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93B1 -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93B1
KR102515893B1 KR1020177032330A KR20177032330A KR102515893B1 KR 102515893 B1 KR102515893 B1 KR 102515893B1 KR 1020177032330 A KR1020177032330 A KR 1020177032330A KR 20177032330 A KR20177032330 A KR 20177032330A KR 102515893 B1 KR102515893 B1 KR 10251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atching lug
pole
plate
exchang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259A (ko
Inventor
에버하르트 하임
Original Assignee
레키스포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키스포르트 아게 filed Critical 레키스포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14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7Details;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4Rings for ski-stic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폴(pole), 특히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용 부착물은,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 체결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3), 폴 튜브의 하측 자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 개방 블라인드 구멍(22), 및 교환가능 요소(2)를 포함하고, 이 교환가능 요소는 형상 끼워맞춤 및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슬리브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슬리브는 헤드 영역(4)과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인접 본체 영역(5), 및 본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부분에 있는 외부 나사산(6)을 갖는다. 교환가능 요소는 하측 단부(21)에서 팁 또는 구름 표면을 가지며, 교환가능 요소는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상향 개방 블라인드 구멍(15)을 갖는다,

Description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본 발명은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하이킹 폴, 노르딕 워킹 폴, 알파인 스키 폴 등을 위한 교환가능 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으로, 다양한 팁 부착물, 즉 폴 판 뿐만 아니라 폴을 위한 다른 단부 부착물이 기계적으로 안정적으로 또한 쉽게 교환가능한 방식으로 폴 튜브에 체결될 수 있다.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은 상측 자유 단부에 있는 손잡이 및 하측 자유 단부에 있는 구름 표면(일반적으로 고무 버퍼의 형태임)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히 노르딕 워킹의 영역에서, 팁과 구름 표면 간의 전환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여기서 팁 요소는, 예컨대 아래의 연한 표면(예컨대, 눈) 안으로 너무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형태로 되어 있는 영역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팁 요소는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측 자유 단부에 가능한 한 쉽게 체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측 자유 단부는 원추형 자유 단부인데, 즉 폴 직경이 하측 자유 단부 쪽으로 테이퍼져 있다. 따라서, 이 영역은, 매우 큰 하중을 받지만, 작은 직경 때문에 특히 안정적이지 않고 또한 내마모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팁 요소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본체로 설계되는데, 이는 정성부에서 블라인드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 안으로 폴 튜브의 자유 단부가 자기 잠금(self locking) 방식으로 압입되며 그리고/또는 접착제로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의 이점은, 팁 요소와 폴 튜브 사이의 연결이 일반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으로, 하지만, 팁 요소는 수리되어야 하거나 또는 예컨대 변화된 사용자 요건 때문에 기본적으로 다른 팁 요소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팁 요소를 쉽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EP 1 025 883 B1에는 교환가능 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연장부가 하측 튜브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두 연장부 사이에는 판 부착물의 반경 방향 설부가 스냅 결합할 수 있다. EP 0 906 776 A1에는, 다양한 판이 1/4 회전 체결기에 의해 하측 폴 단부에서 고정될 수 있는 폴 팁이 개시되어 있다. EP 0 035 200에는,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눈 판(snow plate)을 갖는 스키 폴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판 부착물은 훅크를 갖는 랫칭 레버를 가지며, 그 훅크는 아래쪽에서 폴에 설치될 때 폴 튜브의 단부에 있는 치부(경사부가 제공되어 있음) 뒤에 걸리게 된다.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훅크가 치부로부터 다시 제거되며, 그래서 판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용도를 위한, 즉 특히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을 위한 교환가능 요소를 갖는 부착물 형태의 개선된 팁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여기서, 교환가능 요소는 폴 튜브의 자유 하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적 사항으로 달성된다. 폴, 특히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은 폴 튜브의 하측 자유 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를 가지며, 이 슬리브는 폴 튜브의 하측 자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 개방 블라인드 구멍, 즉 아래쪽에서 폐쇄된 오목부를 갖는다. 교환가능 요소는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리브는 어느 정도로는 폴 튜브와 교환가능 요소 간의 어댑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는 헤드 영역 및 아래쪽으로, 즉 폴 팁 쪽의 방향에서 헤드 영역에 인접하는 본체 영역을 가지며, 슬리브의 본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부분이 외부 나사산을 갖는다. 교환가능 요소는 하측 단부에서 팁 또는 구름 표면을 갖는다. 또는, 팁이 하측 단부 안으로 끼워진다. 추가로, 상기 교환가능 요소는 상기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블라인드 구멍(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즉 폴 손잡이 쪽으로 행해 있음)을 갖는다. 상기 교환가능 요소는 상기 블라인드 구멍에서, 또는 블라인드 구멍의 내벽의 적어도 축방향 부분에서 내부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내부 나사산은 교환가능 요소를 슬리브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부착물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상기 슬리브에 대한 비틀림 억제 보호를 갖는다. 교환가능 요소가 슬리브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가 원주 방향으로 폴 튜브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상기 비틀림 억제 보호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교환가능 요소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latching lug)를 가지며, 랫칭 러그는 슬리브에 배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에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의 헤드 영역, 바람직하게는 그 헤드 영역의 하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교환가능 요소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지 하나의 랫칭 러그를 갖지만, 복수의 랫칭 러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환가능 요소는 유리하게 판 영역,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판 영역을 가지며, 판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폴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면 내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단지 일 방향으로 또는 교환가능 요소의 단지 일측 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교환가능 요소가 단일 랫칭 러그를 갖는 경우, 이 단일 랫칭 러그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의, 이동 방향의 반대 쪽으로 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측에서 판 영역은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측정되는 최대 직경을 갖는다.
슬리브로부터 교환가능 요소를 분리하기 위해, 먼저 랫칭 러그가 슬리브의 오목부로터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 영역의 변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주변에서 판 표면에 압력을 가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판 영역을 축방향으로 아래로, 즉 폴 팁쪽으로 눌러 달성된다. 랫칭 러그가 오목부의 영역 밖으로 나갈 때까지(이때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은 유지됨), 예컨대 다른 교환가능 요소로 교환하기 위해, 교환가능 요소가 슬리브로부터 나사 풀림되어 제거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에 걸린 상태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랫칭 러그는 적어도 상측 영역에 있는 슬리브(3)의 표면 윤곽 위로 돌출할 수 있고 그래서 랫칭 러그는 예컨대 도구 또는 손가락으로 오목부 밖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걸린 상태에서 오목부는 축방향으로 상기 랫칭 러그의 자유 단부 위쪽에서(또는 측방에서) 도구와의 결합을 위한 오목부를 남겨 둘 수 있다. 예컨대, 오목부는 단순히 랫칭 러그 보다 위쪽으로 약간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교환가능 요소에는, 폴 판이 아래로 눌리면 랫칭 러그가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의 벽에 있는 슬롯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랫칭 러그는 교환가능 요소에서 로커(rocker)의 형태로 가동 영역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누름 영역이 바람직하게 상기 판 쪽을 향하는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교환가능 요소는 랫칭 러그를 갖는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고, 상기 영역은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며, 또한 랫칭 러그의 반대편에 있는 누름 영역을 조작하여 랫칭 러그가 오목부 밖으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상기 교환가능 요소의 하측 영역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랫칭 러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주는 이들 설명된 가능성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슬리브 및 교환가능 요소의 적절한 치수 결정과 구성에 의해, 교환가능 요소가 도구의 도움 없이 교환될 수 있고 그럼에도 교환가능 요소가 의도하는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이 상측 가장자리는 슬리브의 헤드 영역 쪽을 향하고(또한 교환가능 요소가 체결되면, 슬리브의 헤드 영역의 하측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됨), 그 상측 가장자리는, 원주 방향으로 랫칭 러그의 일측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폴 판까지 연장되어 있는 함몰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랫칭 러그의 축방향 높이 및 자유 길이가 연장되어 오목부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변형되거나 구부려질 수 있다. 상기 더 긴 레버 및 특히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자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슬리브의 헤드 영역에 있는 오목부에 직접 인접하지 않는 다는 사실로 인해, 교환가능 요소의 커프(cuff)가 그 영역에서 또한 랫칭 러그의 움직임 방향으로 더 탄성적으로 되고 그 결과 랫칭 러그는 도구의 사용 없이 반경 방향으로 오목부 밖으로 충분히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축방향 높이(H)는 함몰부가 없는 경우의(즉, 상측 가장자리가 주변에서 또는 선택적으로 주변에서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을 고려하여) 랫칭 러그의 높이(h)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배 더 길고, 바람직하게는 1.75 배 더 길다. 랫칭 러그를 오목부에 형상 끼워맞춤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있는 랫칭 오목부의 측면 플랭크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판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보강 리브를 가지며, 상기 보강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랫칭 러그에서부터(예컨대, 랫칭 러그 바로 아래에서 또는 심지어 랫칭 러그의 외측면에서) 판 영역의 반경방향 팁,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판 영역 상으로 또한 그를 넘어서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리브는 랫칭 러그와 판 영역 간의 커플링을 형성한다. 반경방향 팁은 바람직하게는, 판 영역이 최대 직경(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측정됨)을 갖는 지점에 배치된다. 보강 리브 또는 판 영역의 다른 영역은 하나 이상의 오목부, 절개부 또는 절취부를 가질 수 있고, 그리하여, 재료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교환가능 요소의 중량이 감소된다. 상기 리브로 인해, 판 영역에 아래쪽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랫칭 러그가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리브의 오목부 밖으로 효과적으로 변위된다. 이는 어느 정도, 판 영역의 경사가 리브에 의해 랫칭 러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판 영역에 아래쪽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랫칭 러그 또는 그 바로 아래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가 리브를 통해 끌어당겨지고, 랫칭 러그가 오목부 밖으로 상승되어 교환가능 요소가 슬리브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기부에 대한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판 영역은, 특히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판 영역을 갖는 전통적인 노르딕용 교환가능 요소의 경우에, 하측면과 하측 단부에서 치부를 갖는데, 이 치부는 판 영역의 원주의 일 부분, 특히, 뒤쪽으로, 이동 방향으로 향하는 그의 일 부분 주위에서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의 본체 영역에 있는 외부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헤드 영역으로부터 축방향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데, 즉 헤드 영역과 외부 나사산 사이에서 본체 영역은 나사산을 갖지 않는 상측 원통형 부분을 갖는다. 헤드 영역은 바람지하게는 에워싸는 제 1 단차부에 의해 슬리브의 본체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 1 단차부 또는 헤드 영역의 결과적으로 형성된 하측 가장자리는 교환가능 요소를 슬리브에 체결하는 동안에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단부에서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한 상측 스탑을 형성한다.
상기 슬리브의 상측 단부에 있는 슬리브의 상측 가장자리는 폴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있는 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면 내에 있다. 그래서, 슬리브는, 폴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슬리브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슬리브의 하측 단부에 있는 슬리브의 하측 가장자리까지 측정될 때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헤드 영역은 원추형이고, 헤드 영역의 직경은 아래로 상기 본체 영역 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의 헤드 영역의 상기 하측 가장자리는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단부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또는 교환가능 요소,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와 교환가능 요소 모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은 얄가소성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26 또는 폴리아미드 612와 같은 지방족 폴리아미드이다.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사용 온도에서, 낮은 온도에서 너무 연하거나 너무 취성적이지 않고 또한 충분한 충격 인성을 가지며 그러면서 특히 랫칭 러그가 움직일 수 있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굽힘 계수는 일반적으로 23℃에서 2.5 - 3.5 이고, 바람직하게는 2.75 - 3 MPa, 바람직하게는 2.5 - 4,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에서 3 - 3.75 MPa이다. 슬리브 및 교환가능 요소는 이들의 개별적인 설계 때문에, 예컨대 기능, 설치 또는 내마모성 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폴, 특히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에 관한 것으로, 이 폴은 상측 자유 단부에서 폴 손잡이를 갖는 폴 튜브를 가지며, 상기 폴 튜브의 하측 자유 단부, 즉 사용 중에 폴 팁 또는 기부 쪽으로 향하는 단부는 전술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에 따른 부착물을 갖는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결합 및/또는 누름으로 폴 튜브의 하측 자유 단부에 고정 장착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면은 단순히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폴 튜브의 하측 단부에 장착되는 부착물을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가 스케이팅 폴 판의 형태로 체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부착물을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폴 튜브의 하측 단부의 부착물을 좌측 후방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슬리브가 장착되어 있고, 도 1 및 2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는 슬리브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 및 2의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의 교환성이 노르딕 폴 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스케이팅 폴 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를 갖는 도 1의 부착물을 앞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A - A 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노르딕 폴 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을 갖는 도 1의 부착물을 앞에서 본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B - B 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부착물의 개략도로, 스케이팅 폴 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를 노르딕 폴 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로 교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후방에서 본 개략도로, 즉 이동 방향을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 및 이 옆의 우측에 있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를 갖는 도 8에 따른 부착물을 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0은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 및 이 옆의 우측에 있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를 갖는 도 8에 따른 부착물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 및 이 옆의 우측에 있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를 갖는 도 8에 따른 부착물을 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아래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2는 교환가능 요소의 다양한 추가 실시 형태로, a)는 도구가 접근할 수 있는 오목부를 깆는 설계를 도시하고, b)는 랫칭 러그의 돌출 영역을 갖는 설계를 도시하고, c)는 랫칭 러그가 더 잘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 설계를 도시하며, d)는 랫칭 러그가 로커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 설계를 도시하며, 그리고 e)는 랫칭 러그를 갖는 교환가능 요소의 전체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설계를 도시한다.
도 13은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시하며, 교환가능 요소는 스케이팅 판으로서 설계되어 있고, a)는 위쪽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각 경우 이동 방향에 대해) 사시도를 제공하고, b)는 위쪽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를 제공하며, c) 정면도를 제공하고, 그리고 d)는 c) 도에 있는 A - A 선을 따른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4는 추가의 교환 가능 요소, 평균 크기의 노르딕 판(각 경우 중심부에 있음) 및 큰 노르딕 판(각 경우 우측에 있음)을 갖는 도 13에 따른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시하며, a)는 교환가능 요소 없이 슬리브가 체결되어 있는 폴 튜브를 도시하고, b)는 a) 도에 따른 슬리브에 교환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한 교환가능 요소를 위쪽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각 경우 이동 방향에 대해) 사시도로 도시하며, c)는 배면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d)는 위쪽에서 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2는 폴 튜브(1)의 하측부를 나타내고,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물이 그 하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두 도시에서, 교환가능 요소(2)가 각 경우 슬리브(3)에 체결되어 있다. 슬리브(3)는 여기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억지 끼워맞춤 또는 형상 끼워맞춤, 예컨대 접착제 결합 및/또는 누름에 의해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 고정 체결된다. 교환가능 요소(2)는 여기서 축방향 아래쪽으로 슬리브(3)의 헤드 영역의 하측 가장자리(13)(도 3 참조)에 인접한다. 교환가능 요소(2)는 교환가능 요소의 상측 가장자리(20)로부터 축방향 위쪽으로 돌출하는 랫칭 러그(12)를 갖는 상측 영역을 갖는다. 교환가능 요소(2)의 중심 영역은 비대칭 판 영역(11)을 가지고 있는데, 이 영역은 여기서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E1)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교환가능 요소(2)의 일측으로만 연장되어 있다. 교환가능 요소(2)의 하측 영역은, 그의 하측 단부(21)에 끼워지는 팁(16)을 가지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팁(16)은, 판 영역(11)이 연장되어 있는 측의 반대편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2)의 일측에 대해 방향(이동 방향)으로 각져 있다.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슬리브(3)는 도 3의 도시에서 맨위쪽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은 따라서 2-부분 설계로 되어 있는데, 즉, 슬리브(3) 및 교환가능 요소(2 또는 2')로 이루어져 있다. 폴 튜브(1)는 그의 하측 자유 단부(25)에서 슬리브(3) 안으로 도입되어 그 안에 체결된다. 슬리브(3)는 헤드 영역(4) 및 축방향(S)으로 아래쪽으로 그 헤드 영역(4)에 인접하는 본체 영역(5)을 가지고 있다. 헤드 영역(4)은 에워싸기 단차부(7)(도 5 참조)로 형성되는 하측 가장자리(13)을 가지며, 그 단차부에서 헤드 영역(4)은 본체 영역(5)에 합쳐져 있고, 또는 단차부는 헤드 영역(4)와 본체 영역(5)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하측 가장자리(13)에서 폴 손잡이(미도시) 쪽에는 오목부(8) 또는 노치가 헤드 영역(4)에 있는데, 이는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랫칭 러그(12)를 수용하여 거는 역할을 한다. 교환가능 요소(2)를 슬리브(3)에 채결하는 동안에, 상기 랫칭 장치는, 체결 외에도, 교환가능 요소(2)가 슬리브(3)에 대해 또는 폴 튜브(1)에 대해 원주 방향(U)으로 회전이 안되도록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비틀림 억제 보호의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2개와 유사한 비대칭 폴 판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도 3의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3)는, 본체 영역(5)의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제 1 에워싸기 단차부(7)의 아래에 있는 제 2 에워싸기 단차부(14)를 가지고 잇다. 제 2 에워싸기 단차부(14) 아래에서, 본체 영역(5)은 본체 영역(5)의 일 축방향 부분에 걸쳐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 나사산(6)을 가지고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3) 또는 이 슬리브(3)의 헤드 영역(4)의 상측 가장자리(9)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다. 이 경사진 표면은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면(E1)(예컨대, 도 6 참조)에 대해 각져 있는 면(E2)(도 7 참조) 내에 있고, 그 면 내에서 판 영역(11, 11')이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3) 바로 아래에는, 바람직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2)(도 1 및 2에 이미 나타나 있음)가 도 3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그 옆 우측에는, 바람직한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2')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교환가능 요소(2, 2')를 필요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것이 2개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교환가능 요소(2)는 소위 스케이팅 폴 판이라고 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교환가능 요소(2')(큰 직경을 가지며 주로 전통적인 또는 노르딕 크로스 컨츄리 스포츠용으로 사용되는 노르딕 폴 판이라고 하는 형태로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와는 달리, 예컨대 크로스 컨츄리 스포츠의 스케이팅 경우에 사용된다.
교환가능 요소(2, 2')의 양 예는 비대칭 판 영역(11, 11')을 가지며, 이 판 영역은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폴 튜브(1)로부터 교환가능 요소(2, 2')의 일측으로만 연장되어 있다. 교환가능 요소(2, 2')는 일체적 설계의 경우에, 하측 단부(21)에 끼워지거나 그에 채결되는 단단한 금속 또는 세라믹 팁(16)를 가지고 있다. 교환가능 요소(2, 2')는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서 블라인드 구멍(15)을 가지며, 이 구멍은 슬리브(3)를 수용하기 위한 것아다. 교환가능 요소(2, 2')의 내부에서, 블라인드 구멍(15)의 벽은 블라인드 구멍(15)의 대략 중간 높이에서 내부 나사산(21')(도 5에 도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교환가능 요소(2, 2')가 폴의 하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면, 내부 나사산(21')은 슬리브(3)의 외부 나사산(6)과 결합게 된다. 장착된 끝 위치에서, 교환가능 요소(2, 2')의 상측 가장자리(20)에 있는 랫칭 러그(12)는 실질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슬리브(3)의 헤드 영역(4)에 있는 상기 대응 오목부(8)에 결합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랫칭 러그(12)는 상향 테이퍼형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교환가능 요소(2')는 보강 리브(18) 또는 지주(strut)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랫칭 러그(112)로부터 최대 직경(d3)을 갖는 지점에 있는 판 영역(11')의 반경 방향 팁(24)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강 리브(18)는 통로 개구의 형태로 된 리세스(19)를 가지며, 이는 보강 리브(18)의 연장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재료와 중량을 절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강 리브는 또한 상기 리세스를 둘러싸는 노치 또는 절취부(26)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을 이동 방향(L)의 반대 방향에서, 즉 전방에서 본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가능 요소(2), 즉 스케이팅 판이 함께 나타나 있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전체 판 영역(11)은 이동 방향(L)에 반대편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2)의 일측, 즉 이동 방향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판 영역(11)이 배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교환가능 요소(2)는 가장 넓은 지점 또는 가장 넓은 직경(d3)을 가지며, 상측 가장자리(20) 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하측 단부(21) 쪽으로 테이퍼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슬리브(3)는, 이 슬리브의 헤드 영역(4)만이 교환가능 요소(2) 밖으로 돌출하도록 교환가능 요소(2)에 끼워지며,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영역(판 영역(11)의 위쪽에 배치됨)은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에서 헤드 영역(4)에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 영역(4)의 하측 가장자리(13)는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 상에 안착된다. 또한 도 7에 대응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슬리브(3)에서, 이 슬리브(3)의 길이(l1)는, 전방 영역에서의 길이(l2) 보다 후방 영역에서 더 길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면(E2)에서 수직 판 프로파일 면(E1)에 대해 경사진 상측 가장자리(9)의 설계 때문이다(도 7 참조). 교환가능 요소(2)의 하측 영역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하방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판 영역(11)이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면(E1)은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수직하게 있다.
교환가능 요소(2)의 내부 나사산(21')이 교환가능 요소(15)의 블라인드 구멍(15)의 중심부에 있는 슬리브의 외부 나사산(6)과 결합하는 것을 도 5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폴 튜브(1)는 슬리브(3)의 블라인드 구멍(22) 안으로 완전히 도입된다. 슬리브(3)가 교환가능 요소(2)의 블라인드 구멍(15)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이 슬리브(3)는 작은 축방향 중간 간격(27)으로 블라인드 구멍(15)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된다.
도 6은, 도 6의 도시된 부착물에서는, 바람직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즉 더 큰 직경의 노르딕 판 영역(11')을 갖는 교환가능 요소(2')는 슬리브(3) 상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도에 대응한다. 앞쪽으로, 즉 이동 방향(L)으로 향해 있고 교환가능 요소(2)의 영역에서 직경을 가지며 판 영역(11')이 배치되어 있는 확장부(28)를 도 6 및 도 7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도 7의 교환가능 요소(2')의 하측면(23')은 후방 영역에서, 기부에서 폴에 증가된 그립을 제공하는 치부(17)를 가지고 있다.
도 8은 교환가능 요소(2, 2')의 두 예의 교환 가능성을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도시힌다. 판 영역(11, 11')이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면(E1)에는 판 영역(11, 11')의 반경 방향 팁(24)(또한 도 11에 도시되어 있음)이 걸쳐져 있고 또한 판 영역(11, 11')의 최대 폭(b3)을 갖는 지점에 판 영역(11, 11')의 측면 가장자리(29)의 교차점이 있다. 이 면(E1)은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도 9에는, 교환가능 요소(2, 2')의 동일한 두 예를 위에서 본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폴 튜브(1), 슬리브(3) 및 교환가능 요소(2, 2')의 동심 배치를 볼 수 있다. 또한 알 수 있듯이, 랫칭 러그(12)는 이동 방향(L)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여기서는 보강 리브(18)를 따라 판 영역(11, 11')의 반경방향 팁(24)과 정렬되어 있다. 최대 직경(d3)(이동 방향(L)에 반대로 폴 길이방향 축선(S)으로부터 측정됨)을 갖는 이 지점에서 판 영역(11, 11')이 아래로 눌리면, 랫칭 러그(12)가 오목부(8) 밖으로 스냅되고 교환가능 요소(2, 2')가 슬리브(3)로부터 나사 풀림될 수 있다. 랫칭 러그(12)의 이러한 배치로 판 영역(11, 11')의 기계적 변형이 단순화된다.
도 10에 있는 두 교환가능 요소(2, 2')의 측면도는 측면 윤곽의 도를 나타내고, 두 판 구조체의 상대 치수는 도 11의 저면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판 영역(11 또는 11')은 가장 멀리 돌출하는 판 영역(11 또는 11')의 측면 가장자리(29)의 그들 영역 사이에서 최대 폭(b3 또는 b3')을 가지며, 이 폭은 반경 방향 팁(24)과 폴 길이방향 축선(S) 사이의 거리로서 이동 방향(L)에 반대인 방향으로 측정되는 직경(d3)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다.
도 12는 교환가능 요소의 다양한 추가 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랫칭된 상태에서 형상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랫칭 러그(12)가 오목부(8)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해주는 다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도 12a는, 오목부(8)가 도구, 예컨대 나사드라이버(30)와의 결합을 위해 랫칭된 상태에서 랫치 러그(12)의 자유 상단부의 축방향 위쪽에서 도구용 오목부(31)를 노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해제를 위해, 나사드라이버(30)는 상기 도구용 오목부(31)에 삽입될 수 있고, 나사드라이버는 경사질 수 있고 교환가능 판이 나사 결합된다.
도 12b는, 오목부(8)에 랫칭된 상태에서, 이 목적을 위한 랫칭 러그(12)가 적어도 상측 영역에서 슬리브(3)의 표면 윤곽 위로 돌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랫칭 러그(12)는 마찬가지로 상측 가장자리에서 도구 또는 간단히 손가락으로 잡혀 오목부(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예는 바람직하게는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도구용 오목부(31)와 조합될 수 있다.
도 12c는 폴 판(11)이 아래로 눌리고 여기서는 교환가능 요소(2)의 벽에 있는 슬롯(33)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 랫칭 러그(12)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소가 교환가능 요소(2)에 제공되어 있는 추가 예를 도시한다. 판이 아래로 눌리면, 슬롯(33)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교환가능 요소(2)의 전체 영역이 변위되어 형상 끼워맞춤 연결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판이 로딩되면 도 12c에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 중에 안전한 체결이 보장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설계가 도 12d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랫칭 러그(12)는 교환가능 요소에서, 로커의 형태로 된 가동 영역(35)을 가지고 있다. 상기 로커는 교환가능 요소(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어느 정도 피봇점으로 작용하는 가요성 영역(35)이 있다. 누름 영역(34)이 로커의 하측 영역에 형성되고(하측 영역은 판을 향함) 그리고 예컨대 손으로 압력이 상기 하측 영역(34)에 가해지면, 로커는 가요성 영역(35) 주위로 경사지고 랫칭 러그(12)가 오목부(8)에서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도 12e는 교환가능 요소(2)가 랫칭 러그(12)를 갖는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영역(37)을 가지며, 이 영역은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고, 교환가능 요소(2)의 하측 영역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영역은 상측 영역에 있는 슬리브(3) 주위에 에워싸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그래서 예컨대 손가락을 사용하여, 랫칭 러그(12)의 반대편에 있는 누름 영역(36)을 조작하여 랫칭 러그(12)를 오목부(8)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라한 설계는 판의 로딩시 원치 않는 풀림을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 및 14는 이러한 유형의 교환가능 팁의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전술한 예시적 실시 형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이 예시적 실시 형태와 전술한 예시적 실시 형태가 실질적으로 서로 다른 점은,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가 특별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예시적 실시 형태의 경우, 상측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데, 즉 어느 정도 원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동일한 높이에서 축방향으로 랫칭 러그(12)까지 이르지만, 이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는 랫칭 러그(12)의 양측에서 상측 가장자리(20)에 각각의 함몰부(38)가 있다. 랫칭 러그(12)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측 가장자리(20)는 양측에서 판 쪽으로 물러나 있어, 2개의 함몰부(38)를 형성하며, 이는 랫칭 러그(12)까지 이르며, 상기 함몰부가 없다면 이 랫칭 러그는 상측 가장자리(20)의 통상적인 높이에 대해 높이(h)를 가지며(도 14c와 비교요), 옆에 배치되어 있는 두 함몰부(38)로 인해 실질적으로 더 큰 높이(H)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함몰부(38)는 두 함몰부(38)가 없는 랫칭 러그의 높이(h)로서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절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함몰부를 고려한 높이(H)는 함몰부가 없는 경우 높이(h)의 크기의 대략 2배이다.
이는, 설형(tongue-shaped) 축방향 랫칭 러그(12)의 길이는 더 크고 그래서 랫칭 러그(12)를 구부리는데에 이용가능한 길이가 더 크게 됨을 의미한다. 이로써, 함몰부(8)는 축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나타나 있는 예에서는 3 - 5 mm 범위)를 가지며, 그래서 결합 중에 랫칭 러그(12)에 의해 우수한 형상 끼워맞춤 연결이 제공된다. 한편, 절취부(38) 때문에, 심지어 공구 없이, 간단하게는 약간의 더 큰 출발력을 가하여 회전에 의해 교환가능 요소가 해제될 수 있도록 랫칭 러그(12)는 충분히 가요적이고, 랫칭 러그(12)는 상기 힘으로 함몰부(8) 밖으로 밀려 나갈 수 있다. 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폴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있는 측면 플랭크(39)는 폴 축선 쪽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랫칭된 교환가능 요소에 경사 플랭크(39)(오목부(8)의 측면 경계와 접촉하게 됨)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지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힘 성분이 발생되는데, 이 힘으로 인해, 랫칭 러그는 오목부(8)에 고정적으로 물리지 않고 충분히 큰 해제력으로 간단히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도구 없이 교환가능하고 각 경우 다른 교환 가능성에 대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이렇게 허용되는 설계는, 교환가능 요소가 사용 중에는 풀리지 못하고 하지만 사용자가 도구 및 과도한 노력 없이도 회전으로 교환가능 요소를 나사 풀림할 수 있는 교환가능 요소의 해제력이 얻어지도록, 재료의 대응적인 선택(예컨대, 폴리아미드 66) 및 치수의 선택(예컨대, 대략 9 mm의 H, 4 - 5 mm의 h, 대략 2 mm의 랫칭 러그의 반경 방향 두께, 및 3 - 5 mm의 랫칭 러그의 원주 방향 폭, 5 mm 영역의 상측 가장자리와 같은 높이에서 함몰부(38)의 원주 방향 길이)으로 설정된다.
1 폴 튜브
2 교환가능 요소(스케이팅용)
2' 교환가능 요소(노르딕용)
3 슬리브
4 3의 헤드 영역
5 3의 본체 영역
6 3에 있는 외부 나사산
7 3에서 4와 5 사이에 있는 제 1 단차부
8 12를 위해 4에 있는 오목부
9 3의 에워싸는 상측 가장자리
10 3의 에워싸는 하측 가장자리
11 2의 판 영역(스케이팅 판)
11' 2의 판 영역(노르딕 판)
12 2, 2'에 있는 랫칭 러그
13 4의 하측 가장자리
14 3에 있는 제 2 단차부
15 3을 위해 2, 2'에 있는 블라인드 구멍
16 2, 2'에 있는 팁
17 23'에 있는 치부
18 2'에 있는 보강 리브
19 18에 있는 오목부
20 2, 2'의 상측 가장자리
21 2, 2'의 하측 가장자리
21' 15에 있는 내부 나사산
22 1을 위해 3에 있는 블라인드 구멍
23 11의 하측면
23' 11'의 하측면
24 11, 11'의 반경방향 팁
25 1의 하측 자유 단부
26 18에 있는 노치/절취부
27 15에 있는 축방향 중간 공간
28 2'에 있는 확장부
29 11, 11'에 있는 측면 가장자리
30 나사드라이버
31 4에서 12 위쪽에 있는 노출된 도구용 오목부
32 12의 반경방형 외측 돌출 영역
33 2의 벽에 있는 슬롯
34 12의 누름 영역
35 12의 가요성 체결 영역
36 반대편 누름 영역
37 2의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영역
38 에워싸는 상측 가장자리(20)에 있는 절취부
39 12의 측면 플랭크
h 38이 없는 경우 랫칭 러그(12)의 축방향 높이
H 38이 있는 경우 랫칭 러그(12)의 축방향 높이
L 이동 방향
S 폴 길이방향 축선
U 원주 방향
l1 후방 영역에서 3의 길이
l2 전방 영역에서 3의 길이
b3 11의 폭
b3' 11'의 폭
d1 9에 있는 4의 직경
d2 13에 있는 4의 직경
d3 11의 최대 직경
d3' 11'의 최대 직경
E1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수직인 면(판 면 또는 그에 평행한 면)
E2 폴 튜브(1) 주위에 결합하는 슬리브의 노출된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면

Claims (24)

  1. 폴(pole)용 부착물로서,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 체결되는 원통형인 슬리브(3)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는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 개방 블라인드 구멍(22)을 가지며, 교환가능 요소(2)가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3)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3)는 헤드 영역(4) 및 아래쪽으로 상기 헤드 영역(4)에 인접하는 본체 영역(5)을 가지며, 슬리브(3)의 본체 영역(5)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부분이 외부 나사산(6)을 가지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하측 단부(21)에서 팁 또는 구름 표면을 갖거나 팁(16)이 하측 단부(21) 안으로 끼워지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상기 슬리브(3)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상향 개방 블라인드 구멍(15)을 가지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상기 블라인드 구멍(15)에서 내부 나사산(21')을 가지며, 상기 내부 나사산은 교환가능 요소(2)를 슬리브(3)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3)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나사산(6)과 결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축선 방향(S)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latching lug)(12)를 가지며, 상기 랫칭 러그는 상기 슬리브(3)에 배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8)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폴용 부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상기 슬리브(3)에 대한 비틀림 억제 보호를 가지며, 상기 비틀림 억제 보호에 의해, 상기 슬리브(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원주 방향(U)으로 폴 튜브(1)의 길이방향 축선(S)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폴용 부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러그는 상기 슬리브(3)에 배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축방향 오목부(8)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폴용 부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11, 11')을 가지고 있는, 폴용 부착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11, 11')을 가지고, 단지 하나의 래칭 러그(12)를 가지며,
    상기 단지 하나의 래칭 러그(12)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에서, 이동 방향(L)의 반대 쪽으로 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고,
    판 영역(11, 11')은 상기 이동 방향(L)의 반대 쪽으로 향하는 측에서, 이동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측정되는 최대 직경(d3)을 가지는, 폴용 부착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8)로부터 랫칭 러그(12)의 제거하고, 이어서 슬리브(3)로부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를 나사 풀림시켜,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슬리브(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폴용 부착물.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11, 11')을 가지며,
    상기 판 영역(11, 11')은 보강 리브(18)를 가지는, 폴용 부착물.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러그(12)를 오목부(8)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를 나사 풀림시켜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슬리브(3)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오목부(8)에 걸린 상태에서, 랫칭 러그(12)는 적어도 상측 영역에 있는 슬리브(3)의 표면 윤곽 위로 돌출하고, 또는
    상기 오목부(8)에 걸린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랫칭 러그(12)의 자유 단부의 축방향 위쪽에 있는 오목부(8)는 도구(30)와의 결합을 위한 도구용 오목부(31)를 남겨 두고, 또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환가능 요소(2)에는, 상기 판 영역(11)이 아래로 눌리면 상기 랫칭 러그(12)가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소가 마련되어 있고, 또는
    상기 랫칭 러그(12)는 교환가능 요소(2) 상에 로커(rocker)의 형태로 가동 영역(35)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 및 상기 슬리브(3)의 헤드 영역(4) 쪽을 향하는 상측 가장자리(20)를 가지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20)는 상기 랫칭 러그(12)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서, 축방향으로 판 영역(11)까지 연장되어 있는 함몰부(38)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랫칭 러그(12)의 축방향 높이(H) 및 자유 길이가 연장되고, 또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랫칭 러그(12)를 갖는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영역(37)을 가지며, 상기 영역(37)은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교환가능 요소(2)의 하측 영역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랫칭 러그(12)의 반대편에 있는 누름 영역(36)을 조작하여 랫칭 러그(12)가 상기 오목부(8) 밖으로 밀려 나갈 수 있도록 되는, 폴용 부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의 본체 영역(5)에 있는 외부 나사산(6)은 헤드 영역(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또는 헤드 영역(4)은 에워싸는 제 1 단차부(7)에 의해 슬리브(3)의 본체 영역(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폴용 부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의 상측 가장자리(9)는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수직으로 있는 면(E1)에 대해 경사져 있는 면(E2) 내에서 슬리브(3)의 상측 단부에 있고, 그래서, 슬리브(3)는, 폴 길이방향 축선(S)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슬리브(3)의 상측 가장자리(9)에서부터 슬리브(3)의 하측 단부에 있는 슬리브의 하측 가장자리(10)까지 측정될 때 서로 다른 길이(l1, l2)를 갖는, 폴용 부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의 헤드 영역(4)은 원추형이고, 헤드 영역(4)의 직경은 아래로 상기 본체 영역(5) 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폴용 부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의 헤드 영역(4)의 하측 가장자리(13)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단부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와 동일한 직경(d2)을 갖는, 폴용 부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의 헤드 영역(4)과 본체 영역(5) 사이에 있는, 에워싸는 제 1 단차부(7)는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단부에 있는 교환가능 요소(2)의 상측 가장자리(20)에 대한 상측 스탑을 형성하는, 폴용 부착물.
  14.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을 포함하는 폴로서, 상측 자유 단부에서 폴 손잡이를 갖는 폴 튜브(1)를 가지며, 상기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는 제 1 항에 따른 부착물을 갖는, 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는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 고정 장착되는, 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트레킹 폴, 크로스컨츄리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또는 알파인 스키 폴인, 폴용 부착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지 하나의 랫칭 러그(12)를 가지는, 폴용 부착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지 하나의 랫칭 러그(12)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3)는 단지 하나의 대응하는 축방향 오목부(8)를 가지고 있는, 폴용 부착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비대칭 판 영역(11, 11')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판 영역(11, 11')은 폴 길이방향 축선(S)에 수직인 면(E) 내에서 연장되어 있고, 판 영역(11')은 하측 단부에서 치부(23')를 가지고 있는, 폴용 부착물.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영역의 변형에 의해 상기 오목부(8)로부터 랫칭 러그(12)의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슬리브(3)로부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를 나사 풀림시켜, 상기 슬리브(3)로부터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분리될 수 있는, 폴용 부착물.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영역(11, 11')을 축방향으로 아래로 누르는 판 영역의 변형에 의해 상기 오목부(8)로부터 랫칭 러그(12)의 제거하고, 이어서 슬리브(3)로부터 상기 교환가능 요소(2)를 나사 풀림시켜,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슬리브(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폴용 부착물.
  22.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11, 11')을 가지며,
    상기 판 영역(11, 11')은 보강 리브(18)를 가지고,
    상기 보강 리브는 이동 방항(L)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랫칭 러그(12)에서부터, 판 영역(11,11')의 최대 직경(d3)의 지점에 있는 판 영역(11, 11')의 반경방향 팁(24)까지 연장되어 있는, 폴용 부착물.
  23.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러그(12)를 오목부(8)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교환가능 요소(2)를 나사 풀림시켜 상기 교환가능 요소(2)가 슬리브(3)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을 가지고, 상기 교환가능 요소(2)에는, 상기 판 영역이 아래로 눌리면 상기 랫칭 러그(12)가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소가 상기 교환가능 요소(2)의 벽에 있는 슬롯(33)의 형태로 마련되어 있고, 또는
    상기 랫칭 러그(12)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 상에 로커(rocker)의 형태로 가동 영역(35)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누름 영역(34)이 상기 판 영역을 향하는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또는
    상기 교환가능 요소(2)는 판 영역, 및 상기 슬리브(3)의 헤드 영역(4) 쪽을 향하는 상측 가장자리(20)를 가지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20)는 상기 랫칭 러그(12)의 원주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판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함몰부(38)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랫칭 러그(12)의 축방향 높이(H) 및 자유 길이가 연장되고, 축방향 높이(H)는 함몰부(38)가 없는 경우의 랫칭 러그(12)의 높이(h) 보다 적어도 1.5 배 더 길거나, 원주 방향으로 있는 랫칭 러그(12)의 측면 플랭크(38)가 경사져 있는, 폴용 부착물.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는 접착제 결합 또는 누름에 의하여, 일체적인 접합, 억지 끼워맞춤 또는 형상 끼워맞춤 연결에 의하여, 폴 튜브(1)의 하측 자유 단부(25)에 고정 장착되는, 폴.
KR1020177032330A 2015-04-27 2016-04-08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KR102515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5782015 2015-04-27
CH578/15 2015-04-27
CH1733/2015 2015-11-27
CH17332015 2015-11-27
PCT/EP2016/057816 WO2016173827A1 (de) 2015-04-27 2016-04-08 Langlauf-tellerwechsel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259A KR20170140259A (ko) 2017-12-20
KR102515893B1 true KR102515893B1 (ko) 2023-03-29

Family

ID=5580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30A KR102515893B1 (ko) 2015-04-27 2016-04-08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17361B2 (ko)
EP (1) EP3288411B1 (ko)
JP (1) JP6893178B2 (ko)
KR (1) KR102515893B1 (ko)
CN (1) CN107530579B (ko)
CA (1) CA2982805C (ko)
HK (1) HK1246115B (ko)
RU (1) RU2712379C2 (ko)
WO (1) WO2016173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8326A1 (fr) * 2016-11-04 2018-05-11 Skis Rossignol Dispositif d'extremite inferieure d'un baton de sport
EP3456395B1 (en) * 2017-09-18 2020-06-03 KV2 Sagl Ski pole basket and a ski pole with such a ski pole basket
IT202100004742A1 (it) * 2021-03-01 2022-09-01 Grivel Srl Bastoncino da sci adattabile
WO2023285242A1 (de) 2021-07-16 2023-01-19 Lekisport Ag Spitzenaufsatz
FR3139442A1 (fr) * 2022-09-08 2024-03-15 G-Tech Système de rondelles pour bâton
CN219208942U (zh) * 2022-10-28 2023-06-20 郑周阳 一种滑雪杆的雪托快拆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567A (ja) * 1999-02-08 2000-10-10 Exel Oy 急速解除式交換可能ラテラル・サポート・エクステンションを備えたポール
JP2009540967A (ja) * 2006-06-30 2009-11-26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スキーポールバスケット
JP2010504117A (ja) * 2006-09-25 2010-02-12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ゴム緩衝器を有するノルディックウォーキング・ポール
JP2013526909A (ja) * 2010-04-14 2013-06-27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バッファー付ノルディックウォーキングポ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52583C (de) * 1927-11-14 Luise Angermund Umkehrbares Einsatzstueck fuer Spazier- und Gehstockzwingen
GB191305109A (en) * 1913-02-28 1913-09-04 Paul Muschiol Improved Tip for Walking-sticks and Umbrellas.
GB191505109A (en) 1915-04-01 1915-07-29 August Carlborg Improvements in Shaft and Axle Bearings.
GB142291A (en) * 1919-04-29 1920-05-06 Fred King Adjustable rubber pad, ferrule or tip for walking-sticks, crutches and such like
US1568423A (en) * 1924-11-03 1926-01-05 Sifferlen Charles Adjustable tip for canes and the like
US3376880A (en) * 1967-04-27 1968-04-09 Stark Walter Nonskid attachment for the groundengaging ends of canes, crutches and the like
JPS5427871U (ko) * 1977-07-26 1979-02-23
IT1148775B (it) 1980-02-29 1986-12-03 Attilio Pronzati Bastoncini da sci dotati di rotelle intercambiabili
SE8205599L (sv) * 1982-10-01 1984-04-02 Liljedahl Trygve Skistav Skidstavstruga
JPH09206115A (ja) * 1996-02-05 1997-08-12 Kizaki:Kk 伸縮調整自在な長尺物
IT238564Y1 (it) * 1997-10-03 2000-11-13 Masters S R L Bastoncino perfezionato per sci e trekking
WO2005089692A1 (en) * 2004-03-19 2005-09-29 Nordic Ski I Boden Ab Modified bottom protection and shock absorption means for walking poles
CN2768841Y (zh) * 2005-01-14 2006-04-05 李明贤 一种走杖
CN201706208U (zh) 2010-02-09 2011-01-12 吴香谊 一种可组装在伞具顶端的警示装置
US9168449B2 (en) * 2011-02-04 2015-10-27 Lekisport Ag Pole baskets for ski poles for the touring sector, which pole baskets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pole tip
US9226553B2 (en) * 2011-05-27 2016-01-05 4 MH Advertising, LLC Gemstone cut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FR3001397B1 (fr) * 2013-01-31 2015-03-27 Salomon Sas Embout amovible de bat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567A (ja) * 1999-02-08 2000-10-10 Exel Oy 急速解除式交換可能ラテラル・サポート・エクステンションを備えたポール
JP2009540967A (ja) * 2006-06-30 2009-11-26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スキーポールバスケット
JP2010504117A (ja) * 2006-09-25 2010-02-12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ゴム緩衝器を有するノルディックウォーキング・ポール
JP2013526909A (ja) * 2010-04-14 2013-06-27 レキスポルト アーゲー バッファー付ノルディックウォーキングポ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0579B (zh) 2019-11-19
CN107530579A (zh) 2018-01-02
JP6893178B2 (ja) 2021-06-23
RU2712379C2 (ru) 2020-01-28
RU2017138999A3 (ko) 2019-08-13
RU2017138999A (ru) 2019-05-27
US10517361B2 (en) 2019-12-31
CA2982805A1 (en) 2016-11-03
US20180295954A1 (en) 2018-10-18
KR20170140259A (ko) 2017-12-20
JP2018514294A (ja) 2018-06-07
HK1246115B (zh) 2020-04-17
EP3288411A1 (de) 2018-03-07
WO2016173827A1 (de) 2016-11-03
EP3288411B1 (de) 2019-06-26
CA2982805C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893B1 (ko) 크로스컨츄리 교환가능 판 시스템
JP5149286B2 (ja) スキーポールバスケット
US9027206B2 (en) Pole handle
CA2716579C (en) Releasably attachable end piece to a pole
KR20190082907A (ko) 수술용 스크류드라이버 및 스크류
JP3320693B2 (ja) スタッド付シューズ
EP1733698B1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CA2870242A1 (en) Two-part hockey stick
JP2018514294A5 (ko)
KR200450454Y1 (ko) 배관 클램프
WO2019218070A1 (en) Skate blade holder with blade attachment mechanism
EP1101420A1 (en) Spike ensuring stable kick during running and spike shoes
EP3623743B1 (en) Dart point, dart barrel, and dart comprising the point and the barrel
JP2007296221A (ja) 歯ブラシ
EP1277399B1 (en) Horse shoe stud
JP6107588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取付構造
JPH0418404Y2 (ko)
KR200335974Y1 (ko) 구두 뒷굽의 착탈구조
JP6102258B2 (ja) シリンジ
US1352921A (en) Spade or shovel
CA2547173C (en) Comfort cane
KR19980026008U (ko) 엔진오일 드레인 볼트
KR20120078979A (ko) 컨넥터 및 컨넥터용 클립
JPH04120605U (ja) 踵部接地片の取り替え可能な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