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193B1 -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193B1
KR102514193B1 KR1020210029420A KR20210029420A KR102514193B1 KR 102514193 B1 KR102514193 B1 KR 102514193B1 KR 1020210029420 A KR1020210029420 A KR 1020210029420A KR 20210029420 A KR20210029420 A KR 20210029420A KR 102514193 B1 KR102514193 B1 KR 10251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ntrol unit
central
local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502A (ko
Inventor
조호원
홍성호
김대현
지철희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1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LIGHTING OF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객차로 하나로 연결된 열차에는 수많은 조명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명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로 그룹화시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각 객차 별 제어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기관사가 위치한 기관실에 전체 객차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제어패널을 설치하고, 각각의 객차 별로 해당 객차만을 제어할 수 있는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만약,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할 경우 기관사는 기관실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되고, 특정 객차 내 조명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승무원이 돌아다니면서 해당 특정 객차 내 슬레이브 제어패널을 조작하게 된다.
이 경우, 마스터 제어패널은 기관실에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객차 내 조명들의 일괄 제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기관사나 승무원이 기관실을 방문하여 직접 마스터 제어패널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6348호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가 진행되는 도중 특정 객차에 설치된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해당 특정 객차에 대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상기 로컬 전원 제어부(111),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다른 객차(10)에 설치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2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는 상기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로컬 점등 제어부(115)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상기 중앙 전원 제어부(121),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객차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 중 어떠한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 조작을 통해 해당 객차 내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조명 별 조도값을 저장 후 재점등시 기 저장된 조도값을 토대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재점등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에 예기치 못한 고장 혹은 파손이 발생할 시 전체 객차의 일괄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뿐만 아니라 다수의 객차에 중앙 조명 제어부가 마련됨에 따라, 선두 객차의 중앙 조명 제어부가 고장날 경우 다른 중앙 조명 제어부를 통해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경우 전체 객차를 일괄제어할 수 있는 중앙 조명 제어부가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만 마련되기 때문에, 만약 기관사나 승무원이 후미 객차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앙 조명 제어부의 조작이 필요할 시 반드시 선두 객차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사나 승무원이 근처에 가까운 중앙 조명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전체 객차를 일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경우 기관실이 위치한 선두 객차에 설치된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의 조도값을 일괄적으로 조절하되, 조도센서의 위치가 기관실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든 객차의 조도값이 기관실의 실시간 조도값으로 귀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 별로 각각 조도센서가 마련되며 이때 조도센서의 센싱값을 토대로 각 객차 별로 조도 조절이 독립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각 객차 별 위치 및 그에 따른 외부 광량, 조도 등에 따라 조도값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계된 제어 패널(11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와 연계된 제어 패널(12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객차라 함은 기관실 객차 및 일반 승객용 객차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여부 알림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좌석 배치도 상에 마련되는 운전자용 LED(132)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크게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들이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이때,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토대로 객차(10) 내 조명(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전원이 단락될 경우 객차(10) 내 조명(20)의 점등 상태는 점멸 상태가 될 수 있다.
로컬 조명 제어부(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계된 제어 패널(11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컬 전원 제어부(111)는 도 3의 제어 패널(110-1)에 마련된 로컬 전원 스위치(110-1a)와 연결됨에 따라, 기관사 혹은 승무원이 로컬 전원 스위치(110-1a)를 조작하는 경우 동작 모드가 변경되면서 로컬 전원 제어부(111)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여기에서 동작 모드라 함은,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한 전원 공급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로컬 전원 스위치(110-1a)는 푸쉬버튼 혹은 토글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로컬 전원 스위치(110-1a)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는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어권한을 획득한다는 의미는,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서 전체 객차(10)의 조명(20)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특정 객차(10)에 대해서만 독립적으로 조명(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권한을 분리시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 의해 20개의 객차(10) 전체에 대한 조명(20)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상황에서, 7번째 객차(10)의 조명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 승무원은 해당 7번째 객차(10)의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를 통해 해당 7번?? 객차(20) 내 조명(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는 도 3의 로컬 제어권한 스위치(110-1b)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로컬 제어권한 스위치(110-1b)를 조작하는 경우 제어권한이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변경되면서 해당 객차(10) 내 조명(20)은 이제 해당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권한 아래에서 독립적으로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
한편,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에서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서 특정 스위치가 특정 설정대로 조작되는 경우, 제어권한은 다시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는 객차(10) 내 개별적으로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해당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도센서(3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측정하게 되며,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에서는 이를 토대로 해당 객차(10) 내 조도가 항시 기 설정된 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는 도 3의 로컬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10-1c)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조도가 항시 일정한 조도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와는 반대로, 승무원이 도 3의 로컬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10-1d)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조명(20)의 조도는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 조절단계는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컬 전원 제어부(111)에서 전원 공급을 중단할 경우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완전히 소등되지만,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서는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키되 조명(20)의 점등 상태만을 소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와 유사한 것으로서, 승무원이 도 3에 도시된 로컬 점등 스위치(110-1e)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객차(10) 내 조명은 절전 모드와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승무원이 로컬 점등 스위치(110-1e)를 다시 점등 모드로 변경할 경우, 조도값 저장부 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에 따라 해당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값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여기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은 승무원이 로컬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10-1d)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상태값이 되며, 이러한 조도값이 조도값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와 연계된 제어 패널(12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함께,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다수 개로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이때,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 중간에 각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통해서 모든 객차(10) 별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조명(20)의 일괄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다른 객차(10)에 설치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2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전원 제어부(121)는 도 5의 제어 패널(120-1)에 마련된 중앙 전원 스위치(120-1a)와 연결됨에 따라, 기관사 혹은 승무원이 중앙 전원 스위치(110-1a)를 조작하는 경우 동작 모드가 전원 공급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변경되면서 중앙 전원 제어부(121)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이러한 중앙 전원 스위치(110-1a)는 푸쉬버튼 혹은 토글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고, 중앙 전원 스위치(110-1a)의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전원 차단 모드로 변경될 경우, 해당 중앙 전원 조명 제어부(120)의 전원은 오프되면서 해당 객차(10)에 대한 제어권한은 해당 객차(10)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 돌아가게 된다.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는 전체 객차(10) 내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한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도 5의 제어 패널(120-1)에 마련된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특정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를 조작하는 경우 제어권한이 해당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로 변경되면서 전체 객차(10) 내 조명(20)은 이제 해당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 아래에서 일괄적으로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는 독립적으로 제어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두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제어권한을 가진 상태에서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의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가 조작될 경우, 선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의 제어권한은 해제되고, 후미 객차에 설치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로 넘어가게 된다. 즉, 모든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오직 하나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만이 제어권한을 독점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만약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에서 획득한 제어권한을 회수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와 연결된 중앙 제어권한 스위치(120-1b)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혹은 5초) 동안 조작하는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제어권한 회수 신호가 해당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전달됨으로써 해당 특정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해당 특정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을 회수하게 된다.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설치된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도센서(30)는 각 객차(10) 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측정하게 되며,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에서는 이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 조도가 항시 기 설정된 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는 도 5의 중앙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20-1c)와 연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중앙 조도 자동제어 스위치(120-1c)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조도가 항시 일정한 조도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와는 반대로, 승무원이 도 5의 중앙 조도 수동제어 스위치(120-1d)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0 내에 설치된 조명(20)의 조도는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 조절단계는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점등 제어부(125)는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서는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유지시키되 조명(20)의 점등 상태만을 소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와 유사한 것으로서, 승무원이 도 5에 도시된 중앙 점등 스위치(120-1e)를 조작하는 경우, 전체 객차(10) 내 조명은 절전 모드와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된 조도값 저장부에는 전체 객차(10) 별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이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승무원이 중앙 점등 스위치(120-1e)를 다시 점등 모드로 변경할 경우, 조도값 저장부 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조도값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 설치된 조명(20)의 조도값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들은 각각 CAN 통신 방식 또는 RS-485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면서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연결된 다수 개의 조명(20) 별 조명 상태(온오프 동작 유무 및 조도값 포함), 조명 사용 시간, 조명의 통신 상태, 해당 조명 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 및 로컬 조명 제어부(110) 자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D값을 모두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터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혹은 외부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의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객차(10) 내 다수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객차(10) 내 다수 개의 조명(20)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먼저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된다(S601). 이 과정에서 제어권한은 우선적으로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가지기 때문에, 현재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에 따라 전체 객차(10)의 조명(20)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에서, 특정 객차(10)에 설치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 패널(12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을 통해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된다(S602).
현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어권한은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가지기 때문에, 객차(10)를 돌아다니는 승무원이 가장 가까운 어떠한 제어 패널(120-1)을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1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특정 객차(10)에 설치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 후,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S603).
이 단계에서는, 제어권한이 중앙 조명 제어부9120)에서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객차(10)를 돌아다니는 승무원이 판단하였을 때 특정 객차(10)의 조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승무원이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제어 패널(110-1)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특정 객차(10) 내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각 객차(10) 별로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마련되고 또한 다수 개의 객차(10)에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가 마련됨에 따라, 다수 개의 객차 중 어느 객차의 중앙 조명제어부(120)를 조작하더라도 전체 객차(10) 내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객차(10)에 마련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 조작을 통해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해당 객차(10) 내 조명(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객차
20: 조명
100: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110: 로컬 조명 제어부
110-1: 제어 패널
111: 로컬 전원 제어부
112: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
113: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
114: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
115: 로컬 점등 제어부
120: 중앙 조명 제어부
120-1: 제어 패널
121: 중앙 전원 제어부
122: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
123: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
124: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
125: 중앙 점등 제어부

Claims (8)

  1.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되는 로컬 조명 제어부(110); 및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중앙 조명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다른 객차(10)에 설치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2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전체 객차(10)에 대한 조명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특정 중앙 조명 제어부의 제어가 진행되는 도중 특정 객차에 설치된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에 대한 제어권한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로컬 조명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해당 특정 객차에 대한 조명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상기 로컬 전원 제어부(111),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점등 제어부(11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1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는 조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값 저장부는 상기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를 통해 변경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마지막 조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로컬 점등 제어부(115)의 동작 모드가 점등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로컬 점등 제어부(115)는 상기 조도값 저장부로부터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을 불러온 후 해당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이 기 저장된 마지막 조도값에 맞추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상기 중앙 전원 제어부(121),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점등 제어부(125)에 각각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 제어 패널(12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8. 일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객차(10) 별로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과 연결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각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는 단계;
    다수 개의 객차(10) 중에서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와, 상기 선두 객차 및 후미 객차를 제외한 객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객차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각 객차에 설치된 로컬 조명 제어부(110)와 연결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 패널(12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권한을 통해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단계; 및
    특정 객차(10)에 설치된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의 제어 패널(110-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 후, 해당 특정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조명 제어부(11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로컬 전원 제어부(111), 중앙 조명 제어부(12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제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photo sensor)(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획득되는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자동제어부(11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조도 수동제어부(114) 및 로컬 전원 제어부(11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로컬 점등 제어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조명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되는 중앙 전원 제어부(121), 다른 객차(10)에 설치된 중앙 조명 제어부(120) 또는 각각의 로컬 조명 제어부(110)로부터 제어권한을 획득하여,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 객차(10) 내 설치된 조도센서(30)와 연결되며, 상기 조도센서(30)를 통해 객차(10) 내 실시간 조도값을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값으로 일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자동제어부(123),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가 기 설정된 최대 조도값 및 최저 조도값 내에서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조도 수동제어부(124) 및 중앙 전원 제어부(121)를 통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점등 및 소등 상태가 일괄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중앙 점등 제어부(125)를 포함하고,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가 제어권한을 획득한 상태에서, 각 중앙 조명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중앙 조명 제어부(120)의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에서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제어권한을 획득한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로 인가하는 경우, 해당 로컬 제어권한 획득부(112)의 제어권한은 소멸되고 상기 제어권한 회수 신호를 인가한 중앙 제어권한 획득부(122)가 전체 객차(10)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20)의 조도 및 점등 상태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권한을 새로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조명 제어 방법.
KR1020210029420A 2021-03-05 2021-03-05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1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ko) 2021-03-05 2021-03-05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ko) 2021-03-05 2021-03-05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2A KR20220125502A (ko) 2022-09-14
KR102514193B1 true KR102514193B1 (ko) 2023-03-27

Family

ID=8327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420A KR102514193B1 (ko) 2021-03-05 2021-03-05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ko)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 차량용 그룹 조명 제어 장치
KR101650502B1 (ko) *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전차의 객실 조도 및 색온도 제어 시스템
KR102174439B1 (ko) * 2020-04-23 2020-11-04 김태형 비상 탈출 유도 및 환경 조명을 위한 지능형 객실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18B1 (ko) * 2014-07-11 2016-02-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조도센서 및 이더넷을 통한 철도차량 객실등 제어시스템
KR101741780B1 (ko) * 2015-03-30 2017-06-15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철도차량 객실등의 스마트 조도 제어시스템
KR101816348B1 (ko)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차량 객실의 led 조명등 설치시 배선을 최소화하는 전기회로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조명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73B1 (ko) 2013-03-04 2013-09-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 차량용 그룹 조명 제어 장치
KR101650502B1 (ko) * 2015-09-25 2016-08-23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전차의 객실 조도 및 색온도 제어 시스템
KR102174439B1 (ko) * 2020-04-23 2020-11-04 김태형 비상 탈출 유도 및 환경 조명을 위한 지능형 객실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2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022B2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obile headlights
US9194091B2 (en) Wireless snow plow control
US10160380B1 (en) Enhanced informational vehicle puddle lamp assemblies
US858899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s
US20120229033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10538194B2 (en) Snowplow light control system
CA2606266A1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KR102514193B1 (ko) 철도차량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381854B2 (en) Vehicle for supporting lighting control function
KR101590718B1 (ko) 조도센서 및 이더넷을 통한 철도차량 객실등 제어시스템
KR102515184B1 (ko)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JP5787117B2 (ja) 客室用照明装置
KR101650502B1 (ko) 전차의 객실 조도 및 색온도 제어 시스템
JP3196682U (ja) デイライト変換アダプタ
US10272821B2 (en) Control of at least one lighting means of a vehicle headlight depending on an electrical quantity providable on a vehicle headlight connection of a vehicle
KR102274870B1 (ko) 리모컨을 이용한 무인 대차의 수동 제어 시스템
US11130505B2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JP6045657B2 (ja) 客室用照明装置
KR101105133B1 (ko) 자동차용 후방보조램프장치
US20230339318A1 (en) Control module for electronic accelerator
US20220024371A1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JP5648607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WO2023058615A1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設定装置および設定方法
KR101914358B1 (ko)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0507094B1 (ko) 차량의 지능형 네트워크에서 후면램프 제어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