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194B1 -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 Google Patents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194B1
KR101108194B1 KR1020090059329A KR20090059329A KR101108194B1 KR 101108194 B1 KR101108194 B1 KR 101108194B1 KR 1020090059329 A KR1020090059329 A KR 1020090059329A KR 20090059329 A KR20090059329 A KR 20090059329A KR 101108194 B1 KR101108194 B1 KR 10110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infant
fixed
bab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680A (ko
Inventor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이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수 filed Critical 이강수
Priority to KR102009005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1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2Cradle swing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채는 유아가 울지 않고 차분히 가라 않을 수 있도록 어머니가 흔들어 주는 것과 동질의 느낌을 갖도록 유아가 누워 있는 요람 또는 의자를 전기적 힘으로 전후상하로 부드럽게 흔들어 줌과 더불어, 음악 또는 녹음된 어머니의 육성을 들려주거나, 기타 유아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모빌 전등 등의 설치로 흔들요람 또는 흔들의자에 누워있는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기거나 대소변을 보게 하는 경우에도 별도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유아가 흔들의자에 위치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와 더불어 어머니에게도 편리함을 주는 진보된 유아용 요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가 앉고 누울 수 있도록 된 등받이(10)와 좌대(11)로 이루어 지되. 등받이(10)와 좌대(11)가 의자축(15)에 연결되어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의자(1)와; 상기 의자축(15)의 양단에 고정되어 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된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의자축(15) 사이에 링크되어 의자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상하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 상하이동 수단 및 구동수단을 내장하도록 된 커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를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대소변을 가리거나 목욕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단순히 흔들의자에 유아를 앉히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유아를 달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아의 어머니가 유아를 달래기 위하여 체력으로 유아를 흔들어 주는 가사 노동이 적어진다. 청각적으로는 유아에게 자장가나 클래식 음악 또는 녹음된 어머니의 육성 등을 들려 줄 수 있어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 및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 시각적으로는, 유아에게 관심을 끌 수 있는 비디오 장치 또는 모빌 전등 (mobile light) 등을 흔들의자의 앞 쪽에 설치함으로써, 흔들의자 주변의 분위기 자체를 유아 친화적으로 제공하고, 유아에게 엔터테인먼트 기능도 부여할 수 있어 어머니들의 유아 양육이 편리해 짐과 더불어 유아에게도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전후이동수단, 상하이동수단, 구동수단, 편심축, 고정축, 모빌전등 장치, 삼각암, 중간암, 최종암

Description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A rocking-cradle apparatus for infant}
본 발명은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채는 유아가 울지 않고 차분히 가라 않을 수 있도록 어머니가 흔들어 주는 것과 동질의 느낌을 갖도록 유아가 누워 있는 요람 또는 의자를 전기적 힘으로 전후상하로 부드럽게 흔들어 줌과 더불어, 음악 또는 녹음된 어머니의 육성을 들려주거나, 기타 유아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모빌 전등 등의 설치로 흔들요람 또는 흔들의자 (이하 모두 통칭하여 문맥에 따라 “의자”, “흔들의자” 또는 “흔들요람”이라 표현한다) 에 누워있는 어린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면을 취하거나 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기거나 대소변을 보거나 하는 경우에도 별도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유아가 흔들의자에 위치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와 더불어 어머니에게도 편리함을 주는 진보된 유아용 요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흔들요람과 유사한 종류의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된 흔들의자가 존재한다. 최초의 흔들의자는 의자의 밑 부분의 4개의 다리 중에서 좌측 2 개의 다리와 우측 2개의 다리는 부채꼴의 둥근 부분처럼 휨 처리하여 사람의 중력으로 앞 뒤로 흔들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최근에는 안마의자, 안마침대 등이 등장하면서 전기적인 힘으로 움직이면서 인체에 휴식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마의자 등은 대부분 성인용으로 만들어져 유아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유아에게만 특이하게 필요한 구조나 기능 등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유아가 흔들의자에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머리를 감기거나 목욕을 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며, 유아가 좋아하는 음악, 녹음된 어머니의 음성 등을 들려주거나, 또는 유아에게 유익한 영상물 또는 시각 조형물의 배치 등 쾌적한 유아 후생 및 유아 엔터테인먼트 개념이 도입된 흔들의자는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아 전용으로 개발된 흔들의자에, 어머니가 유아를 달래기 위하여 흔들어 주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전후상하로 의자를 흔들어주는 기능을 부여하고, 또한 유아의 머리를 감기거나, 목욕을 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설비를 구비하며, 또한 음악 및 녹음된 어머니의 육성, 유아에게 유익한 영상물 등을 유아에게 들려 주거나 제공할 수 있도록 오디오, 비디오 장치를 구비하며, 유아의 전방에 모빌 전등 등을 설치함으로써 유아의 관심을 끄는 등, 흔들의자 주변의 전체 분위기 자체를 유아 친화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아가 앉고 누울 수 있도록 된 등받이(10)와 좌대(11)로 이루어 지되. 등받이(10)와 좌대(11)가 의자축(15)에 연결되어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의자(1)와; 상기 의자축(15)의 양단에 고정되어 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된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의자축(15) 사이에 링크되어 의자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된 상하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 상하이동 수단 및 구동수단을 내장하도록 된 커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1)의 좌대(11)는, 유아의 대소변을 내려 받을 수 있도록 여닫기 가능한 유동판(13)과; 상기 유동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4-1, 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후이동 수단은, 의자축의 양단에 고정되는 전후이동 프레임(29)과; 좌우측 양단이 커버(100) 상부로 돌출된 프레임 하우징(110)의 좌우 측벽에 고정된 가이드봉(41)과; 상기 가이드봉(41)에 끼워져 상기 의자(1)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돌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은, 제1 꼭지점이 전후이동 프레임(29)에 회동 가능 토록 고정되고, 제2 꼭지점이 커버(100)의 천정부(101)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삼각암(33)과; 상기 삼각암(33)의 제 3 꼭지점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는 중간암(34)과 최종암(32)으로 구성되고, 최종암(32)의 일단은 상기 중간암(34)과 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의자축(1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삼각암(33)의 제1 꼭지점의 고정 위치는,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에 고정된 오목고정편(30)에 미리 구비된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유아용 의자(1)의 상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요람장치의 커버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고정된 편심후렌지(22)와; 상기 편심후렌지(22)의 편심축(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봉(25)과;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의 고정축(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봉(26)과; 상기 제1연결봉(25)과 제2연결봉(26) 사이에서 길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길이 조절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100)는, 유아의 대소변을 하부로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안내개구부(16)와; 상기 안내개구부 하단에 비치된 오수통(18-1)을 넣고 뺄 수 있는 여닫이 문(18)과; 대소변 처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정수통(19-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는,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의 전방에 커버(100) 상 부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비디오 장치 거치대(61)와; 상기 비디오 장치 거치대(61)에 결합되고, 유아에게 음악, 어머니의 육성 및 영상을 전달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60)와; 상기 커버(100)의 내부에 장착된 오디오 장치(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는, 상기 유아용 의자의 전방에 커버(100) 상부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모빌전등 거치대(71)와; 상기 모빌전등 거치대(71)에 결합되고, 유아의 시각적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모빌전등 장치(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의 어머니가 유아를 달래기 위하여 체력으로 유아를 흔들어 주는 것과 같은 가사 노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단순히 흔들의자에 유아를 앉히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유아에게 만족감을 주고, 유아가 울지 않고 놀며, 잠들 수 있도록 달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각적으로는 유아에게 자장가나 클래식 음악 또는 녹음된 어머니의 육성 등을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 및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고, 또한 장착된 티브이, 또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유아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나 유아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그림이나 동영상, 어머니의 모습 또는 활동장면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프로그램을 유아시절부터 보게 함으로써 어려서부터 특정언어에 친숙하도록 합목적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도 있다.
또한, 유아에게 관심을 끌 수 있는 모빌 전등 (mobile light) 등을 흔들의자의 앞 쪽에 설치함으로써, 흔들의자 주변의 분위기 자체를 유아 친화적으로 제공하는 등, 유아에게 전 방위적인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기는 경우, 또는 유아의 대소변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유아를 특정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흔들의자에 장착된 세정장치를 활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유아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여러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어머니들의 유아 양육이 더욱 편리해 짐과 더불어 유아에게도 유익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요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요람장치의 저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요람장치의 전후상하 운동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요람장치의 커버와 전후상하 운동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람장치는, 상단부에 유아용 흔들 의자(1)가 놓인다. 유아용 흔들 의자(1)는 유아가 앉고 누울 수 있도록 된 등받이(10)와 좌대(11)로 이루어 진다. 등받이(10)와 좌대(11)는 서로 맞대어 접히는 부분에 의자축(15)이 철봉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의자축(15)의 좌우측 단부 쪽에는 등받이(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울기 조절장치(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흔들의자의 의자축(15)의 양단에는 흔들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 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의자축(15) 사이에는 흔들의자의 등받이(10)를 또는 좌대(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 수단이 링크된다. 상기 전후이동 수단과 상하이동 수단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움직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전후이동 수단, 상하이동 수단 및 구동수단은 모두 커버(100) 속에 내장된다.
상기한 흔들의자(1)의 좌대(11)는 통상의 의자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좌대(11)의 양 옆 부분에는 측대(14)가 좌대(11)와 면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측대(14) 만이 고정구(14-2)를 회전축으로 하여 좌대(11)와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좌대(11)의 앞 부분은 좌대(11)의 앞쪽이 가로 절개되어 구성된 유동판(13)이 측대(14) 상에 구비된 좌우 2개의 고정구(14-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판(13)은 좌우측에 설치된 2개의 고정구(14-1)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어느 위치에든 유동판(13)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구(14-1)를 오른 쪽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된다. 필요 시에는 등받이 쪽에 가까운 2개의 다른 고정구(14-2)를 축으로 하여 측대(14)를 포함하는 유동 판(13) 전체를 위로 또는 아래로 움직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전후이동 수단은, 의자축(15)의 양단에 고정되는 전후이동 프레임(29)과, 좌우측 양단이 커버(100) 상부로 돌출된 프레임 하우징(110)의 좌우 측벽에 고정된 가이드봉(41)과, 상기 가이드봉(41)에 끼워져 상기 의자(1)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돌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후이동 프레임(29)은 “ㄷ” 자를 좌로 90도 돌려놓은 형태가 일반적이며, 하나의 수평막대 양 끝에 수직막대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양 쪽 수직 막대의 끝 부분은 의자축(15)의 양단에 고정되어 흔들의자(1)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수직 막대 쪽 끝 부분으로서 의자의 바깥쪽 방향으로는 프레임 돌기(40)가 결합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돌기(40)는 중앙부분이 공간부로 관통되어 있는데, 관통 방향은 의자축(15)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좌대(11)의 측면과는 평행한 방향이며, 중앙 의 공간부로 철봉이 들어갈 수 있는 형태로 관통되어 있다. 이 공간부에는 가이드 봉(41)이 삽입되며 프레임돌기(40)가 이 가이드봉(41)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가이드 봉(41)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100)의 상부로 돌출된 프레임 하우징(110)의 좌우 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후이동 프레임(29)이 동력을 받아 전후이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돌기(40)는 가이드봉(41)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의자(1)와 함께 전후 이동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 다.
상기한 상하이동 수단은,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꼭지점이 전후이동 프레임(29)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고, 제2 꼭지점이 커버(100)의 천정부(101)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삼각암(33)과, 상기 삼각암(33)의 제 3 꼭지점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는 중간암(34)과 최종암(32)으로 구성되고, 최종암(32)의 일단은 상기 중간암(34)과 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의자축(15)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의자 쪽 방향 내측에는 오목고정편(3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100)의 윗쪽으로서 상기 프레임 하우징(110)의 바닥면의 외부 쪽, 즉 커버(100)의 천정부(101)에는 상기 오목 고정편(30)과 마주보는 방향에 볼록고정편(31)이 고정된다. 삼각암(33)의 3개의 꼭지점 중에서 제1꼭지점은 상기 오목 고정편(30)의 제1고정점(5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꼭지점은 상기 볼록고정편(31)의 제2고정점(5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1꼭지점의 위치는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운동에 수반하여 따라가면서 변화하지만, 제2꼭지점의 위치는 제자리 회동을 하기는 하지만 위치 자체는 볼록고정편(31)이 천정부(101)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상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여기에서는 오목고정편(30)과 볼록고정편(31)을 개재하여 삼각암(33)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의 개입없이 바로 전후이동 프레임(29) 및 천정부(101)에 삼각암(33)을 고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삼각암(33)으로부터 의자축(15)까지의 사이에는 링크가 형성되는데, 우 선 삼각암(33)의 제3 꼭지점에는 중간암(34)의 한쪽 끝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중간암(34)의 다른 한 쪽 끝에는 최종암(32)의 한쪽 끝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최종암(32)의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의자축(15)의 중앙 부분에 있는 고정결합부(51)에 강하게 고정된다. 최종암(32)이 연결되는 고정결합부(51)에는 회동기능이 주어지지 않으며, 최종암(32)에 전달된 운동에너지는 그대로 의자축(15)을 통해 의자(1)를 흔들어 주는 역할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삼각암(33)의 제1꼭지점의 고정 위치, 즉 제1고정점(52)의 위치는,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에 고정된 오목고정편(30)에 미리 구비된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유아용 의자(1)의 상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고정점(52)의 좌측에 2개의 점이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오목 고정편(30)에 미리 관통공을 형성시켜 놓은 것으로서, 현재의 도면에서는 가장 오른 쪽에 제1고정점을 두고 있지만, 이를 풀고 그 위치를 가장 왼 쪽의 관통공과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삼각암(33)과 링크의 행정 거리가 달라지게 되어 의자(1) 등받이(10)의 상하 운동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요람장치의 커버의 내측 벽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고정된 편심후렌지(22)와, 상기 편심후렌지(22)의 편심축(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봉(25)과,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의 고정편 돌기(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봉(26)과, 상기 제1연결봉(25)과 제2연결봉(26) 사이에서 길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길 조절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의자를 흔드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0)는 커버(10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된다. 구동모터(20)의 모터축(21)에는 편심후렌지(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구동모터(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편심후렌지(22)의 일 측부에는 편심축(23)이 돌설 고정되어 있고, 이 편심축(23)에 제1연결봉(25)이 끼워 넣어지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수평막대 하단부에는 프레임 고정편(28)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 고정편(28)에 구비된 고정축(24)에는 제2연결봉(26)이 끼워 넣어지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봉과 제2연결봉 사이에는 길이조절수단(27)이 결합된다. 길이조절 수단(27)은 통상 너트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활용하여 편심축(23)으로부터 고정축(24)까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커버(100) 내에 비치된 배터리(8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배터리(83)는 충전기(84)를 이용하여 충전하게 된다. 배터리는 가급적 12V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콘트롤 스위치(82)를 좌우로 회전 조작하여 제어부의 작용으로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에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미리 입력함으로써 일정 주기로 의자(1)가 흔들림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또는 유아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도록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유아가 움직이는 경우에만 그 동작의 세기에 상응하여 의자가 흔들리는 기능을 하도록 하는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입력함으로써 자동 의자 흔듬기능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후이동 수단, 상하이동 수단 및 구동 수단은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일관 작동 시스템이므로 이하 상기 수단들의 작동 관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구동모터(20)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는 가정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모터(20)가 오른 쪽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여기에 연결된 모터축(21)과 편심후렌지(22), 그리고 편심축(23)은 모두 함께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두 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편심축(23)에는 제1연결봉(25)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편심축(23)이 좌측의 맨 끝까지 회전하면, 제1연결봉(25)과 길이조절 수단(27)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봉(26)은 고정축(24)에서 회동하면서 고정축(24)을 최대한 좌측으로 끌어오게 된다. 따라서, 고정축(24)은 전후이동 프레임(29)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축(24)의 좌측 이동은 당연히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좌측이동을 수반하게 된다. 이때 전후이동프레임(29)의 수직 막대의 의자 쪽 상단부 양 끝단은 가이드봉(41)에 끼워진 프레임돌기(40)가 가이드봉(41)의 안내를 받으며 역시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전후이동 프레임(29)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삼각암(33)에 위치 변화가 나타난다. 삼각암(33)의 제2 꼭지점은 커버의 천정부(10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치 변화가 없으나, 제1꼭지점과 제3꼭지점은 전후이동 프레임(29)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에 수반하여 오른쪽으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되고, 특히 제3꼭지점은 위쪽을 향하여 올라가게 된다. 전후이동 프레임(29)이 좌측 맨 끝까지 이동 하면 제3꼭지점도 가장 높은 위치에 포지셔닝(positioning)하게 된다.
제3꼭지점이 가장 높은 위치를 향해가게 되면, 여기에 링크된 중간암(34)과 최종암(32)에는 의자를 좌대(11) 앞쪽 방향으로 밀고 가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최종암(32)의 오른쪽 끝 부분은 의자축(15)에 용접 등으로 부동 고정되어 있으므로 의자의 좌대(11)는 의자축(15)을 회전축으로 삼아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반대로 의자의 등받이(10)는 자연스럽게 의자축(15)을 회전 축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편심축(23)이 오른 쪽 방향 회전을 계속하여 다시 편심후렌지(22)의 가장 오른 쪽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전후이동 프레임(29)은 다시 오른 쪽 끝의 원래 자리로 되돌아오게 되고,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수직막대 상단부 양 끝단도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삼각암(33) 및 링크도 모두 원래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의자축(15)에는 역으로 등받이(10) 방향으로 의자축(15)을 끄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좌대(11)는 다시 아래로 내려오고, 등받이(10)는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운동이 반복되면서 유아용 흔들의자는 전후상하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마치 어머니가 유아를 안고 흔들어주는 것과 유사한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운동의 속도는 콘트롤 스위치(82)를 좌 또는 우로 돌림으로써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100)는, 유아의 대소변을 하부로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안내개구부(16)와, 상기 안내개구부 하단에 비치된 오수통(18-1)을 넣고 뺄 수 있는 여닫이 문(18)과, 대소변 처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정수통(19-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은 상기한 의자(1)에 형성된 유동판(13)과 함께 활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아의 머리를 감기거나 목욕을 시키거나 대소변을 처리코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의자의 측대(14)에 설치된 고정구(14-1, 14-2)를 풀어 유동판(13)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려 좌대(11)를 개방한다. 그리고 정수통(19-1)에 연결된 샤워 호스를 잡고 정수통(19-1)의 하방에 부착된 가압 모터(19)를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여 동작시킴으로써 필요한 부분을 정수로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겨울철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정수통(20) 인근에 순간 온수기가 부착 설치된다. 세척에 사용된 물이나 오물은 오수통(18-1)에 임시 저장되며, 여닫이문(18)을 개방한 후 버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세정 설비는 보다 진보된 형태의 공지된 비데 설비로 대체할 수 있다.
커버(100) 내부에 장착된 제어장치 박스에는 상기한 제어부, 콘트롤 스위치(82), 배터리(83), 충전기(84)가 내장되는 외에 오디오장치(81)가 내장된다. 오디오 장치(81)에는 통상의 테이프 녹음 및 재생, 콤팩트 디스크 재생 등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며, 어머니의 육성을 녹음하여 재생할 수도 있고, 자장가나 클래식 음악 등을 유아에게 들려 줄 수도 있다. 소리의 재생은 유아용 흔들의자의 등받이(10)에 비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유아용 의자의 전방에는 커버(100) 상부를 관통하게 비디오 장치 거치대(61)가 설치된다. 상기 비디오 장치 거치대에는 평면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디스 플레이가 결합되며, 유아에게 유익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어머니의 활동 모습 또는 유아의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는 컴퓨터 영상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의자의 전방에는 커버(100) 상부를 관통하게 모빌전등 거치대(71)가 설치된다. 상기 모빌전등 거치대(71)에는 유아의 시각적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모빌전등 장치(70)가 결합되거나, 나비, 새, 동물 등의 모형 등을 매달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71)의 상단에 결합된 다수의 모빌전등은 배터리(83) 전원에 의하여 반짝거리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빌전등 및 다양한 모양의 조형물은 유아에게 울지 않고 이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의자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상단에도 모빌전등을 적절히 가설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1)의 4곳 각 모서리 쪽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쓰러짐 방지판(17)이 구비된다. 상기 쓰러짐 방지판(17)은 커버(100)의 각모서리 안쪽으로 형성된 슬롯(slot)에 밀어 넣어져 결합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 이를 밖으로 당겨서 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 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본 요람장치를 활용할 때에는 이 쓰러짐 방지판(17) 4개를 모두 펼쳐서 고정시키고 바닥에 넓게 배치함으로써 요람장치이 상당한 충격에도 쓰러지는 일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요람장치는 가정이나 야외 어디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유아용 흔들요람은 유모차 위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차량 안전띠를 활용하여 적절히 조여 묵어준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차량탑재 기구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요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요람장치의 저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요람장치의 전후상하 운동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흔들의자의 커버와 전후상하 운동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의자 10 등받이 11 좌대
12 기울기 조절장치 13 유동판 14 측대
14-1 , 14-2 고정구 15 의자축
16 안내 개구부 17 쓰러짐 방지판
18 여닫이문 18-1 오수통 19 가압모터
19-1 정수통 20 구동모터 21 모터축
22 편심후렌지 23 편심축 24 고정축
25 제1연결봉 26 제2연결봉 27 길이조절 수단
28 프레임 고정편 29 전후이동프레임
30 오목고정편 31 볼록 고정편
32 최종암 33 삼각암 34 중간암
40 프레임돌기 41 가이드봉
51 고정결합부 52 제1고정점 53 제2 고정점
60 비디오 장치 61 비디오 장치 고정대
70 모빌전등 거치대 71 모빌전등 장치
82 콘트롤 스위치 83 배터리 84 충전기
100 커버 101 천정부 110 프레임 하우징

Claims (9)

  1. 유아가 앉고 누울 수 있도록 된 등받이(10)와 좌대(11)로 이루어 지되. 등받이(10)와 좌대(11)가 의자축(15)에 연결되어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의자(1)와;
    상기 의자(1)의 좌대(11)에 유아의 대소변을 내려 받을 수 있도록 여닫기 가능토록 형성된 유동판(13)과;
    상기 의자축(15)의 양단에 고정되는 전후이동 프레임(29)과, 좌우측 양단이 커버(100) 상부로 돌출된 프레임 하우징(110)의 좌우 측벽에 고정된 가이드봉(41)과, 상기 가이드봉(41)에 끼워져 상기 의자(1)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의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돌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의자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된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과 상기 의자축(15) 사이에 링크되어 의자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의자의 상하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상하이동 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전후이동 수단, 상하이동 수단 및 구동수단을 내장하도록 된 커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13)은, 고정구(14-1, 14-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은,
    제1 꼭지점이 전후이동 프레임(29)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고, 제2 꼭지점이 커버(100)의 천정부(101)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삼각암(33)과;
    상기 삼각암(33)의 제 3 꼭지점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되는 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는 중간암(34)과 최종암(32)으로 구성되고, 최종암(32)의 일단은 상기 중간암(34)과 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의자축(1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의자(1)의 상하 이동거리 조절은,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29)에 고정된 오목고정편(30)에 미리 구비된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삼각암(33)의 제1 꼭지점의 고정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커버(100)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에 고정된 편심후렌지(22)와;
    상기 편심후렌지(22)의 편심축(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봉(25)과;
    상기 전후이동 프레임의 고정축(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봉(26)과;
    상기 제1연결봉(25)과 제2연결봉(26) 사이에서 길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길이 조절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는,
    유아의 대소변을 하부로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안내개구부(16)와;
    상기 안내개구부 하단에 비치된 오수통(18-1)을 넣고 뺄 수 있는 여닫이 문(18)과;
    대소변 처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정수통(19-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는,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의 전방에 커버(100) 상부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비디오 장치 거치대(61)와;
    상기 비디오 장치 거치대(61)에 결합되고, 유아에게 음악, 어머니의 육성 및 영상을 전달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60)와;
    상기 커버(100)의 내부에 장착된 오디오 장치(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흔들의자는,
    상기 유아용 의자의 전방에 커버(100) 상부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모빌전등 거치대(71)와;
    상기 모빌전등 거치대(71)에 결합되고, 유아의 시각적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모빌전등 장치(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KR1020090059329A 2009-06-30 2009-06-30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KR10110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29A KR101108194B1 (ko) 2009-06-30 2009-06-30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29A KR101108194B1 (ko) 2009-06-30 2009-06-30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80A KR20110001680A (ko) 2011-01-06
KR101108194B1 true KR101108194B1 (ko) 2012-01-31

Family

ID=4361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329A KR101108194B1 (ko) 2009-06-30 2009-06-30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05Y1 (ko) * 2001-08-03 2001-11-23 김유성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KR20020053005A (ko) * 2000-12-25 2002-07-04 구사마 사부로 진동편, 진동자, 발진기 및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005A (ko) * 2000-12-25 2002-07-04 구사마 사부로 진동편, 진동자, 발진기 및 전자기기
KR200253005Y1 (ko) * 2001-08-03 2001-11-23 김유성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80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118B2 (en) Repositionable child support device
JP5408962B2 (ja) 電動式揺動バジネットを有するプレイヤード
US6178978B1 (en) Children's activity and entertainment enclosure
US5802634A (en) B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convertible from infant use to adult use
US20060012230A1 (en) Glider
US20060052172A1 (en) Juvenile furniture electronic amusement device
US20110041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tion of a bassinet
KR101108194B1 (ko)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요람장치
US8082615B1 (en) Thermal breathing bed
US9750350B2 (en)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US10117523B1 (en) Infant swing
US8979662B2 (en) Powered personal swing device
US20110165953A1 (en) Infant twin swing set
JP4779637B2 (ja) マッサージ椅子
US7036880B1 (en) Infant car seat assembly for simulating a mobile vehicle
JP4191700B2 (ja) 睡眠促進用ベッド
KR20100138213A (ko) 유아용 변기가 구비된 흔들의자
US5572752A (en) Bed with axial glider movement
GB215008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ocking a child's bed
WO1995023722A1 (en) Automatic motion-producing device for soothing a young child
CN215024730U (zh) 一种儿童保健用趣味安抚装置
RU2348339C2 (ru) Люлька-качалка
CN207590353U (zh) 一种父母儿童共用床垫
CN218246535U (zh) 一种幼儿情绪安抚装置
CN207574902U (zh) 父母儿童共用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