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22B1 -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22B1
KR102514622B1 KR1020210051583A KR20210051583A KR102514622B1 KR 102514622 B1 KR102514622 B1 KR 102514622B1 KR 1020210051583 A KR1020210051583 A KR 1020210051583A KR 20210051583 A KR20210051583 A KR 20210051583A KR 102514622 B1 KR102514622 B1 KR 10251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ved
elastic
floating body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08A (ko
Inventor
강민석
Original Assignee
강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석 filed Critical 강민석
Priority to KR102021005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서의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가능한 부유체; 부유체 상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인 구간이동이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탄성부가 상방으로 지지하고,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회전부와 연결되고 중간부 및 부유체를 관통하여 수중으로 연장되는 중심축과 연결되고, 해저지형에 안착되는 탐지부;를 포함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적쓰레기 수거장치{APPARATUS COLLECTING SUBMERGED WASTE}
본 발명은 해양에서의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쓰레기란 해안쓰레기, 부유쓰레기 및 침적쓰레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해양쓰레기는 일반적으로 고형의 쓰레기만을 의미한다. 여기서 부유쓰레기의 경우 눈에 띄는 형태로 존재하므로 수거장치를 수면에 설치함으로써 부유중인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해안쓰레기도 해안에서 인력이나 장치의 도움을 받아 수거할 수 있다. 그러나 침적쓰레기는 해저에 가라앉은 상태로 존재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해저의 쓰레기를 탐지하는 것도 쉽지 않다. 또한, 이러한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어업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등 다양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근래에는 보다 적은 에너지로 지속적인 해양쓰레기의 탐지 또는 수거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중이며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257043 호 (2021. 05. 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양쓰레기의 탐색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양에서의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가능한 부유체; 부유체 상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인 구간이동이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탄성부가 상방으로 지지하고,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회전부와 연결되고 중간부 및 부유체를 관통하여 수중으로 연장되는 중심축과 연결되고, 해저지형에 안착되는 탐지부;를 포함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탐지부는 중심축과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다수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되는 형태인 연장부, 연장부의 연장단부로부터 만곡되는 만곡부 및 만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는 연장부가 교차하는 교차점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고, 만곡부는 정원(正圓) 형태의 외접원에 복수개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가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가 감지한 압축량을 외부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의 수중방향으로의 연장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체결이 가능한 후크가 형성되고, 탐지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라인의 타단이 후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연적인 에너지를 통해 해양쓰레기의 지속적인 탐색을 수행하고 탐색된 쓰레기를 엮은 상태로 유지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노출부에 연결라인으로부터 장력이 미발생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b)는 노출부에 연결라인으로부터 장력이 발생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중간부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침적쓰레기 수거장치는 수면에 부유가능한 부유체(130), 부유체(130) 상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인 구간이동이 가능한 탄성부(121)를 포함하는 중간부(120), 탄성부(121)가 상방으로 지지하고 회전가능한 회전부(110) 및 회전부(110)와 연결되고 중간부(120) 및 부유체(130)를 관통하여 수중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40)과 연결되고, 해저지형에 안착되는 탐지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축(140)은 수중방향으로의 연장단부에 선택적으로 체결이 가능한 후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05)에는 탐지부(200)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라인(107)의 타단이 후크(10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위로 위치되는 노출부(100)는 회전부(110), 중간부(120) 및 부유체(130)를 포함하고 회전부(110)는 회전되어 연결된 중심축(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110)에 의해 회전되는 중심축(140)은 연결라인(107)을 통해 연결된 탐지부(200)가 회전되도록 하고, 탐지부(200)는 해저지형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도 1에 표시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는 회전부(110)의 회전방향(R)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회전부(110)는 회전익이 표면에 형성되어 수면위로 불어오는 바람에 대하여 전측방에 대해 대응이 가능하다. 여기서 대응은 풍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는, 회전부(110)는 회전익이 표면에 형성되어 자연적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것 외에 회전부(110)에 모터가 포함되어 전기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은 해수전지 및 태양열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일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0)는 기본적으로 풍력에 의존하되, 회전수가 떨어지거나 기 결정된 시간동안 회전이 미감지되면 모터의 개입으로 회전부(11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지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탐지부(200)는 해저지형에 안착될 수 있고,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부(110)의 회전에 의해 해저지형에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여기서 수거란, 탐지부(200)에 마련된 고리형의 구조물을 통해 침적물과 엮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탐지부(200)가 침적물와 엮이게 되면 회전되며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결라인(107)에 보다 큰 긴장이 발생하고 이는 전술한 탄성부(121)를 압축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탐지부(200)는 중심축(140)과 연결라인(107)을 통해 연결되고, 연결라인(107)이 연결되는 연결부(201), 연결부(201)와 일단이 연결되고 다수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되는 형태인 연장부(207), 연장부(207)의 연장단부로부터 만곡되는 만곡부(205) 및 만곡부(205)의 단부에 형성된 첨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207)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태일 수 있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된 3개의 바가 결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연장부(207)의 단부중 하나에는 고리 또는 링형 연결부(201)가 형성되고, 연결라인(107)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207)의 각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만곡부(205)가 마련되고, 만곡부(205)의 연장단부에는 첨부(203)가 형성된다. 첨부(203)는 탐지부(200)의 회전시에 그물 등의 침적물이 엮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만곡부(205)는 연장부(207)가 교차하는 교차점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고, 만곡부(205)는 정원(正圓) 형태의 외접원(200a)에 복수개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접원(200a)은 가상의 외접원(200a)을 의미하는 것이며, 외접원(200a)의 내측에 만곡부(205)가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만곡부(205)의 단부에 형성된 첨부(203)는 연장부(207)가 교차되는 지점 즉, 상기 외접원(200a)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탐지부(200)가 해저지형에서 회전될 때 지형과의 걸림현상이 없이 회전되며 이동할 수 있되, 침적된 침적물과 첨부(203)가 간섭을 이루며 탐지부(200)에 침적물이 엮이게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부(1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노출부(100)에 연결라인(107)으로부터 장력이 미발생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b)는 노출부(100)에 연결라인(107)으로부터 장력이 발생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라인(107)으로부터 발생한 장력은 중심축(140)에 전달되고, 중심축(140)은 하방으로 상기 장력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심축(140)은 회전부(1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되는 중에도 회전부(110)는 외력(바람)이나 자력(모터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방으로 회전부(110)가 이동됨으로써 탄성부(121)는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된 탄성부(121)의 압축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중간부(120)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중간부(120) 내에는 탄성부(121)가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122) 및 감지부(122)가 감지한 압축량을 외부 단말기(10)로 전달하는 통신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정도는 압축에 의한 변위일 수도 있고, 압축이 되는 탄성부(121)의 긴장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압축정도를 감지부(122)는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2)는 탄성부(121)로부터 압축정도를 감지하여 통신부(123)를 통해 외부에 위치한 단말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121)에 작용하는 압축정도가 기 결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123)는 감지부(122)로부터 전달받은 압축정도를 단말기(10)로 전달함으로써 침적물이 탐지부(200)에 의해 탐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단말기
100 : 노출부
105 : 후크
107 : 연결라인
110 : 회전부
120 : 중간부
121 : 탄성부
122 : 감지부
123 : 통신부
130 : 부유체
140 : 중심축
200 : 탐지부
200a : 외접원
201 : 연결부
203 : 첨부
205 : 만곡부
207 : 연장부
R : 회전방향

Claims (6)

  1. 수면에 부유가능한 부유체;
    상기 부유체 상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인 구간이동이 가능한 탄성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상기 탄성부가 상방으로 지지하고,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부유체를 관통하여 수중으로 연장되는 중심축과 연결되고, 해저지형에 안착되는 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부는 상기 중심축과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다수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차되는 형태인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연장단부로부터 만곡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첨부를 포함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연장부가 교차하는 교차점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만곡부는 정원(正圓) 형태의 외접원에 복수개가 접하도록 형성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압축량을 외부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수중방향으로의 연장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체결이 가능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탐지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라인의 타단이 후크와 연결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측방에 회전익을 포함하고, 외력 및 자력 중 하나 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은 모터에 의해 구현되는,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KR1020210051583A 2021-04-21 2021-04-21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KR10251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83A KR102514622B1 (ko) 2021-04-21 2021-04-21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83A KR102514622B1 (ko) 2021-04-21 2021-04-21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08A KR20220145008A (ko) 2022-10-28
KR102514622B1 true KR102514622B1 (ko) 2023-03-27

Family

ID=8383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83A KR102514622B1 (ko) 2021-04-21 2021-04-21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90B1 (ko) 2003-12-26 2004-05-28 한국해양연구원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659Y2 (ja) * 1993-06-11 1996-12-18 祥永 桜井 横置き係留用アンカー
KR100525184B1 (ko) * 2003-12-12 2005-11-02 권철휘 해저폐기물 수거기
KR101852720B1 (ko) * 2017-05-19 2018-04-27 최정기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
KR101977110B1 (ko) * 2017-06-29 2019-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유식 교량 구조
KR102257043B1 (ko) 2020-01-21 2021-05-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90B1 (ko) 2003-12-26 2004-05-28 한국해양연구원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08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8866A (zh) 一种基于远程监测的海洋生态环境监测浮标
CN109322295B (zh) 一种有利于环境保护的水上垃圾处理装置
KR102514622B1 (ko)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CN104260831A (zh) 一种用于漂浮式波浪发电平台的系泊系统
CN104564504B (zh) 波浪发电装置及用于发电之系泊系统
KR102109038B1 (ko) 해저 폐기물 인양장치
CN205839716U (zh) 一种水面漂浮物自动拦截收集系统
KR20170049875A (ko) 패류 자동채취기
CN208183688U (zh) 一种河道漂流物收集清理装置
CN207895087U (zh) 新型海洋机
CN102953366A (zh) 浅海区域沉浮式水工建筑物地基监测装置
KR102451988B1 (ko) 전방향 해양 부유쓰레기 차집 시스템
KR20040041924A (ko)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102606919B1 (ko) 해양폐기물 자율운항 수거시스템
KR101273660B1 (ko) 자동지향성 해양관측장비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KR20230047765A (ko) 해저쓰레기 수거장치
KR101629849B1 (ko) 해저 계류기기 회수장치
CN210310796U (zh) 一种海洋环境监测装置
CN219871301U (zh) 一种工程破坏动态监测装置
CN203007919U (zh) 浅海区域沉浮式水工建筑物地基监测装置
CN217156223U (zh) 海上风电桩基的钢结构腐蚀规律测试装置
CN218766987U (zh) 一种可预警海洋灾害的监测装置
CN212427033U (zh) 一种海洋工程用打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