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163B1 -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163B1
KR102516163B1 KR1020220141072A KR20220141072A KR102516163B1 KR 102516163 B1 KR102516163 B1 KR 102516163B1 KR 1020220141072 A KR1020220141072 A KR 1020220141072A KR 20220141072 A KR20220141072 A KR 20220141072A KR 102516163 B1 KR102516163 B1 KR 10251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ixing
shaft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의
송철호
김성래
Original Assignee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59Mixing reaction ingredients f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고체용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Spallic coater equipment for all solids for dry electrodes}
본 발명은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고체용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주로 모바일기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분야에 적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그 적용방향이 중대형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주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또는 전기자동차 (electricvehicle, EV) 등과 관련하여 고에너지 및 고출력이 요구되는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이차전지의 경우 소형과는 달리 온도, 충격 등과 같은 작동환경이 가혹할 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전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이나 적절한 가격과 함께 안전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이차전지는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녹인 유기액체 전해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액을 비롯하여 발화 및 폭발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battery)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고체전지는 불연성의 무기 또는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이용하는 전지로서 종래의 가연성 유기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열적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전고체전지는 일반적으로 음극집전체층, 음극전극복합체층 또는 리튬금속, 고체전해질층, 양극전극복합체층 및 양극집전체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단일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황화물을 분쇄하기 때문에 원료 입자를 얻는 데 많은시간이 소요되며, 수 nm 또는 수 ㎛ 사이즈의 미세분말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고체전해질층 및 전극복합체층을 제조할 때 황화물 및 바인더를 용매와 혼합한 상태에서 기판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 경우 별도의 용매 증발 단계를 거쳐야할 뿐만 아니라 도포 과정에서 바인더끼리 뭉침 현상이발생하여 황화물이 골고루 도포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고체전해질층의 이온전도도가 크게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06833호
본 발명은 전고체용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패릭코터장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내장될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치챔버와, 사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장치챔버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플레이트지지부재에 의해 안착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안착플레이트가 지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안착플레이트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지지부재와, 작동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작업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해 장치챔버 상부 전면으로 형성되는 장치디스플레이와, 원료의 혼합을 작동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작동버튼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핸들과,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시 장치챔버와 마찰을 방지하도록 회전축이 회전됨을 지지하도록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와, 회전핸들과 연결되어 회전핸들의 회전시 회전되는 방향 측으로 혼합챔버가 회전되도록 일측이 회전플레이트에 삽입되어 회전핸들과 연결되고, 타측이 혼합챔버 둘레 일측과 연결 형성되는 회전축과, 투입되는 원료를 혼합하기 위해 챔버지지대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혼합챔버와, 혼합챔버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챔버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챔버커버와, 투입되는 원료가 혼합블레이드에 의해 혼합시 블레이드모터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혼합챔버 내부로 안착 형성되는 혼합공간커버와, 혼합챔버 내부에서 혼합되는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낮춰주며, 낮은온도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챔버 둘레로 결합 형성되는 냉각하우징과, 모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혼합챔버를 들어 올리기 위해 냉각하우징 둘레 양측으로 형성되는 챔버손잡이와, 냉각하우징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 냉각하우징 둘레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수노즐과, 모터하우징과 혼합챔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하우징과 혼합챔버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클램프와, 냉각하우징과 챔버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냉각하우징과 챔버커버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챔버클램프와, 챔버클램프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냉각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고, 하우징클램프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모터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클램프센서와, 혼합챔버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커버에 안착 형성되며, 블레이드모터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혼합블레이드와, 블레이드모터가 내장되도록 혼합챔버 하측으로 하우징클램프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모터하우징과, 혼합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모터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패릭코터장치는, 혼합챔버를 회전시키거나, 회전되는 혼합챔버를 정지시키기 위한 자동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회전부는, 장치챔버 일측면 하부로 회전되는 풀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축베어링과, 구동풀리를 지지하며, 구동풀리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축베어링에 삽입 형성되는 풀리축과,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풀리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에 고정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구동풀리로부터 구동벨트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풀리와,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회전풀리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구동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회전풀리에 권취되도록 하여 상호 연결 시키기 위한 구동벨트와, 속도감지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센서부재와, 구동벨트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속도감지센서와, 감속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축이송홈에 삽입되며, 타측이 감속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이송축과, 이송축이 삽입되어 감속실린더의 작동시 이송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이송홈과, 감속실린더를 장치챔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일측 면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판과, 감속롤러를 구동벨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속실린더와, 감속실린더의 구동으로 이동되어 구동벨트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동벨트를 감속시키기 위해 이송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속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된 원료 배출시 챔버를 회전시켜 배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고체용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회전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완화지지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핸들고정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패릭코터장치(100)는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패릭코터장치(100)는 장치함체(110), 안착플레이트(111), 플레이트지지부재(112), 장치디스플레이(113), 작동버튼(114), 회전핸들(115), 회전플레이트(116), 회전축(117), 혼합챔버(119), 챔버커버(120), 혼합공간커버(121), 냉각하우징(122), 챔버손잡이(123), 냉각수노즐(124), 하우징클램프(125), 챔버클램프(126), 클램프센서(127), 혼합블레이드(128), 모터하우징(129), 블레이드모터(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함체(110)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함체(110)는 안착플레이트(1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11)는 사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장치챔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111)는 지면에 플레이트지지부재(112)에 의해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재(112)는 안착플레이트(111)가 지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안착플레이트(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재(112)는 안착플레이트(111)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디스플레이(113)는 작동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작업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디스플레이(113)는 장치챔버 상부 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버튼(114)은 원료의 혼합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버튼(114)은 장치챔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핸들(115)은 회전축(117)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핸들(115)은 장치챔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6)는 회전축(117)이 결합되어 회전시 장치챔버와 마찰을 방지하도록 회전축(117)이 회전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16)는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117)은 회전핸들(115)과 연결되어 회전핸들(115)의 회전시 회전되는 방향 측으로 혼합챔버(119)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17)은 일측이 회전플레이트(116)에 삽입되어 회전핸들(115)과 연결되고, 타측이 혼합챔버(119) 둘레 일측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챔버(119)는 투입되는 원료를 혼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챔버(119)는 챔버지지대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커버(120)는 혼합챔버(119)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챔버클램프(126)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공간커버(121)는 투입되는 원료가 혼합블레이드(128)에 의해 혼합시 블레이드모터(130)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공간커버(121)는 혼합챔버(119) 내부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하우징(122)은 혼합챔버(119) 내부에서 혼합되는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낮춰주며, 낮은온도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하우징(122)은 혼합챔버(119) 둘레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손잡이(123)는 모터하우징(129)으로부터 분리시 혼합챔버(119)를 들어 올리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손잡이(123)는 냉각하우징(122) 둘레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노즐(124)은 냉각하우징(122)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노즐(124)은 냉각하우징(122) 둘레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클램프(125)는 모터하우징(129)과 혼합챔버(119)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클램프(125)는 모터하우징(129)과 혼합챔버(119)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클램프(126)는 냉각하우징(122)과 챔버커버(120)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클램프(126)는 냉각하우징(122)과 챔버커버(120)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센서(127)는 챔버클램프(126)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냉각하우징(122) 일측으로 형성되고, 하우징클램프(125)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센서(127)는 모터하우징(12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블레이드(128)는 혼합챔버(119)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커버(121)에 안착 형성되며, 블레이드모터(130)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129)은 블레이드모터(130)가 내장되도록 혼합챔버(119) 하측으로 하우징클램프(125)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모터(130)는 혼합블레이드(128)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모터(130)는 모터하우징(129)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회전부(200)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회전부(200)는 스패릭코터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회전부(200)는 혼합챔버(119)를 회전시키거나, 회전되는 혼합챔버(119)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회전부(200)는 축베어링(210), 풀리축(211), 구동풀리(212), 구동모터(213), 모터지지대(214), 회전풀리(215), 구동벨트(216), 센서부재(217), 속도감지센서(218), 이송축(220), 축이송홈(221), 실린더고정판(222), 감속실린더(223), 감속롤러(2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베어링(210)은 장치챔버 일측면 하부로 회전되는 풀리축(211)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리축(211)은 구동풀리(212)를 지지하며, 구동풀리(21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풀리축(211)은 축베어링(210)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풀리(212)는 구동모터(213)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벨트(216)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풀리(212)는 일측이 풀리축(211)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213)는 구동풀리(2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13)는 안착플레이트(111)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214)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214)는 구동모터(213)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대(214)는 안착플레이트(111)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풀리(215)는 구동풀리(212)로부터 구동벨트(216)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풀리(215)는 회전축(117)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벨트(216)는 구동풀리(212)의 회전동력을 회전풀리(215)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벨트(216)는 일측이 구동풀리(212)에 권취되고, 타측이 회전풀리(215)에 권취되도록 하여 상호 연결 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재(217)는 속도감지센서(218)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재(217)는 장치챔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감지센서(218)는 구동벨트(216)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속도감지센서(218)는 센서부재(2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축(220)은 감속롤러(224)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220)은 일측이 축이송홈(221)에 삽입되며, 타측이 감속실린더(223)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이송홈(221)은 이송축(220)이 삽입되어 감속실린더(223)의 작동시 이송축(2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이송홈(221)은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판(222)은 감속실린더(223)를 장치챔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판(222)은 장치챔버 일측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실린더(223)는 감속롤러(224)를 구동벨트(216)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속실린더(223)는 실린더고정판(2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롤러(224)는 감속실린더(223)의 구동으로 이동되어 구동벨트(216)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동벨트(216)를 감속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속롤러(224)는 이송축(2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완화지지부(300)에 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완화지지부(300)는 스패릭코터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격완화지지부(300)는 혼합챔버(119)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지지부(300)는 판회전모터(310), 판회전힌지(311), 완충구동판(312), 완충부재(313), 완충스프링(314), 완충바(315), 고정마그네틱(316), 안착텐션부재(317), 안착실린더(3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회전모터(310)는 완충구동판(312)을 모터하우징(129) 측으로 회전시키기거나, 안착플레이트(111)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회전모터(310)는 안착플레이트(1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회전힌지(311)는 완충구동판(312)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회전힌지(311)는 판회전모터(310)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구동판(312)은 판회전모터(310)의 구동으로 모터하우징(129) 또는 안착플레이트(111) 측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구동판(312)은 일측이 판회전힌지(311)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313)는 완충구동판(312)의 기립시 모터하우징(129)의 둘레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313)는 완충바(3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314)은 모터하우징(129)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거나, 회전핸들(115)의 오작동시 회전축(117)의 회전을 잡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314)은 완충바(315)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바(315)는 완충구동판(312) 일측에서 관통되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완충스프링(314)에 의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마그네틱(316)은 완충부재(313)가 모터하우징(129) 둘레면에 밀착시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모터하우징(129)에서 완충부재(313)가 밀착되어 떨어지지안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마그네틱(316)은 완충부재(313)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텐션부재(317)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의 모터하우징(129)을 안착플레이트(11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하우징(129) 하면에 밀착되도록 안착실린더(318)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실린더(318)는 안착텐션부재(317)를 모터하우징(129) 하면 측으로 밀어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실린더(318)는 안착플레이트(1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핸들고정부(400)에 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고정부(400)는 스패릭코터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고정부(400)는 고장으로 인해 발생되는 회전핸들(115)의 회전시 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고정부(400)는 실린더고정부재(410), 브레이크실린더(411), 브레이크패드(412), 밀착마그네틱(413), 회전감지센서(414), 센서고정대(4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부재(410)는 브레이크실린더(411)를 장치챔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부재(410)는 장치챔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실린더(411)는 브레이크패드(412)를 회전핸들(115)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실린더(411)는 실린더고정부재(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412)는 브레이크실린더(411)의 구동으로 회전핸들(115) 일측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패드(412)는 브레이크실린더(41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마그네틱(413)은 회전핸들(115)에 접촉시 자성에 의해 브레이크패드(412)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마그네틱(413)은 브레이크패드(412) 내면으로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414)는 회전핸들(115)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고정대(415) 상부로 형성되며, 감지되는 정보를 브레이크실린더(411)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고정대(415)는 회전감지센서(414)를 장치챔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고정대(415)는 장치챔버 전면으로 회전핸들(115) 하측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패릭코터장치
110 : 장치함체 111 : 안착플레이트
112 : 플레이트지지부재 113 : 장치디스플레이
114 : 작동버튼 115 : 회전핸들
116 : 회전플레이트 117 : 회전축
119 : 혼합챔버 120 : 챔버커버
121 : 혼합공간커버 122 : 냉각하우징
123 : 챔버손잡이 124 : 냉각수노즐
125 : 하우징클램프 126 : 챔버클램프
127 : 클램프센서 128 : 혼합블레이드
129 : 모터하우징 130 : 블레이트모터
200 : 자동회전부 210 : 축베어링
211 : 풀리축 212 : 구동풀리
213 : 구동모터 214 : 모터지지대
215 : 회전풀리 216 : 구동벨트
217 : 센서부재 218 : 속도감지센서
220 : 이송축 221 : 축이송홈
222 : 실린더고정판 223 : 감속실린더
224 : 감속롤러
300 : 충격완화지지부 310 : 판회전모터
311 : 판회전힌지 312 : 완충구동판
313 : 완충부재 314 : 완충스프링
315 : 완충바 316 : 고정마그네틱
317 : 안착텐션부재 318 : 안착실린더
400 : 핸들고정부 410 : 실린더고정부재
411 : 브레이크실린더 412 : 브레이크패드
413 : 밀착마그네틱 414 : 회전감지센서
415 : 센서고정대

Claims (3)

  1. 원료를 혼합시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냉각해주고, 혼합완료시 챔버가 회전되어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패릭코터장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내장될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치챔버와,
    사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장치챔버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플레이트지지부재에 의해 안착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안착플레이트가 지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안착플레이트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지지부재와,
    작동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작업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해 장치챔버 상부 전면으로 형성되는 장치디스플레이와,
    원료의 혼합을 작동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작동버튼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핸들과,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시 장치챔버와 마찰을 방지하도록 회전축이 회전됨을 지지하도록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와,
    회전핸들과 연결되어 회전핸들의 회전시 회전되는 방향 측으로 혼합챔버가 회전되도록 일측이 회전플레이트에 삽입되어 회전핸들과 연결되고, 타측이 혼합챔버 둘레 일측과 연결 형성되는 회전축과,
    투입되는 원료를 혼합하기 위해 챔버지지대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혼합챔버와,
    혼합챔버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챔버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챔버커버와,
    투입되는 원료가 혼합블레이드에 의해 혼합시 블레이드모터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혼합챔버 내부로 안착 형성되는 혼합공간커버와,
    혼합챔버 내부에서 혼합되는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낮춰주며, 낮은온도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챔버 둘레로 결합 형성되는 냉각하우징과,
    모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혼합챔버를 들어 올리기 위해 냉각하우징 둘레 양측으로 형성되는 챔버손잡이와,
    냉각하우징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 냉각하우징 둘레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수노즐과,
    모터하우징과 혼합챔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하우징과 혼합챔버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클램프와,
    냉각하우징과 챔버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냉각하우징과 챔버커버가 상호 맞닿는 면 둘레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챔버클램프와,
    챔버클램프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냉각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고, 하우징클램프의 체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모터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클램프센서와,
    혼합챔버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커버에 안착 형성되며, 블레이드모터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혼합블레이드와,
    블레이드모터가 내장되도록 혼합챔버 하측으로 하우징클램프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모터하우징과,
    혼합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모터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모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패릭코터장치는,
    혼합챔버를 회전시키거나, 회전되는 혼합챔버를 정지시키기 위한 자동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회전부는,
    장치챔버 일측면 하부로 회전되는 풀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축베어링과,
    구동풀리를 지지하며, 구동풀리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축베어링에 삽입 형성되는 풀리축과,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풀리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에 고정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구동풀리로부터 구동벨트를 통해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풀리와,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회전풀리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구동풀리에 권취되고, 타측이 회전풀리에 권취되도록 하여 상호 연결 시키기 위한 구동벨트와,
    속도감지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센서부재와,
    구동벨트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속도감지센서와,
    감속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축이송홈에 삽입되며, 타측이 감속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이송축과,
    이송축이 삽입되어 감속실린더의 작동시 이송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장치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이송홈과,
    감속실린더를 장치챔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치챔버 일측 면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판과,
    감속롤러를 구동벨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속실린더와,
    감속실린더의 구동으로 이동되어 구동벨트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동벨트를 감속시키기 위해 이송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속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41072A 2022-10-28 2022-10-28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KR10251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072A KR102516163B1 (ko) 2022-10-28 2022-10-28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072A KR102516163B1 (ko) 2022-10-28 2022-10-28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163B1 true KR102516163B1 (ko) 2023-03-30

Family

ID=8598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072A KR102516163B1 (ko) 2022-10-28 2022-10-28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81B1 (ko) * 2007-04-17 2008-05-22 구기회 진공형 니더장치
KR101506833B1 (ko) 2011-03-18 2015-03-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슬러리, 고체 전해질층의 제조 방법, 전극 활물질층의 제조 방법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JP2018120710A (ja) * 2017-01-24 2018-08-02 日立造船株式会社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CN212999460U (zh) * 2020-07-24 2021-04-20 东莞市威力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锂电池原材料生产用真空行星搅拌机
CN113368736A (zh) * 2021-04-27 2021-09-10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铅膏真空和膏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81B1 (ko) * 2007-04-17 2008-05-22 구기회 진공형 니더장치
KR101506833B1 (ko) 2011-03-18 2015-03-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슬러리, 고체 전해질층의 제조 방법, 전극 활물질층의 제조 방법 및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JP2018120710A (ja) * 2017-01-24 2018-08-02 日立造船株式会社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CN212999460U (zh) * 2020-07-24 2021-04-20 东莞市威力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锂电池原材料生产用真空行星搅拌机
CN113368736A (zh) * 2021-04-27 2021-09-10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铅膏真空和膏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hemical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protection for lithium-ion batteries
Zheng et al. Lithium ion pathway within Li7La3Zr2O12‐polyethylene oxide composite electrolytes
US7679247B2 (en) Lift magnet mechanism for flywheel power storage systems
CN1953247B (zh) 锂二次电池
KR101555662B1 (ko)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4935703B (zh) 散热手机壳
KR102516163B1 (ko) 건식 전극용 전고체용 스패릭코터장치
CN105098149B (zh) 包含具有核-壳结构的硫颗粒的二次电池
CN206437233U (zh) 一种车载无人机起飞装置
CN102751530A (zh) 一种含金属类导电物质高容量锂离子电池
JPH05180225A (ja) 超電導軸受装置
Le et al. Heat generation of mechanically abused lithium-ion batteries modified by carbon black micro-particulates
Guy et al. Tailoring the binder of composite electrode for battery performance optimization
CN106532118B (zh) 一种锂电池电解液三维空间链式成膜添加剂及制备方法
CN105751039B (zh) 小型数据存储介质销毁机及其运行方法
WO2021128196A1 (zh) 负极及包含其的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EP4068450A2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2110850A (zh) 锂-二硫化铁电池
McMichael et al. Effects of material processing i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magnetic bearings
CN109722124A (zh) 核壳聚合物改性陶瓷浆料及锂离子电池隔膜和包含其的锂离子电池及其制备
CN210038612U (zh) 防强电磁干扰用通信装置
CN107017373A (zh) 一种锂电池的防爆装置
Lv et al. Recent progress of in-situ characterization of LiNi1− x− y Co x Mn y O2 cathodes for lithium metal batteries: A mini review
CN209337231U (zh) 一种三极管销售用具有减震保护功能的运输装置
JP2004194440A (ja) フライホイー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