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679B1 -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679B1
KR102516679B1 KR1020200150482A KR20200150482A KR102516679B1 KR 102516679 B1 KR102516679 B1 KR 102516679B1 KR 1020200150482 A KR1020200150482 A KR 1020200150482A KR 20200150482 A KR20200150482 A KR 20200150482A KR 102516679 B1 KR102516679 B1 KR 10251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racket
infant
stroller seat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217A (ko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디트로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트로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트로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6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본체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그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여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전동차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유아전동차의 본체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되, 중앙부에 유모차 시트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부가 구비되고, 양 단부에 유아본체에 결합 설치되기 위한 제1 또는 제2 결속부로 구성되는 결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Brackets for and electric car for ki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본체에 설치되며 유모차 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및 그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여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동식 또는 전동식 유아용 자동차들이 많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으며, 전동식 유아용 자동차는 수동식 유아용 자동차의 단조로움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퀴의 회동이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차체가 주행되고, 조향핸들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아용 전동차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7193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7191호를 출원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는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전동차의 탑승부가 작아지게 되어 이용기간이 다소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유모차를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품이다.
기존기술에 따른 수동식 유모차는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밀고 나가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62호에서 모터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유모차도 유아의 성장에 따라 이용기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어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193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19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4081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본체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그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면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의 시트결합부에 결합되는 유모차 시트의 결속부 및 브라켓의 제1결속부는 분리 시 잠금부재를 누르면 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 시트 및 브라켓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아전동차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유아전동차의 본체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되, 중앙부에 유모차 시트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부가 구비되고, 양 단부에 유아본체에 결합 설치되기 위한 제1 또는 제2 결속부로 구성되는 결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결속부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관통 설치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속부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결속관과, 상기 결속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통공으로 진입하여 본체에 결합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을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있어서, 상기 유아전동차에는 상기 브라켓의 제1결속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거나, 상기 브라켓의 제2결속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는 측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의 잠금부재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구가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구에 대응되는 하부에 돌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구는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해정작동 시 상기 지지구의 타측으로 안내 및 지지되어 잠금부재가 해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유아전동차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둘레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전동차 본체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그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면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의 시트결합부에 결합되는 유모차 시트의 결속부 및 브라켓의 제1결속부는 분리 시 잠금부재를 누르면 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 시트 및 브라켓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유아전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1결속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2결속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유아전동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1결속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2결속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아본체에 유모차 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면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200)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200)은 중앙부에 유모차 시트(300)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양단부에는 유아전동차(50)의 본체(100)에 결합 설치하기 위한 제1 및 제2결속부(220,230)를 포함하며, 유아전동차(50)는 본체(100)와, 유모차 시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유아가 탑승하는 탑승부(110), 탑승부(110)에 설치되며, 배터리 등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전후방 조향부(120,130), 전후방 조향부(120,130)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탑승부(110) 양측에 후술할 상기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140)는 상기 본체(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보관하고, 브라켓(200)을 연결 시에만 수직하게 세워서 브라켓(2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부(110)에 탑승하는 유아의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0)는 측면에는 제1결합홈(14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구(148)가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재(14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40)에 결합되는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는 제1결합부재(144)를 커버하는 커버부재(222)와, 상기 커버부재(222)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44)의 제1결합홈(146)에 제2안내면(224a)을 매개로 결합되는 잠금부재(224)와, 상기 커버부재(222)와 잠금부재(224)의 제1결합홈(146)에 결합되는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146)의 상단에는 잠금부재(224)의 제2안내면(224a)에 대응되는 제1안내면(146a)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결속부(220)를 제1결합부(14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면, 제1안내면(146a)을 따라 제2안내면(224a)이 안내되어 잠금부재(224)가 탄성부재(226)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 하강하면 탄성부재(226)에 의해 잠금부재(224)가 복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결합홈(146)에 결합하게 되어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가 본체(100)의 제1결합부(140)에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의 본체(100)의 제1결합부(140)로부터 쉽게 해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144)는 상단에 지지구(14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22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148)의 전부 또는 후부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부재(228)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222)와 지지부재(228)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부재(228)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29)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8)에는 상기 지지구(148)에 대응되는 하부에 돌출구(228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228a)에는 일측면에 경사면(228b)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와 본체(100)의 제1결합부(140)간의 결합을 해정하기 위해 잠금부재(224)를 가압할 때, 상기 경사면(228b)에 의해 지지부재(228)의 돌출구(228a)가 지지구(148)에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밀리게 되어 지지부재(228)는 회동하면서 토션스프링(229)를 가압하게 된다.
다음, 잠금부재(224)를 완전히 가압하여 제1결합홈(146)에서 해정된 상태가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29)에 의해 지지부재(228)가 다시 복귀되도록 회동하여 지지부재(228)의 돌출구(228a)가 지지구(148)의 타측에 지지됨으로써 잠금부재(224)의 복귀가 방지되어 잠금부재(224)를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원터치로 해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브라켓(200) 분리 시 용이하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전방 조향부(120)가 설치되는 프레임(122)에 후술할 상기 브라켓(200)의 제2결속부(230)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결합부(150)는 상기 프레임(12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둘레에 고정홈(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의 제2결속부(230)는 상기 제2결합부(15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결속관(232)이 구비되고, 중앙부가 상기 결속관(2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236a)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통공(미도시)으로 진입하는 단부(234)가 상기 제2결합부(150)의 고정홈(152)에 걸림 고정되는 레버부재(236)가 구비된다.
그래서, 브라켓(200)을 본체(100)에 설치 시에는, 브라켓(200)의 제2결속부(230)의 결속관(232)이 제2결합부(150)를 커버하도록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레버부재(236)의 단부(234)가 제2결합부(150)에 접촉함에 따라 스프링(236a)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레버부재(236)의 단부(234)가 고정홈(152)에 위치하면 스프링(236a)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회동하며 고정홈(152)에 레버부재(236)의 단부(234)가 걸림 고정되어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브라켓(200)의 분리시에는 레버부재(236)의 고정홈(152)에 고정된 타측 단부를 가압하면 고정홈(152)에 걸림 고정된 레버부재(236)의 단부(234)는 외측으로 회동하며 고정홈(152)으로부터 이탈되어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브라켓(2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와 본체(100)의 제1결합부(140)간에는 원터치로 해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브라켓(200)의 제2결속부(230)와 본체(100)의 제2결합부(150)간에는 레버부재(236)을 누른 상태로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브라켓(200)이 임의로 완전히 본체(100)로부터 해정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200)의 시트결합부(210)에 유모차에서 분리한 유모차 시트(300)를 결합 설치하여 유아전동차(50)를 보다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200)의 시트결합부(210)는 유모차 시트(300)에 구비되는 설치부와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데, 시트결합부(210)는 전술한 제1결합부(14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유모차 시트(300)의 설치부에는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와 동일한 이루어지는 구성이 구비되어 전술한 제1결합부(140) 및 제1결속부(220)간 결합 관계에 의해 결합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모차 시트(3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0) 및 상기 브라켓(200)이 장착된 유아전동차(50)에 의하면, 본체(100)에 유모차 시트(300)를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모차 시트(300)를 설치하면 유아전동차의 이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브라켓(200)의 시트결합부(210)에 결합되는 유모차시트의 설치부 및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는 분리 시 한번만 잠금부재(224)를 누르면 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브라켓(2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이고, 시트결합부(210), 제1 및 제2 결속부(220,230)는 브라켓(200)에 연결 가능하게 별도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의 결속부는 제1 및 제2 결속부(220,230)가 서로 치환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되는 본체(100)의 제1 및 제2 결합부(140,150)도 제1 및 제2 결속부(220,230)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서로 치환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유모차 시트(300)가 결합되는 브라켓(200)의 시트결합부(210)의 구성도 유모차 시트(300)의 설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한 제1결합부(140) 또는 제2결합부(15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설치부 구조를 가지는 유모차 시트(3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시트결합부(210)를 브라켓(2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본체에 설치되며 유모차 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및 그 브라켓에 유모차 시트를 설치하여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유아전동차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전동차에 관한 것이다.
50: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100: 본체 110: 탑승부
120: 전방 조향부 122: 프레임
130: 후방 조향부 140: 제1결합부
142: 설치판 144: 제1결합부재
146: 제1결합홈 148: 지지구
150:제2결합부 152: 고정홈
200: 브라켓 210: 시트결합부
220: 제1결속부 222: 커버부재
224: 잠금부재 226: 탄성부재
228: 지지부재 228a: 돌출구
228b: 경사면 229: 토션스프링
230: 제2결속부 232: 결속관
234: 레버부재 단부 236: 레버부재
236a: 스프링

Claims (7)

  1. 유모차 시트(300)를 유아전동차에 설치할 수 있도록 유아전동차의 본체(100)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는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200)에 있어서,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200)의 중앙부에 유모차 시트(300)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양 단부에 유아전동차 본체(100)에 결합 설치되기 위한 제1결속부(220)와 제2결속부(230)가 구비되되,
    상기 제1결속부(220)는 커버부재(222)와, 상기 커버부재(222)에 관통 설치되며 제2안내면(224a)이 형성된 잠금부재(224)와, 상기 커버부재(22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224)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6)와, 상기 잠금부재(22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28)와, 상기 커버부재(22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228)의 상단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29)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속부(230)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결속관(232)과, 상기 결속관(2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단부는 스프링(236a)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통공으로 진입하여 본체(100)에 결합되는 레버부재(236)를 포함하여,
    상기 제1결속부(220)는 잠금부재(224)에 의해 유아전동차 본체에 원터치로 해정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결속부(230)는 상기 레버부재(236)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해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브라켓이 본체로부터 임의로 완전히 해정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기재된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200)을 이용한 유아전동차에 있어서,
    상기 유아전동차에는 상기 브라켓(200)의 제1결속부(22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40)와 상기 브라켓(200)의 제2결속부(230)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150)가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140)는 측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220)의 잠금부재(224)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14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구(148)가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재(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140)는 상기 유아전동차 본체(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보관하고, 상기 브라켓(200)을 연결 시에 수직하게 세워서 브라켓(2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을 이용한 유아전동차.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8)는 상기 지지구(148)에 대응되는 하부에 돌출구(228a)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구(228a)는 일측면에 경사면(228b)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224)의 해정작동 시 상기 지지구(148)의 타측으로 안내 및 지지되어 잠금부재(224)가 해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300) 장착 브라켓(200)을 이용한 유아전동차.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150)는 상기 유아전동차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둘레에 고정홈(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300) 장착 브라켓(200)을 이용한 유아전동차.
KR1020200150482A 2020-11-11 2020-11-11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KR10251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82A KR102516679B1 (ko) 2020-11-11 2020-11-11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82A KR102516679B1 (ko) 2020-11-11 2020-11-11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17A KR20220064217A (ko) 2022-05-18
KR102516679B1 true KR102516679B1 (ko) 2023-04-03

Family

ID=8180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82A KR102516679B1 (ko) 2020-11-11 2020-11-11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6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640A (ja) * 2000-11-24 2002-06-04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102176940B1 (ko) *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87534Y (zh) * 2005-02-02 2006-06-14 蓝贯仁 具有载具承结装置的婴儿车
KR101408162B1 (ko)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20170017191A (ko) 2015-08-05 2017-02-15 디트로네 주식회사 후방 조향 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KR20170017193A (ko) 2015-08-05 2017-02-15 디트로네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640A (ja) * 2000-11-24 2002-06-04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102176940B1 (ko) *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17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208B2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US8141951B2 (en) Child safety seat
TWI464084B (zh) 嬰兒車(一)
TWI429549B (zh) 嬰兒車(二)
CN108313109A (zh) 一种婴儿车车架及婴儿车
TW202323099A (zh) 兒童載具
KR102516679B1 (ko)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TWI701175B (zh) 嬰幼兒推車
RU2744777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CN108583667B (zh) 一种带避震装置的多功能童车
CN213566087U (zh) 一种折叠儿童推车
JP6923929B2 (ja) 乳母車
WO2005012032A1 (en) A car safety seat for a young child
CN211001515U (zh) 一种婴儿推车折叠车架
CN112960031B (zh) 婴儿车
TWI409187B (zh) The combination of baby carriages and baby carriages and car seats
CN206446647U (zh) 一键收车控制结构
JP2009090777A (ja) 自転車用搭載車
CN205707085U (zh) 电动婴儿车
CN112249143B (zh) 一种可折叠遛娃车
KR102477428B1 (ko) 유모차
EP1056526B1 (en) Laterally slidable footrest for a ride-on vehicle for children
KR0129751Y1 (ko) 어린이용 승물 놀이구
CN109109957B (zh) 一种折叠式儿童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