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940B1 -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940B1
KR102176940B1 KR1020200013819A KR20200013819A KR102176940B1 KR 102176940 B1 KR102176940 B1 KR 102176940B1 KR 1020200013819 A KR1020200013819 A KR 1020200013819A KR 20200013819 A KR20200013819 A KR 20200013819A KR 102176940 B1 KR102176940 B1 KR 10217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rying
main body
soun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우
Original Assignee
정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우 filed Critical 정지우
Priority to KR102020001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4Endless-track automobiles or tru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6Movable parts other than toy figures, driven by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8Musical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63H17/395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steered by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수면 유도와 놀이를 제공하는 전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운서 및 침대(요람) 등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레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차를 구비함으로써 영유아의 수면 유도와 놀이를 제공하여 영유아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보호자의 육아 피로와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ELECTRIC SYSTEM FOR INDUCING SLEEP AND PROVIDING PLAY FOR INFANTS}
본 발명은 영유아의 수면 유도와 놀이를 제공하는 전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운서 및 침대(요람) 등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레일 트랙을 따라 이동하여 영유아의 수면 유도와 놀이를 제공하는 영유아용 전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아기)는 신체 근육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고 뼈가 충분히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의 대부분을 누워서 보내거나 수면을 취하게 되므로 영아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영아는 울음을 통해 다양한 의사표현이나 신호를 전달할 수밖에 없으므로 보호자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근래에는 영아의 수면 공간을 확보하면서 영아가 편안하게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도록 하거나 영아의 울음을 달래(진정) 주는 한편, 영아를 돌볼 때 보호자의 노동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아기돌봄 용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아기돌봄 용품들로는 바운서나 아기침대(요람)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아를 재우거나 달래고 혼자 놀게 하기 위해 침대, 바운서 및 요람 등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영아를 재우고 달래는데에 그치지 않고 보호자의 휴식까지 보장할 수 있는 자동화된 아기돌봄 용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라 개발된 자동화된 아기돌봄 용품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0594호에서 제안된 '바운서용 진동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194호에서 제안된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0594호에 따르면 수동형 바운서를 자동으로 진동시켜 바운서의 자동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194호에 따르면 전기적 힘으로 요람을 전후상하로 부드럽게 흔들어 요람의 자동화를 도모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주로 아기침대(요람)나 바운서를 한자리에서 자동으로 흔들어 주는 진동기능에 관련된 것으로, 한자리에서 전해지는 진동의 단조로움으로 인해 아기가 이를 쉽게 싫증내거나 잠들지 못하고 보챌 수 있어 보호자의 손길 없이 아기를 재우고 우는 아기를 달래는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인 아기의 입장에서나 보호자의 입장에서나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미비하였으며, 보호자가 다른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데 한계가 있어 보호자의 피로 및 스트레스의 축적이 여전히 반복될 수밖에 없었다.
KR 10-1920594 B1, 2018. 11. 14. KR 10-1108194 B1, 2012. 01. 13. KR 20-0351482 Y1, 2004. 05. 14. KR 20-0416917 Y1, 2006. 05. 15.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장시간 보호자의 손길없이도 자동으로 영유아를 재우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하거나, 영유아가 혼자 놀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유아용 전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레일 트랙; 상기 레일 트랙을 따라 주행하고,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차; 및 상기 전동차의 본체에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기돌봄 용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동차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아기돌봄 용품에 탑승한 영유아의 울음을 감지하는 울음 감지센서; 상기 바퀴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차를 이동시키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울음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울음 감지센서에 의해 아기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전동모터를 통해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증가시켜 운행하고, 이후 상기 울음 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중지되거나 울음소리의 음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가 현재 상기 전동차의 속도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동차의 현재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울음 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지속되거나 울음소리의 음량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가 현재 속조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동차의 현재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동차는 상기 전동차의 동작모드를 수면모드와 놀이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 노래 및 보호자의 음성이 녹음 저장되어 상기 수면모드와 상기 놀이모드시에는 저장되어 있는 노래와 보호자의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음향 및 음성 생성부; 및 상기 음향 및 음성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노래와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 트랙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전동차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전동차가 감지될 때마다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현재 상기 전동차의 주행 속도보다 주행 속도를 설정된 크기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음향 및 음성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노래를 다른 노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에 따르면, 바운서 및 침대(요람) 등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레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차를 구비함으로써 영유아의 수면 유도와 놀이를 제공하여 영유아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보호자의 육아 피로와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전동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차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바운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바운서에 아기가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침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속도 조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전동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바운서가 장착된 도면이고, 도 2는 침대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전동 시스템(10)은 원형 레일인 레일 트랙(11)과, 레일 트랙(11)을 따라 주행하는 전동차(12)와, 전동차(12)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운서(13) 또는 침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트랙(11)은 구조 및 형상에 있어서 제한을 두지 않고, 전동차(12)가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일 트랙(11)에는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되어 전동차(11)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운서(13) 및 침대(14)는 전동차(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 그 외형적인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운서(13) 및 침대(14)의 외형적인 구조 및 형상은 일례로서, 제한을 두지 않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바운서 및 침대의 구조 및 형상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14)는 본체의 하부에 지지 프레임(141)이 설치될 수 있고, 그 일측 상부에는 접고 펼쳐지는 빛 가림막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흔들림 방지용 신생아 패드(15)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영유아의 모로반사를 줄일 수 있도록 속싸개 기능을 갖는 찍찍이형 넓은 안전띠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운서(13)는 모빌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기존 카시트에 널리 사용되는 안전벨트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바운서 및 침대에 영유아의 안전을 위해 부가된 다양한 기능들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차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동차(12)는 바운서(13) 또는 침대(14) 등과 같은 아기돌봄 용품들이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121)와, 본체(121)에 설치되어 레일 트랙(11)을 이동시키는 바퀴(122)와, 본체(121)에 설치되어 본체(121)의 상부에 바운서(13)와 침대(14)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123)를 포함한다.
본체(121)는 도 3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마련된 박스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상부가 밀폐된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박스구조의 상부가 판재형상의 부재로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재형상의 부재는 바운서(13)나 침대(14)를 안정적으로 본체(121)에 장착하기 위해 본체(121)의 상부를 덮도록 본체(12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그 둘레에는 바운서(13)나 침대(14)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12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바운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바운서에 아기가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바운서(13) 또는 침대(14)는 본체(1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23)에 의해 본체(121)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체결부재(123)는 예를 들어, 바운서(13)의 지지 프레임(131)을 고정하는 수갑형 또는 C형 클램프, U자형 볼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정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갑형 클램프는 일측부가 본체(121)에 고정되고, 타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운서(13)의 지지 프레임(131)을 삽입시킨 후 개방된 타측을 밀폐시키고, 조임볼트(123a)를 이용하여 바운서(13) 또는 침대(14)의 지지 프레임(131, 141)을 조여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체결부재(123)의 구조와 그 체결방식은 본체(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기돌봄 용품들의 구조, 즉 현재 시판되고 있는 용품들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아기돌봄 용품들이 안착되는 본체(121)의 상부 구조 또한 아기돌봄 용품들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침대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과 같이, 침대(14')는 본체의 하부에 지지 프레임(141)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와 같이, 전동차(12)는 전원부(124a), 충전 배터리(124b), 전원 스위치(124c), 울음 감지센서(124d), 모드 설정부(124e), 제어부(124f), 전동모터(124g),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 블루투스 스피커(124i) 및 통신부(124j)를 포함한다.
전원부(124a)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접속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답터 잭이 접속되는 접속포트를 포함하여 아답터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내부로 공급한다.
충전 배터리(124b)는 전동차(12)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서, 전원부(124a)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제어부(124f)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스위치(124c)는 충전 배터리(124b)로부터 제어부(124f)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단속한다.
울음 감지센서(124d)는 전동차(12)에 탑승한 영유아의 울음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24f)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영유아 울음 소리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아기울음 소리의 주파수 대역인 500Hz~600Hz 대역의 주파수를 감지한다.
모드 설정부(124e)는 전동차(12)의 동작모드, 예를 들어 수면모드 및 놀이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수면모드에서는 전동차(12)의 주행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하고, 상기 놀이모드에서는 상기 수면모드에 비해 전동차(12)의 주행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24f)는 전동차(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충전 배터리(124b)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전동차(12)를 주행시키는 전동모터(124g)를 제어한다.
전동모터(124g)는 전동차(12)의 본체(121)에 설치되고, 그 구동축이 바퀴(122)에 결합되어 전동차(12)를 구동시킨다. 이때, 전동차(12)는 전동모터(124g)와 바퀴(122)의 결합방식에 따라 전륜구동, 후륜구동, 또는 4륜구동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전동모터(124g)는 제어부(124f)에 의해 회전속도가 다단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동모터(124g)는 회전속도가 3단계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전동차(12)의 주행 최소속도는 성인의 느린 걸음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차(12)의 주행속도 또한 3단계로 제어 가능하다. 또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여 전동차(12)는 레일 트랙(11)을 따라 직진 및 후진할 수 있다.
한편, 전동모터(124g)의 동작은 10분, 15분 및 20분 동안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는 수면모드시 자장가와 같이 조용한 노래를 출력하고, 놀이모드시에는 빠르고 밝은 노래를 블루투스 스피커(124i)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는 사전에 노래나 음향, 보호자의 음성이 녹음 저장되어 있고,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노래나 음향,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한다.
통신부(124j)는 전용 리모콘(16) 또는 전동차(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용앱이 설치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스마트폰 등)와 무선 통신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전용 리모콘(16)이나 보호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동차(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12)는 전동차(12)의 방향, 즉 직진 또는 후진을 선택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124k)와, 영유아들이 좋아하는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모니터(124l)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동차(12)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124c)를 턴-온하면, 충전 배터리(124b)로부터 동작전원이 제어부(124f)로 공급되고, 제어부(124f)는 전동모터(124g)를 구동시켜 전동차(12)는 이동한다.
전동차(12)의 운행 중 울음 감지센서(124d)에 의해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제어부(124f)는 전동모터(124g)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전동차(12)의 속도를 조정한다.
또한, 전동차(12)가 정지된 상태에서 울음 감지센서(124d)에 의해 울음이 감지되면, 전동모터(124g)가 동작하여 전동차(12)가 최소 속도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속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동차(12)의 운행 중 울음 감지센서(124d)에 의해 아기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제어부(124f)는 전동차(1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전동차(12)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증가시킨다(S11, S12). 이때, 전동차(12)의 속도는 영유아가 놀라지 않도록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증가시킨 후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속도로 유지된다.
이후, 울음 감지센서(124d)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중지되거나, 혹은 울음소리의 음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가 현재 전동차(12)의 속도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24f)는 전동차(12)의 현재 속도를 유지한다(S13, S14).
반면, 울음 감지센서(124d)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지속되거나, 혹은 울음소리의 음량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를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24f)는 전동차(12)의 현재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감소시킨다(S13, S15).
이러한 과정은 설정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4f)는 전동차(12)의 속도 조정과 함께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통해 영유아가 평소에 좋아하는 노래, 음향 또는 보호자의 음성(노래)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통한 출력은 영유아의 울음소리(반응)를 울음 감지센서(124d)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울음 감지센서(124d)를 통해 감지된 영유아의 울음소리를 토대로 노래, 음향 또는 보호자의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한편, 그 음량 크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4f)는 도 8과 같이, 모드 설정부(124e)를 통해 동작모드가 수면모드로 진입하면, 전동모터(124g)를 통해 전동차(12)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감속시켜 운행하고, 놀이모드로 진입하면, 전동차(12)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증가시켜 운행한다.
또한, 제어부(124f)는 수면모드에서는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에 저장된 자장가와 같이 조용한 노래를 제공하고, 놀이모드에서는 평소 영유아가 즐겨 듣던 노래(동요 등)를 제공한다. 이때, 모니터(124l)를 통해 동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레일 트랙(11)에는 전동차(12)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센서(124m)가 더 설치되어 레일 트랙(11)을 주행하는 전동차(12)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동 감지센서(124m)는 레일 트랙(11)의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레일 트랙(11)을 주행하는 전동차(12)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24f)로 전송한다.
제어부(124f)는 이동 감지센서(124m)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전동모터(124g) 및/또는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f)는 이동 감지센서(124m)에 의해 전동차(12)가 감지되면, 전동모터(124g)를 제어하여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혹은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제어하여 현재 블루투스 스피커(124i)를 통해 출력되는 노래를 다른 노래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즉, 제어부(124f)는 전동차(12)의 이동에 대응하여 변화를 주어 영유아의 호기심과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놀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 감지센서(124m)에 의해 전동차(12)가 감지될 때마다 전동모터(124g)를 제어하여 현재 전동차(12)의 주행 속도보다 주행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또한,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제어하여 현재 블루투스 스피커(124i)를 통해 출력되는 노래를 다른 노래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전동차(12)가 레일 트랙(11)을 한 바퀴 돌 때마다 주행 속도와 노래가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24f)는 통신부(124j)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스마트폰 등)와 무선통신하여 현재 전동차(12)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설치된 전용앱을 통해 전동차(12)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차(12)의 상태정보는 주행정보(직진/후진, 주행속도), 음향 및 음성 출력정보, 아기 울음소리 정보 등을 포함하여 보호자가 전동차(12)와 떨어져 있더라도 현재 전동차(12)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동 시스템 11 : 레일 트랙
12 : 전동차 13 : 바운스
14, 14' : 침대 15 : 신생아 패드
16 : 전용 리모콘 121 : 본체
122 : 바퀴 123 : 체결부재
123a : 조임볼트 131, 141 : 지지 프레임
124a : 전원부 124b : 충전 배터리
124c : 전원 스위치 124d : 울음 감지센서
124e : 모드 설정부 124f : 제어부
124g : 전동모터 124h : 음향 및 음성 생성부
124i : 블루투스 스피커 124j : 통신부
124k : 방향 전환 스위치 124l : 모니터
124m : 이동 감지센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레일 트랙(11);
    상기 레일 트랙(11)을 따라 주행하고,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트랙(11)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122)와, 상기 본체(121)에 설치된 체결부재(123)를 포함하는 전동차(12); 및
    상기 전동차(12)의 본체(121)에 상기 체결부재(123)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기돌봄 용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차(12)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24a); 상기 전원부(124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124b); 상기 충전용 배터리(124b)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124c); 상기 아기돌봄 용품에 탑승한 영유아의 울음을 감지하는 울음 감지센서(124d); 상기 바퀴(122)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차(12)를 이동시키는 전동모터(124g); 및 상기 전원 스위치(124c)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충전용 배터리(124b)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울음 감지센서(124d)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모터(124g)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4f);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4f)는 상기 울음 감지센서(124d)에 의해 아기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12)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전동모터(124g)를 통해 상기 전동차(12)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증가시켜 운행하고, 이후 상기 울음 감지센서(124d)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중지되거나 울음소리의 음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가 현재 상기 전동차(12)의 속도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동차(12)의 현재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울음 감지센서(124d)의 감지결과, 울음소리가 지속되거나 울음소리의 음량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유아가 현재 속조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동차(12)의 현재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감소시키고,
    상기 전동차(12)는, 상기 전동차(12)의 동작모드를 수면모드와 놀이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124e); 노래 및 보호자의 음성이 녹음 저장되어 상기 수면모드와 상기 놀이모드시에는 저장되어 있는 노래와 보호자의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 및 상기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를 통해 생성된 노래와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124i);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 트랙(11)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트랙(11)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전동차(12)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센서(124m)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4f)는 상기 이동 감지센서(124m)에 의해 상기 전동차(12)가 감지될 때마다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현재 상기 전동차(12)의 주행 속도보다 주행 속도를 설정된 크기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음향 및 음성 생성부(124h)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124i)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노래를 다른 노래로 변경하고,
    상기 아기돌봄 용품은, 바운서(13) 및 침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운서(13)는 하부에 지지 프레임(131)이 설치되며,
    상기 침대(14)는, 본체의 하부에 지지 프레임(141)이 설치되고, 본체의 일측 상부에 접고 펼쳐지는 빛 가림막이 설치되며, 본체의 내부에 흔들림 방지용 신생아 패드(15)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123)는, 수갑형 클램프이고, 상기 수갑형 클램프는, 일측부가 본체(121)에 고정되고, 타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운서(13) 또는 침대(14)의 지지 프레임(131, 141)을 삽입시킨 후 개방된 타측을 밀폐시키고, 조임볼트(123a)를 이용하여, 바운서(13) 또는 침대(14)의 지지 프레임(131, 141)을 조여 체결되며,
    상기 전동차(12)는, 전용 리모콘(16) 또는 전동차(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용앱이 설치되어 있는 보호자 단말기(스마트폰)로부터 전동차(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통신부(124j)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차(12)는, 전동차(12)의 방향, 즉 직진 또는 후진을 선택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124k)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차(12)는, 영유아에게 동영상을 제공하는 모니터(124l)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KR1020200013819A 2020-02-05 2020-02-05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KR10217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19A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02-05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19A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02-05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940B1 true KR102176940B1 (ko) 2020-11-10

Family

ID=7354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819A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02-05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17A (ko) * 2020-11-11 2022-05-18 디트로네 주식회사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US20220395760A1 (en) * 2021-06-09 2022-12-15 Mattel, Inc. Ride-on toy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2Y1 (ko) * 2002-07-13 2003-01-03 서정은 유아용 수면 및 놀이장치
KR200351482Y1 (ko) 2004-02-11 2004-05-22 배명순 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KR200416917Y1 (ko) 2006-02-24 2006-05-22 김휘욱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요람
KR101108194B1 (ko) 2009-06-30 2012-01-31 이강수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JP2012045186A (ja) * 2010-08-27 2012-03-08 Tomy Co Ltd 動作玩具
US8382005B1 (en) * 2011-04-26 2013-02-26 Brandon A. Fletcher Rideable toy
KR101920594B1 (ko) 2018-06-14 2018-11-20 배근범 바운서용 진동장치
KR102072961B1 (ko) * 2018-10-08 2020-02-04 주식회사 시에라베이스 아기 울음소리에 기반한 인공지능 모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2Y1 (ko) * 2002-07-13 2003-01-03 서정은 유아용 수면 및 놀이장치
KR200351482Y1 (ko) 2004-02-11 2004-05-22 배명순 다기능 요람 겸 유아 전동차
KR200416917Y1 (ko) 2006-02-24 2006-05-22 김휘욱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요람
KR101108194B1 (ko) 2009-06-30 2012-01-31 이강수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JP2012045186A (ja) * 2010-08-27 2012-03-08 Tomy Co Ltd 動作玩具
US8382005B1 (en) * 2011-04-26 2013-02-26 Brandon A. Fletcher Rideable toy
KR101920594B1 (ko) 2018-06-14 2018-11-20 배근범 바운서용 진동장치
KR102072961B1 (ko) * 2018-10-08 2020-02-04 주식회사 시에라베이스 아기 울음소리에 기반한 인공지능 모터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17A (ko) * 2020-11-11 2022-05-18 디트로네 주식회사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KR102516679B1 (ko) * 2020-11-11 2023-04-03 디트로네 주식회사 유모차 시트 장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전동차
US20220395760A1 (en) * 2021-06-09 2022-12-15 Mattel, Inc. Ride-on toy vehicle
US11951410B2 (en) * 2021-06-09 2024-04-09 Mattel, Inc. Ride-on toy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4197T3 (es) Dispositivo de ayuda para calmar/ dormir lactantes
AU2020205257B2 (en)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US10463168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KR102176940B1 (ko)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AU2016225053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20170245555A1 (en) Sleep sack for infant calming/sleep aid
US7487979B2 (en) Transporter with integral media entertainment and education center for a baby
KR100978090B1 (ko) 외부 음향 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 기능이 구비된 전동침대요람
CN201021154Y (zh) 带自助安抚装置和自动调距侧头枕的儿童安全座椅
CN108851766B (zh) 一种基于智能识别系统的多功能新型婴儿摇床
US9549621B2 (en)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CN202636306U (zh) 多功能声控婴儿摇篮
CN101691123B (zh) 一种童车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
US20110165953A1 (en) Infant twin swing set
CN203121762U (zh) 一种自动控制智能婴儿摇床
KR200416917Y1 (ko)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요람
CN205239608U (zh) 一种声乐呵护摇篮车
CN210407823U (zh) 新型辅助睡眠婴儿床
WO1995023722A1 (en) Automatic motion-producing device for soothing a young child
CN212281955U (zh) 一种新生儿护理用安抚工具
CN1162107C (zh) 一种婴儿摇篮
KR200299062Y1 (ko) 유아용 수면 및 놀이장치
US20140163310A1 (en) Vibrating Baby Attachment
CN2176072Y (zh) 电动电控摇篮
KR200355733Y1 (ko) 요람 스윙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