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35B1 - Obd 허브 장치 - Google Patents

Obd 허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35B1
KR102514835B1 KR1020200111472A KR20200111472A KR102514835B1 KR 102514835 B1 KR102514835 B1 KR 102514835B1 KR 1020200111472 A KR1020200111472 A KR 1020200111472A KR 20200111472 A KR20200111472 A KR 20200111472A KR 102514835 B1 KR102514835 B1 KR 10251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bd
opening
adhesive lay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797A (ko
Inventor
임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토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토모
Priority to PCT/KR2020/0140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50480A1/ko
Publication of KR2022001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발명은 자동차 등의 기관제어시스템의 진단감시 시스템인 OBD(On-Board Diagnostics)에 결합되어 디바이스(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가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정비 등의 이유로 OBD 단자에 다른 디바이스(정비소 등의 차량 진단 장치(OBD 단말))가 연결될 때 상기 디바이스와 OBD 단자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 OBD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OBD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측에 제1개구부 및 타 측에 제2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BD 허브 장치{OBD HUB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기관제어시스템의 진단감시 시스템인 OBD(On-Board Diagnostics)에 결합되어 디바이스(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가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정비 등의 이유로 OBD 단자에 다른 디바이스(정비소 등의 차량 진단 장치(OBD 단말))가 연결될 때 상기 디바이스와 OBD 단자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 OBD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OBD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OBD(On-Board Diagnostics)란 차량에 부착해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자동으로 운행기록이 저장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OBD는 ECU를 포함하여 차량을 제어하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그 원인과 고장코드 등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OBD(본 명세서에는 OBD-II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차량 핸들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단자(이하 OBD 단자)가 구비되는데, 종래에는 자동차 정비 업소 등에 비치되는 차량 진단 장치(이하 OBD 단말)의 단자를 상기 ODB 단자와 연결시켜 상기 고장코드 등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0-0065734호(이하 종래기술)는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자기 진단을 수행하는 차량용 단말로서,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진단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기 진단 정보 및 상기 GPS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운행 정보,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을 시행하여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행 정보, 상기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부품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소모품 교환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상호 작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 정비 업소 등에 가지 않고도 차량 이용자가 직접 ODB 단자에 접속하여 고장코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상기 차량용 단말과 같은 외부기기를 OBD 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OBD 단말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용 단말과 OBD 단자의 연결을 해제한 후 OBD 단말을 다시 OBD 단자와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OBD 단말과 OBD 단자의 연결을 다시 해제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종래기술)을 재연결해야 하는데 OBD 단말과 OBD 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차량용 단말의 커넥트 등을 잃어버릴 수 있고, 상기 차량용 단말의 커넥트와 OBD 단자의 연결을 잊어버리는 경우 상기 고장코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를 차량에 구비되는 OBD 단자 등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기기와 OBD 단자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도 OBD 단말을 OBD 단자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OBD 허브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OBD 단자로부터 전송되는 진단감지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OBD 단자와의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진담감지정보를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OBD 허브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일 측에 제1개구부 및 타 측에 제2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단자의 구조는 상기 OBD 단자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모듈 및 바디의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를 차량에 구비되는 OBD 단자 등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기기와 OBD 단자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도 OBD 단말을 OBD 단자에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모듈 및 바디의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함으로써, OBD 단자로부터 전송되는 진단감지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OBD 단자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외부기기에서 OBD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 커넥트 등의 분실 위험 등이 감소되기 때문에 진단감지정보를 상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 허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OBD 허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전기적으로 연결, 통신 가능하게 연결)" 또는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전기적으로 연결, 통신 가능하게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 허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OBD 허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OBD란 ECU 등을 포함하여 차량을 제어하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그 원인과 고장코드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자동차 정비 업소 등에 비치되는 차량 진단 장치(이하 OBD 단말(O2))와 운전자 등이 직접 소지하는 차량용 단말과 같은 외부기기(ED)(상기 종래기술 참고)로 진담감지정보(상기 고장코드 포함)) 등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외부기기(ED)는 OBD 단자(O1)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연결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진담감지정보(상기 고장코드 등 포함)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장치(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포함할 수 있는데, OBD, 외부기기(ED) 및 OBD 단말(O2) 등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종래에는 차량에 구비되는 OBD 단자(O1)에 외부기기(ED)를 연결하여 진단감지정보를 확인하다가, 자동차 정비 업소 등에 구비되는 OBD 단말(O2)을 OBD 단자(O1)에 연결하여 진담감지정보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OBD 단자(O1)에 기 연결된 외부기기(ED)와 OBD 단자(O1)의 연결을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 허브 장치(H)는 상기한 문제점 등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일 실시예에 따른 OBD 허브 장치(H)를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 허브 장치(H))는 바디(1), 결합단자(2), 통신모듈(3) 및 수용단자(4)를 포함한다.
바디(1)는 절연재로서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바디(1)는 내측에 케이블, 후술하는 통신모듈(3), 케이블, 회로가 인쇄된 기판 등이 설치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는 일 측에 제1개구부(11) 및 타 측에 제2개구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일 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일 수 있고, 타 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는 상기 수용공간(13)과 연통될 수 있다.
결합단자(2)는 바디(1)에 내장된 상태로 제1개구부(11) 측으로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O1)와 결합한다. 결합단자(2)는 OBD 단자(O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구비된 OBD 네트워크(차량 네트워크(O3), 상기 ECU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가 전송하는 진담감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3)은 바디(1)에 구비되어 결합단자(2)와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통신모듈(3)은 상기 바디(1)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신모듈(3)은 상기 결합단자(2)와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케이블 또는 회로가 인쇄된 기판 등은 수용공간(13)에 배치 또는 설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3)은 상기 결합단자(2)와 상기한 방식 등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3)은 OBD 단자(O1)로부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ED)로 전송한다.
통신모듈(3)은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진감감지정보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3)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단자(4)는 바디(1)에 내장된 상태로 제2개구부(12) 측으로 배치되고, 결합단자(2)와 연결된다. 수용단자(4)는 OBD 단말(O2)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수용단자(4)는 상술한 바디(1)의 수용공간(13)에 배치 또는 설치되는 케이블 또는 회로 등을 매개로 결합단자(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합단자(2)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OBD 단말(O2)의 연결단자를 통해 진단감지정보를 OBD 단말(O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제1개구부(11) 측으로 배치되고 OBD 단자(O1)와 결합하는 결합단자(2), 결합단자(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기기(ED)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모듈(3) 및 제2개구부(12) 측으로 배치되고 결합단자(2)와 연결되되 OBD 단말(O2)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용단자(4)를 포함함으로써, 외부기기(ED)를 OBD 단자(O1)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기기(ED)와 OBD 단자(O1)의 연결을 해제 하지 않고도 OBD 단말(O2)을 OBD 단자(O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OBD 단말(O2) 및 외부기기(ED) 각각과 OBD 단자(O1)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의 해제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OBD 단말(O2)을 OBD 단자(O1)에 연결하고자 외부기기(ED)와 OBD 단자(O1)의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기기(ED)의 커넥트(단자와 무선통신장치를 포함)의 분실이 방지되고 따라서 진담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용단자(4)의 구조는 OBD 단자(O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OBD 단자(O1)가 PIN을 포함하는 경우 수용단자(4)도 PIN을 포함하고, 수용단자(4)의 PIN 배열은 OBD 단자(O1)의 PIN 배열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OBD 단자(O1)가 잭일 경우에는 수용단자(4) 또한 잭이며, OBD 단자(O1)의 잭과 수용단자(4)의 잭은 구조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가 OBD 단자(O1)에 연결된 상태에서 OBD 단말(O2)을 본 장치에 연결하고자 할 때, 별도의 젠더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하였듯이, 바디(1)는 수지와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바디(1)는 특성상 차량, OBD 단자(O1), OBD 단말(O2) 등과 반복적으로 접촉하여 표면에 스크래치, 파손,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중의 수증기 등과 온도에 의해 응결되는 이슬 등과 바디(1)가 접촉되는 경우 수지 재질의 바디(1)는 수분을 흡습 하여 치수가 변화할 수 있어, 결합단자(2)와 수용단자(4)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바디(1)가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 물가소화가 진행되어 연해지거나,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막(G)이 도포된 상태로 바디(1)가 오래 사용되는 경우, 보호막(G)에 미세한 홈 등이 발생하여 바디(1)의 외면이 수분과 접촉하거나 스크래치, 파손, 변형 등이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바디(1)는 투명한 상태로 유지될 필요성이 있으며, 보호막(G)의 유지보수를 위해 홈(구멍)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들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막(G)막은 바디(1) 외면에 접하는 제1투명 접착층(G1), 상기 제1투명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발열층(G2), 상기 투명 발열층(G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투명 접착층(G3) 및 상기 제2투명 접착층(G3) 상부에 구비되는 가변 보호층(G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 각각은 부틸아크릴레이트 70~99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30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라디칼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로 중합할 시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이고, 아크릴로니트릴은 호모폴리머로 중합할 시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이어서 채택됐다.
부틸아크릴레이트가 70 중량% 미만이면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감소하며, 헤이즈(haz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함량이 99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전이온도가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크릴로니트릴은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낮아져서 점착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그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라디칼 개시제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중합을 위해 사용되는데, 상용화된 라디칼 개시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를 중합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 각각은 고온에서 접착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은 고온(약 37℃ 이상)에서 접착력을 유지하며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상용화된 기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 발열층(G2)은 후술하는 제1투명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투명 접착층(G1)과 제2투명 접착층(G3)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을 포함하는데, 직류 또는 교류 전기를 가하게 되면 발열을 하게 되는 것으로 투명한 것이 특징이다.
가변 보호층(G4)은 제2투명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증류수 250ml 당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 3.84 g, 알긴산나트륨 1.25 g이 용해된 제1용액 및 증류수에 염화칼슘, 과황산암모늄이 포함된 제2용액이 혼합된 변환제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콜로이달 알루미나, 이소프로필알콜을 포함하는 보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용액과 제2용액은 각각 질소 가스에 의해 탈기하고, 제1용액을 주사기에 의해 한 방울씩 교반되어 있는 제2용액에 적하하는데, 적하와 동시에 알긴산칼슘을 매크로 캡슐로 하는 미립자가 발생한다. 1~3시간 내에 내포된 NIPAM의 중합이 종료되고, 얻어진 미립자를 증류수로 3~7회 정도 세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제는 약 37℃ 이하에서 투명한 상태로 존재하며, 37℃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미립자 내에 미가교 폴리머가 불용이 되어 백탁되기 때문에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 불용이 된 상태에서 다시 37℃ 이하로 내려갈 경우 변환제는 투명 상태로 전환되어 투명과 불투명한 상태가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보호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콜로이달 알루미나, 이소프로필알콜이 약 1시간 정도 교반하여 혼합된 후 초음파 분산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호제는 투명하며 우수한 내마모성, 내화확성, 내식성, 내후성, 및 열안정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바디(1)는 내마모성과 발수성이 우수한 보호제를 포함하는 보호막(G)이 외면에 구비됨으로써, 바디(1)가 수분과 접촉하는 것과 스크래치, 파손, 변형 등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에 보호막(G)이 구비된 상태로 바디(1)가 오랜 기간 사용됨에 따라 보호막(G)은 외력에 의해 미세 홈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미세 홈에 의해 바디(1)는 수분과 접촉하거나 스크래치, 변형,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막(G)은 37℃ 이하에서 투명한 상태로 유지(도 6의 [A] 참조)되어 보호막(G)이 구비된 바디(1)의 변형,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보호막(G)이 바디(1)의 외면에 구비(부착)된 상태로 오랜 시간 사용되어 보호막(G)의 홈 등이 발생한 것을 미리 확인하기 위해 또는 바디(1)의 외면 변형, 스크래치, 수분접촉, 파손 등이 발생된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보호막(G)의 유지보수를 위해 보호막(G)에 홈 등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투명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투명 발열층(G2)이 발열되어 변화제로 열이 전달되고, 변화제가 37℃를 초과하는 경우 백탁되어 보호제를 포함하는 가변 보호층(G4)이 불투명하게 변화하게 된다. 한편, 제1투명 접착층(G1), 투명 발열층(G2), 제2투명 접착층(G3)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불투명한 상태였던 바디(1)의 색상과 백탁된 가변 보호층(G4)의 색상이 대비(도 6의 [B] 참조)되어 가변 보호층(G4)에 홈 등이 발생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바디(1)의 외면 색상과 불투명 상태의 가변 보호층(G4)의 색상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투명 접착층(G3)은 37℃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도 접착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디(1)의 외면에 부착된 가변 보호층(G4)에 발생한 홈에 가변 보호층(G4)을 새로이 투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호막(G4)을 포함함으로써, 오랜기간 동안 바디(1)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OBD 허브 장치: H
바디: 1 제1개구부: 11
제2개구부: 12 수용공간: 13
결합단자: 2 통신모듈: 3
수용단자: 4
OBD 단자: O1 OBD 단말: 02
차량 네트워크: O3 외부기기: ED

Claims (4)

  1. 일 측에 제1개구부 및 타 측에 제2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단자의 구조는 상기 OBD 단자의 구조와 동일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 허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일 측에 제1개구부 및 타 측에 제2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OBD 단자로부터 진단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제2개구부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단자와 연결되는 수용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바디의 외면에 접하는 제1투명 접착층, 상기 제1투명 접착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발열층, 상기 투명 발열층 상부에 구비되는 제2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투명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가변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투명 접착층 및 제2투명 접착층 각각은 부틸아크릴레이트 70~99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30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라디칼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투명 발열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을 포함하고,
    가변 보호층은 증류수 250ml 당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 3.84 g, 알긴산나트륨 1.25 g이 용해된 제1용액 및 증류수에 염화칼슘, 과황산암모늄이 포함된 제2용액이 반응하여 얻어진 미립자, 및 메틸트리메톡시실, 콜로이달 알루미나, 이소프로필알콜을 포함하는 용액을 분산처리하여 제조된 보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 허브 장치.
KR1020200111472A 2020-08-05 2020-09-02 Obd 허브 장치 KR10251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084 WO2022050480A1 (ko) 2020-08-05 2020-10-15 Obd 허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8000 2020-08-05
KR1020200098000 2020-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97A KR20220017797A (ko) 2022-02-14
KR102514835B1 true KR102514835B1 (ko) 2023-03-28

Family

ID=8025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72A KR102514835B1 (ko) 2020-08-05 2020-09-02 Obd 허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4835B1 (ko)
WO (1) WO202205048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16B1 (ko) 2012-11-08 2014-02-12 이수산업(주) 자가 진단형 can 통신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85226B1 (ko)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KR102088059B1 (ko)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5091B2 (en) * 2009-12-17 2014-01-21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vehicles to telematics-enabled portable devices
US9574882B2 (en) * 2014-09-19 2017-02-21 Autoliv Asp, Inc. Automotive OBD-II device generating navigational information
KR20170034167A (ko) *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유디테크 소켓을 구비한 퓨즈박스 커버를 이용한 상시전원 공급장치
KR102141510B1 (ko) * 2019-01-29 2020-08-06 조순호 차량용 can 통신 단자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16B1 (ko) 2012-11-08 2014-02-12 이수산업(주) 자가 진단형 can 통신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85226B1 (ko)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KR102088059B1 (ko)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97A (ko) 2022-02-14
WO2022050480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8288B (zh) 一种用于车辆充氢的控制系统和方法
WO2022040849A1 (zh) 一种信号发送方法和装置
US9596225B2 (en) Out-of-vehicle devic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in-vehicle network
KR102514835B1 (ko) Obd 허브 장치
CN103838189A (zh) Can通信监控防护装置及车辆
CN103680126B (zh) 并排泊车问题解决系统及方法
CN111169574A (zh) 一种段码液晶屏仪表和轻型交通工具
KR102027922B1 (ko) 유무선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한 클러스터(Cluster)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508031U (zh) 一种车身控制器系统
CN202975796U (zh) 应用于汽车故障自动诊断的无线数据系统
CN209821620U (zh) 一种智能座舱域控制器
CN204196813U (zh) 用于车载obd上的车载嵌入式设备
US20220157096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anomaly detection program for vehicular control system
CN115871503A (zh) 新能源汽车lin总线控制充电指示灯的方法、装置及设备
CN101559746A (zh) 一种汽车线控转向系统的故障诊断系统
CN107247316A (zh) 一种光通信收发器及其应用
CN211663373U (zh) 一种段码液晶屏仪表和轻型交通工具
CN201856712U (zh) 一种车载安防监控装置
KR101303735B1 (ko) 차량과 외부통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4211B1 (ko) 메인 제어부 이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217279361U (zh) 汽车诊断接头及系统
CN211149435U (zh) 一种用于车载诊断系统的适配器
TWI807626B (zh) 雲端診斷服務系統以及車輛檢測方法
CN217544231U (zh) 一种hud线束
CN217240816U (zh) 光纤隔离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