도 5참조]. 제1거리조정 바(3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의 제4구동부(140)와 결합되어 신축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10) 내측에는 제4구동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구동부(140)는 제1거리조정 바(30)에 연결되어 제1거리조정 바(30)를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구동부(140)는 제1거리조정 바(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2스크류(142), 제2스크류(142)에 나사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제2이동블록(143), 및 제2스크류(142)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4구동부(140)의 제2이동블록(143)에 결합되어 제2스크류(142)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신축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신축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며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의 타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0)의 일 측에 고정되며 따라서 제1거리조정 바(30)가 신축되며 제2몸체(20)와 제1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아 지지되는 복수 개의 판 형상 프레임[제1프레임(31) 및 제2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다른 하나의 외면에 지지되는 돌출편(3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프레임[제1프레임(31) 및 제2프레임(32)]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제1거리조정 바(30)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과 같이 제2몸체(20)와 제1몸체(10)를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둘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시키는 경우 하중의 분산 및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돌출편(32a)은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거리조정 바(30) 전체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제1거리조정 바(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도 구조의 변형 등을 막을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길이가 긴 블록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제3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3프레임(33)은 제1거리조정 바(30)의 제1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은 제1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에는 커버(34) 등을 결합하여 갈무리해 줄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된다. 각각은 일단부가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각각 고정된 구조로서 그 반대편 말단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다[도 4참조]. 따라서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도 5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제2몸체(20)와 제1몸체(10)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며 지지된다. 즉,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서로 이격되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가변 가능한 지지점을 형성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도 배관용접장치(1)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순한 바 형상의 단일 지지체만으로 물체를 지지하는 경우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체하중으로 인해 지지체의 처짐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기 쉬우나, 본원 발명은 서로 반대측에서 돌출되고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서 접속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장치 전체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면이 상호 중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면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41a, 4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슬라이딩 레일(41a, 42a)을 각 제2거리조정 바(41, 42)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고 홀더(41b, 42b)와 같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2거리조정 바(41, 42) 상호간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제1거리조정 바(30)의 신축작용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거리조정 바의 작동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조정 바[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제2몸체(20)를 제1몸체(10)로부터 매우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제1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도 10의 A참조)에 걸려 고정되나 제2몸체(20)는 그로부터 이탈된 상태로도 제1거리조정 바(30)와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의 지지구조를 통해서 매우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통해서 도 5의 (a)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인접한 경우뿐만 아니라, 도 5의 (b)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도 장치 전체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예를 들어, 제1거리조정 바(30)와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제1몸체(10)의 길이만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이프 둘레에 형성된 장애물[도 10의 예열패드(C) 등일 수 있다]도 용이하게 회피하며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성도 유지되므로 용접토치(210)의 보다 정밀한 조작도 가능하다. 배관용접장치(1) 전체의 작동과정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2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전술한 제2몸체(20)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몸체(20)는 직선운동하는 구조의 제2구동부(220)를 일종의 베이스로 하여 제2구동부(220)에 가동조인트부(240)가 연결되고, 가동조인트부(240)가 다시 용접토치(210)와 제3구동부(230)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구동부(230)는 용접토치(210)와 인접한 측의 가동조인트부(2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부(220)는 파이프의 직경 방향을 향해 배치된 제1스크류(222), 제1스크류(222)에 나사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제1이동블록(223),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221), 및 제2모터(221)와 제1스크류(222)의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조인트부(240)는 일단부가 제1이동블록(2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용접토치(210) 측으로 연장되어 용접토치(2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구동부(220)의 외측에는 하우징[점선부분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을 매개로 전술한 제1거리조정 바(30) 및 제2거리조정 바(41)와 고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동조인트부(240)는 굴절이 가능하여 용접토치(210)의 배열상태를 보다 편리하게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조인트부(240)는 힌지축(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축(241)을 매개로 고정지지부(242)와 가동지지부(243)의 서로 다른 부분이 굴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242) 및 가동지지부(243)는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이나 프레임 구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242)는 전술한 제2구동부(220)에 결합되며 특히 제2구동부(220)의 제1이동블록(도 6의 223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가동지지부(243)는 용접토치(210) 측으로 연장되어 제3구동부(230)와 용접토치(210)에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힌지축(241)을 중심으로 가동지지부(243)를 회전시켜 고정지지부(242)에 대한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동지지부(243)가 연결되어 지지하고 있는 용접토치(210) 전체의 배열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에 사용되는 소모품[용접 와이어, 용접 팁 등] 등을 보다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용접 와이어의 절단 작업 등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용접토치(210)로 인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도 보다 쉽게 노출시켜 보수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가동조인트부(240)는 힌지축(241) 둘레에 곡선 형태로 타공된 가이드홈(244)과, 가이드홈(244)에 삽입되어 가동조인트부(2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나사(2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나사(245)를 조여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3구동부(230)는 용접토치(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구동부(230)는 전술한 가동조인트부(240)의 가동지지부(243)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가동조인트부(240)의 굴절상태에 따라서 용접토치(21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구동부(230)는 특히 웜기어(232)와, 웜기어(232)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용접토치(2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233)가 형성된 회전모듈(234), 및 용접토치(210)를 회전모듈(234)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과 용접토치(2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235)를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232)는 예를 들어 가동조인트부(240)의 가동지지부(도 2의 243참조)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3모터(23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웜기어(232)의 회전축[제3모터(23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일 수 있다]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233)를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232)에 치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웜기어(232)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회전기어(233)를 회전시키고 회전기어(233)에 연결된 회전모듈(234) 전체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회전모듈(234)은 거리조절나사(235)를 통해 용접토치(2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웜기어(232), 회전기어(233) 및 회전모듈(234)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용접토치(210)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웜기어(232)와 회전기어(233)의 치합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역회전은 방지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3구동부(230)에 의한 용접토치(210)의 회전은 파이프(도 10의 B참조)의 횡단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의 말단이 향하는 방향을 중력방향과 파이프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용접장치(1)가 파이프 둘레를 주행할 때 파이프의 상부, 측부, 또는 하부로 위치가 바뀌며 장치에 대한 중력방향이 변경되고 용접부위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제어[용접부위에 형성되는 용융물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가 필요할 수 있는바. 제3구동부(230)를 이용하여 용접토치(210)의 회전각을 바꾸어 줌으로써 이러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용접토치(210)는 거리조절나사(235)를 통해 회전모듈(2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조절나사(235)는 용접토치(210)의 헤드(211) 일 측을 관통하여 회전모듈(23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키면 용접토치(210)가 나사결합에 의해 거리조절나사(235)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회전모듈(234)과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거리조절나사(235)에는 핸들(235a)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35a)을 조작하여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거리조절나사(235)는 용접토치(210)의 헤드(211)를 관통하여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회전기어(233)의 축일 수 있다]을 향해 배열되어 있으므로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켜 용접토치(210)와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사이의 간격 등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제2구동부(220)의 직선 운동을 통해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외주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제3구동부(2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용접토치(210)의 회전각을 바꿀 수 있으며, 거리조절나사(235)를 이용하여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외주면 사이의 거리를 더욱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몸체(20)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여러 구동부와 다양한 조정구조를 활용하여 용접토치(210)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하며 원활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이동조절부의 작동도이며, 도 9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접촉 휠의 작동도이다. 도 8은 제1몸체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제1몸체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은 차단커버(도 1의 102참조)를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인(도 8 및 10의 A참조)등을 결합하고 내부로 통과시키는 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1몸체(10)에는 수용공간(101)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체인과 치합되는 스프로킷이 배치된다. 스프로킷은 제1구동부(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111), 제1스프로킷(1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도 8의 112참조), 및 수용공간(101)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제2스프로킷(112)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20)는 제1모터(121) 및 제1모터(121)와 제1스프로킷(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모터(121)의 구동력을 제1스프로킷(111)에 전달하는 구동기어(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22, 123, 124)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제1모터(121)에, 다른 하나는 제1스프로킷(111)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기어로 기어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기어의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의 양 단부에는 제3스프로킷(113)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제3스프로킷(113)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도 8의 114, 115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은 고정된 제2스프로킷(112)을 향해 평행 이동하며 체인과의 결합상태를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와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구동하는 이동조절부(1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130)는 가이드스크류(114, 115)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131), 중앙기어(131)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중앙기어(1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132, 133), 및 각각 가이드스크류(114, 115)의 말단에 결합되어 접속기어(132, 133)와 치합되어 중앙기어(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134, 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130)는 제1몸체(10)의 프레임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조절부(130)의 구조를 이용하여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동기화시켜 작동시키며 제3스프로킷(113)을 안정적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기어(131)의 말단에는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결합모듈(131a)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모듈(131a)에는 외부의 구동장치[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중앙기어(131)를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중앙기어(131)가 회전하면 한 쌍의 접속기어(132, 133)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시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전달기어(134, 135)는 중앙기어(13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동기화 되어 회전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가이드스크류(114, 115) 사이에 연결된 제3스프로킷(113) 전체를 매우 안정적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의 양 말단에는 연결블록(113a, 11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스크류(114, 115)는 각각의 연결블록(113a, 113b)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가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통해 각각 연결블록(113a, 113b)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스프로킷(113)을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조절부(130)의 구조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을 통과하는 체인(A)을 스프로킷과 매우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프로킷(112)과 제3스프로킷(11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장력도 조절해 줄 수 있다. 체인(A)은 제3스프로킷(113)의 외측을 지나 그 상부에 위치한 제1스프로킷(111)에 걸린 후 다시 제2스프로킷(112)의 외측을 지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제3스프로킷(113) 및 제2스프로킷(1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나머지 부분은 파이프(도 10의 B참조)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2스프로킷(112) 및 제1스프로킷(111)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체인(A)과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3스프로킷(113)을 이동조절부(130)를 이용한 평행 이동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체인(A)과 결합할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은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이며 체인(A)에 밀착될 수 있고 따라서 가동구조를 가지면서도 양 말단이 가이드스크류(114, 115)에 의해 지지되어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제1몸체(10)의 외면에는 배관용접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몸체(10)의 외면에 배치되고 일 측이 개방된 클램핑부재(151)와, 클램핑부재(151)의 외측을 둘러싸며 클램핑부재(151)에 밀착되어 클램핑부재(151)를 압박하는 고정쉐클(152)로 이루어진 결속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151)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쉐클(152)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제1암(152a) 및 제2암(152b)을 포함하여 제1암(152a)과 제2암(152b)이 클램핑부재(151) 외측에서 교차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암(152a)에 가압나사(152c)를 결합하고 제2암(152b)과 교차되었을 때 가압나사(152c)로 제2암(152b)을 가압하여 제1암(152a)과 제2암(152b)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내측의 클램핑부재(151)를 압박할 수 있으며 클램핑부재(151)에 삽입된 케이블 등을 매우 견고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몸체(10)의 파이프(도 10의 B참조)를 향하는 면에는 파이프에 접촉하여 제1몸체(10)를 파이프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접촉 휠(1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휠(160)은 가동축(162)을 통해 제1몸체(10)에 연결된 베이스(1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161)는 가동축(16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휠(160) 전체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접촉 휠(160)의 배열상태를 변경시켜 파이프와의 밀착된 정도를 조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로부터 제1몸체(10)를 보다 멀리 이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접촉 휠(160)은 베이스(161)와 제1몸체(10)의 프레임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63, 164)을 관통하는 위치고정핀(16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위치고정핀(165)은 배열상태 변경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위치고정홈(163, 16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핀(165)을 관통시켜 결합함으로써 접촉 휠(16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배관용접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파이프(B)에 장착될 수 있다. 배관용접장치(1)는 파이프(B) 둘레에 장착된 체인(A)에 걸려 체인(A)을 따라 파이프(B) 외주면을 이동하며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체인(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B)의 외주면을 둘러싸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는 제1몸체(10) 내측의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으로 통과되어 수용공간(101) 내부의 스프로킷[제1스프로킷(111), 제2스프로킷(112), 제3스프로킷(113)]에 치합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이동조절부(도 7 및 도 8의 130참조)의 조작을 통해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을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체인(A)과 제1몸체(10)를 매우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관용접장치(1)는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체인(A)을 따라서 파이프(B) 외주면을 이동하며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10의 (a)와 같이 제2몸체(20)를 제1몸체(10)에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거나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제2몸체(20)를 제1몸체(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시킨 다양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이프(B) 외주면에 예열패드(C)와 같은 부착물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도 구애되지 않고 이를 용이하게 회피하며 편리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열패드(C) 등 부착물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 전체 길이는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파이프(B)의 예열이나 후열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용접토치(210)가 형성된 제2몸체(20)를 제1몸체(10) 외측으로 확장시키며 예열패드(C)와의 불필요한 간섭을 제거하고 원활하게 용접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해 확장된 상태로도 매우 견고하고도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바 각각 하중이 집중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도 견고하게 지지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구동구조를 이용한 용접토치(210)의 위치 조정 등도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용접작업의 질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배관용접장치 10: 제1몸체
20: 제2몸체 30: 제1거리조정 바
31: 제1프레임 32: 제2프레임
32a: 돌출편 33: 제3프레임
34: 커버 41, 42: 제2거리조정 바
41a, 42a: 슬라이딩 레일 41b, 42b: 홀더
101: 수용공간 102: 차단커버
102a: 고정클립 111: 제1스프로킷
112: 제2스프로킷 113: 제3스프로킷
113a, 113b: 연결블록 114, 115: 가이드스크류
120: 제1구동부 121: 제1모터
122, 123, 124: 구동기어 130: 이동조절부
131: 중앙기어 131a: 결합모듈
132, 133: 접속기어 134, 135: 전달기어
140: 제4구동부 141: 제4모터
142: 제2스크류 143: 제2이동블록
151: 클램핑부재 152: 고정쉐클
152a: 제1암 152b: 제2암
152c: 가압나사 160: 접촉 휠
161: 베이스 162: 가동축
163, 164: 위치고정홈 165: 위치고정핀
210: 용접토치 211: 헤드
220: 제2구동부 221: 제2모터
222: 제1스크류 223: 제1이동블록
224: 벨트연결부 230: 제3구동부
231: 제3모터 232: 웜기어
233: 회전기어 234: 회전모듈
235: 거리조절나사 235a: 핸들
240: 가동조인트부 241: 힌지축
242: 고정지지부 243: 가동지지부
244: 가이드홈 245: 위치고정나사
A: 체인 B: 파이프
C: 예열패드

Claims (5)

  1. 파이프 둘레에 장착된 체인에 걸려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상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제2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 및
    상기 제1거리조정 바와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양 측에서 각각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며 말단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사이에서 맞닿아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상기 파이프 둘레에 형성된 부착물과의 간섭을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둘레에 형성된 부착물을 회피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형성된 배관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용접토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접토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회전모듈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중심과 상기 용접토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로킷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로킷의 양 단부에 상기 제3스프로킷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상기 제3스프로킷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 상기 중앙기어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상기 중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 및 각각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KR1020190033132A 2019-03-22 2019-03-22 배관용접장치 KR10251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ko) 2019-03-22 2019-03-22 배관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ko) 2019-03-22 2019-03-22 배관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16A KR20200112516A (ko) 2020-10-05
KR102517145B1 true KR102517145B1 (ko) 2023-04-03

Family

ID=7280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ko) 2019-03-22 2019-03-22 배관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09B1 (ko) * 2020-12-22 2024-04-16 주식회사 웰드텍 파이프의 자동 용접 시스템
KR102459244B1 (ko) * 2022-06-29 2022-10-26 탐코리아 주식회사 파이프 내외경 자동 육성 용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36Y1 (ko) * 2004-07-16 2004-10-11 정홍준 용접기용 미니 케리저의 전방위 용접각도 조절장치
KR101157014B1 (ko) * 2011-03-11 2012-06-21 주식회사 에치에스테크 강관 이음부 자동용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5B1 (ko) 2012-04-09 2013-10-07 신우산업 주식회사 배관 용접장치
KR101422729B1 (ko) * 2012-06-21 2014-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가공 캐리지
KR101397186B1 (ko) * 2012-09-25 2014-05-27 오동원 위빙타입 배관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36Y1 (ko) * 2004-07-16 2004-10-11 정홍준 용접기용 미니 케리저의 전방위 용접각도 조절장치
KR101157014B1 (ko) * 2011-03-11 2012-06-21 주식회사 에치에스테크 강관 이음부 자동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16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145B1 (ko) 배관용접장치
CN112355538B (zh) 一种兼具角度和间距调节的夹装装置
US20190030734A1 (en) Robot arm mechanism and rotary joint apparatus
ITMI20130725A1 (it) Manipolatore per il prelievo e posizionamento di pezzi
JP2005319493A (ja) 構体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2108226A1 (ja) ケーブル支持装置
CN209903247U (zh) 一种夹取装置
JP2009501647A (ja) 機械化された可動構造体を形成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及び機械化された可動モジュール構造体
CN112518216A (zh) 一种角度调节模块
US1321729A (en) Tube-drawing apparatus.
CA1319312C (en) Material fabricating mechanism
ITMI20130726A1 (it) Manipolatore per il prelievo e posizionamento di pezzi
CN208945427U (zh) 一种焊接装置
JP2016022487A (ja) 管体溶接装置
KR102165418B1 (ko) 툴 매거진 시스템
CN112475750A (zh) 一种调节外径、间距和朝向的方法
CN111496421B (zh) 一种小型焊接机器人移动工作平台
JP2021053707A (ja) 多軸ロボット
CN218042111U (zh) 一种智能电机控制器安装支架的结构
JP2018084243A (ja) 一軸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5838916B2 (ja)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における上刃ホルダの取外し方法
JP2019025627A (ja) 研削ツール及びエッジの丸み付け加工方法
KR102173897B1 (ko) 툴 매거진 장치
CN218926649U (zh) 焊接夹具
CN112605600B (zh) 适应不同板面角度的螺旋叶片的夹装需求的夹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