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16B1 -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16B1
KR102515816B1 KR1020200110745A KR20200110745A KR102515816B1 KR 102515816 B1 KR102515816 B1 KR 102515816B1 KR 1020200110745 A KR1020200110745 A KR 1020200110745A KR 20200110745 A KR20200110745 A KR 20200110745A KR 102515816 B1 KR102515816 B1 KR 10251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weight
parts
fishing
target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88A (ko
Inventor
윤준근
Original Assignee
윤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근 filed Critical 윤준근
Priority to KR102020011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8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미끼 성형물로 구성되고, 상기 미끼 성형물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고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수용하는 미끼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여 낚시용 인조미끼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잡어 등에 의한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ARTIFICIAL BAIT FOR FIS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여 낚시용 인조미끼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잡어 등에 의한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여가 활동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낚시에 대한 인기가 시들지 않고 계속되고 있는데, 이는 각종 장비를 전문화, 고급화하고 낚시 정보를 보편화, 체계화하려는 노력에서 기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물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미끼는 대상어종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계절이나 낚시터의 성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민물 낚시의 미끼로는 떡밥과 지렁이가 있다.
떡밥은 수온이 올라가는 늦봄부터 초가을에 가장 많이 쓰이고, 집어력과 입질파악이 쉬워 누구나 선호하는 미끼이다. 들깻묵가루, 콩가루 및 보리가루 등을 볶아서 만들어 고소한 냄새가 나고, 어분이나 새우가루 또는 번데기 가루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지렁이는 수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 수온이 낮아져 떡밥의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늦가을(15℃ 이하)부터 초봄 사이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입질파악이 어렵고, 피라미 등 잡고기가 달려드는 단점이 있지만 낚시 시작 후 입질이 빠르며 다루기가 쉬워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은 미끼이다.
그외 민물낚시용 미끼로는 새우, 참붕어, 콩, 국수, 짜개, 된장 및 구더기 등이 있고, 새우, 참붕어 및 콩은 주로 대물을 노릴 때 사용하며, 그 밖의 다른 미끼들은 낚시터와 환경에 따라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다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미끼는 민물 낚시용 미끼보다 더욱 다양하다. 낚시꾼들 사이에서 만능 미끼라고 불리는 갯지렁이(참갯지렁이)는 망둑, 보리멸 및 감성돔 낚시에 주로 쓰이고, 등소라살로는 돌돔 및 흑돔 낚시에 주로 쓰이며, 바지락살로는 가자미 및 지취 낚시에 주로 쓰인다.
이와 같이 낚시용 미끼의 종류에는, 지렁이와 같은 환형동물, 조개 등의 연체동물, 새우 등의 갑각류, 절지동물, 어류 등의 동물성 미끼에서부터 조류, 곡물 또는 이들의 배합미끼 등의 식물성 미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낚시미끼로 사용되는 것은 지렁이, 새우 등의 동물성 미끼와 곡물, 어분 등의 배합미끼 이외에는 일반인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낚시 후 잔존하는 미끼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조미끼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조미끼를 낚싯줄에 달아 살아있는 먹잇감 같이 움직임을 연출해 대상어를 유인하는 것이다.
상기한 인조미끼에는 대상어 또는 물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지렁이나 벌레 등을 모방해 실리콘이나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웜(Worm), 개구리를 모방한 형태의 프로그(Frog), V자로 꺾인 강철 와이어의 위쪽으로 금속으로 만든 날개가 아래쪽으로 고무로 만들 숱 부착된 스피너 베이트, 머리 쪽에 무거운 납과 같은 소재를 사용해 깊은 수심으로 가라앉도록 하는 지그헤드에 고무재질의 숱을 부착한 형태의 러버지그, 피라미와 같은 작은 물고기형태의 미노우(Minnow), 크랭크 베이트(Crank bait), 새드(Shad), 폽퍼(Popper), 스위셔(Swisher), 펜슬베이트(Pencil bait), 바이브레이션(Vibration) 등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69377호(2014년 11월 28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118449호(2019년 10월 18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885237호(2018년 07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여 낚시용 인조미끼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잡어 등에 의한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편리하게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부착할 수 있으며 대상어 유인용 미끼의 불필요한 낭비없이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미끼 성형물로 구성되고, 상기 미끼 성형물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고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수용하는 미끼 투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은 재료들을 계량하여 준비하는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 및 교반 단계(S200); 및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미끼 성형물을 제조하는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재료들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EVA 수지, 황화 고무라텍스, 천연고무, 경화제, 패각분말, 천연식물추출물, 산화방지제 및 용매가 일정한 중량 비율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EVA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황화 고무라텍스 25 내지 45 중량부, 천연고무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 중량부, 패각분말 5 내지 15 중량부, 천연식물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용매 50 내지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끼 성형물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고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수용하는 미끼 투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는, 돼지지방 100 내지 150 중량부, 감자전분 50 내지 100 중량부, 미강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크릴새우 10 내지 20 중량부 및 귀뚜라미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성형하여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제조하며,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여 낚시용 인조미끼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잡어 등에 의한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편리하게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부착할 수 있으며 대상어 유인용 미끼의 불필요한 낭비없이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미끼 투입구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미끼 투입구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1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20)이 형성된 미끼 성형물(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끼 성형물(100)은 대상어를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미끼 성형물(100)은 가재, 게, 웜(Worm) 등 대상어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끼 성형물(100)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는 미끼 투입구(140)가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미끼 투입구(140)를 통해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투입한 후 결속끈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묶어 밀봉함으로써 잡어 등에 의한 대상어 유인용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대상어 유인용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미끼 성형물(10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미끼 성형물(100) 내부에 수용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의 냄새나 분해물이 상기 구멍(1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대상어를 쉽게 유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은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 혼합 및 교반 단계(S200), 및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 를 포함한다.
1.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는 미끼 성형물(100)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재료들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 황화 고무라텍스, 천연고무, 경화제, 패각분말, 천연식물추출물, 산화방지제 및 용매가 일정한 중량 비율로 준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EVA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황화 고무라텍스 25 내지 45 중량부, 천연고무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 중량부, 패각분말 5 내지 15 중량부, 천연식물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용매 50 내지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자체 내에 유화시킬 수 있는 활성기를 가지고 있는 에폭시 수지로,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200 내지 220g/eq인 자기유화형 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됨으로써, 강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80~90 중량% 및 트리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무수산 40~50 중량% 및 지방족산 50~60 중량% 포함하는 다염기산과 축합 중합시켜 수산기값이 45~65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5~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3,5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0~6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40~50 중량%를 그래프트(graft) 시켜서 중량평균분자량(Mw) 5,000~7,000, 수산기값이 50~60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및 유리전이 온도가 10~20℃ 범위인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EVA 수지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수지로서 투명성, 유연성, 저온 취성 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매우 친환경적인 수지이다.
상기 황화 고무라텍스는 황화 고무라텍스 전체 100 중량% 중에서 중량 비율이 98.1 내지 99.1 중량부의 고무라텍스를 30 내지 40℃의 온도로 가열 및 혼합하고, 황화제 0.3 내지 0.5 중량부, 활성제 0.1 내지 0.3 중량부, 촉진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노화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를 순서에 따라 첨가한 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냉각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황화제는 중량 농도가 50 중량%인 유황 분산제로, 유황 50중량%, 낙소(酪素) 2중량%, 확산제 NF 1.5 중량%, 수산화칼륨(KOH) 0.1 중량% 및 물 46.4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활성제는 중량 농도가 50 중량%인 산화아연 분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촉진제는 중량 농도가 50 중량%인 촉진제 ZDC 분산체 또는 중량 농도가 40 중량%인 촉진제 DM 분산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노화방지제는 중량 농도가 50 중량%인 노화방지제 MB 분산체 또는 중량 농도가 50 중량%인 노화방지제 DNP 분산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는 식물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이용한 고무로서, 주로 고무나무에서 생산된 원료를 이용한다. 상기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 또는 변성 천연고무일 수 있다.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천연고무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고, 원산지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지만, 요구 특성에 따라서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천연고무에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 외에, 예컨대 남미산 사포타과의 고무의 일종인 발라타 등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천연고무는, 상기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변성 천연고무로는 에폭시화 천연고무(epoxidized natural rubber), 탈단백 천연고무(Deprotein Natural Rubbe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중합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경화제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ylene diisocyanate, XDI)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각분말은 논슬립성, 열적·물리적 강도향상, 마모방지 및 인열에 영향을 미치며 내부식성,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패각을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패각이란 연체동물에서 연체를 싸서 보호하는 무기질의 분비형성물로, 이러한 패각은 전복 껍질, 석화 껍질, 조개 껍질, 가리비 껍질 등 각종 패각류의 종류에 따라 분쇄하였을 때 그 질감과 색상이 매우 미려하고 다양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생물 화학적으로 조성된 다공성의 칼슘성분으로 인하여 상당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고, 주변 공기와의 호흡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 등을 흡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로 알려져 있다.
상기 상기 패각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패각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패각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패각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패각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패각은 전복, 굴, 소라, 꼬막, 바지락, 석화 및 조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껍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패각을 제1 분쇄하여 패각 조립 분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패각을 조립기를 이용하여 제1 분쇄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상기 패각 내부의 불순물이나 유기 잔류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분쇄는 그래뉼레이터(pan granulator), 드럼 그래뉼레이터(Drum granulator) 또는 압축식 펠레타이저(pelletizer) 등과 같은 공지된 조립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한 조립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 침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 침지함으로써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이나 유기 잔류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액으로는 질산 0.01 내지 0.1 중량%, 인산염 화합물 0.5 내지 1.0 중량%, 과황산염 0.01 내지 0.05 중량%, 초산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을 20 내지 40분 동안 상기 혼합액에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인산염 화합물로는 제1 인산나트륨(NaH2PO4), 제2 인산나트륨(Na2HPO4), 제3 인산나트륨(Na3PO4), 제1 인산칼륨(KH2PO4), 제2 인산칼륨(K2HPO4), 제1 인산암모늄((NH4)H2PO4), 제2 인산암모늄((NH4)2HPO4) 및 제3 인산암모늄((NH4)3P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과황산염으로는 과황산암모늄((NH4)2S2O8), 과황산나트륨(Na2S2O8) 또는 과황산칼륨(K2O8S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꺼낸 후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소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된 패각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패각 조립 분쇄물의 미세 기공에 흡착된 오렴물질을 제거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상기 분리된 패각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에 투입한 후 1,3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소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패각을 구성하는 탄산칼슘은 하기와 같이 산화칼슘과 이산화탄소로 뷴해될 수 있다.
탄산칼슘(CaCO3) → 산화칼슘(CaO) + 이산화탄소(CO2)
다음으로, 상기 소성된 패각 조립 분쇄물을 제2 분쇄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여 패각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소성된 패각 조립 분쇄물을 볼밀(ball mill)이나 각종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패각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제조되는 패각분말의 입경이 0.1 내지 10㎛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소성된 패각 조립 분쇄물을 제2 분쇄한 후 자석이 설치된 회전통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분쇄된 패각에 잔류할 수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분쇄된 패각을 자석이 설치된 회전통에 투입한 후 500 내지 1000RPM의 회전속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분쇄된 패각에 포함될 수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은 오염 물질, 진드기류, 해충 등에 대한 살충, 항균, 항충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식물로는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쇠뜨기 및 소태나무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천연식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쇠뜨기 및 소태나무가 각각 1:1:1:1:1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은행나무는 학명 Ginkgo biloba L로 표기하고,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송 교목으로, 예로부터 정원수나 가로수로 사용되었고, 그 열매인 은행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은행나무의 잎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고혈압, 파킨스병 및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 널리 처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독특한 플라보노이드성분을 이용한 약제가 고혈압, 노인성 치매증 및 당뇨병 등 성인병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은행나무를 이용하여 항균 소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ini)는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마당의 정원수로 많이 이용한다. 자귀나무 수피는 대한약전외 한약규격집에 합환피로 수록되어 있으며, 초여름에 채취한 나무껍질을 말려서 사용한다. 원통모양 또는 반원통 모양으로 바깥면은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안쪽 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황백색이다. 냄새가 없고 맛이 담담하며 떫고 혀를 약간 자극한다. 기존 연구에서 탄닌과 사포닌, 시토스테롤 등의 파이토케미칼이 풍부하게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으로는 간장, 흥분, 이뇨, 구충, 진해,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아시아 서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2~4m의 높이로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두꺼우며,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다. 유액은 무좀, 종기, 치질에, 잎은 무좀이나 신경통에, 열매는 혈압 강하,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쇠뜨기(Equisetum Arvense L)는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살이 잘 들어오는 곳이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40cm이고, 생식경은 이른 봄에 나와 줄기 끝에 마치 아파트와 같은 모양으로 포자낭수를 형성한다. 영양경은 속이 비어 있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지상에서 곧게 서며 세로로 모가 나있다.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필두엽이라고도 한다. 풀밭에서 자라며 땅속 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상기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는 매우 쓴맛인 콰신(quassin)을 함유하고 있으며 나무껍질에 황색의 피복이 있고 높이는 약 20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광난형이고 밑은 둥글고 끝은 날카롭다. 꽃은 황록색의 자웅 이주로 5~6월경에 취산화서 형태로 액출하고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상 구형이고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잎, 나무껍질, 줄기, 뿌리 등 각 부분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청열조습, 건위, 살충, 해독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세균성하리, 위장염, 담도감염,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 건위제, 소화불량, 위염 및 식욕부진 등 주로 위장을 다스리는 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은 상기 천연식물을 발효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쇠뜨기 및 소태나무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과 혼합되는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속(Acetovacter sp)으로, 상기 아세토박터속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은 상기 미생물이 첨가된 천연식물을 35 내지 4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천연식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는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천연식물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발효된 천연식물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쇠뜨기 및 소태나무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하고, 상기 천연식물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시키며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 100g 당 3,500㎖의 증류수를 넣고,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이 혼합된 증류수에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 배양액을 첨가하여 34 내지 36℃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발효하고,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150 내지 170℃에서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여과하여 천연식물 열수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식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쇠뜨기 및 소태나무가 각각 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여과된 천연식물 열수추출물을 60 내지 65℃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0㎖가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여 천연식물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이 혼합된 증류수에 10g/L되게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 배양액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덱스트로즈와 pH조절제로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를 첨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균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발효조를 이용하여 10일간, 35℃,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고,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후 여과기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에서 1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천연식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방지제는 제조되는 미끼 성형물(100)의 자외선 차단 및 경화 도막의 라디칼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점도와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프로필렌그릴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2. 혼합 및 교반 단계(S200)
상기 혼합 및 교반 단계(S200)는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상기 교반 단계(S200)에서는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혼합한 후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상기 준비된 재료들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3.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
상기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는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미끼 성형물(10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는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 건조, 냉각 등 통상적인 과정을 거쳐 미끼 성형물(100)을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미끼 투입구(140)를 통해 성형틀로부터 분리하여 미끼 성형물(10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에서는 종래와 같이 미끼 성형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제조한 후, 상기 분리하여 제조된 미끼 성형물의 일부들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미끼 성형물을 제조하지 않고, 미끼 투입구(140)를 통해 성형틀로부터 분리하여 일체로 미끼 성형물(100)을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인조미끼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미끼 성형물(100)의 미끼 투입구(140)를 통해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투입한 후 상기 미끼 투입구(140)를 끈과 같은 결속수단으로 결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잡어 등에 의한 미끼의 손실없이 대상어종의 위치까지 미끼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어 대상어 유인용 미끼의 불필요한 낭비없이 원하는 대상어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상기 미끼 성형물(100)의 미끼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어 대상어종을 유인하는 대상어 유인용 미끼는 하기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제조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제조하기 위하여, 돼지지방, 감자전분, 미강분말, 크릴새우 및 귀뚜라미 분말로 이루어진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은 돼지지방 100 내지 150 중량부, 감자전분 50 내지 100 중량부, 미강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크릴새우 10 내지 20 중량부 및 귀뚜라미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성형하여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미끼 성형물(100)의 미끼 투입구로 투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다양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건조하여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돼지지방은 대상어를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돼지지방으로는 돼지비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자전분은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의 결합성 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감자전분은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결합시키고 쉽게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자전분은 큰 전분 입자, 높은 순도, 비교적 긴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슬의 길이, 아밀로펙틴에 인산 에스테르기의 존재, 점성적 거동(viscosity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양이온을 교환하는 능력, 가열과 냉각 시 걸쭉한 점탄성의 젤을 형성하는 능력이 있다.
상기 크릴새우는 영양학적으로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신선한 크릴새우에는 약 10%까지의 지질을 함유하며, 크릴새우의 지질은 고도불포화지방산 오메가-3인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약 40% 함유되어 있고, 인지질(phospholipids)이 약 40~50%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지용성 카로틴노이드(carotenoid)의 항산화물질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이 함유되어 있어 유용하다.
상기 크릴새우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크릴새우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릴새우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크릴새우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크릴새우를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1차 건조된 크릴새우를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30 내지 5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크릴새우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의 분쇄는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를 6 내지 8℃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귀뚜라미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귀뚜라미를 준비한 후 내장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귀뚜라미로는 쌍별귀뚜라미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귀뚜라미의 내장에 포함되어 있는 배설물들을 제거함으로써, 내장에 포함되어 있는 배설물에 의해 제조되는 대상어 유인용 미끼가 부패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 내장 배설물의 제거는 0.3 내지 0.8 중량%의 죽염수 및 밀가루를 5: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숙성시킨 밀가루 반죽물을 상기 귀뚜라미의 먹이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귀뚜라미 내부의 소화기관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설물이 제거된 귀뚜라미의 표면을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배설물이 제거된 귀뚜라미의 세척은 50 내지 60℃의 온도로 유지되는 1.0 내지 3.0(w/w)%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배설물이 제거된 귀뚜라미를 5 내지 15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귀뚜라미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귀뚜라미를 건조하여 상기 귀뚜라미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귀뚜라미의 건조는 상기 세척된 귀뚜라미를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귀뚜라미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귀뚜라미를 분말화한 후 숙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귀뚜라미의 분말화는 상기 건조된 귀뚜라미를 1 내지 5mm의 길이로 분쇄하고, 상기 숙성은 3 내지 7℃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미끼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미끼 성형물의 꼬리 부분에 형성된 미끼 투입구를 통해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투입한 후 상기 미끼 투입구를 결속끈으로 묶어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가 밖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미끼 성형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8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중량부, EVA 수지 20 중량부, 황화 고무라텍스 35 중량부, 천연고무 7 중량부, 경화제 3 중량부, 패각분말 10 중량부, 천연식물추출물 2 중량부, 산화방지제 1 중량부 및 용매 1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73℃의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고,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 건조,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가재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는, 돼지지방 125 중량부, 감자전분 80 중량부, 미강분말 30 중량부, 크릴새우 15 중량부 및 귀뚜라미 분말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제조하였고,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23℃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돼지비계를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 1에 따른 낚시용 미끼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
크릴 새우를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2에 따른 낚시용 미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2에 따른 낚시용 미끼로 5시간 씩 3일 동안 바다 낚시를 실시하였으며, 잡어와 선호어종의 포획량의 평균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선호어종 포획량 5 1 1
잡어 포획장 1 2 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낚시용 미끼로 5시간 씩 3일 동안 바다 낚시를 실시한 경우, 실시예에 따른 미끼가 잡어의 포획량은 적은 반면, 선호 어종 포획량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인조미끼
100; 미끼 성형물
120; 구멍
140; 미끼 투입구

Claims (4)

  1. 삭제
  2. 재료들을 계량하여 준비하는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 및 교반 단계(S200); 및
    상기 교반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미끼 성형물을 제조하는 미끼 성형물 제조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재료들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EVA 수지, 황화 고무라텍스, 천연고무, 경화제, 패각분말, 천연식물추출물, 산화방지제 및 용매가 일정한 중량 비율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EVA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황화 고무라텍스 25 내지 45 중량부, 천연고무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 중량부, 패각분말 5 내지 15 중량부, 천연식물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용매 50 내지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성형물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결되고 대상어 유인용 미끼를 수용하는 미끼 투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는, 돼지지방 100 내지 150 중량부, 감자전분 50 내지 100 중량부, 미강분말 20 내지 40 중량부, 크릴새우 10 내지 20 중량부 및 귀뚜라미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대상어 유인용 미끼 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성형하여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제조하며, 상기 대상어 유인용 미끼 성형체를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KR1020200110745A 2020-09-01 2020-09-01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45A KR102515816B1 (ko) 2020-09-01 2020-09-01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45A KR102515816B1 (ko) 2020-09-01 2020-09-01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8A KR20220028988A (ko) 2022-03-08
KR102515816B1 true KR102515816B1 (ko) 2023-03-30

Family

ID=8081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45A KR102515816B1 (ko) 2020-09-01 2020-09-01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8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75Y1 (ko) *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102071192B1 (ko) 2019-10-04 2020-01-29 송태원 곡류와 해양생물을 이용한 접착식 미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126A (ja) * 1997-11-06 1999-05-25 Hirokuni Ono ルア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9377B1 (ko) 2013-08-05 2014-12-05 이찬구 낚시용 인조미끼
KR20170073868A (ko) * 2015-12-21 2017-06-29 테그 주식회사 낚시용 인조미끼
KR101885237B1 (ko) 2016-07-18 2018-08-03 김도수 낚시용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8449A (ko) 2018-04-10 2019-10-18 이찬구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75Y1 (ko) *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102071192B1 (ko) 2019-10-04 2020-01-29 송태원 곡류와 해양생물을 이용한 접착식 미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8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7690A1 (ja) マイクロカプセル化された水産養殖用飼料
JP2004008029A (ja) 飼料用添加物、それが添加された飼料及び釣り餌
CN107232434A (zh) 翘鼻麻鸭专用饲料的制备方法
CN107439437A (zh) 一种单环刺螠养殖方法
CN108740601A (zh) 一种红螯螯虾集约化养殖功能性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348229A (zh) 一种鲶鱼饲料诱食剂及其制备方法
KR102515816B1 (ko)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CN104187196A (zh) 一种人工养殖蝎子的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805007A (zh) 一种高产鲶鱼饲料诱食剂及其制备方法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3609909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RU255582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дукционно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для молоди трепанг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07691772A (zh) 梭子蟹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338099A (zh) 一种提高鲥鱼产量的养殖方法
CN103947870B (zh) 一种防治鹅肝炎的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47628A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절편형 고체사료 제조방법
CN107736510A (zh) 鳙鱼饲料及其制备方法
RU255503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артово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для молоди трепанг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RU2626626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для молоди трепанга
CN107744076A (zh) 中华绒螯蟹饲料及其制备方法
RU2634558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для молоди трепанга
CN101301315A (zh) 乌梢蛇在制备治疗鲆、鲽鱼类淋巴囊肿病的饵料中的应用
CN109221792A (zh) 一种可提高小龙虾免疫力的饲料
CN109221793A (zh) 一种可提高小龙虾免疫力的饲料
CN108464265A (zh) 一种提高产量的池塘草鱼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