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799B1 - 자동 세척 벤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799B1
KR102513799B1 KR1020200172412A KR20200172412A KR102513799B1 KR 102513799 B1 KR102513799 B1 KR 102513799B1 KR 1020200172412 A KR1020200172412 A KR 1020200172412A KR 20200172412 A KR20200172412 A KR 20200172412A KR 102513799 B1 KR102513799 B1 KR 10251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washing water
washing
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466A (ko
Inventor
김정호
김효진
채예지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7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8B1/006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척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에 놓인 벤치의 착좌면이 눈, 비 또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회전시켜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착좌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척 벤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세척 벤치 {Automatic Cleaning Bench}
본 발명은 자동 세척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에 놓인 벤치의 착좌면이 눈, 비 또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회전시켜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착좌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척 벤치에 관한 것이다.
야외의 공원이나 정류장 등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도록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벤치는 대부분 등받이가 없거나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람이 앉는 좌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야외 벤치는 각종 먼지나, 우천시 자동차에 의한 물튀김, 심지어 조류의 배설물에 의해 더렵혀지고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새벽녘 이슬 맺힘이나 비온 후 개었을 때 좌판이 젖게 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설치되어 있는 벤치의 수량에 비해 그 이용률이 현저히 낮다.
또한 야외에 설치된 벤치가 대부분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이므로, 물과 오염원에 의해 더렵혀질 경우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주변 미관을 해칠 수도 있다.
도 1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덮개가 형성된 벤치(90)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6479호(2016.01.1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덮개가 형성된 벤치(90)는 좌판과 다리를 갖는 야외용 벤치의 좌우 양측의 후방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지지대를 기립 구성한 한 쌍의 브래킷(91)과, 하부 양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구가 구비된 덮개(93)와, 상기 브래킷(91)과 덮개(93)를 회동 결합시키는 힌지핀(95)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벤치(90)의 경우, 벤치(90) 미사용시에는 덮개(93)를 덮어 좌판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벤치(90)에 앉을 때에는 덮개(93)를 개방하여 덮개(93)가 등받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벤치(90)는 사용을 완료한 자가 뒤에 사용할 자를 배려해 덮개(93)를 덮어줄 것을 기대하고 있는바, 만일 이전 사용자가 사용 완료 후 덮개(93)를 덮고 가지 않을 경우, 그 다음 사용자가 오염된 좌판 위에 앉을 수 밖에 없는바, 종래 일반적인 벤치가 가지고 있던 문제를 그대로 유발할 수 밖에 없다.
즉, 벤치의 청결은 벤치를 이용할 사람의 의지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종래의 벤치(90)는 이미 사용을 끝내고 자리를 뜨는 벤치를 이용한 사람의 의지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의 벤치(90)는 결국, 벤치를 이용한 사람에게 다음 사용자를 위한 배려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러한 배려가 잘 지켜지기 어렵고, 기존에 일반적인 벤치를 이용하던 사용자의 습관이 몸에 배어, 의식적으로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 없는 한, 사용 후 덮개(93)로 좌판을 덮는 것을 잊게 만들기 쉽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신종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는 현대의 생활 환경에서 그 어느 때보다 위생, 방역, 소독 등이 중시되고 있지만, 종래의 벤치들은 단순히 벤치 위에 묻는 먼지나 오염물질 등을 털어내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도 한계가 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벤치를 사용한 사람에게 자발적으로 다음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없이도, 벤치를 사용할 사람의 의사에 의해 착좌할 벤치의 좌판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벤치의 세척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 등의 전파를 차단하는 살균, 소독 등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6479호(2016.0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환경에 놓인 벤치의 착좌면이 눈, 비 또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회전시켜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착좌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벤치를 사용한 사람에게 자발적으로 다음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없이도, 벤치를 사용할 사람의 의사에 의해 착좌할 벤치의 좌판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벤치의 자동 세척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 등의 전파를 차단하는 살균, 소독 등도 함께 이루어지는 자동 세척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구성하여, 시트부를 회전시켜가면서 자동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부를 구성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 또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포트부를 구성해 벤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시트부를 이격시키고, 시트부 하측의 이격된 공간에 세척부를 위치시켜 시트부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부를 회전시켜 착좌면 또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면서, 시트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 시트부에 묻은 각종 오염물 등이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수분사부 후측에 와이퍼부를 구성하여, 시트부 상에 묻은 세척수를 와이퍼부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퍼부가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특정 위치에 와이퍼부를 고정 형성하더라도 롤러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부의 외측면이 와이퍼부에 의해 닦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수부를 구성해, 세척분사부에 의해 분사되어 낙하하는 세척수 및 와이퍼부에 닦여 시트부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는 세척수 등이 집수부가 형성하는 내부저장공간 안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퍼부의 후측에 건조부를 구성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시트부가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부의 후측에 살균부를 구성함으로써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시트부 부분이 착좌면으로 제공되기 이전에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부 및 살균부가 위치하는 이격 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를 구성해, 세척부 및 살균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벤치에 앉으려는 사람이 세척 동작 버튼을 눌렀을 때에 비로소 오염된 착좌면이 세척을 위해 내부로 들어가 세척, 건조 등을 마치고 다시 외부로 나올 경우,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벤치 세척이 완료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동안 벤치에 앉지 못하고 옆에 서서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시트부를 구성하여, 세척이 완료된 제2비착좌면은 항상 사용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가 세척된 착좌면을 곧바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시트부를 구성하여, 세척수의 비산을 최소화하고, 틈이 좁은 깊숙한 곳까지 세척수 및 기체가 용이하게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삼각형의 측단면을 가지는 시트부를 구성해, 경사진 제1비착좌면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척수를 분사했을 때, 제1비착좌면과 하우징부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세척수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면을 수평하게 구성했을 때,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세척수가 시트부의 면을 따라 넓게 흩어져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부의 크기를 크게 구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세척수가 분사되는 제1비착좌면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비착좌면을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응집된 세척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특정 지점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수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제1비착좌면이,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제2비착좌면 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좌면과 제1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제1비착좌면과 제2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및 제2비착좌면과 착좌면이 이루는 각도가 60도로 모두 동일하고, 착좌면의 크기, 제1비착좌면의 크기 및 제2비착좌면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시트부 중 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제1비착좌면을 형성할 경우, 시트부 중 제1비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제2비착좌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시트부 중 제2비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착좌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삼각형의 측단면을 가지는 시트부를 구성해, 경사진 제2비착좌면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건조를 위한 기체를 분사했을 때, 제2비착좌면과 하우징부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기체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퍼부가 시트부에 접촉하는 지점은, 제1비착좌면과 제2비착좌면이 형성하는 최저점보다 후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1 차적으로 경사 방향의 변경으로 인한 세척수의 자유 낙하를 최대한 활용한 뒤, 2 차적으로 와이퍼부에 의해 잔존 세척수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비착좌면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 구성하여, 착좌면으로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제2비착좌면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살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벨트 형상을 가지되 외부로 노출되는 착좌면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시트부를 회전시키는 롤러부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를 이격시키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부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시트부 중 착좌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동해 갈 때, 해당 부분의 외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는 와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부는,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상기 집수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상기 시트부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세척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의 세척된 부분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상기 세척부 및 상기 살균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시트부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2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비착좌면과 상기 착좌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착좌면의 크기는, 상기 제1비착좌면의 크기 및 상기 제2비착좌면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비착좌면은,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비착좌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비착좌면은,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2비착좌면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해 상기 시트부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는 와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부가 상기 시트부에 접촉하는 지점은, 상기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2비착좌면이 형성하는 최저점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제2비착좌면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놓인 벤치의 착좌면이 눈, 비 또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회전시켜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착좌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벤치를 사용한 사람에게 자발적으로 다음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없이도, 벤치를 사용할 사람의 의사에 의해 착좌할 벤치의 좌판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벤치의 자동 세척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 등의 전파를 차단하는 살균, 소독 등도 함께 이루어지는 자동 세척 벤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를 구성하여, 시트부를 회전시켜가면서 자동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시트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롤러부를 구성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 또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서포트부를 구성해 벤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시트부를 이격시키고, 시트부 하측의 이격된 공간에 세척부를 위치시켜 시트부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롤러부를 회전시켜 착좌면 또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면서, 시트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 시트부에 묻은 각종 오염물 등이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척수분사부 후측에 와이퍼부를 구성하여, 시트부 상에 묻은 세척수를 와이퍼부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와이퍼부가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특정 위치에 와이퍼부를 고정 형성하더라도 롤러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부의 외측면이 와이퍼부에 의해 닦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집수부를 구성해, 세척분사부에 의해 분사되어 낙하하는 세척수 및 와이퍼부에 닦여 시트부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는 세척수 등이 집수부가 형성하는 내부저장공간 안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와이퍼부의 후측에 건조부를 구성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시트부가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세척부의 후측에 살균부를 구성함으로써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시트부 부분이 착좌면으로 제공되기 이전에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척부 및 살균부가 위치하는 이격 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를 구성해, 세척부 및 살균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벤치에 앉으려는 사람이 세척 동작 버튼을 눌렀을 때에 비로소 오염된 착좌면이 세척을 위해 내부로 들어가 세척, 건조 등을 마치고 다시 외부로 나올 경우,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벤치 세척이 완료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동안 벤치에 앉지 못하고 옆에 서서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시트부를 구성하여, 세척이 완료된 제2비착좌면은 항상 사용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가 세척된 착좌면을 곧바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시트부를 구성하여, 세척수의 비산을 최소화하고, 틈이 좁은 깊숙한 곳까지 세척수 및 기체가 용이하게 이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역삼각형의 측단면을 가지는 시트부를 구성해, 경사진 제1비착좌면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척수를 분사했을 때, 제1비착좌면과 하우징부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세척수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면을 수평하게 구성했을 때,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세척수가 시트부의 면을 따라 넓게 흩어져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부의 크기를 크게 구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세척수가 분사되는 제1비착좌면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비착좌면을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응집된 세척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특정 지점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수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진 제1비착좌면이,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제2비착좌면 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착좌면과 제1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제1비착좌면과 제2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및 제2비착좌면과 착좌면이 이루는 각도가 60도로 모두 동일하고, 착좌면의 크기, 제1비착좌면의 크기 및 제2비착좌면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시트부 중 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제1비착좌면을 형성할 경우, 시트부 중 제1비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제2비착좌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시트부 중 제2비착좌면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착좌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역삼각형의 측단면을 가지는 시트부를 구성해, 경사진 제2비착좌면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건조를 위한 기체를 분사했을 때, 제2비착좌면과 하우징부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기체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와이퍼부가 시트부에 접촉하는 지점은, 제1비착좌면과 제2비착좌면이 형성하는 최저점보다 후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1 차적으로 경사 방향의 변경으로 인한 세척수의 자유 낙하를 최대한 활용한 뒤, 2 차적으로 와이퍼부에 의해 잔존 세척수가 제거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2비착좌면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 구성하여, 착좌면으로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제2비착좌면이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살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덮개가 형성된 벤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 벤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 벤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벤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자동 세척 벤치(1)는, 외부 환경에 놓인 벤치의 착좌면(11)이 눈, 비 또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부(10)를 회전시켜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의 착좌면(11)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벤치를 사용한 사람에게 자발적으로 다음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없이도 벤치를 사용할 사람의 의사에 의해 착좌할 벤치의 좌판을 깨끗한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벤치의 자동 세척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 등의 전파를 차단하는 살균, 소독 등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 벤치(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동 세척 벤치(1)는 시트부(10), 롤러부(20), 서포트부(30), 세척부(40), 살균부(50), 하우징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10)는, 벨트 형상을 가지되 외부로 노출되는 착좌면(11)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착좌면(13)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시트부(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후술할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부(10)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롤러부(2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항상 상기 시트부(10) 중 일 부분은 착좌면(11)을 형성하고 다른 나머지 부분은 비착좌면(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시트부(10)에 의해 상기 시트부(10)의 세척 등에 관련된 후술할 구성들이 움직이도록 구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시트부(10)의 오염된 부위는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부(10)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원활한 원 궤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긴 개개의 유닛들이 이격되어 결합된 집합체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10)의 내측면은 틈이 없는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후술할 세척수분사부(41)에 의한 세척수 분사시폐곡면을 가지는 상기 내측면에 의해 세척수가 직접 분사되는 면 이외의 부분으로 세척수가 튀거나 흘러들어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0)는, 상기 시트부(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시트부(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부(20)는 모터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11) 또는 비착좌면(13)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부(10)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0)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20)는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부(30)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10)를 이격시키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부(20)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서포트부(3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롤러부(2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부(30)의 형상을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서포트부(30)의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30)에 의해, 벤치(1)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10)를 이격시키고, 상기 시트부(10) 하측의 이격된 공간에 후술할 세척부(40)를 위치시켜 상기 시트부(10)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부(1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세척부(4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일련의 동작들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할 하우징부(60)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 등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상기 롤러부(2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세척부(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부(20)의 회전과 상기 세척부(4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롤러부(20)의 회전과 상기 세척부(40)의 동작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롤러부(20)를 회전시켜 착좌면(11) 또는 비착좌면(13)을 형성하는 상기 시트부(10)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면서, 상기 세척부(40)를 통해 상기 시트부(1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 상기 시트부(10)에 묻은 각종 오염물 등이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하고,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며, 젖은 시트부(10) 면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부(40)는 세척수분사부(41), 와이퍼부(43), 집수부(45), 건조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분사부(41)는, 상기 시트부(10) 중 착좌면(11)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해 비착좌면(13)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동해 갈 때, 해당 부분의 외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분사부(41)는 후술할 집수부(45)의 내부저장공간(45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로 우수, 정수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세척수분사부(41)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부(43)는, 상기 세척수분사부(41)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10)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는 구성을 말한다. 여기서 후측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공정을 기준으로 했을 때 다음 공정이 위치하는 측을 의미하며, 이전 공정에 관여된 구성은 그 다음 공정에 관여된 구성에 비해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고, 그 다음 공정에 관여된 구성은 이전 공정에 관여된 구성에 비해 후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세척수분사부(41) 후측에 상기 와이퍼부(43)를 구성하여, 상기 시트부(10) 상에 묻은 세척수를 상기 와이퍼부(43)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퍼부(43)는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10)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위치에 상기 와이퍼부(43)를 고정 형성하더라도 상기 롤러부(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부(10)의 외측면이 상기 와이퍼부(43)에 의해 닦일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퍼부(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부(10)의 이동 방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시트부(10)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부(43)가 상기 시트부(10)의 이동 방향에 순응하지 않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시트부(10)에 접촉될 경우, 상기 시트부(10)가 이동하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 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집수부(45)는, 상기 세척수분사부(41)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43)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451)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집수부(45)는 상기 세척분사부(41)에 의해 분사되어 낙하하는 세척수 및 상기 와이퍼부(43)에 닦여 상기 시트부(10)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는 세척수 등이 집수부(45)가 형성하는 내부저장공간(451) 안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집수부(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47)는, 상기 집수부(45)의 후측에 위치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상기 시트부(10)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건조부(47)는 세척수에 의해 젖은 시트부(10)에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세척수에 의해 젖은 시트부(10) 부분이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조부(47)에 의해 분사되는 바람은 높은 온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47)는 기체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복사열을 방출해 그 열에 의해 젖은 시트부(10) 면을 말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부(50)는,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세척부(40)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10)의 세척된 부분을 살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살균부(50)는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시트부(10) 부분이 착좌면(11)으로 제공되기 이전에 살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살균부(50)는 내부에 소독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건조가 완료된 시트부(10) 면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소독액은 알코올 성분이기 때문에 휘발성이 높아 별도의 건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독액을 분사하는 것 대신에 자외선 조사 등을 통하여 살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살균부(50)는 자외선 램프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60)는, 상기 세척부(40) 및 상기 살균부(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60)를 통해 상기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한 세척부(40) 및 살균부(50)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60)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부(30)가 결합되는 양 측면과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수평한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양 측이 돌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수직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불필요한 단차를 없애기 상기 수직면은 인접한 서포트부 면의 프로파일로부터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 벤치(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로, 도 5 내지 7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4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시트부(10)의 형상을 상이하게 구성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서술을 피하고자, 도 2 내지 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겠다.
벤치에 앉으려는 사람이 세척 동작 버튼을 눌렀을 때에 비로소 오염된 착좌면이 세척을 위해 내부로 들어가 세척, 건조 등을 마치고 다시 외부로 나올 경우,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벤치 세척이 완료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동안 벤치에 앉지 못하고 옆에 서서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11)과, 상기 착좌면(11)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131)과, 상기 제1비착좌면(131)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133)을 포함하는 시트부(10)를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좌면(11)과 상기 제1비착좌면(131)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비착좌면(131)과 상기 제2비착좌면(133)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비착좌면(133)과 상기 착좌면(11)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좌면(11)과 제1비착좌면(131)이 이루는 각도, 상기 제1비착좌면(131)과 상기 제2비착좌면(133)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비착좌면(133)과 상기 착좌면(11)이 이루는 각도는 6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좌면(11)의 크기는, 상기 제1비착좌면(131)의 크기 및 상기 제2비착좌면(133)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비착좌면(131)은,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60)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비착좌면(133)은,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60)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시트부(10)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는 세척이 완료된 제2비착좌면(133)이 항상 사용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가 세척된 착좌면(11)을 곧바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시트부(10) 중 상기 착좌면(11)을 형성하였던 부분이 상기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비착좌면(131)을 형성할 경우, 상기 시트부(10) 중 상기 제1비착좌면(131)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시트부(10) 중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형성하였던 부분은 상기 착좌면(11)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전측의 제1롤러부(21)와, 상후측의 제2롤러부(23)와, 하측의 제3롤러부(2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3 개의 롤러부(20)에 의해 역삼각형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는 시트부(10)를 구성한다.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비착좌면(13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41)와,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10)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해 상기 시트부(10)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도록 구성되는 와이퍼부(43)와,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분사부(41)는,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비착좌면(131)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7의 시트부(10)에 의하면, 상기 시트부(10)가 역삼각형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하면서 전후측을 상기 하우징부(60)에 의해 막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세척수분사부(41)가 경사진 제1비착좌면(131)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척수를 분사했을 때, 상기 제1비착좌면(131)과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유체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이 증가하는 현상에 의해 세척수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비착좌면(131)이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응집된 세척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특정 지점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수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사진 상기 제1비착좌면(131)이,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제2비착좌면(133) 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분사부(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면(11)이었다가 제1비착좌면(131)이 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바로 세척수 분사가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부(43)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0)에 접촉하는 지점(C)이, 상기 제1비착좌면(131)과 상기 제2비착좌면(133)이 형성하는 최저점(P)보다 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1 차적으로 경사 방향의 변경으로 인한 세척수의 자유 낙하를 최대한 활용한 뒤, 2 차적으로 와이퍼부에 의해 잔존 세척수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45)는, 세척수분사부(41)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43)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451)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세척수가 분사되는 면을 수평하게 구성했을 때,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세척수가 상기 시트부(10)의 면을 따라 넓게 흩어져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집수부(45)의 크기를 크게 구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1비착좌면(131)을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는바,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부(45)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부(47)는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향해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4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45)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47)로부터 경사진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건조를 위한 기체를 분사했을 때, 상기 제2비착좌면(133)과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유체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이 증가하는 현상에 의해 기체가 상측 깊숙한 곳까지 유속의 감소없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부(50)는,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제2비착좌면(133)을 살균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착좌면(11)으로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제2비착좌면(133)이 상기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해 착좌면(1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살균을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전측 수직면의 상측단부가 상기 제1비착좌면(131)의 상측부에 접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60)의 수직한 후측 수직면의 상측단부는 상기 제2비착좌면(133)의 상측부에 접하여 기체의 누기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자동 세척 벤치
10: 시트부
11: 착좌면
13: 비착좌면
131: 제1비착좌면
133: 제2비착좌면
20: 롤러부
21: 제1롤러부
23: 제2롤러부
25: 제3롤러부
30: 서포트부
40: 세척부
41: 세척수분사부
43: 와이퍼부
45: 집수부
451: 내부저장공간
47: 건조부
50: 살균부
60: 하우징부

Claims (16)

  1. 벨트 형상을 가지되 외부로 노출되는 착좌면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시트부를 회전시키는 롤러부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를 이격시키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비착좌면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시트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착좌면 전부가 상기 비착좌면이 되면 상기 시트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시트부 중 착좌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비착좌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동해 갈 때, 해당 부분의 외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는 와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부는,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집수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상기 시트부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상기 시트부의 하측에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세척부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의 세척된 부분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상기 세척부 및 상기 살균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착좌면과, 상기 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과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비착좌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과 상기 제1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2비착좌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비착좌면과 상기 착좌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의 크기는, 상기 제1비착좌면의 크기 및 상기 제2비착좌면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착좌면은,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비착좌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착좌면은, 상기 이격공간을 감싸 폐쇄하는 하우징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2비착좌면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해 상기 시트부 상의 세척수를 닦아내는 와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부가 상기 시트부에 접촉하는 지점은, 상기 제1비착좌면과 상기 제2비착좌면이 형성하는 최저점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 및 상기 와이퍼부에 의해 닦여진 세척수가 낙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내부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집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척 벤치는, 세척이 완료되어 사용 대기 상태에 있는 상기 제2비착좌면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벤치.
KR1020200172412A 2020-12-10 2020-12-10 자동 세척 벤치 KR10251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12A KR102513799B1 (ko) 2020-12-10 2020-12-10 자동 세척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12A KR102513799B1 (ko) 2020-12-10 2020-12-10 자동 세척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66A KR20220082466A (ko) 2022-06-17
KR102513799B1 true KR102513799B1 (ko) 2023-03-24

Family

ID=8226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12A KR102513799B1 (ko) 2020-12-10 2020-12-10 자동 세척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7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506230U (zh) * 2017-04-20 2018-06-19 大连交通大学 带清洁功能的户外公共座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7204B2 (ja) * 1997-01-17 2006-06-21 石野産業株式会社 まな板装置
KR101167163B1 (ko) * 2009-10-29 2012-07-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벨트 세척장치
KR20150045628A (ko) * 2013-10-21 2015-04-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충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좌석 시스템
KR101586479B1 (ko) 2015-06-05 2016-02-02 김성만 벤치의 등받이 겸 덮개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506230U (zh) * 2017-04-20 2018-06-19 大连交通大学 带清洁功能的户外公共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66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189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infecting hands
CN101078235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AU739851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infecting hands
KR101201914B1 (ko) 비데 및 시트 세척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513799B1 (ko) 자동 세척 벤치
CN113413094A (zh) 清洁机器人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KR100842098B1 (ko) 공기 정화용 에어 필터의 자동 세척장치
CN101082225B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JP4330170B2 (ja) マットレス洗浄消毒装置、及びマットレス洗浄消毒方法
ES2271222T3 (es) Asiento de retrete automaticamente desinfectado que incorpora medios para recoger el fluido de desinfeccion.
CN109138087A (zh) 一种组合式自清洁与节水集成厕所系统
CN107360989B (zh) 一种智能化的食品加工杀菌清洗综合设备
US20050066458A1 (en) Bathtub scrubbing brush
KR20200088110A (ko) 물 분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140076810A (ko) 변좌 세척장치
CN208899588U (zh) 一种组合式自清洁与节水集成厕所系统
KR20200052768A (ko) 천장용 에어컨 스팀 크리닝 공법
KR20170004230U (ko)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CN217811431U (zh) 一种多功能马桶
CN211485808U (zh) 一种消毒碗柜的消毒机构
CN2713877Y (zh) 高效键盘清洁消毒刷
CN209629614U (zh) 一种洗碗机筷笼及洗碗机
CN209360606U (zh) 一种洗碗机的筷笼及洗碗机
CN108888189A (zh) 用于扫地机器人的清洁机构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