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025B1 - 스케일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025B1
KR102515025B1 KR1020180052715A KR20180052715A KR102515025B1 KR 102515025 B1 KR102515025 B1 KR 102515025B1 KR 1020180052715 A KR1020180052715 A KR 1020180052715A KR 20180052715 A KR20180052715 A KR 20180052715A KR 102515025 B1 KR102515025 B1 KR 10251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ibrator
mass block
vibr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534A (ko
Inventor
권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케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4671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004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케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케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05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0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진동자의 후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감하는 제1매스블록 및 상기 진동자의 전단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치아를 스케일링하는 팁이 구비되는 진동모듈 및 상기 진동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일링 장치 {APPARATUS FOR SCALING}
본 발명은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위를 진동모듈의 말단에 위치하게 하여, 진동자에서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의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에 의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을 안정시키고 진동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하는 스케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의 섭취, 또는 커피 및 담배 등의 기호식품과의 잦은 접촉으로 인하여 치아에는 침전물이 부착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아와 잇몸 사이에는 치석이 형성된다.
이러한 치석은 치아의 손상 및 변색을 유발하기 때문에,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Scaling)은 치주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시술로 인식되고 있다.
스케일링 방법에는 작은 칼날 모양의 기구 등을 사용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하는 방법과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칼날 모양의 기구를 사용한 스케일링에서 시술의 불편함과 칼날로 인한 환자 잇몸부위의 잦은 상처 발생 등의 문제점 인하여 근래에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스케일링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스케일링 장치는 고주파 전자파의 미세한 진동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치석을 단시간 내에 제거하는 장치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미세한 진동 에너지로 바꾸는 원리를 이용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스케일링 장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된 진동모듈을 하우징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진동자의 전단에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325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41)와 혼(150) 사이에 구비된 부스터(143)에 완충부재(160, 170)가 결합되고, 완충부재(160, 170)는 헤드(130)의 선단 내경에 형성된 결합리브(133)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압전소자(141)와 혼(150) 사이에 위치한 부스터(143)에 결합된 완충부재(160, 170)가 진동모듈을 핸드피스(110)에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진동자에서 발생되어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은 고정부에서 발생하는 간섭으로 인하여 출력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진동자에서 발생되어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이 고정부에서 일부 흡수되어 진동 에너지가 감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32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위를 진동모듈의 말단에 위치하게 하여, 진동자에서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의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에 의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을 안정시키고 진동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하는 스케일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전달되는 제1매스블록 및 상기 진동자의 전단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치아를 스케일링하는 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상기 진동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팁유닛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팁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 외부로 노출되는 팁 및 상기 팁과 상기 진동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2매스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매스볼록에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는 제1대향면이 형성되도록 단턱지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1대향면과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는 제2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대향면 및 상기 제2대향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모듈이 수용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진동모듈을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패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 말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매스블록의 말단이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 또는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매스블록의 외주면에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매스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진동모듈의 말단에 위치하게 하여, 진동자에서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에 대한 간섭현상을 최소화하고 출력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둘째,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진동모듈의 말단에 위치하게 하여, 진동자에서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진동자 후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고정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이 고정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의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진동모듈 및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진동모듈 및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진동모듈이 고정되는 위치를 진동모듈의 말단에 위치하게 하여, 진동자에서 팁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의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에 의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을 안정시키고 진동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하는 장치로, 하우징(100), 진동모듈(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후술하는 진동모듈(200)이 수용되는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1하우징(110)과 결합되고 전원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 및 분리되는 연결부위에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고, 추가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면 그 구성 및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장치의 인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120)의 외부에는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버튼(122) 및 초음파 진동의 파워 및 배터리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시술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작동을 보다 쉽게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결합하우징(1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하우징(112)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부위가 평편하고 고른 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결합하우징(112)은 스케일링 장치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시술자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200)은 진동자(220), 제1매스블록(240) 및 팁(26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자(2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압전소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에서, 압전소자인 제1진동자(222) 및 제2진동자(224)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진동자(222)는 제1전선(228)에 연결되고, 제2진동자(224)는 제2전선(226)에 연결되어, 진동자(222, 224)는 전원부에 연결된 전선(226, 228)으로부터 전기적인 에너지를 받아 초음파를 발생시켜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초음파(Ultrasonic Sound)는 주파수가 20kHz 이상으로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게 때문에 진동이 발생되는 특징을 지니며, 제2하우징(120)에 구비된 전원부에서 제공된 전기적인 에너지는 진동자(222,224)에서 미세한 진동에너지로 변환되어 진동모듈(200)에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제1매스블록(240)은 상기 진동자(220)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220)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매스블록(240)은 진동자(220)에서 발생한 진동을 증폭시키고, 발생된 열을 흡수 및 냉각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고정부(300)의 고정홈(34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매스블록(240)의 외주면에는 진동자의 진동에 따라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24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240a)는 원통형의 제1매스블록(240) 말단에 함몰되는 함몰부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회전방지부(240a)는 후술하는 고정부(300)의 고정홈(340)에 끼워져 원통형의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240a)는 돌출부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방지부(240a)가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팁유닛(260)은 상기 진동자(220)의 전단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11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진동자(220)의 진동을 이용하여 치아를 스케일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팁유닛(260)은 진동자(220)에서 발생된 초음파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과 초음파 진동을 집적하여 대상물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팁유닛(26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114) 외부로 노출되는 팁(262) 및 팁(262)과 진동자(220) 사이에 구비되는 제2매스블록(26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262)의 일단은 관통홀(114) 외부로 노출되고 팁(262)의 타단에는 결합나사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매스블록(264)의 일단에는 팁(262)의 홈과 결합하는 결합나사가 형성되고 제2매스블록(264)의 타단에는 진동자(220)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팁(262)은 치아를 직접적으로 스케일링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2매스블록(264)은 팁(262)과 진동자(220)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자(2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고, 진동자(22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 및 냉각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치아에 집적 접촉하는 팁(262)을 스케일링 장치에서 보다 쉽게 분리하고 결합 가능하게 하므로, 스케일링 장치의 위생상태를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팁유닛(260)은 진동모듈(2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팁유닛(260)은 하우징(100)의 내벽과의 접촉으로 인한 초음파 진동의 간섭 및 감쇠를 최소화하여 초음파 진동의 출력량을 안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팁유닛(260)과 진동모듈(2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사이에는 실링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매스볼록(264)에는 관통홀(114)을 향하는 제1대향면(264a)이 형성되도록 단턱지게 구비되고,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1대향면(264a)과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는 제2대향면(110a)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50)는 상기 제1대향면(264a) 및 상기 제2대향면(110a)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유닛(260)은 수용공간의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실링부재(150)는 제1대향면(264a) 및 상기 제2대향면(110a) 사이의 이격된 틈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관통홀(114)을 통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술한 설명과 같이, 실링부재(150)는 수용공간의 이격된 틈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관통홀(114)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수용공간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그 위치 및 결합구조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150)가 스케일링 장치에 배치되는 다양한 위치 및 결합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는 진동모듈(200)을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00)는 진동모듈(200)을 제1하우징(11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300)는 상기 제1매스블록(240)과 상기 제1하우징(110)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에서, 고정부(300)는 제1매스블록(240) 말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00)의 내측에는 제1매스블록(240) 말단이 결합되거나 끼워질 수 있는 동공을 가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의 외측에는 진동모듈(200)이 고정부(30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110)과 결합되는 결합나사(324) 등이 끼워지는 결합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00)가 제1하우징(110) 내부에 진동모듈(200)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고정부(30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결합부의 구성 및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고정부(300)는 진동모듈(200)의 말단, 즉 진동자(220) 후단에 위치하는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고, 진동자(220)에서 발생되어 팁유닛(260)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여 초음파 진동의 출력량을 가장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00)에는 진동자(220)와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패스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스홀(342)은 고정부(300)의 내주면에서 음푹 파인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진동자(220)의 각각에 연결된 전선(226, 228)은 제1매스블록(240)과 고정부(300) 사이에 형성된 패스홀(342)을 통해 전원부와 연결될 수 있어 전선(226, 228)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부(300)에는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이 끼워지는 고정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340)의 내주면에는 진동자(220)의 진동에 따라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홈(3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부는, 전술한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에 함몰부의 형태로 형성된 회전방지부(240a)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회전방지부가 고정홈(34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1매스블록(240)의 회전방지부(240a)는 고정부(300)의 고정홈(3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홈(340)의 내주면 또는 고정홈(340)의 내주면 또는 고정홈(34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매스블록의 외주면에는 진동자(220)의 진동에 따라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형성 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300)는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과 결합되고, 고정부(300)의 고정홈(340)은 고정홈(34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매스블록(240)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부(240a)와 결합되어,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방지부는 돌출부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매스블록(240)이 회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와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0)는 제1매스블록(24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300) 내측은 공동이 형성되어 제1매스블록(240) 말단이 끼워지고 제1매스블록(240)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매스블록(240)에 끼워지는 고정부(300)를 진동자(220)의 후단에 위치한 제1매스블록(240)에서 전후이동하여 고정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제1매스블록(240)에서 진동이 증폭되는 증폭길이를 조절하고, 따라서 팁유닛(260)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에너지의 필요 출력량에 따라 증폭길이를 조절하여 진동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으로 구성되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분리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먼저, 팁(262)과 제2매스블록(264)으로 분리된 팁유닛(262)에서, 팁(262)은 관통홀이 형성된 제1하우징(110) 전단에 배치하고 제2매스블록(264)은 제1하우징(110) 후단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매스블록(264) 후단에는 진동자(220)가 결합되고, 진동자(220)의 후단에는 제1매스블록(24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매스블록(240) 말단에는 고정부(300)가 결합되고, 진동자(220)에서 연결된 전선(226, 228)은 고정부(300)에 형성된 패스홀(342)을 통해 제2하우징(120)에 구비된 전원부와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300)는 진동모듈(200)의 말단, 즉 진동자(220) 후단에 위치하는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에 결합되어, 진동자(220)에서 발생되어 팁유닛(2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여 초음파 진동의 출력량을 가장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제2매스블록(264), 진동자(220), 제1매스블록(240) 및 고정부(300)가 결합된 진동모듈(200)의 전단에는 링 형태의 실링부재(150)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50)는 팁(262)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2매스블록(264)이 전단에 위치한 진동모듈(200)을 제1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인입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압착이 되고, 제2매스블록(264)의 제1대항면(264a)과 제1하우징(110)의 제2대향면(110a) 사이의 공간에 효과적으로 압착되어 제1하우징(110)과 팁유닛(260) 사이의 이격된 틈을 차단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관통홀(114)을 통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팁(262)은 제1하우징(110)의 관통홀(114)을 통해 제1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제2매스블록(264)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서, 치아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팁(262)을 스케일링 장치에서 보다 쉽게 분리하고 결합 가능하게 하여, 스케일링 장치의 위생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는 진동모듈(200)이 수용되고,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110)의 제2하우징(120)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고, 추가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면 그 구성 및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진동자(220)에 연결된 전선(226, 228)은 고정부(300)에 형성된 패스홀(342)을 통해 통해 제2하우징(120)에 구비된 전원부에 연결되어 진동자(220)를 제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110)의 외측에는 결합하우징(112)이 구비될 수 있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연결부위가 평평하고 고른 면을 갖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가 결합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결합구조에서. 후술하는 실링부재(150')를 제외한 구성 및 결합구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링 장치의 구성 및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므로, 후술하는 변형예의 결합구조에서 실링부재(150')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결합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의 관통홀(114)에는 외부에서 끼어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실링부재(150')가 제1하우징(110)의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150')의 내측에는 팁유닛(26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실링부재(150')의 외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하우징(110) 일단에 위치한 관통홀(114)의 외부에서 끼워지고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하우징(110)과 팁유닛(260) 사이의 수용공간에서 이격된 틈을 차단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관통홀(114)을 통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따른 결합구조로 결합된 스케일링 장치에서, 고정부(300)는 진동모듈(200)의 말단, 즉 진동자(220) 후단에 위치하는 제1매스블록(240)의 말단에 결합되어, 진동자(220)에서 발생되어 팁유닛(2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행방향에서 외부요인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여 초음파 진동의 출력량을 가장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 에너지 감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하우징 110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150 : 실링부재
200 : 진동모듈
220 : 진동자 240 : 제1매스블록
260 : 팁유닛 262 : 팁
264 : 제2매스블록 300 : 고정부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전달되는 제1매스블록 및 상기 진동자의 전단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치아를 스케일링하는 팁유닛을 포함하는 진동모듈; 및
    상기 진동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 말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매스블록의 말단이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스케일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유닛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스케일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팁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 외부로 노출되는 팁 및 상기 팁과 상기 진동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2매스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매스블록에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는 제1대향면이 형성되도록 단턱지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1대향면과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는 제2대향면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대향면 및 상기 제2대향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스케일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모듈이 수용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진동모듈을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스케일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패스홀이 형성되는 스케일링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 또는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매스블록의 외주면에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매스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스케일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매스블록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한 스케일링 장치.
KR1020180052715A 2016-11-04 2018-05-08 스케일링 장치 KR10251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15A KR102515025B1 (ko) 2016-11-04 2018-05-08 스케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718A KR20180050046A (ko) 2016-11-04 2016-11-04 스케일링 장치
KR1020180052715A KR102515025B1 (ko) 2016-11-04 2018-05-08 스케일링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718A Division KR20180050046A (ko) 2016-11-04 2016-11-04 스케일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34A KR20180054534A (ko) 2018-05-24
KR102515025B1 true KR102515025B1 (ko) 2023-03-29

Family

ID=857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715A KR102515025B1 (ko) 2016-11-04 2018-05-08 스케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0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0981Y (zh) * 2000-02-21 2000-12-20 罗长力 长寿命超声波洁牙手机
JP2004351104A (ja) 2003-05-30 2004-12-16 Morita Mfg Co Ltd 歯科用スケーラー
KR101168325B1 (ko) * 2012-02-14 2012-07-24 이윤정 치아용 스케일러
JP5149345B2 (ja) 2010-08-05 2013-02-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超音波振動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486B2 (ja) * 2000-11-10 2004-08-11 隈部 まさる 力学的麻酔兼患部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0981Y (zh) * 2000-02-21 2000-12-20 罗长力 长寿命超声波洁牙手机
JP2004351104A (ja) 2003-05-30 2004-12-16 Morita Mfg Co Ltd 歯科用スケーラー
JP5149345B2 (ja) 2010-08-05 2013-02-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超音波振動子
KR101168325B1 (ko) * 2012-02-14 2012-07-24 이윤정 치아용 스케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34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392B1 (ja) 超音波作動ユニット及び超音波処置装置
RU2481081C2 (ru) Медицинские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е инструменты
WO2010047395A1 (ja) 超音波処置具と超音波手術システム
JP6498214B2 (ja) 光ファイバスキャナ、照明装置および観察装置
US20040010267A1 (en) Calculus treatment apparatus
RU20031372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ри помощи ультразвука
RU2012144769A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JP2016516319A (ja) 導電性媒体用キャビティを有する超音波デバイス
EP3165188A1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treatment tool
JPWO2016111055A1 (ja) 超音波プローブ
KR102515025B1 (ko) 스케일링 장치
US20100130867A1 (en) Ultrasound frequency resonant dipole for medical use
KR20140106781A (ko) 공진 주파수 자동 매칭 기능을 가지는 초음파 치료 장치
Li et al. Limits and opportunities for miniaturizing ultrasonic surgical devices based on a Langevin transducer
JP4422733B2 (ja) 超音波診断装置
CN107205764B (zh) 振动体单元以及超声波探头
JP2009165503A (ja) 超音波振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美容装置
JP2009045345A (ja) 超音波歯ブラシ
US11523878B2 (en) Handpiece-type high-frequency vibration cutting device
KR20180050046A (ko) 스케일링 장치
KR20180042309A (ko) 초음파 작용을 가진 교체가능한 브러쉬 헤드
JP6176834B2 (ja) 超音波プローブの熱ドレイン
KR20020071932A (ko) 역학적 마취 겸 환부 분리 장치
WO2021019852A1 (ja) ハンドピース型高周波振動装置の発振方法
JP6257811B2 (ja) 超音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