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90B1 -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90B1
KR102514690B1 KR1020210065947A KR20210065947A KR102514690B1 KR 102514690 B1 KR102514690 B1 KR 102514690B1 KR 1020210065947 A KR1020210065947 A KR 1020210065947A KR 20210065947 A KR20210065947 A KR 20210065947A KR 102514690 B1 KR102514690 B1 KR 10251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printed
packaging contain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329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102021006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64Shapes or borders
    • G09F2003/0269Shapes or borders perfor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에 있어서, 일면에 제품정보가 인쇄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점착층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된 점착방지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상기 천공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점착방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점착방지층; 상기 인쇄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절취층과, 상기 인쇄절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절취층과,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상기 인쇄절취층 및 상기 점착절취층이 분리되도록 사이에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취유닛; 및 상기 인쇄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겹침층과, 상기 인쇄겹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겹침층을 포함하는 겹침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라벨 스티커가 포장용기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이후에 포장용기를 분리수거할 때에는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여 포장용기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Label sticker for easy removal}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이후에 포장용기를 분리수거할 때에는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여 포장용기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음료, 식품, 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내부에 저장되어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시중 제품들의 경우,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음료용기, 약품용기, 종이로 이루어진 포장상자, 비닐로 이루어진 식품팩 등 다양한 포장용기를 통해 포장된다. 이러한 포장용기의 경우 제품의 품명, 용도, 함량, 제조날짜, 유통기한, 제품설명서 등을 표기하기 위해 이러한 내용이 인쇄된 라벨 스티커(label sticker)가 포장용기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각종 포장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존의 라벨 스티커는 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액이 과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라벨 스티커를 폐기시 환경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품을 사용하고 난 후 포장용기의 폐기 시점이 되면, 높은 점착성에 의해 라벨 스티커가 포장용기로부터 제대로 탈착되지 않게 되어 라벨 스티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의해 포장용기의 재활용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279호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일 라벨'과 같이, 일면에 용기의 내용물에 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이 뚫려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 타면의 일단에 일정너비로 도포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가 상기 용기의 외면에 접착된 후 상기 몸체가 상기 용기의 외면을 감싸는 방법으로 감기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술의 경우, 포장용기로부터 라벨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라벨에 최소한의 점착제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은 주로 점착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포장용기에 라벨 스티커를 부착하더라도 유통 과정에서 포장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제품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장용기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이후에 포장용기를 분리수거할 때에는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여 포장용기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일면에 제품정보가 인쇄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점착층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된 점착방지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벨 스티커는, 복수 개의 상기 천공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점착방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점착방지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점착방지층은, 상기 천공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상기 보조점착방지부가 상기 천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점착방지부는 상기 천공의 외주연과의 이격 간격이 동일하도록 외주연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점착방지층은, 상기 천공 내에 사선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기 보조점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벨 스티커는, 상기 인쇄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절취층과, 상기 인쇄절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절취층과,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상기 인쇄절취층 및 상기 점착절취층이 분리되도록 사이에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취유닛; 및 상기 인쇄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겹침층과, 상기 인쇄겹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겹침층을 포함하는 겹침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겹침유닛에 상기 절취유닛이 겹쳐지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라벨 스티커가 포장용기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이후에 포장용기를 분리수거할 때에는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가능하여 포장용기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의 사용도이고,
도 2는 포장용기 방향으로 점착층 및 점착방지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사선으로 배열되는 천공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조점착방지층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점착방지층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및 절취홈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포장용기로부터 라벨 스티커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의 사용도이고, 도 2는 포장용기 방향으로 점착층 및 점착방지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사선으로 배열되는 천공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조점착방지층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점착방지층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및 절취홈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포장용기로부터 라벨 스티커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1)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음료용기 또는 약품용기의 경우 포장용기(1)의 전체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부착되거나 일부 영역에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포장용기(1)가 종이로 이루어진 포장상자, 비닐로 이루어진 식품팩 등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스티커(20, 30, 40)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포장용기(1)는 일 실시예일 뿐 포장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에 본 발명의 라벨 스티커(10, 20, 30, 40)를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층(100), 점착층(200), 점착방지코팅층(300),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 절취유닛(500) 및 겹침유닛(600)을 포함한다.
인쇄층(100)은, 일면에 제품정보가 인쇄된 구성으로, 제품의 품명, 용도, 함량, 제조날짜, 유통기한, 제품설명서 등이 인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층에 해당한다. 즉, 인쇄층(100)의 일면은 구매자가 제품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인쇄층(100)의 타면은 포장용기(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점착층(200)은, 인쇄층(100)의 타면에 적층되는 구성에 해당하는데, 점착층(200)의 일면은 인쇄층(100)의 타면에 적층되고 점착층(200)의 타면에는 후술할 점착방지코팅층(300)이 적층된다. 이러한 점착층(200)은 포장용기(1)에 라벨 스티커(10)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를 인쇄층(100)의 타면에 도포하여 적층한 층에 해당하며, 점착층(200)의 점착제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방지코팅층(300)은, 점착층(200)의 타면에 적층되어 점착층(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되, 점착층(20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천공(310)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점착방지코팅층(300)은 점착층(200)의 타면에 적층되어 천공(310)이 형성된 영역만 점착층(200)의 점착 기능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천공(31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점착방지코팅층(300)에 의해 차단되어 점착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즉, 포장용기(1)에 라벨 스티커(10)가 부착될 때 천공(310)이 형성된 영역만 점착층(200)이 노출되어 포장용기(1)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점착층(200)의 경우 인쇄층(100)의 타면에 적층될 때 타면에 전체적으로 적층되는데, 이와 같이 점착층(200)이 종래기술과 같이 전체적으로 형성될 경우 라벨 스티커(10)를 포장용기(1)에 부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이후에 포장용기(1)를 재활용하기 위해 라벨 스티커(10)를 포장용기(1)로부터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점착층(200)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라벨 스티커(10)의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점착방지코팅층(300)을 추가로 형성하여 점착층(200)이 원형으로만 노출되도록 하며, 이는 포장용기(1)에 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장용기(1)를 재활용하기 위한 탈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200)이 원형으로 노출되도록 복수 개의 천공(3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원형으로 천공(310)을 선택할 경우 작은 면적에서 시작하여 넓은 면적을 지나 다시 천공(310)의 작은 면적을 거쳐 점착층(200)이 포장용기(1)로부터 제거된다.
예를 들어 천공이 사각형 또는 선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처음부터 넓은 면적의 점착층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라벨 스티커를 탈착하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라벨 스티커를 떼어내는 동안 넓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원형일 경우와 달리 탄력에 의해 힘을 증가시키기 어려우며 사각형상 또는 선형상이 오히려 저항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 II → III 순서대로 점착층(200)이 포장용기(1)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천공(310)이 포장용기(1)에서 작은 면적부터 순차적으로 제거될 경우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기 용이하며, 천공(310)의 제거가 I → II와 같이 작은 면적에서 큰 면적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할수록 탄력에 의해 적은 힘을 가하여도 작은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힘으로도 큰 면적의 점착층(200)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천공(310)이 II → III와 같이 큰 면적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작은 면적을 제거할 때에는 힘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매우 쉽게 점착층(200)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점착층(200)이 노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방지코팅층(300)에 형성되어 점착층(200)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천공(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스티커(10)의 수직(①) 및 수평(②) 방향을 기준으로 사선(③)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310)이 사선으로 배열될 경우 수직 또는 수평 간 천공(310) 배열이 최대한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기 편리하다. 상세하게는 점착방지코팅층(300) 중 점착면에 해당하는 천공(310) 사이에 비점착면에 해당하는 공간이 존재하여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라벨 스티커(1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떼어내기 때문에 천공(310)이 사선으로 형성될 경우 비점착면 공간에 의해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은, 복수 개의 천공(310)에 각각 배치되며 천공(310)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점착방지부(410a, 41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라벨 스티커(10)의 탈착 용이성이 증가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천공(310)을 통해 점착층(200)이 노출되는 면적이 클 경우 포장용기(1)에 따라서 탈착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공(310)을 통해 노출되는 점착층(200)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은 라벨 스티커(10)가 적용되는 포장용기(1)의 종류에 따라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도 있다.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조점착방지부(410a)를 포함하는 실시예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보조점착방지부(410b)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 실시예일 뿐 이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조점착방지층(400a)은, 천공(310)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보조점착방지부(410a)가 천공(310) 내에 배치되며, 보조점착방지부(410a)는 천공(310)의 외주연과 이격 간격이 동일하도록 외주연이 형성된다. 즉, 점착방지코팅층(300) 및 보조점착방지층(400a)에 의해 점착층(200)이 링(ring) 형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천공(310)의 면적을 기준으로 점착층(200)은 10 내지 20%의 면적만큼 외부로 노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보조점착방지층(400b)은, 천공(310) 내에 사선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보조점착방지부(41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라벨 스티커(10)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복수 개의 보조점착방지부(410b)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점착방지부(410b)는 천공(310)과 마찬가지로 사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 간 배열이 이격된 상태에 해당하며, 점착면 공간 사이에 비점착면 공간이 존재하여 힘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점착방지코팅층(300) 및 보조점착방지층(400b)에 의해 점착층(200)은 50 내지 70% 정도의 면적만큼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점착방지부(410a, 410b)를 포함하는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에 의해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즉,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을 포함할 경우 천공(310)에 노출된 점착층(200)이 소형돌기화 되기 때문에 점착층(200)만 존재할 때보다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스티커(10)가 탈착되기 편리해진다.
절취유닛(500)은,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기 위하여 라벨 스티커(10)를 절취하는 구성으로, 인쇄절취층(510), 점착절취층(520) 및 절취선(530)을 포함한다.
인쇄절취층(510)은, 인쇄층(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인쇄층(100)과 동일한 소재로 인쇄층(100)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쇄절취층(510)은 인쇄층(100)과 마찬가지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점착절취층(520)은, 인쇄절취층(510)에 적층되도록 점착층(2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점착층(2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착절취층(520)은 점착방지코팅층(300)과 같은 구성이 적층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절취층(520)이 온전히 노출되며, 이를 통해 점착절취층(520)의 전체면이 후술할 겹침유닛(600)에 적층 및 부착된다.
절취선(530)은, 인쇄층(100) 및 점착층(200)으로부터 인쇄절취층(510) 및 점착절취층(520)이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인쇄층(100)과 인쇄절취층(510) 사이, 점착층(200)과 점착절취층(5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절취선(530)을 통해 포장용기(1)를 재활용하기 위해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할 때, 절취선(530)을 절취한 후 라벨 스티커(10)를 벗겨내어 제거한다.
이러한 절취선(5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역삼각 형상의 절취홈(540a)을 가지며 두 줄로 절취선(530a)이 이루어지거나, 도 6(b)와 같이 역삼각 절취홈(540b)에 두 겹의 절취선(5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c)와 같이 역삼각 절취홈(540c)에 하나의 절취선(530c)을 가질 수 있으며, 도 6(d)와 같이 역삼각 절취홈(540d)에 하나의 절취선(530d)이 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절취선(530d)이 사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도 6(e) 내지 도 6(h)와 같이 절취홈(540e, 540f, 540g, 540h)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취선(530)의 경우 도 6(e)와 같이 두 줄로 이루어진 절취선(530e)이거나, 도 6(f)와 같이 두 겹으로 이루어진 절취선(530f)일 수 있으며, 도 6(g)와 같이 한 개로 이루어진 절취선(530g)이거나, 도 6(h)와 같이 한 줄의 절취선(530h)이 사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절취선(530)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며, 절취선(530)을 이용하여 절취유닛(500)을 절취하는 방법으로는 도 7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때 도 6(a) 및 도 6(e)와 같이 두 줄의 절취선(530a, 530e)을 가질 경우, 절취선 사이의 영역에는 점착절취층(520)이 노출되지 않도록 추가로 점착방지코팅층(300)이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7(b)와 같이 절취선(530)을 제거할 때에 절취선(530) 사이에 점착절취층(520)이 형성될 경우 포장용기(1)에 절취선(530)이 점착되어 제거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점착절취층(520)은 겹침유닛(600)에 적층되는 영역에만 점착절취층(520)이 형성되고, 겹침유닛(600)에 적층되지 않고 포장용기(1)와 맞닿는 영역에는 절취의 용이함을 위해 점착절취층(520) 노출 방지용 점착방지코팅층(300)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겹침유닛(600)은, 절취유닛(500)이 겹쳐지도록 적층되는 구성으로, 인쇄겹침층(610) 및 점착겹침층(620)을 포함한다.
인쇄겹침층(610)은, 인쇄층(10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인쇄절취층(5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인쇄층(100) 및 인쇄절취층(5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쇄겹침층(610)은 절취유닛(500)이 적층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점착겹침층(620)은, 인쇄겹침층(610)에 적층되도록 점착층(20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점착절취층(520)과 마찬가지로 점착층(2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착겹침층(620)은 점착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전면이 포장용기(1)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만약 점착절취층(520)이 본 발명과 같이 인쇄겹침층(610)에 적층되지 않고 포장용기(1)의 외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경우, 이후에 절취유닛(500)을 절취하여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포장용기(1)에 부착된 점착절취층(520)과 점착겹침층(620)을 각각 따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라벨 스티커(10)를 탈착하기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포장용기(1)에 각각 개별적으로 점착절취층(520)과 점착겹침층(620)이 점착성을 가진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라벨 스티커(10)를 포장용기로부터 제거해야 할 때에는 점착절취층(520)과 점착겹침층(620)을 두 번의 작업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유닛(500)이 겹침유닛(600)에 겹쳐지도록 적층한 후,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하기 위해 절취선(530)을 통해 절취유닛(500)을 절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취유닛(500)을 겹침유닛(600)에 겹쳐서 부착하게 되면 겹침유닛(600)만 포장용기(1)에 부착된 상태이고 절취유닛(500)은 포장용기(1)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겹침유닛(600)에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포장용기(1)에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절취선(530)을 통해 절취유닛(500)을 절취하게 된다.
그 후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유닛(500)과 겹침유닛(600)이 라벨 스티커(10)의 일단에만 남도록 분리되며, 절취선(530)에 의해 분리된 인쇄층(100) 및 점착층(200)과 함께 점착방지코팅층(300) 및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이 포장용기(1)로부터 쉽게 탈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절취유닛(500) 및 겹침유닛(600)을 포장용기(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라벨 스티커(10)가 포장용기(1)로부터 제거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절취유닛(500)이 직접적으로 포장용기(1)에 부착되지 않고 겹침유닛(600)에 적층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라벨 스티커(10)를 포장용기(1)로부터 제거할 때 겹침유닛(600)의 제거 만으로 절취유닛(500)까지 한번에 제거가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포장용기(1)가 종이로 이루어진 포장상자, 비닐로 이루어진 식품팩 등의 경우, 라벨스티커(20, 30, 40)가 평면으로 부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해당한다.
도 9의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20)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인쇄층(100), 점착층(200) 및 점착방지코팅층(3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모서리에 절취선(530)이 형성되어 라벨스티커(2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두 개의 절취선(530) 사이에는 천공(31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점착방지코팅층(300)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취선(530)의 절취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포장용기(1)로부터 사용자가 손쉽게 라벨스티커(20)를 제거 가능하다.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30)에 관한 것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인쇄층(100), 점착층(200) 및 점착방지코팅층(3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을 가로지르는 두 개의 굴곡진 절취선(530)이 형성되어 라벨스티커(3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벨스티커(3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절취선(530) 사이에는 천공(31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점착방지코팅층(300)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1)로부터 사용자가 손쉽게 라벨스티커(30)를 제거 가능하다.
또한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40)에 관한 것으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인쇄층(100), 점착층(200) 및 점착방지코팅층(3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직선으로 이루어진 절취선(530)이 형성되어 라벨스티커(4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벨스티커(40)는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절취선(530) 사이에는 천공(31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점착방지코팅층(300)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1)로부터 사용자가 손쉽게 라벨스티커(40)를 제거 가능하다.
이러한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20, 30, 4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라벨스티커(10)의 인쇄층(100), 점착층(200) 및 점착방지코팅층(3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라벨 스티커는, 포장용기로부터 라벨 스티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최소한의 점착제만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유통 과정에서 포장용기로부터 라벨 스티커가 쉽게 분리되어 제품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라벨 스티커의 점착성을 높인 경우에는, 반대로 포장용기로부터 라벨 스티커를 탈착하기 어려워 포장용기를 재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포장용기를 재활용하지 못하도록 생산할 경우 그에 따른 환경부담금이 클 뿐 아니라 포장용기가 쓰레기로 처리되기 때문에 실제로 환경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점착층(200)을 통해 라벨 스티커(10)가 포장용기(1) 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점착층(200)에 적층된 점착방지코팅층(300) 및 보조점착방지층(400a, 400b)을 통해 포장용기(1)로부터 라벨 스티커(10)가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라벨 스티커(10)는 포장용기(1)에 부착과 탈착이 모두 용이하게 최적의 점착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천공(310)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의해 점착층(200)이 원형으로 노출되며, 이를 통해 작은 면적에서부터 큰 면적을 지나 다시 작은 면적으로 점착층(200)이 탈착되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천공(310)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될 때보다 탈착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10)를 사용하게 되면 포장용기(1) 내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며, 포장용기(1)의 재활용을 위해 라벨 스티커(10)를 제거해야 할 경우에는 손쉽게 탈착이 가능한 라벨 스티커(1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음료용기
10: 라벨 스티커
100: 인쇄층
200: 점착층
300: 점착방지코팅층
310: 천공
400a, 400b: 보조점착방지층
410a, 410b: 보조점착방지부
500: 절취유닛
510: 인쇄절취층
520: 점착절취층
530, 530a, 530b, 530c, 530d, 530e, 530f, 530g, 530h: 절취선
540a, 540b, 540c, 540d, 540e, 540f, 540g, 540h: 절취홈
600: 겹침유닛
610: 인쇄겹침층
620: 점착겹침층

Claims (5)

  1. 일면에 제품정보가 인쇄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점착층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천공이 사선으로 배열 형성된 점착방지코팅층;
    복수 개의 상기 천공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천공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 내에 사선으로 배열되어 상기 점착층이 50 내지 70%의 면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보조점착방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점착방지층;
    상기 인쇄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절취층과, 상기 인쇄절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절취층과,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상기 인쇄절취층 및 상기 점착절취층이 분리되도록 사이에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취유닛; 및
    상기 인쇄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인쇄겹침층과, 상기 인쇄겹침층에 적층되도록 상기 점착층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 점착겹침층을 포함하는 겹침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겹침유닛에 상기 절취유닛이 겹쳐지도록 적층되어 상기 절취유닛이 직접적으로 포장용기에 부착되지 않아 상기 포장용기로부터 상기 겹침유닛의 제거 만으로 상기 절취유닛까지 한 번에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점착방지층은,
    상기 천공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상기 보조점착방지부가 상기 천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점착방지부는 상기 천공의 외주연과의 이격 간격이 동일하도록 외주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5947A 2021-05-24 2021-05-24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KR10251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47A KR102514690B1 (ko) 2021-05-24 2021-05-24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47A KR102514690B1 (ko) 2021-05-24 2021-05-24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29A KR20220158329A (ko) 2022-12-01
KR102514690B1 true KR102514690B1 (ko) 2023-03-27

Family

ID=8444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947A KR102514690B1 (ko) 2021-05-24 2021-05-24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69Y1 (ko) * 2018-05-18 2019-04-11 이준희 개선된 분리구조를 갖는 라벨지
KR102184125B1 (ko) * 2020-02-24 2020-11-27 이승현 선택적 커버를 통한 적층 라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908A (ko) * 2012-01-03 2013-07-11 최종선 패터닝된 점착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KR20180002279U (ko) 2017-01-18 2018-07-26 차민수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인 라벨
KR102110900B1 (ko) * 2018-04-13 2020-05-15 주재근 재활용성이 개선된 인몰드 라벨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69Y1 (ko) * 2018-05-18 2019-04-11 이준희 개선된 분리구조를 갖는 라벨지
KR102184125B1 (ko) * 2020-02-24 2020-11-27 이승현 선택적 커버를 통한 적층 라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29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6598B2 (en) Scored and labeled resealable packaging
KR100330271B1 (ko) 필름 멀티 패키지
US7374633B2 (en) Extended wrap label
CN109335293B (zh) 一种可使纸制包装体多次循环再使用的封装与开启装置及其应用
JP5845915B2 (ja) 蓋材及び包装容器
US5641118A (en) Package with improved removable strip
KR102514690B1 (ko) 탈착이 용이한 라벨 스티커
JP2004026197A (ja) 密閉容器用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3843510B2 (ja) 液体包装用紙容器
JP2011016571A (ja) 包装用箱
JP3380289B2 (ja) マルチパック
JP2008178970A (ja) 切目線で切断する方法と切目線で切断された紙
JPS61217350A (ja) 容器蓋体
JPH11255233A (ja) 表示片付包装用箱
EP3250472B1 (en) Easy open package
JP3174499U (ja) 段ボール箱
KR100885043B1 (ko) 전자부품 포장방법 및 포장구조체
JP2004075182A (ja) 食品容器
JP2006306442A (ja) 易開封性及び易ラベル剥離性ガラス瓶
JP2004155478A (ja) 包装箱
JP2021196417A (ja) シール付ラベル、シール付ラベル帯状体及びシール付ラベルを用いた包装品
JPH05278760A (ja) ブリスターパック容器
JP2593374Y2 (ja) 包装用容器
JPH0142532Y2 (ko)
JP2016022979A (ja) 包装用箱及びそのブランク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