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358B1 -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358B1
KR101914358B1 KR1020170008480A KR20170008480A KR101914358B1 KR 101914358 B1 KR101914358 B1 KR 101914358B1 KR 1020170008480 A KR1020170008480 A KR 1020170008480A KR 20170008480 A KR20170008480 A KR 20170008480A KR 101914358 B1 KR101914358 B1 KR 10191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trol
interior light
interior
vehicl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395A (ko
Inventor
이상호
박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3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4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 B60Q3/4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for mass transit vehicles, e.g. buses
    • B60Q3/47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에서 선두 차량과 후부 차량의 중련을 해지하는 경우에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시키기 위해 각 차량에 설치되는 실내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 상기 전원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실내등을 온오프시키는 실내등 제어 릴레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실내등 제어 스위치, 상기 선두 차량과 상기 후부 차량의 중련 해지시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 및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 및 선두차량에 마스터키가 접속되면 상기 선두 차량에서 여자되며, 중련 해제에 의해 상기 마스터키의 접속이 해제되면 나머지 차량에서 여자되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와 상기 축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등 활성화 릴레이를 포함하는 실내등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CIRCUIT FOR CONTROLLING ROOM LAMP AND RAILROAD TRAI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후부 편성의 실내등 및 도어를 제어하는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도차량에서는 편성에 따라 선두 편성에만 마스터키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철도차량의 선두 편성과 후부 편성 사이에 중련을 해지할 경우, 인통 라인이 끊어지므로 마스터키가 없는 후부 편성에서는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할 수 없다.
이러한 철도차량에서 객실 차량에 승객이 승차할 경우, 중련 해지에 의해 후부 편성의 실내등이 소등되므로 승객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1534호(2009.04.29)
본 발명은 객실 차량에 승객이 승차한 상태에서 차량 편성 간 중련이 해지되더라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할 수 있는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에서 선두 차량과 후부 차량의 중련을 해지하는 경우에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시키기 위해 각 차량에 설치되는 실내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 상기 전원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실내등을 온오프시키는 실내등 제어 릴레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실내등 제어 스위치, 상기 선두 차량과 상기 후부 차량의 중련 해지시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 및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 및 선두차량에 마스터키가 접속되면 상기 선두 차량에서 여자되며, 중련 해제에 의해 상기 마스터키의 접속이 해제되면 전체 차량에서 여자되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와 상기 축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등 활성화 릴레이를 포함하는 실내등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은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제1 전원 라인 및 실내등의 소등을 위한 제2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는 상기 제1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온 코일, 및 상기 제2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오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온, 뉴트럴, 오프의 3가지 위치값을 갖는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스프링 타입의 회전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등 활성화 릴레이는 선두 차량에 마스터키가 접속되면 선두 차량에서 여자되며, 중련 해제에 의해 마스터키의 접속이 해제되면 전체 차량에서 여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실내등 제어 컨택터 및 비상등 제어 컨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실내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객실 차량에 승객이 승차한 상태에서 차량 편성 간 중련이 해지되더라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통 라인이 끊어짐에 따라 객실 차량의 소등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만과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 하차 후 중련을 해지할 필요가 없어서 철도차량의 운행지연으로 인한 수입 손실과 승객 배상으로 인한 손실 등의 경제적 손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등 제어회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은 중련으로 편성되어 선두 차량(10)과 후부 차량(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두 차량(10)과 후부 차량(20) 각각에는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실내등 제어회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실내등 제어회로(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등 제어회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등 제어회로(100)는 전원 라인(110),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 축전기(150), 점등 활성화 릴레이(160), 실내등 제어 컨택터(162), 비상등 제어 컨택터(164) 및 연결 릴레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라인(110)은 서로 이웃한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라인(110)은 실내등을 점등하는 제1 전원 라인(112), 및 실내등을 소등하는 제2 전원 라인(11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는 전원 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실내등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는 전원 라인(110)의 제1 전원 라인(112)에 연결되는 온(On) 코일(122) 및 전원 라인(110)의 제2 전원 라인(114)에 연결되는 오프(Off) 코일(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온(On) 코일(122)은 제1 전원 라인(112)으로부터 실내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될 수 있다.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는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는 온(On), 뉴트럴(Netural), 오프(Off)의 3가지 위치값을 갖는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는 일반적으로 뉴트럴(Netural)에 위치하며, 스프링 타입으로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 바로 뉴트럴(Neutral)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이는, 전원 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의 온(On) 코일(122)에 인가하여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가 뉴트럴 위치로 돌아오더라도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가 여자되면서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인통 라인(140)을 통해서 후부 차량(20)에도 실내등이 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는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에 이웃한 차량의 역전류 또는 역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통 라인(140)은 비상 상황시 선두 차량(10)과 후부 차량(20) 사이의 전기 및 통신 연결을 위해 각 차량들을 연결할 수 있다.
축전기(150)는 선두 차량과 후부 차량의 중련 해지시 실내등 제어 릴레이(120) 및 실내등 제어 스위치(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축전기(150)는 약 110V의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점등 활성화 릴레이(160)는 선두 차량(10)에 마스터키가 접속되면 선두 차량(10)에서 여자되며, 중련 해제에 의해 마스터키의 접속이 해제되면 전체 차량에서 여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편성 사이에 중련을 해제한 이후에는, 점등 활성화 릴레이(160)가 선두 차량(10)뿐만 아니라 모든 차량에서 여자가 되고, 마스터키가 없는 후부 차량(20)에서도 실내등이 점등을 유지할 수 있다.
실내등 제어 컨택터(162) 및 비상등 제어 컨택터(164)는 제1 전원 라인(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원 라인(112)으로부터 실내등 및 비상등을 점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 릴레이(170)는 축전기(150) 및 점등 활성화 릴레이(16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릴레이(170)는 점등 활성화 릴레이(160)에 축전기(15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연결 접점(172) 및 점프선(17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 제어회로는 연결 릴레이(170)의 점프선(174)과 래치 회로를 이용하여 실내등의 턴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 제어회로는 객실 차량에 승객이 승차한 상태에서 차량 편성 간 중련이 해지되더라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 제어회로는 인통 라인이 끊어짐에 따라 객실 차량의 소등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만과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 제어회로는 승객 하차 후 중련을 해지할 필요가 없어서 철도차량의 운행지연으로 인한 수입 손실과 승객 배상으로 인한 손실 등의 경제적 손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선두 차량
20: 후부 차량
100: 실내등 제어회로
110: 전원 라인
120: 실내등 제어 릴레이
130: 실내등 제어 스위치
150: 축전기
160: 점등 활성화 릴레이
170: 연결 릴레이

Claims (9)

  1. 중련 편성된 철도차량에서 선두 차량과 후부 차량의 중련을 해지하는 경우에도 실내등의 점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각 차량에 설치되는 실내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제어회로는,
    서로 이웃한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
    상기 전원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실내등을 온오프시키는 실내등 제어 릴레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실내등 제어 스위치;
    상기 선두 차량과 상기 후부 차량의 중련 해지시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 및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 및
    선두차량에 마스터키가 접속되면 상기 선두 차량에서 여자되며, 중련 해제에 의해 상기 마스터키의 접속이 해제되면 전체 차량에서 여자되어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와 상기 축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등 활성화 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후부 차량에 설치된 상기 실내등 제어 회로는, 상기 마스터키의 접속 해제에 의해 상기 선두 차량과의 중련 해제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가 상기 축전기와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 사이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후부 차량의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철도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은 실내등의 점등을 위한 제1 전원 라인 및 실내등의 소등을 위한 제2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철도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는 상기 제1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온 코일, 및 상기 제2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오프 코일을 포함하는, 철도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상기 실내등 제어 릴레이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실내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철도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온, 뉴트럴, 오프의 3가지 위치값을 갖는 스위치인 것인, 철도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제어 스위치는 스프링 타입의 회전 스위치인 것인, 철도차량.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실내등 제어 컨택터 및 비상등 제어 컨택터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
  9. 삭제
KR1020170008480A 2017-01-18 2017-01-18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91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80A KR101914358B1 (ko) 2017-01-18 2017-01-18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80A KR101914358B1 (ko) 2017-01-18 2017-01-18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95A KR20180085395A (ko) 2018-07-27
KR101914358B1 true KR101914358B1 (ko) 2018-11-02

Family

ID=6307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80A KR101914358B1 (ko) 2017-01-18 2017-01-18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3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33B1 (ko) * 2011-11-14 2012-05-14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전동차의 객실 조도조절시스템과 조도조절방법 및 조도조절시스템
JP7049254B2 (ja) * 2016-01-15 2022-04-06 ドンペ ファーマスーチシ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化学療法で誘導される末梢神経障害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il-8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78B1 (ko) 2007-10-24 2009-05-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공기압축모터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33B1 (ko) * 2011-11-14 2012-05-14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전동차의 객실 조도조절시스템과 조도조절방법 및 조도조절시스템
JP7049254B2 (ja) * 2016-01-15 2022-04-06 ドンペ ファーマスーチシ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化学療法で誘導される末梢神経障害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il-8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95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541B1 (ko)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914358B1 (ko) 실내등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KR100959812B1 (ko) 철도차량의 전조등 및 후미등 제어장치
US2540410A (en) Automobile lighting signal system
KR20150058826A (ko)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US11130505B2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KR101135046B1 (ko)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200368728Y1 (ko) 열차 진행방향에 따른 전조등/후미등 제어장치
JP2015166213A (ja) ライト制御システム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KR101445935B1 (ko) 열차의 신호제어장치 및 신호제어 시스템
KR101540624B1 (ko) 중련편성 고속차량의 판토그래프 제어회로
CN217753750U (zh) 一种机车重联时解除从车紧急制动的装置
CN101104393B (zh) 机动车转向及危险报警灯组合开关
KR20110031786A (ko) 철도차량의 후미차량 전조등 제어회로
KR20170013446A (ko) 이중전원공급라인을 갖는 고속차량 주간제어기 시스템
KR20090027804A (ko) 철도차량의 전조등 및 후미등 제어시스템
KR101262283B1 (ko) 철도차량의 후미등 점등 제어회로
RU2183168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адними противотуманными фонарям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0235109A (ja) 負荷駆動装置及び負荷駆動システム
KR20190114567A (ko) 타이머 릴레이를 이용한 객실 조명 자동소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834273B1 (ko) 철도 차량용 출입문 개폐 안내 장치
KR20190018578A (ko) 테일카 활성화 제어 시스템
CN115610312A (zh) 雾灯控制电路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