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816B1 - 전동기 - Google Patents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816B1
KR102513816B1 KR1020207025465A KR20207025465A KR102513816B1 KR 102513816 B1 KR102513816 B1 KR 102513816B1 KR 1020207025465 A KR1020207025465 A KR 1020207025465A KR 20207025465 A KR20207025465 A KR 20207025465A KR 102513816 B1 KR102513816 B1 KR 10251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rame
assembly
wal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636A (ko
Inventor
니겔 유앳 다이몬드
린 지
케빈 가르시아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5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전동기는 프레임(10), 회전자 어셈블리(20) 및 고정자 어셈블리(40)를 갖는다. 회전자 어셈블리(20)는 자석(22), 베어링 어셈블리(23), 임펠러(24) 및 샤프트(21)를 갖는다. 베어링 어셈블리(23)는 제 1 베어링(25a), 제 2 베어링(25b) 및 제 1 베어링(25a)과 제 2 베어링(25b) 사이에 편향 요소(26)를 갖는다. 제 1 베어링(25a)은 O-링(100)에 의해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제 2 베어링(25b)은 접착제(104)에 의해 프레임(10)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전동기
본 발명은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리스 전동기와 같은 전기 기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선하려는 일반적인 요구가 있다. 특히 크기, 무게, 제조 비용, 효율, 신뢰성 및 소음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브러시리스 전동기와 같은 전기 기계가 예를 들어 100 krpm 이상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사용되는 것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에서 작동 할 때, 모터는 바람직하지 않은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작동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한 음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개량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프레임; 자석, 베어링 어셈블리, 임펠러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고정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기로서,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 제 2 베어링, 그리고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의 편향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베어링은 O-링에 의해 프레임에 소프트-장착(soft-mount) 되고, 제 2 베어링은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되는 전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전동기는 주로 제 1 베어링이 O-링에 의해 프레임에 소프트-장착되고, 제 2 베어링이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향상된 음향 특성을 가진 전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O-링은 제 1 베어링을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동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이 사용중인 제 1 베어링과 프레임 사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장착 방식이 전동기의 배음(harmonic tones)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제 1 베어링의 배음의 레벨을 감소시켜서, 전동기가 낮은 소음 레벨 및/또는 바람직한 톤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에 위치한 편향 요소는 베어링에 예압(preload)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베어링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중 베어링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편향 요소는 스프링,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포함 할 수 있다.
O-링은 O-링이 제 1 베어링 주위로 환형으로 연장하도록 일반적으로 환상체(toroidal) 형태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의미한다. O-링이라는 용어는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다각형 등을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O-링은 제 1 베어링 및/또는 프레임에 오버몰딩 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제 1 베어링과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어링은 제 2 베어링보다 임펠러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임펠러에 의해 반경 방향 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바, O-링을 사용ㅇ하여 임펠러에 가장 가까운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사용 중에 회전하는 임펠러로 인해 발생하는 반경 방향 힘을 O-링이 흡수할 수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O-링을 사용하여 임펠러에 가장 가까운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써, O-링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 예를 들어 소음을 흡수하고, 그리하여 사용 시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O-링을 사용하여 임펠러에 가장 가까운 베어링을 소프트-장착하면 전동기의 배음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제 1 베어링의 배음)의 레벨이 감소함으로써, 낮은 소음 레벨 및/또는 보다 바람직한 톤으로 전동기가 작동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 1 베어링 및/또는 프레임은 O-링이 안착되는 환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O-링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고 O-링에 의해 제공되는 소프트-장착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O-링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환형 홈을 사용하면 더 큰 O-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O-링을 수용하기 위해 보어의 직경 및 그에 따른 전동기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소음을 더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베어링과 프레임의 상대적인 크기로 인해 베어링이 아닌 프레임에 환형 홈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이 베어링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베어링보다 프레임에 더 큰 환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더 큰 O-링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제 1 베어링과 접촉하는 O-링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음향 특성의 더 큰 개선, 예를 들어 모터의 배음의 레벨의 더 큰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O-링 및/또는 환형 홈은 제 1 베어링의 중심점으로부터 오프셋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임펠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오프셋 될 수 있다. 이것은 모터의 배음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에서 개선된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O-링은 제 1 베어링과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화하는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모터의 배음 레벨의 더 큰 감소와 같은 음향 특성의 더 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O-링은 O-링이 실질적으로 제 1 베어링의 외륜 전체를 따라 계면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된 단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포함 할 수 있다. O-링의 외부 표면은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조 중에 O-링을 보어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은 회전자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보어를 형성한다. 제 1 베어링은 예를 들어 보어 내에서, O-링에 의해 내벽에 소프트-장착 될 수 있고, 제 2 베어링은 접착제에 의해 내벽, 예를 들어 보어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내벽은 베어링 어셈블리를 덮는 슬리브와 같은 실질적으로 연속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중인 전동기를 통과할 수 있는 파편 등으로부터 베어링 어셈블리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는 임펠러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베어링 어셈블리가 임펠러의 공기흐름 경로 내에 상류에 위치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임펠러로의 공기흐름의 진입 시 보다 개선된 공기흐름 특성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효율적인 전동기를 생성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향상된 음향 특성을 갖는 전동기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석은 베어링 어셈블리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벽의 보어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내벽의 보어 외부에 자석을 위치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고정자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해 내벽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자석을 고정자 어셈블리에 더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내벽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사용시 전동기를 통해 유동하는 파편이 베어링 어셈블리로 전달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임펠러는 제 1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제 1 베어링의 내륜과 직접 접촉 할 수 있다. 이는 사용 시 진동 에너지를 임펠러에서 O-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임펠러는 임펠러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샤프트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자 어셈블리는 고정자 장착 부재에 의해 프레임, 예를 들어 그 내벽에 소프트-장착 될 수 있다. 고정자 장착 부재는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장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전동기에 향상된 음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소프트-장착은 고정자 어셈블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동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중인 고정자 어셈블리와 프레임 사이에서 진동 및 그로 인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자 어셈블리는 내벽의 단부, 예를 들어 내벽의 축 방향 하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자 장착 부재는 내벽의 단부, 예를 들어 내벽의 축 방향 하류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상 및 치수를 가져서, 예를 들어 내벽의 단부와 고정자 어셈블리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접촉이 없도록 한다. 고정자 장착 부재는 실질적으로 환상체 형태일 수 있다. 고정자 장착 부재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제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기의 프레임을 통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동기의 회전자 어셈블리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3의 조립된 프레임과 회전자 어셈블리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전동기의 고정자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전동기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동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고정자 장착 부재의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8은 도 1의 전동기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베어링 톤 H3.17의 감소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명확성을 위해, "축"이라는 용어는 도 1에서 A-A 축으로 표시된 모터의 회전 축을 따라 이어지는 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방향에 관한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 중 모터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도 1의 양방향 화살표로 이를 더 명확히 하였다.
도 1은 전동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모터(1)는 프레임(10), 회전자 어셈블리(20) 및 고정자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을 통한 단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은 내벽(11) 및 외벽(12)을 포함한다. 외벽(12)은 내벽(11)을 둘러싸고 환형 채널(14)이 그들 사이에 형성된다. 다수의 디퓨저 베인(13)이 환형 채널(14)을 통해 내벽(11)과 외벽(12)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벽(11)은 외벽(12)보다 길이가 짧고, 내벽(11)은 외벽(12)이 상류 및 하류 방향으로 내벽(11)을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벽(11)은 외벽(12)이 상류 또는 하류 방향 중 단지 하나에서만 내벽(11)을 넘어 연장되도록 다르게 위치될 수도 있다.
프레임(10)은 아연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기계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또는 기계 가공과 다이캐스팅을 모두 사용하는 조합 방법에 의해 형성 될 수 있다. 아연은 음향적으로 무딘 재료이므로 아연 프레임(10)은 사용 중에 모터(1)에 의해 생성된 음향 주파수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아연 프레임(10)은 모터(1)가 내부에 포함된 제품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적인 소음 크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퓨저 베인(13)은 내벽(11)과 외벽(12) 사이에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내벽(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디퓨저 베인(13)은 내벽(11)을 넘어 외벽(12)까지 축 방향 하류로 연장되는 테일부(18)를 갖는다. 따라서 디퓨저 베인(13)은 환형 채널(14)의 반경 방향 내부 부분에서보다 환형 채널(14)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에서 더 길다. 이것은 디퓨저 베인(13)이 공기흐름에 작용하는 더 긴 유효 길이를 가지면서도 내벽(11)의 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모터(1)의 크기와 중량이 최소로 유지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내벽(11)은 원통형이고 보어(15)를 형성한다. 내벽(11)은 모터(1)가 조립될 때 보어(15) 내에서 회전자 어셈블리(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내벽(11)은 축 방향으로 내벽(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러그(16)를 갖는다. 특히 러그(16)는 하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러그(16)는 고정자 어셈블리(40)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자 어셈블리(40)가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지점을 제공한다. 도 2는 단일 러그(16)를 보여 주지만, 고정자에 필요한 장착 지점의 수와 모터(1)의 기타 요구 사항에 따라 복수개의 러그(16)가 제공될 수도 있다. 프레임(10)의 러그(16)에 고정자 어셈블리(40)를 장착하는 것을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내벽(11)은 러그(16)의 반대 방향으로 내벽(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돌출부(17)를 갖는다. 이 축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돌출부(17)는 임펠러(24) 상의 상보적인 리세스(29)에 수용되어 러비린스 시일(labyrinth sea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회전자 어셈블리(20)는 샤프트(21), 자석(22), 베어링 어셈블리(23) 그리고 임펠러(24)를 포함한다. 회전자 어셈블리(20)의 단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자석(22), 베어링 어셈블리(23) 및 임펠러(24)는 모두 억지 끼워맞춤 및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샤프트(21)에 직접 고정된다.
자석(22)은 영구 자석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접합 영구 자석이다. 도시된 예에서, 자석(22)은 4 극 영구 자석이다. 베어링 어셈블리(23)는 한 쌍의 베어링(25a, 25b) 및 이 베어링(25a, 25b)들을 분리하는 스프링(26)을 포함한다. 스프링(26)은 사용 중에 베어링(25a, 25b)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25a, 25b)의 각각의 외륜을 예압하도록 작용한다. 스프링(26)과 베어링(25a, 25b) 각각 사이에 와셔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 어셈블리(20)는 내벽(11)에 의해 프레임(10) 내에 지지된다. 베어링 어셈블리(23)는 프레임(10)의 내벽(11)이 베어링 어셈블리(23) 주위의 보호 슬리브로서 작용하도록 내벽(11)의 보어(15) 내에 고정된다. 이는 베어링 어셈블리(23)가 별도의 보호 슬리브를 가질 필요를 없애고, 모터(1)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임펠러(24)에 가장 가까운 베어링(25a)의 외륜은 보어(15) 내에서 내벽(11)의 내주에 형성된 환형 홈(102)에 위치한 O-링(100)에 의해 보어(15) 내의 내벽(11)의 내주에 고정된다. O-링(100)은 프레임(10)으로부터 베어링(25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동적으로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모터가 개선된 음향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터(1)의 배음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O-링(100)의 형상, 크기 및 재료는 선택된 배음의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 될 수 있으며, O-링(100)은 제 1 베어링(25a)과의 접촉 표면적을 가능한 크게 해서 가능한 한 큰 감소를 제공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하다.
임펠러(24)로부터 가장 먼 베어링(25b)의 외륜은 접착제(104)에 의해 보어(15) 내에서 내벽(11)의 내주에 고정된다. 접착제(104)는 사용시 임펠러(24)에 의해 생성된 축 방향 힘을 흡수하도록 작용한다. 접착제(104)의 유형은 모터(1)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경화 접착제(soft setting adhesive)를 선택하여 모터(1)의 음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임펠러(24)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중앙 허브(28)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7)를 갖는 축 방향 임펠러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13 개의 블레이드(27)가 있다.
도 3은 임펠러(24)의 허브(28)가 허브(28)의 하류 측에 리세스(29)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리세스(29)를 가짐으로써, 이것은 임펠러(24)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켜서, 아연을 사용하여 프레임(10)을 형성함으로써 추가되는 중량의 더 많은 부분을 상쇄한다. 또한, 리세스(29)는 환형이고 프레임의 내벽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연장 될 수 있는 공동을 제공한다. 이것은 임펠러(24)의 허브(28) 내부에 러비린스 시일을 생성하여 머리카락과 먼지 같은 이물질이 베어링 어셈블리(23)로 유입되어 회전자 어셈블리(20)를 손상시키고 모터(1)의 수명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러비린스 시일은 조립된 프레임(10)과 회전자 어셈블리(20)를 통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러비린스 시일은 S 영역에서 하일라이트 되어 있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내벽(11)이 베어링 어셈블리(23) 주위에서 보호 슬리브로서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보여준다.
도 5는 고정자 어셈블리(40)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자 어셈블리(40)는 2 개의 c자형 고정자 코어(50)와 보빈 어셈블리(44)를 포함한다. 각각의 c자형 코어(50)('c-코어'라고도 함)는 등부(52) 및 등부(52)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폴(pole) 아암(54)을 포함한다. 각 폴 아암(54)의 단부에는 폴 면(56)이있다. 보빈 어셈블리(44)는 중앙 부분(42) 및 중앙 부분(42)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으로 연장된 아암 부분(48)을 포함한다. 중앙 부분(42)은 모터가 조립될 때 회전자 어셈블리(20)의 자석(22)을 둘러싸는 보어를 형성한다. c-코어(50)에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한 권선(미도시)이 보빈 어셈블리(44)의 암 부분(48) 주위에 감길 수 있다. 아암 부분(48)에는 c-코어(50)의 폴 아암(54)이 보빈 어셈블리(44)의 아암 부분(48)들을 통해 슬롯을 형성하여 권선이 각각의 폴 아암(54) 주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관통 구멍(49)이 제공된다. 아암 부분의 관통 구멍(49)은 또한 보빈 어셈블리(44)의 중앙 부분(42)을 통해 연장되고, 모터가 조립되었을 때, c-코어(50)의 극 면(56)이 자석(22)에 노출되도록 중앙 부분(42)에 개구가 제공된다.
보빈 어셈블리(44)는 고정자 어셈블리(40)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10) 상의 러그(16)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리세스(46)를 포함한다. 러그(16)는 리세스(46) 내로 수용될 수 있고, 접착제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조립된 모터 (1)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보빈 어셈블리(44)의 리세스(46) 내부에 위치한 러그(16)를 도시한다. 리세스(46)는 러그(16)와 접착제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클 수 있다. 모터(1)의 조립 동안, 고정자 어셈블리(40)와 프레임(10)을 합치기 전에 접착제가 리세스(46) 안에 또는 러그(16)의 외부, 또는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자 어셈블리(40)를 내벽(11)에 장착하기 위해서,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 장착 부재(110)가 제공된다. 고정자 장착 부재(110)는 샤프트(21)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보어(114) 및 러그(16)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리세스를 갖는 환상형 탄성 부재이다. 고정자 마운팅 부재(110)의 재료는 고정자 마운팅 부재(110)가 고정자 어셈블리(40)를 내벽(11), 및 그로 인해 프레임(10)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동적으로 격리시켜, 모터(1)의 하나 이상의 배음의 레벨의 감소와 같은 개선된 음향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고정자 장착 부재(110)는 40 내지 90 Shore A의 Shore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의 예는 도 8에서 볼 수 있다. 모터(1)는 일반적으로 50-120 krpm 범위의 속도로 작동한다. 제 1 베어링(25a)을 내벽(11)에 장착하는 O-링(100)이 없는 경우, 동일한 속도 범위에서 작동하는 대응하는 모터는 라인 그룹(20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높은 베어링 톤(H3.17)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O-링(100)을 도입하여 임펠러(24)에 가장 가까운 제 1 베어링(25a)을 프레임(10)의 내벽(11)에 소프트-장착하면, 라인 그룹(202)에서 볼 수 있듯이 H3.17의 레벨의 현저한 감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향상된 음향 특성을 갖는 모터(1)를 제공한다.
O-링(100)의 재료, O-링(100)의 크기 그리고 제 1 베어링(25a)의 외륜과 O-링(100) 사이의 접촉 표면적의 선택은 모터(1)의 배음의 레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로서는 제 1 베어링(25a)의 외륜과 O-링(100) 사이에 가능한 한 큰 접촉 표면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O-링(100)에 대해 40-90 Shore A 범위의 Shore A 경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면 모터(1)의 배음의 레벨의 개선된 감소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Claims (8)

  1. 전동기로서,
    프레임;
    자석, 베어링 어셈블리, 임펠러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고정자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 제 2 베어링, 및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의 편향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베어링은 O-링에 의해 프레임에 소프트-장착되고, 제 2 베어링은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제 1 베어링은 제 2 베어링보다 임펠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전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O-링이 안에 안착되는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전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베어링 어셈블리를 덮는 연속된 표면을 포함하는, 전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베어링 어셈블리는 임펠러의 하류에 위치하는, 전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하고, 내벽은 베어링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를 가지며, 자석은 내벽의 보어의 외부에서, 베어링 어셈블리의 하류에 위치하는, 전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임펠러는 제 1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전동기.
  8. 전동기로서,
    프레임;
    자석, 베어링 어셈블리, 임펠러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자 어셈블리; 및
    고정자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 제 2 베어링, 및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의 편향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베어링은 O-링에 의해 프레임에 소프트-장착되고, 제 2 베어링은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고정자 어셈블리는 고정자 장착 부재에 의해 프레임에 소프트-장착된, 전동기.
KR1020207025465A 2018-03-01 2019-02-19 전동기 KR102513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03348.0 2018-03-01
GB1803348.0A GB2571554B (en) 2018-03-01 2018-03-01 An electric motor
PCT/GB2019/050447 WO2019166775A1 (en) 2018-03-01 2019-02-19 An electric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636A KR20200115636A (ko) 2020-10-07
KR102513816B1 true KR102513816B1 (ko) 2023-03-24

Family

ID=6190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65A KR102513816B1 (ko) 2018-03-01 2019-02-19 전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412198A1 (ko)
EP (1) EP3759797A1 (ko)
JP (1) JP7025560B2 (ko)
KR (1) KR102513816B1 (ko)
CN (1) CN111788762A (ko)
GB (1) GB2571554B (ko)
WO (1) WO201916677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059A (ja) * 2011-07-15 201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過給圧縮機、その組立方法及び内燃機関
JP2017143723A (ja) * 2015-12-11 2017-08-17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電気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145A (ja) * 1983-12-26 1985-07-23 Nec Corp 小型モ−タ
JP2000023414A (ja) 1998-07-03 2000-01-21 Nippon Densan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
JP3823920B2 (ja) 2002-12-27 2006-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GB2406146B (en) * 2003-09-19 2006-12-06 Dyson Ltd A bearing assembly
GB2467966B (en) * 2009-02-24 2013-04-03 Dyson Technology Ltd Rotor assembly
GB2493974B (en) * 2011-08-26 2014-01-15 Dyson Technology Ltd Bearing assembly
TWI539082B (zh) * 2013-12-02 2016-06-2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氣體鼓風裝置
JP6319014B2 (ja) * 2014-09-24 2018-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組立方法および回転電機
CN105449909B (zh) * 2014-09-24 2020-01-31 雷勃美国公司 轴向磁通电机轴承安装系统及方法
JP6522148B2 (ja) 2015-11-04 2019-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GB2545413B (en) * 2015-12-11 2019-04-03 Dyson Technology Ltd A stator assembly
GB2545412B (en) 2015-12-11 2018-06-06 Dyson Technology Ltd A hair care appliance comprising a motor
GB2563617B (en) * 2017-06-20 2020-04-08 Dyson Technology Ltd An electric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059A (ja) * 2011-07-15 201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過給圧縮機、その組立方法及び内燃機関
JP2017143723A (ja) * 2015-12-11 2017-08-17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電気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803348D0 (en) 2018-04-18
JP2021515520A (ja) 2021-06-17
CN111788762A (zh) 2020-10-16
JP7025560B2 (ja) 2022-02-24
US20200412198A1 (en) 2020-12-31
WO2019166775A1 (en) 2019-09-06
GB2571554A (en) 2019-09-04
GB2571554B (en) 2020-09-30
GB2571554A8 (en) 2019-09-25
EP3759797A1 (en) 2021-01-06
KR20200115636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50B1 (ko) 전기 모터
AU2016366624B2 (en) An electric motor
KR102349826B1 (ko) 브러시레스 모터
WO2018234739A1 (en) ELECTRIC MACHINE
KR20200110809A (ko) 브러시리스 모터
KR101905306B1 (ko) 모터
KR102513816B1 (ko) 전동기
JP6738395B2 (ja) ロータ
CN118137723A (zh) 电动机
JP2022154380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