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24B1 -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24B1
KR102514624B1 KR1020220104174A KR20220104174A KR102514624B1 KR 102514624 B1 KR102514624 B1 KR 102514624B1 KR 1020220104174 A KR1020220104174 A KR 1020220104174A KR 20220104174 A KR20220104174 A KR 20220104174A KR 102514624 B1 KR102514624 B1 KR 10251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emergency power
control uni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은주
Original Assignee
하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은주 filed Critical 하은주
Priority to KR102022010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8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requiring starting of a prime-mov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8Synchronising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15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wherein the generator is controlled by the requirements of the prime mov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3/0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 H02P2103/20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enerator of the synchronous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03AC-DC converter stage controlled to provide a defined DC link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정전 등에 의해 계통의 이상이 발생되어 부하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내부의 발전기유닛을 통해 상용전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계통의 이상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용전원 또는 이를 대체하는 비상전원을 끊김 없이 부하에 공급함으로써, 부하의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Uninterruptible emergency power suppl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계통의 정전 등에 의한 이상 발생 시 부하에 비상전원을 즉시 공급할 수 있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전 또는 순간적인 저전압 등의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대처하기 위해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UPS 장치는, 평상시 계통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이상 발생 시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계통전원의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UPS 장치는 내부에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예컨대, 기존의 UPS장치는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력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류를 제한하여 안정시켜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쵸퍼, 상기 쵸퍼의 출력전압을 구형파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절연시키는 절연 트랜스포머, 상기 절연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의 출력에 혼입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고조파가 혼입된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의 출력 전압에서 고조파를 제거하는 필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기존의 UPS 장치는 많은 부품들이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대체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UPS 장치는 내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폭발성 가스 등의 발생될 가능성이 있어 폭발 위험의 해소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 등이 필요하게 되어 설치 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7492호(2014.07.08.)
본 발명은 계통의 정전 등에 의한 이상 발생 시 부하에 비상전원을 즉시 공급할 수 있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계통의 이상 발생 시, 구동엔진의 기동에 따라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발전기유닛; 상기 계통, 상기 부하 및 상기 발전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용전원 및 상기 비상전원 중 하나가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절체유닛; 및 상기 계통의 이상 발생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정상모드에서 상기 상용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고, 비상모드에서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엔진, 상기 발전기유닛 및 상기 절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발전기유닛에서 출력된 상기 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한다.
상기 발전기유닛은, 회전축에 플라이휠이 결합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구동엔진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엔진의 기동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비상전원을 생성하는 동기발전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동기발전기와 상기 구동엔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동기발전기와 상기 구동엔진 간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체유닛을 통해 상기 동기발전기와 연결된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는,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구동엔진과 상기 동기발전기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동기발전기가 일정 시간 동작되어 출력하는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직류전원을 보조비상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하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보조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한다.
상기 절체유닛은, 상기 계통과 상기 부하 사이에 배치된 제1스위치; 및 상기 발전기유닛과 상기 제어유닛 사이에 배치된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은,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계통의 이상 발생에 따른 비상모드에서, 제어유닛에 의해 구동엔진과 발전기유닛이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구동엔진이 기동되어 상기 발전기유닛을 통해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의 이상 발생이 복원되면 상기 구동엔진의 동작을 정지하고,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구동엔진과 발전기유닛이 결합하기 전에, 상기 발전기유닛이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에 따라 일정시간 교류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보조비상전원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비상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비상전원의 출력을 일정시간 유지하면서,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정전 등에 의해 계통의 이상이 발생되어 부하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내부의 발전기유닛을 통해 상용전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계통의 이상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용전원 또는 이를 대체하는 비상전원이 부하에 끊김 없이 공급될 수 있어 부하의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전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계통(110)과 부하(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구동엔진(150), 변환기(160) 및 제어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체유닛(130)은 계통(110), 부하(120) 및 발전기유닛(140)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계통(110) 및 발전기유닛(140)를 통해 부하(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절체유닛(130)은 계통(11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계통(110)에서 상용전원이 부하(1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체유닛(130)은 발전기유닛(14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발전기유닛(140)에서 비상전원이 부하(1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체유닛(130)은 계통(110)과 부하(120) 사이에 배치된 제1스위치(131)와 발전기유닛(140), 제어유닛(170) 및 변환기(160) 사이에 배치된 제2스위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3) 각각은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의 초기모드, 정상모드 및 비상모드에서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각각 스위칭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의 초기모드 또는 정상모드에서,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의해 제1스위치(131)는 턴-온(turn-on)되어 계통(11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형성하고, 제2스위치(133)는 턴-오프(turn-off)되어 발전기유닛(14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의 비상모드에서,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의해 제1스위치(131)는 턴-오프되어 계통(11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차단하고, 제2스위치(133)는 턴-온되어 발전기유닛(140)과 부하(120) 간 연결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스위치(133)는 제1스위치(131)가 턴-오프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제어유닛(170)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모드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된 상태이고, 정상모드는 계통(1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며, 비상모드는 계통(110)에 정전 등의 이상이 발생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3)는 고속 스위칭, 예컨대 대략 4ms 이내의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3)는 자동절체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또는 무정전절체스위치(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 CTT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발전기유닛(140)은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비상모드에서 비상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상전원을 절체유닛(130)의 제2스위치(133)를 통해 부하(120)로 공급할 수 있다. 발전기유닛(140)에서 생성된 비상전원은 계통(110)의 상용전원과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 등이 동기(synchronization)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원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발전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전기유닛(140)은 플라이휠(141), 구동모터(142) 및 동기발전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2)는 계통(110)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플라이휠(141)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동기발전기(143)는 내부에 영구자석 회전자 또는 브러시리스(brushless) 계자 권선형 회전자자 구비되며,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42) 및 구동엔진(150) 중 하나에 의해 동작되어 소정의 전원, 예컨대 교류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이휠(141), 구동모터(142) 및 동기발전기(143)는 동일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구동엔진(150) 역시 플라이휠(141), 구동모터(142) 및 동기발전기(143)와 동일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유닛(140)은 정상모드, 즉 계통(110)이 정상 동작되는 모드에서, 상기 계통(110)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모터(142)에 의해 동기발전기(143)가 동작되어 교류전원이 생성될 수 있다. 동기발전기(143)는 생성된 교류전원을 변환기(16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유닛(140)은 비상모드, 즉 계통(110)에 이상이 발생된 모드에서,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체결부(155)를 통해 동기발전기(143)와 구동엔진(150)이 결합되고, 구동엔진(150)의 기동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에 따라 동기발전기(143)가 동작되어 교류전원이 생성될 수 있다. 동기발전기(143)는 생성된 교류전원을 제2스위치(133)를 통해 제어유닛(170)에 비상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체결부(155)는 제어유닛(170)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엔진(150)과 동기발전기(143) 간을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55)는 전자석 등의 마그네틱(magnetic) 또는 기계적 클러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전기유닛(140)은 동기발전기(143)와 구동모터(142) 간을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발전기유닛(140)의 동기발전기(143)가 체결부(155)를 통해 구동엔진(150)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구동엔진(150)은 체결부(155)를 통해 발전기유닛(140)의 구동모터(142) 또는 플라이휠(141)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비상모드에서 구동엔진(150)에서 인가되는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 구동모터(142) 또는 플라이휠(141)이 동작됨으로써, 동기발전기(143)로부터 교류전원이 생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엔진(150)은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체결부(155)를 통해 발전기유닛(140)과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기동되어 기계적 에너지에 따른 구동력을 발전기유닛(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엔진(150)은 석유 등의 화석연료 또는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기동되는 엔진일 수 있다.
변환기(160)는 발전기유닛(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기(160)는, 정상모드에서 발전기유닛(140)에서 출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어유닛(17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변환기(160)는 비상모드에서 제2스위치(133)가 턴-온되기 전에 발전기유닛(140)에서 출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7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기(16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다.
제어유닛(170)은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70)은 모니터링부(171), 동작제어부(172) 및 동기제어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71)는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를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71)는 계통(110)에서 부하(120)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 변화를 모니터링 하거나 또는 변환기(160)에서 제공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재 변환하여 이의 전압 또는 주파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71)는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제어유닛(170)에는 변환기(160)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 예컨대 인버터(inverter)가 구성될 수 있다.
동작제어부(172)는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3) 각각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정상모드가 판단되면,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가 턴-온되고, 제2스위치(133)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부하(120)는 제1스위치(131)에 의해 계통(110)과 연결되어 상기 계통(110)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비상모드가 판단되면,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가 턴-오프되고, 제2스위치(133)가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동작제어부(172)는 체결부(155)를 통해 구동엔진(150)이 발전기유닛(140)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엔진(150)을 기동하여 발전기유닛(140)을 통해 교류전원, 즉 비상전원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부하(120)는 제2스위치(133)에 의해 발전기유닛(140)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유닛(140)에서 생성된 비상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동기제어부(173)는 비상모드에서 발전기유닛(140)에서 출력된 비상전원이 이전 상용전원, 즉 정상모드에서 계통(110)으로부터 부하(120)에 공급되었던 상용전원과 동기가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비상전원과 상용전원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동기제어부(173)는 비상전원과 상용전원 간 전압 또는 주파수 차이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비상전원의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를 조정하여 비상전원과 상용전원 간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의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계통(110)의 상용전원 및 발전기유닛(140)의 비상전원 중 하나가 부하(1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120)는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용전원 또는 이를 대체하는 비상전원을 끊김 없이 공급받을 수 있어, 부하(120)의 동작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가 최초 동작되는 초기모드에서,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는 제어유닛(170)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어 턴-온되고, 이에 계통(110)과 부하(120) 간이 연결되어 상기 부하(120)에 계통(110)의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S10).
이때, 제2스위치(133)는 제어유닛(170)에 의해 턴-오프된 상태이고, 구동엔진(150)은 동작 대기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발전기유닛(140)의 구동모터(142)는 계통(110)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구동모터(142)의 동작에 따라 이에 연결된 플라이휠(141)이 일정 속도로 회전되며, 동기발전기(143)의 회전자 역시 회전되어 교류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동기발전기(143)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은 변환기(160)로 출력되고, 변환기(160)는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7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제어유닛(170)의 모니터링부(171)는 계통(110)에서 출력되는 상용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 변화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변환기(16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이의 전압 및 주파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유닛(170)의 동작제어부(172)는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계통(110)의 정상모드가 판단되면(N),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이 이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120) 및 발전기유닛(140)에는 계통(110)의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구동엔진(150)은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계통(110)에 정전 등의 이상이 발생된 비상모드가 판단되면(Y),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가 동작제어부(172)에 의해 턴-오프되어 계통(110)과 부하(120) 간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유닛(140)에 공급되었던 상용전원 역시 차단될 수 있다.
동작제어부(172)는 체결부(155)를 통해 발전기유닛(140)과 구동엔진(150)이 서로 결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엔진(150)은 발전기유닛(140)과 결합되기 전까지 동작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치(131)가 턴-오프된 시점부터 동작제어부(172)에 의해 구동엔진(150)과 발전기유닛(140)이 결합되기 전 시점, 즉 동작제어부(172)에 의해 제2스위치(133)가 턴-온되기 전까지의 공백시간 동안 부하(120)에는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해당 부하(120)는 동작 안정성 저하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상기 공백시간에 발전기유닛(14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정의 교류전원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보조비상전원으로 부하(120)에 공급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발전기유닛(140)의 구동모터(142)는 계통(110)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시점, 즉 상용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구동모터(142)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던 플라이휠(141)은 구동모터(142)의 동작이 정지되더라도 회전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예컨대 대략 10초 동안 회전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휠(141)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 구동모터(142)가 동작되고, 상기 구동모터(142)의 동작에 의해 동기발전기(143)의 회전자가 회전되어 소정의 교류전원이 생성될 수 있다.
동기발전기(143)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은 변환기(160)로 출력될 수 있다. 변환기(160)는 수신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유닛(17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유닛(170)은 변환기(160)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120)에 보조비상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170)의 동기제어부(173)는 변환된 교류전원, 즉 보조비상전원이 이전 상용전원과 동일한 동기를 가지도록 그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부하(120)에는 이전에 공급된 상용전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비상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55)에 의해 구동엔진(150)이 발전기유닛(140)에 결합되면, 구동엔진(150)은 제어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기동할 수 있다. 이에, 발전기유닛(140)의 동기발전기(143)는 구동엔진(150)에서 인가된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 동작되어 회전자가 정격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동기발전기(143)는 교류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절체유닛(130)의 제2스위치(133)는 제어유닛(170)에 의해 턴-온되어 발전기유닛(140)과 제어유닛(17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유닛(140)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은 턴-온된 제2스위치(133)를 통해 제어유닛(170)에 비상전원으로 출력될 수 있다(S40).
이때, 제어유닛(170)의 동기제어부(173)는 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일한 동기를 가지도록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를 조절한 후, 이를 부하(120)로 출력할 수 있다(S50). 이에, 부하(120)에는 상용전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상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후 공백시간, 즉 구동엔진(150)과 발전기유닛(140)이 결합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발전기유닛(140)의 플라이휠(141)의 회전 관성에 의해 보조비상전원을 생성하여 부하(1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어, 공백시간 이후, 즉, 구동엔진(150)이 발전기유닛(140)과 결합되어 기동된 이후에는 구동엔진(150)을 통한 발전기유닛(140)의 동작으로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부하(12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등으로 인한 계통(110)의 이상 발생으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부하(120)에는 보조비상전원과 비상전원이 끊김 없이 공급되므로, 부하(120)의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전원 미공급으로 인한 부하(12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발전기유닛(140)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이 부하(120)에 비상전원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모니터링부(171)는 계통(11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71)의 모니터링 결과, 계통(110)의 이상 발생이 복원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N),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 발전기유닛(140) 및 구동엔진(150)이 이전의 동작 상태, 즉 발전기유닛(140)에서 비상전원이 생성되어 출력되는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모니터링 결과, 계통(110)의 이상 상태가 복원된 것으로 판단되면(Y),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의 제1스위치(131)가 턴-온되도록 하여 계통(110)과 부하(120) 간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동작제어부(172)는 구동엔진(150)의 기동을 정지시켜 동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체결부(155)를 통해 구동엔진(150)과 발전기유닛(140)이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172)는 절체유닛(130)의 제2스위치(133)가 턴-오프되도록 하여 발전기유닛(140)과 변환기(16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70).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120) 및 발전기유닛(140)에는 계통(110)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S10).
한편, 이상 상태가 복구된 계통(110)에서 출력되는 상용전원이 이전의 비상모드에서 부하(120)에 공급되던 비상전원과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에, 부하(120)에 순간적인 고전압 등이 인가될 수 있어 부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100)는 계통(110)의 이상 상태가 복원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발전기유닛(140)의 비상전원 출력을 유지하면서, 복원된 계통(110)의 상용전원을 기준으로 비상전원의 전압, 위상 또는 주파수가 동기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110)의 이상 상태가 복원되어 부하(120)에 비상전원을 대신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부하(120)의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정전 등에 의해 계통(110)의 이상이 발생되어 부하(120)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발전기유닛(140)을 통해 상용전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부하(1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계통(110)의 이상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용전원 또는 이를 대체하는 비상전원이 부하(120)에 끊김 없이 공급될 수 있어 부하(120)의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블록도의 각 블록과 순서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순서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순서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순서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110: 계통 120: 부하
130: 절체유닛 131: 제1스위치
133: 제2스위치 140: 발전기유닛
141: 플라이휠 142: 구동모터
143: 동기발전기 150: 구동엔진
155: 체결부 160: 변환기
170: 제어유닛 171: 모니터링부
172: 동작제어부 173: 동기제어부

Claims (12)

  1.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계통의 이상 발생 시, 구동엔진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엔진의 기동에 따라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발전기유닛;
    상기 계통과 상기 부하 사이에 배치된 제1스위치 및 상기 발전기유닛과 상기 부하 사이에 배치된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절체유닛;
    상기 계통의 이상 발생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정상모드에서 상기 상용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고, 비상모드에서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엔진, 상기 발전기유닛 및 상기 절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발전기유닛과 상기 제어유닛 사이에 연결된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스위치를 턴-오프한 후, 상기 구동엔진과 상기 발전기유닛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스위치를 턴-온하며,
    상기 변환기는,
    상기 제1스위치가 턴-오프된 후 상기 제2스위치가 턴-온되기 전까지, 상기 발전기유닛의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발전기유닛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스위치가 턴-온되기 전까지 상기 변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보조비상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부하로 출력하고, 상기 제2스위치가 턴-온되면 상기 발전기유닛에서 출력된 상기 비상전원을 상기 부하에 출력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발전기유닛에서 출력된 상기 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유닛은,
    회전축에 상기 플라이휠이 결합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비상모드에서 상기 구동엔진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엔진의 기동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비상전원을 생성하는 동기발전기를 포함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발전기와 상기 구동엔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동기발전기와 상기 구동엔진 간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보조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7. 삭제
  8.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계통의 이상 발생에 따른 비상모드에서, 제어유닛이 절체유닛의 제1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상기 계통과 상기 부하 간의 연결을 차단하고, 구동엔진과 발전기유닛이 결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스위치가 턴-오프된 후 상기 구동엔진과 상기 발전기유닛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발전기유닛이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에 따라 일정시간 교류전원을 생성하여 변환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변환기가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유닛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직류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보조비상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보조비상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구동엔진과 상기 발전기유닛이 결합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절체유닛의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
    상기 발전기유닛이 상기 구동엔진에 의해 기동되어 비상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비상전원이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의 이상 발생이 복원되면,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보조비상전원을 이전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스위치의 턴-온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과 동기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전원과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의 동기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1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복원된 계통의 상용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동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04174A 2022-08-19 2022-08-19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51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74A KR102514624B1 (ko) 2022-08-19 2022-08-19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174A KR102514624B1 (ko) 2022-08-19 2022-08-19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624B1 true KR102514624B1 (ko) 2023-03-30

Family

ID=8598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174A KR102514624B1 (ko) 2022-08-19 2022-08-19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710A (ja) * 1998-03-19 1999-10-0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
KR20030060468A (ko) * 2002-01-09 2003-07-1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플라이휠을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
KR101417492B1 (ko) 2012-12-18 2014-07-08 세방전지(주)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29281U (ja) * 2020-08-31 2020-12-03 Ygk通商株式会社 簡易型非常用電力供給装置
KR102238735B1 (ko) * 2020-11-24 2021-04-08 설상법 정전 및 복전시 비상 발전기와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710A (ja) * 1998-03-19 1999-10-0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
KR20030060468A (ko) * 2002-01-09 2003-07-1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플라이휠을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
KR101417492B1 (ko) 2012-12-18 2014-07-08 세방전지(주)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29281U (ja) * 2020-08-31 2020-12-03 Ygk通商株式会社 簡易型非常用電力供給装置
KR102238735B1 (ko) * 2020-11-24 2021-04-08 설상법 정전 및 복전시 비상 발전기와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9559B2 (en) Power system utilizing a DC bus
US5811960A (en) Battery-less uninterruptable sequel power supply
CN108288853B (zh) 飞机直流供电系统及供电方法
US11073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power conditioners in distributed resource island systems using low voltage AC
KR20020090142A (ko) 보조 전원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2008005624A (ja) 誘導電動機駆動装置
US9112375B2 (en) Flywheel and battery-based power supply system
WO2010111828A1 (zh) 一种电源供电系统及方法
JPS63178800A (ja) 可変速発電装置及び方法
KR102514624B1 (ko) 무정전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109149626B (zh) 发电机组的运行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21005991A (ja) 軸駆動発電装置
EP2911292B1 (en) A method and a generator system for operating a generator
KR100429914B1 (ko) 플라이휠을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
US6727603B1 (en) Automatic mode transitions for microturbine generating systems
EP3698448B1 (en) Controller for a power gen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310552B2 (ja) 電動機駆動システム
JP2012055033A (ja) 分散電源設備の系統連系復旧装置及び方法
CN215646645U (zh) 飞机起动发电机
US11817709B2 (en) Method for stabilizing an AC voltage grid
JP4285895B2 (ja) 補助発電装置
JP7417556B2 (ja) 電圧制御インバータ、電源装置及び制御方法
RU2754768C1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приемников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от системы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US1172867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7067729B1 (ja) フライホイールを用いた無停電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